KR100689606B1 - A drainage - Google Patents
A drain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9606B1 KR100689606B1 KR1020060110857A KR20060110857A KR100689606B1 KR 100689606 B1 KR100689606 B1 KR 100689606B1 KR 1020060110857 A KR1020060110857 A KR 1020060110857A KR 20060110857 A KR20060110857 A KR 20060110857A KR 100689606 B1 KR100689606 B1 KR 1006896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pipe
- air chamber
- rainwater
- drainage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공공 하수라인의 오니제거형 배수구조를 도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sludge removal type drainag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ublic sewage lin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 하수라인의 오니제거형 배수구조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ludge removal drainage structure of the public sewag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 하수라인의 오니제거형 배수구조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udge removal drainage structure of the public sewag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 하수라인의 오니제거형 배수구조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4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ludge removal type drainage structure of a public sewag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 하수라인의 오니제거형 배수구조를 도시한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a sludge removal drainage structure of the public sewag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펌프의 작동을 도시한 참고도이다.Figure 6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6; 상판, 10; 집수관,6; Top plate, 10; Cistern,
20; 배수관, 21; 내부관체,20; Drainpipe, 21; Inner Tube,
21b; 공기구멍, 22; 외부관체,21b; Air hole, 22; Outer Tube,
23b; 통공, 24; 에어챔버,23b; Through-hole, 24; Air Chamber,
40; 공기펌프, 41; 에어백40; Air pump, 41; Airbag
본 발명은 교량에 구비되어 빗물을 배출하는 공공 하수라인의 오니제거형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dge removal type drainage structure of a public sewage line provided in a bridge to discharge rainwater.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 좌우측 육상에 설치되어 있는 교대(2)를 중심으로 다수의 교각(4)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교각(4)들의 상부에 마련된 교좌에 상판(6)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In general, a plurality of bridges (4) ar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bridge (2)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iver, the top plate (6) is installed on the bridges provided on the top of these bridges (4) It has a structure.
그리고, 이러한 교량에는 상판(6)에 고인 빗물 등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조가 구비된다. 이 배수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6)에 고인 빗물을 집수하는 복수개의 집수관(10)과, 이 집수관(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집수관(10)을 통해 배출되는 배수관(20)을 갖는다.In addition, the bridge is provided with a drainage structure for draining rainwater and the like accumulated on the
상기 집수관(10)은 상판(6)의 하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단이 교량의 상판(6)에 구비된 도시안된 집수덕트에 연결되어 수집덕트에 모인 빗물을 배출한다. 상기 배수관(20)은 집수관(10)의 하단에 경사방향으로 연결되어, 여러개의 집수관(10)에서 배출된 빗물을 모아 교각(4)에 수직으로 설치된 다른 배수관(30)을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된다.The
따라서, 상판(6)에 고인 빗물이 상기 집수관(10)과 배수관(20)을 통해 교각(4) 하측으로 유도되어 육상 또는 수면으로 배출된다.Therefore, rainwater accumulated on the
그런데, 비가 오면 빗물뿐 아니라, 상판(6)에 있는 먼지나 흙을 포함한 오물이 함께 상기 배수구조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배수관(20)은 각도가 낮은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물은 배출되지만 먼지나 흙 등은 잘 배출되지 않고 배수관(20)의 내부에 가라앉아 오니, 즉, 슬러지 형태를 이루어, 배관이 막히거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it rains, not only rainwater, but also dust and dirt in th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빗물과 함께 배출되는 오물에 의해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공공 하수라인의 오니제거형 배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ludge removal drainage structure of a public sewage line which can prevent the drainage pipe from being clogged by dirt discharged with rainwat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6)에 고인 빗물을 집수하는 복수개의 집수관(10)과, 이 집수관(10)의 하단에 연결된 배수관(20)을 포함하는 공공 하수라인의 오니제거형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0)은 상기 집수관(10)에 연결되며 그 둘레부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구멍(21b)이 형성된 내부 관체(21)와; 이 내부관체(21)의 외부에 결합되어 내부관체(2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에어챔버(24)를 형성하며 그 단부에는 드레인(23)이 형성된 외부관체(22)를 포함하며, 흡입구(42)와 상기 에어챔버(24)에 연결되는 배기구(43)가 형성되며 일측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판(6)에 장착되는 탄성재질의 에어백(41)과, 상기 흡입구(42)와 배기구(43)에 장착된 밸브(44,45)가 구비된 공기펌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ublic including a plurality of collecting pipes (10) for collecting rainwater collected on the upper plate (6) of the bridge, and a drain pipe (2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pipe (10) In the sludge removal drainage structure of the sewage line, th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내지 도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공 하수라인의 오니제거형 배수구조는 교량의 상판(6)에 고인 빗물을 집수하는 복수개의 집수관(10)과, 이 집수관(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집수관(10)을 통해 배출되는 배수관(20)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2 to 5, the sludge removal type drainage structure of the public sewag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교량은 교각(4)의 상단에 상판(6)을 설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집수관(1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판(6)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배수관(20)은 집수관(100의 하단에 경사지게 연결되어, 각 집수관(10)을 통해 배출된 빗물을 한꺼번에 모아, 교각(4)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다른 배수관(30)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bridge is configured by installing the
그리고, 상기 배수관(20)은 상기 집수관(10)에 연결되며 그 둘레부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구멍(21b)이 형성된 내부관체(21)와; 이 내부관체(21)의 외부에 결합되어 내부관체(2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에어챔버(24)를 형성하는 외부관 체(22)로 구성되어, 집수관(10)을 통해 배출된 빗물은 내부관체(21)에 수집되어 배출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내부관체(21)는 금속관체로 구성되며 그 상면에 상기 집수관(10)이 연결되는 관통공(21a)이 형성되어 이 통공(21a)에 상기 집수관(10)이 연결된다. 그리고, 이 내부관체(21)에 형성되는 공기구멍(21b)은 물이 잘 통과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게 이루어지며, 배수관(20)의 하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집중적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외부관체(22)는 금속관체로 구성되며, 그 양단에서 중심방향으로 연장부(22a)가 구비되어, 이 연장부(22a)가 내부관체(21)의 외주면에 용접결합되므로써, 상기 내부관체(21)의 외부를 감싸서, 그 내주면과 내부관체(21)의 외주면 사이에 밀폐된 에어챔버(24)를 형성한다. 이때, 이 외부관체(22)에는 상기 집수관(10)이 관통하는 통공(22b)이 형성되며, 그 선단부 하측에는 드레인(23)이 형성된다. 이 드레인(23)은 경사지게 배치되는 외부관체(22)의 하단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관체(21)를 통해 배출되는 빗물의 일부가 상기 공기구멍(21b)을 통해 에어챔버(24)로 유입되어 쌓일 경우, 이 드레인(23)을 열어 내부의 빗물을 배출할 수 있다.The outer
그리고, 상기 에어챔버(24)에는 차량의 하중에 의해 작동되는 공기펌프(40)가 연결된다. 이 공기펌프(40)는 흡입구(42)와 상기 에어챔버(24)에 연결되는 배기구(43)가 형성되며 일측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판(6)에 장착되는 탄성재질의 에어백(41)과, 상기 흡입구(42)와 배기구(43)에 장착된 밸브(44,45)로 구성되어, 차량의 타이어(50)가 상기 에어백(41)을 가압하면, 상기 에어챔버(24)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에어백(41)은 차량의 하중 견딜 수 있는 고탄성의 고무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42)와 배기구(43)는 이 에어백(41)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밸브(44,45)는 리프밸브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42)와 배기구(43)에 각기 반대방향으로 장착되어 상호 반대로 작용하므로써, 에어백(41)의 일측을 누르면 에어백(41) 내부의 공기가 배기구(43)로 배출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에어백(41)이 탄성에 의해 팽창하면서 상기 흡입구(4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공기펌프(40)는 상기 상판(6), 특히, 교량의 상판(6)과 상판(6)의 연결되는 부위에, 에어백(41)의 상단이 상판(6)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흡입구(42)는 상판(6)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배기구(43)는 상기 에어챔버(24)에 연결되는 공급관(46)에 연결되어, 작동시 내부의 공기를 공급관(46)을 통해 에어챔버(24)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detail, the
따라서, 상기 에어백(41)의 내부에 공기가 차있는 상태에서(도 6의 a), 상판(6)을 통과하는 차량의 타이어(50)가 공기펌프(40)의 에어백(41)을 밟으면, 에어백(41)이 찌그러지면서 기압에 의해 흡입구(42)의 리프밸브(44)는 닫히고, 내부의 공기가 배기구(43)를 통해 에어챔버(24)로 공급된 후, 상기 공기구멍(21b)을 통해 내부배관의 내부하측으로 공급된다(도 6의 b). 그리고, 차량의 타이어(50)가 공기펌프(40)의 상면을 통과하면, 공기펌프(40)의 에어백(41)은 탄성에 의해 복귀되며, 이에따라 흡입구(42)의 리프밸브(44)가 개방되어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며(도 6의 c),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상기 에어챔버(24)에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이때, 이 공기펌프(40)는 상판(6)을 통과하는 차량이 공기펌프(40)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6)에 표시된 차선별로, 즉, 한차선에 공기펌프(40)가 하나씩 배치되어, 각 차선을 통과하는 차량이 교대로 공기펌프(4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왕복 4차선으로 이루어진 상판(6)의 경우, 4개의 공기펌프(40)를 각 차선에 대응되도록 상판(6)과 상판(6)의 연결부위에 매입설치하여, 차선을 따라 통과하는 차량이 각 공기펌프(40)를 교대로 작동시키므로써, 상기 에어챔버(24)에 연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이와같이 구성된 공공 하수라인의 오니제거형 배수구조는 우선 상판(6)을 통과하는 차량이 상기 에어백(41)을 밟아 에어챔버(24)에 공기를 공급하면, 에어챔버(24) 내부의 기압이 상승되고, 이에따라, 에어챔버(24) 내부의 공기가 공기구멍(21b)을 통해 내부관체(21)의 내부로 주입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용이 반복됨에 따라, 내부관체(21)의 내부 하측에 가라앉아 있는 오니가 공기구멍(21b)을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올라가, 내부관체(21)의 내부 하측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오니가 내부관체(21)를 통과하는 빗물에 의해 쓸려내려 가게 될 뿐 아니라, 빗물에 섞여있는 오물이 내부관체(21)의 하측으로 가라앉아 오니를 형성하는 것을 막게 된다. 따라서, 오니에 의해 배관이 막히거나 빗물이 잘 배수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기펌프(40)는 차량이 펌프(40)의 에어백(41)을 밟을 때 순간적으로 상기 공기구멍(21b)를 통해 내부관체(2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뿐 아니라, 차량이 불규칙한 간격으로 진행함에 따라 이러한 과정을 불규칙하게 반복하므로, 공기펌프(40)에 의해 내부관체(21)의 내부로 불규칙하게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불규칙한 진동이 발생되어, 오니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ludge removal type drainage structure of the public sewage lin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 vehicle passing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외부관체(22)에 드레인(23)이 구비되어, 에어챔버(24)로 유입된 빗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외부관체(22)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공기펌프(40)는 그 상단이 상판(6)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차량이 이 공기펌프(40)를 밟고 지나가면 작동되도록 하므로써,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공 하수라인의 오니제거형 배수구조는 차량의 하중에 의해 작동되는 공기펌프(40)를 이용하여 배수구조의 내부에 쌓이는 오니를 불어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빗물과 함께 배출되는 오물에 의해 배수관(2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ludge removal type drainage structure of the public sewag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moved by blowing the sludge accumulated inside the drainage structure by using th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0857A KR100689606B1 (en) | 2006-11-10 | 2006-11-10 | A drain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0857A KR100689606B1 (en) | 2006-11-10 | 2006-11-10 | A drain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89606B1 true KR100689606B1 (en) | 2007-03-02 |
Family
ID=3810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0857A KR100689606B1 (en) | 2006-11-10 | 2006-11-10 | A drain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9606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7025A (en) * | 2001-03-26 | 2003-11-12 | 인텔 코오퍼레이션 | Methodology and mechanism for remote key validation for ngio/infiniband applications |
KR100486105B1 (en) * | 2004-09-09 | 2005-04-29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rainfall on bridge |
KR20060034364A (en) * | 2004-10-18 | 2006-04-24 |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 Draining device for use in a bridge |
-
2006
- 2006-11-10 KR KR1020060110857A patent/KR10068960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7025A (en) * | 2001-03-26 | 2003-11-12 | 인텔 코오퍼레이션 | Methodology and mechanism for remote key validation for ngio/infiniband applications |
KR100486105B1 (en) * | 2004-09-09 | 2005-04-29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rainfall on bridge |
KR20060034364A (en) * | 2004-10-18 | 2006-04-24 |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 Draining device for use in a bridge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1004861050000 |
1020060034364 |
200387025000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89607B1 (en) | Exhausting system | |
KR100689606B1 (en) | A drainage | |
KR100733588B1 (en) | A drainage line | |
CN211312481U (en) | Hydraulic engineering retaining wall drainage structures | |
KR101039417B1 (en) | under ground ater drainage apparatus | |
KR101948479B1 (en) | The rain-water drainage for road | |
CN215482073U (en) | Road with rainwater collecting function | |
CN214613574U (en) | Bridge drainage system | |
KR100478606B1 (en) | Drain structure of cleaning water and rainwater constructed on sidewalk adjacent to street | |
JP3838011B2 (en) | Leakage recovery device in submersible construction method | |
CN213174128U (en) | Water supply and drainage pumping device for basement for building | |
KR200384437Y1 (en) | A drainer for raising the groung level area | |
CN208440940U (en) | Convenient for the roadbed sewer structure of dredging | |
KR20110088263A (en) | Detachable rain receptacle for rain infiltration | |
CN208167930U (en) | A kind of anticlogging urban construction catch-basin | |
CN206941696U (en) | The prefabricated pumping plant of novel all-in-one | |
CN213508529U (en) | Energy-saving foundation pit drainage system | |
KR100739867B1 (en) | Road structure | |
TWI803421B (en) | Sewer sludge removal device | |
CN221095362U (en) | Municipal administration highway drainage structures | |
JP2024029733A (en) | Liquid treatment system | |
CN214784501U (en) | Construction rainfall drainage structures | |
CN217711020U (en) | Ponding structure is prevented to road | |
CN221878305U (en) | Municipal garden drainage device | |
CN213417468U (en) | Municipal drainage roa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21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