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060B1 - 동작 대기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동작 대기 방법 - Google Patents

동작 대기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동작 대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060B1
KR100689060B1 KR1020050044888A KR20050044888A KR100689060B1 KR 100689060 B1 KR100689060 B1 KR 100689060B1 KR 1020050044888 A KR1020050044888 A KR 1020050044888A KR 20050044888 A KR20050044888 A KR 20050044888A KR 100689060 B1 KR100689060 B1 KR 100689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ortable terminal
attempt
sens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425A (ko
Inventor
노세용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44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060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이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단말기 전력사용량은 최소화시키면서도 사용자의 이용요구에 즉각적으로 응답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별도의 외부 장치로부터 문자,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통신부, 휴대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과,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상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용 시도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작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구동에 필요한 소요시간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동준비를 수행하여 동작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동작 대기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 방법{Portable Mobile Station Including A Standby Function And A Standby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2a는 접촉 감지형, 압전형, 자기 감지형 센서부의 적용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도 2a의 센서를 사용할 경우, 센서부의 설치 위치분포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c는 이동 감지형, 가속도 감지형 센서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알고리즘을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 주기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고려한 경우의 센서부 동작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시간별 사용자의 이용시도 감지 횟수의 집중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종래의 구동 준비 소요시간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구동준비소요시간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선행 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이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단말기 전력사용량은 최소화시키면서도 사용자의 이용요구에 즉각적으로 응답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또는 이와 연관된 계통의 단말기들은 많은 사람들의 소지 물품 중 빼놓을 수 없는 필수적인 구성이 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종래의 음성통화서비스, 데이터 통신, 멀티미디어 서비스, MP3, 게임기와 같은 미디어 서비스를 비롯해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포괄적 기능의 단말기로 발전해가고 있다. 이는 사용자 계층의 확대, 사용 인구의 증가, 사용 및 휴대의 편리성 및 이에 부합하는 기술발전이 융합되어 이루어진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와같은 휴대 단말기는 컴퓨터, 반도체 및 이와 관련된 전자 관련 산업의 기술발전과 접목되어 불과 몇년 전에는 고가, 고성능의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 PC)에서도 실현하지 못했던 프로그램들의 실행과 관련 기능의 수행이 가능해졌다. 또한, 사용자들의 확대 및 증가에 따른 다양한 요구의 수용과, 경쟁 기업과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종 서비스 관련 프로그램들이 휴대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와 연계된 시스템에서 실현가능하도록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용자 대상 서비스로는 최근 시험 방송을 마치고 본격적인 상용서비스에 돌입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이하 "DMB"라 함)을 포함하는 미디어 서비스(Media Service),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위치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지리정보 서비스(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이하 "GIS"라 함), 각종 게임, 음악, 동영상 촬영, 정지영상 촬영 및 이와 같은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비롯해서, 기본적인 데이터 송수신, 메일, 인터넷 서비스가 포함된다.
이러한 각종 서비스는 많은 데이터의 저장 및 처리, 복잡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의 실행,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고속처리가 가능해짐으로 인해 실현될 수 있게 되었다. 이와같은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처리는 집적도 및 용량이 증가된 메모리(Memory Device)의 개발과 보급, 고속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의 개발 및 소형의 대용량 배터리의 보급으로 가능해졌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자체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일부 부가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며, 사용자의 기본 생활시간 동안 항시 이용 가능한 대기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이는 위와 같 은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건이다. 특히, 휴대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사용중에 상용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가 희박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되는 소형 전원 즉, 배터리의 용량과 사용시간을 고려해야만 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휴대 단말기를 개발하는 업체들 및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은 제한된 조건내에서도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 중 가장 보편적인 기능이 유휴시간(Idle State) 대의 소비전력 최소화를 목적으로 한 절전모드의 채택이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와 키 패드의 전원 들을 수 초단위로 온 오프하여 사용전력을 최소화하거나, 유휴 상태에서 통신 시스템과의 최소 전력 통신을 위해 통신 절차의 간소화등을 통해 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PC와 달리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시에만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끔 하고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항시 전력의 공급이 가능한 PC와 달리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형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소비전력의 감소를 위한 방안은 앞서 말한 고품질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시간적 지연이 뒤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는 최소전력 상태를 유지하기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최소화 또는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게 되면, 해당 시점에서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명령 입력 후에도 수 초 내지 수 분 정도의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것이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처리장치의 성능 한계와, 전력 사용의 최소화로 인해 발생하는 필연적인 지연시간이다.
이와 달리, 사용자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부응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항시 대기 상태(All Time Standby Mode)로 유지할 경우, 배터리의 소모로 인해 휴대 단말기를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인해, 휴대 단말기의 전력사용량은 최소화시키면서도 사용자의 이용요구에 즉각적으로 응답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제공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우선, 단말기 전력사용량은 최소화시키면서도 사용자의 이용요구에 즉각적으로 응답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제 1 목적의 달성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보다 명확히 감지하고 보다 즉각적인 대응 및 감지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과,센서의 동작 시점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모두 포함하는 부분과, 다양한 휴대 단말기에서 전력사용량은 최소화시키면서 사용자의 이용요구에 즉각적인 응답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센서부에서 작성되는 센싱 데이터의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여, 실제 이용시 적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패턴 데이터를 누적하여 작성하고, 이 이용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지시점, 진위 이용시도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보다 명확하고 정확하게 감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6 목적은 이용패턴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용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센서부를 제어하며, 구동준비소요기능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별도의 외부 장치로부터 문자,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통신부, 휴대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과,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상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용 시도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작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구동에 필요한 소요시간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동준비를 수행하여 상기 구성요소를 동작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 방법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이용시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결과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휴대 단말기 진위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구동에 필요한 소요시간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동준비를 수행하여 동작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기능의 사용을 위한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대기 상태의 상기 구성요소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 센서부(2), 입력부(4), 출력부(6), 메모리부(8) 및 통신부(10)를 구비한다.
센서부(2)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용 시도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Sensing Data)를 작성하고, 작성된 센싱 데이터를 제어부(1)에 제공한다. 이 센서부(2)는 유휴 상태(Idle State)의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를 접촉 또는 이동하는 시점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2)는 접촉 감지형, 열 감지형, 이동 감지형, 압력 감지형 및 가속도 감지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의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센서부(2)는 제어부(1)로부터의 센싱 제어신호에 의해 소정의 주기로 사용자의 이용 시도를 감지한다. 센서의 종류에 따른 센서부(2)의 구체적인 동작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유휴 상태의 구동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입력부(4), 통신부(10), 메모리부(8) 및 출력부(6)를 동작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제어부(1)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 데이터를 작성하여 메모리부(8)에 기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 주기와 자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장치 또는 기능의 사용빈도를 계산하여 메모리부(8)의 이용 패턴 데이터 영역에 기록한다. 그리고, 제어부(1)는 기록된 이용 패턴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할 시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시점에 센서부(2)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이용 시도를 감지한다. 아울러, 제어부(1)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 시도가 감지되면, 구동에 필요한 준비시간 즉, 구동 준비시간이 비교적 긴 구동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입력부(4), 통신부(10), 메모리(8) 및 출력부(6)와 같은 구성요소 중 일부를 사용자의 명령 입력 시점 이전에 동작 대기 상태 로 전환시킨다. 이를 통해 제어부(1)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 전에 구성요소 중 일부를 구동시켜, 이 구성요소를 사용자의 사용 직전 상태 즉, 동작 대기 상태(Standby Mode)로 전환킨다. 이에 따라, 제어부(1)는 사용자의 구성요소의 이용 명령 입력 후 발생 하는 구동 준시 시간을 사용자의 이용 시점 이전으로 앞당김으로써, 사용자 비교적 긴 시간을 대기함으로써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부(4)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아 제어부(1)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4)는 마이크와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음성 입력 장치와, 키패드(Key Pad), 터치패드(Touch Pad Or Touch Screen)와 같은 접촉식 입력 장치 및 카메라와 같은 촬열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6)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일 경우, 출력부(6)는 제어부(1)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 및 데이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는 각종 서비스를 영상 및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출력부(6)는 스피커와 같은 음성 출력 장치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모니터와 같은 영상 출력장치를 구비한다.
메모리부(8)는 휴대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과,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여기서, 구동 프로그램은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운용을 위한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 OS)과, 센서부(2), 입력부(4), 출력부(6), 메모리부(8) 및 통신부(10)의 초기화, 구동 및 운용을 위한 구동 드라이버(Driver)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응용 프로그램, Application Program)은 센싱 데이터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시도를 파악하고, 사용자에 의한 휴대 단말기 사용시 구동준비소요기능(LTNF)을 동작대기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선행구동 프로그램(Standby Program)을 포함한다. 그리고, 메모리부(8)의 이용패턴 데이터영역에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 주기, 사용시간과 이용 빈도가 높은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이용 패턴 데이터가 저장된다.
통신부(10)는 별도의 외부 장치로부터 문자, 영상 및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그리고, 통신부(10)는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에 제공함과 아울러, 제어부(1)를 통해 중계되는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통신부(10)는 휴대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해 질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이면, 통신부(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통신채널 형성이 가능한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데이터 통신 전용 단말기일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 WLAN), 블루투스(Bluetooth), 유비쿼터스(Ubiquitous), 지그비(Zigbee)등의 데이터 통신망과 통신 가능한 데이터 통신 모듈이 구비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전파식별 기능을 가질 경우의 통신부(10)는 RFID 리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가 휴대용 영상/음향 재생장치나 휴대용 게임기일 경우 즉, 외부 장치와의 지속적인 통신이 불필요한 경우, 통신부(10)는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이 가능한 포트, 근거리 적외선 통신 포트, 휴대용 저장 장치의 소켓과 같은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센서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들로, 도 2a는 접촉 감지형, 압전형, 자기 감지형 센서부의 적용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센서를 사용할 경우, 센서부의 설치 위치분포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c는 이동 감지형, 가속도 감지형 센서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미 도 1에서 말한 바와 같이 센서부(2)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 시점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속도 감지형, 이동 감지형, 접촉 감지형, 열 감지형, 자기 감지형, 압전형 및 압력 감지형 센서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는 다른 종류의 센서를 둘 이상 사용하여 복합적으로 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 통상의 휴대 단말기는 주머니, 가방과 같은 곳에 들어 있거나, 책상과 같은 물체에 놓여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단순히 이동시키거나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2a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불특정 부분을 쥐게 된다. 만약 이때,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의도가 있다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편리한 방향으로 고쳐잡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흔히 '폴더'라고 불리는 닫힌 형태의 단말기들은 케이스, 플립 또는 일부분을 개방하는 과정을 먼저 진행해야 한다. 이러한 개방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이동과 같은 경우와 달리 휴대 단말기의 외부 케이스를 잡는 방법을 도 2a와 같이 변경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기가 휴대용 영상/음향 재생기기일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를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바른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키조작을 하게되는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를 잡는 방법이나 손의 위치는 한정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도 2b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를 이용할 경우에 사용자의 손이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12) 압력센서, 접촉센서, 열 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 압전형 센서, 자계센서와 같은 접촉 감지형 센서를 설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초기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단계에서의 손의 위치 또는 잡는 방법과 이용을 위한 손의 위치 또는 잡는 방법을 구분하여 감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보다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서는 종류가 다른 센서를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c와 같이 이동 감지형 센서(14)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이동 감지형 센서 중에서 가속도 센서의 경우, 소형으로 휴대 단말기 내에 실장하는 것이 용이하고,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최근 사용 범위가 확대됨으로 인해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되고 있으므로,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센서부를 구현할 경우 제조 비용의 상승에 따른 부담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부(2)를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한 경우, 사용자가 가방, 주머니와 같은 보관장소에서 휴대 단말기를 꺼내거나, 테이블 등에 놓여진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이동시키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이동 유무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이용 시도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2)에서 측정되는 휴대 단말기의 이동 유무와 제어부(1)에서 기록되는 이동 시간을 함께 사용하여 사용자의 이용 시도를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확인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를 이동 시키는 시간은 1초이고,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이동 시키는 시간은 1.5초가 소요될 경우, 센서부(2)는 휴대 단말기의 이동 유무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작성하고, 작성된 센싱 데이터를 제어부(1)에 제공한다. 제어부(1)는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이동 유무 정보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이동한 시점의 시각을 기록한다. 한편, 휴대 단말기의 이동이 없음을 알리는 센싱 데이터가 제어부(1)에 제공되면, 제어부(1)는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이동 소요시간이 1초에 근접한지 1.5초에 근접한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외에도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의 가속 방향, 가속 방향의 전환 횟수, 가속의 지속시간, 가속 및 감속의 발생 간격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 시도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 이동 감지 센서는 저주파, 초음파와 같은 가청 주파수 영역외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방식과 휴대 단말기의 이동에 따른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방식을 모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압력센서는 자계에 의해 유발되는 전계를 검출하는 방식의 홀 센(Hall Sensor)를 이용할 수 있다. 온도 센서의 경우, 망간, 니켈, 코발트와 같은 금속 산화물과 반도성 티탄산바륨을 이용하여 제작된 센서가 보 편화 되어있으며, 저렴한 제조 가격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이 온도 센서의 경우, 온도에 따른 저항변화를 통해 온도를 검출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용이하며, 대표적으로 온도 상승에 따라 저항값이 작아지는 NTC 서미스터(Negative Thermal Coefficient Thermister)와, 온도 상승에 따라 저항값이 커지는 PTC 서미스터(Positive Thermal Coefficient Thermister)가 있다. 아울러, 적외선 감지 센서(Passive Infrared Sensor or IR Detector)의 경우, 사용자의 몸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것으로 단일 소자형(Single Element Type), 복수 소자형(Dual Element Type)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알고리즘을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휴대 단말기의 센서부(2)는 사용자의 단말기 이용시도를 감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센서부(2)는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식의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센서부(2)를 항시 감지 대기 상태(All_Time Standby Mode)로 운용할 경우, 센서부(2)를 통해 많은 양의 전력이 소모되게 된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는 전원으로 소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제약이 따르는만큼, 휴대 단말기의 센서부(2)가 항시 감지 대기 상태로 유지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3은 이러한 센서부(2)의 센싱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간단한 흐름도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을 켠 뒤의 휴대 단말기는 유휴 상태에서 사용자의 명령이나 외부 장치로부터의 접속을 대기하게된다(S10). 이때, 제어부(1)는 메모리 부(8)의 센싱 조건값(cond)을 초기화 한다. 여기서, 센싱 조건값(cond)은 시간과 같은 일정 조건에 따라 그 값이 변화하는 변수로서 휴대 단말기의 센싱 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값이다.
S10 단계에서 센싱 조건값이 초기화되면, 휴대 단말기의 센서부(2)는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게 된다(S20). 여기서, 감지 결과에 따라, 메모리부(8)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구동되거나, 하드웨어가 동작대기상태로 전환되는 등의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S20 단계에서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는 센싱 조건값(cond)과 기준 조건값(Re_cond)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재감지할 것인지 판단하게 된다(S30). 여기서, 기준 조건값(Re_cond)는 감지 시점의 결정을 위해 센싱 조건값(cond)과 비교하기 위해 미리 저장되거나, 사용자의 이용주기 정보등에 의해 변화되는 값으로 시간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센싱 조건값(cond)이 기준 조건값(Re_cond)을 만족하는 경우 센서부(2)는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다시 감지하게 된다.
한편, S30 단계에서 센싱 조건값(cond)이 기준 조건값(Re_cond)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어부(1)는 센싱 조건값(cond)을 변화시키게 된다. 이때, 센싱 조건값(cond)으로 시간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1)는 센싱 조건값(cond)에 기록된 시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증가 또는 감소 시켜야할 시간 단위가 1초일 경우, 제어부(1)는 센싱 조건값(cond)에 기록된 시간 정보를 1초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게 된다(S40).
센싱 조건값(cond)이 변화되면, 변화된 센싱 조건값(cond)이 기준 조건값(Re_cond)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다시 판단하게 된다. 즉, 센싱 조건값(cond)에 시간정보가 기록되고 S40 단계에서 센싱 조건값이 증가 또는 감소하면, S30 단계에서 증가 또는 감소된 센싱 조건값(cond)에 포함된 시간정보와 기준 조건값(Re_cond)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비교하게 된다(S30). 예를들어, 100초의 주기로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할 경우, 기준 조건값(Re_cond)은 100초가 된다. 또한, 최도 이용시도 감지시의 센싱 조건값(cond)은 초기화 직후이므로 0이된다. 최초의 이용감지 시도 후 S30 내지 S40 단계를 반복하면서 센싱 조건값(cond)의 값은 0, 1, 2... 와 같이 1초단위로 증가하게 된다. 이후, 센싱 조건값(cond)이 기준 조건값(Re_cond)을 충족하는 값 즉, 센싱 조건값(cond)이 100초가 되면, 센서부(2)는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다시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준 조건값(Re_cond)를 조정함으로써 이용시도 감지주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를통해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원활하게 감지하면서 소모되는 전력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 주기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고려한 경우의 센서부 동작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이용시도 감지 주기는 일정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방식으로 간단하게 구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도 3에서 언급한 방법에 사용자의 습관에 관한 정보를 추가할 경우 이용시도 감지 주기를 보다 정교하게 확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예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는 주기와 주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빈도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시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동작대기상태로 전환하여 사용자가 시간지연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이 켜진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거나 외부로부터의 통신 요청을 대기하기 위한 유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100). 유휴 상태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시도를 일정시간마다 감지하게 된다(S120). 일정시간마다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항시 감지 대기 상태로 센서부(2)를 운용하게 될 경우 발생되는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S120 단계에서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감지되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는 기존의 구성요소 중 사용빈도(n_app)가 가능 높은 기능을 동작대기상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사용빈도에 대한 데이터가 확보되어 있지 않거나, 동일한 사용빈도를 가지는 구성요소가 존재할 경우, 이 구성요소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판단 요소를 더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동일한 사용빈도를 가지는 구성요소로 바탕화면 정보 출력 프로그램과, 카메라 촬영기능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현재 시간대에 주로 사용하는 구성요소를 동작대기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최근에 사용한 구성요소에 우선권을 두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S150).
휴대단말기가 사용빈도가 높은 구성요소를 동작 대기상태로 전환시키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는 최근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한 시간과 현재시각을 이 용하여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간격(t_se)을 계산한다. 또한, 제어부(1)는 계산된 휴대 단말기 사용간격(t_se)을 이용하여, 평균 사용간격(t_seav)를 산출하게 된다(S160).
아울러,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동작대기상태로 전환된 구성요소를 이용하는지, 다른 구성요소를 이용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이용한 구성요소의 사용빈도(n_app)를 산출한다(S170). 이때, 산출된 구성요소의 사용빈도(n_app)는 이후에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 선행 구동될 구성요소의 선정을 위해 S150 단계에서 판단 근거로 사용된다. 제어부(1)에 의해 평균 이용시도 시간 주기(t_seav) 및 사용빈도(n_app)를 산출하는 동안 사용자는 이용하고자 하는 구성요소 또는 기타 기능을 이용한 뒤 휴대 단말기의 이용을 종료하게 된다(S180).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이용을 종료하며, 휴대 단말기는 다시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기 위해 일정시간의 경과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별도의 조건이 없다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최근 휴대 단말기를 사용한 후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이 경과했는지 또는 마지막 이용 시도 감지 이후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30).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이 경과될 때 까지 휴대 단말기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140).
반면에,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이 경과했으면,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게 된다(S120). 이때, 이용시도가 감지되지 않으면 S130, S140 및 S120 단계를 선택적으로 반복하여,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도 5는 시간별 사용자의 이용시도 감지 횟수의 집중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는 경우,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마다 1회의 이용시도 감지를 수행하면, 이용시도 감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의 전후의 일정한 기간에 이용시도 감지 횟수를 일정비율로 증가시켜 이용시도의 감지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의 그래프에서 마루와 마루 사이의 간격은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이 된다. 이 마루의 전후로 일정한 시간 동안, 센서부(2)를 일시적인 항시 감지 대기상태로 전환하여 사용자의 이용시도 발생을 대기한다. 또한, 일시적인 항시 감지 대기상태의 전후에는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2)의 구동을 짧은 시간 간격으로 수행하여, 평균 이 E시도 시간(t_seav)의 전후에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보다 정확히 감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이용하기 위해 비교적 긴 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구동준비소요기능은 구동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와 입력부(4), 통신부(10), 메모리(8) 또는 출력부(6)와 같은 하드웨어(Hardware)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구동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휴대 단말기의 운용을 위한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 OS), 각 장치 및 서비스 기능의 구동을 위한 구동 드라이버(Drvier)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는 주기는 휴대 단말기 사용 주기 즉, 평균 이용시도 주기(t_seav)의 대략 1 내지 1/1,000,000의 주기내에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용시도 감지주기를 평균 이용시도 주기(t_seav)의 1/100 내지 1/1000 주기내에서 결정하는 것이 사용자의 이용시도 감지 정확도를 높일 수 있어 더 바람직하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이용시도 감지주기를 평균 이용시도 주기(t_seav)의 1/1,000,000에 근접한 시간이나, 이보다 더 짧은 시간으로 하게 되면, 이용시도를 감지하는 정확도는 높아지지만, 필요이상의 전력소모를 야기할 문제점이 있다. 이 이용시도 감지주기는 휴대 단말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빈번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평균 이용시도 주기(t_seav)가 매우 짧아지며,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적은 휴대용 게임기와 같은 경우는 평균 이용시도 주기(t_seav)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 개인의 성향에 따라 같은 종류의 단말기를 사용하더라도 평균 이용시도 주기(t_seav)는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용시도 감지주기를 일정한 값으로 한정하는 것은 바람지하지 않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언급한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피디에이(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용 오디오 기기, 휴대용 정지/동영상 재생 기기, 휴대용 브이오디(VOD) 기기, 휴대용 게임기, 알에프아이디 리더(RFID Reader)와 같은 단말기들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구성요소와 같이 구동 준비에 비교적 긴 시간을 필요로하는 경우 손쉽게 적용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 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용하지 않는 상태의 단말기는 유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310). 이 유휴 상태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이 입력되거나 이용 시도가 있기 전까지 유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유휴 상태의 단말기들은 사용 용도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가방, 핸드백, 의복의 주머니, 테이블, 책상과 같은 곳에 보관된다.
이와 같이 유휴 상태를 유지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한 시도(또는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S320). 예를 들어, 책상에 놓여 있는 휴대 단말기를 집어들거나, 주머니에 들어 있는 휴대 단말기를 꺼내어드는 과정,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바로 잡는 과정,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를 여는 과정, 휴대 단말기를 펼치는 과정등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시도의 예로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간단하게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원활히 사용하기 위해서, 위의 예와 같은 행동을 할 경우, 사용자의 신체가 휴대 단말기에 접촉되는 부분이나, 행동 절차등은 일정한 패턴을 나타내게 된다. 즉, 휴대 단말기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일 경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부 폴더를 위로 젖히는 행동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손으로 하부 폴더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상부 폴더를 열거나, 한손의 네 손가락과 손바닥은 휴대 단말기를 단단히 쥐고, 엄지손가락을 폴더 사이에 집어 넣는 행동을 통해 폴더를 개방하게 된다. 또한, 그 이전 단계 즉, 사용자가 테이블, 책상 또는 의복 주 머니에 들어있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유리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과정에서도 유사한 패턴을 찾아볼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바지 뒷 주머니에 휴대 단말기를 집어 넣고 다닌 경우 바지 뒷 주머니에 있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단말기를 바지 뒷 주머니로부터 꺼내는 행동을 취해야 한다. 이때, 바지 뒷 주머니에 들어있는 휴대 단말기는 특정할 수 없는 형태로 보관되므로, 이를 꺼낸 사용자는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손의 위치를 변경해야만 한다. 이러한 손의 위치 변경, 압력의 변화, 체온의 감지 등이 이용 시도로 간주될 수 있다.
유휴 상태의 단말기에 위에서 언급한 예,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한 시도를 행할경우, 휴대 단말기는 이와같은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게 된다(S330).
이용시도를 감지한 휴대 단말기의 센서부(2)는 센싱 데이터를 작성하게 된다(S340). 작성되는 센싱 데이터는 센서부(2)를 구성하는 센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작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와 열감지 센서가 혼합되어 구성된 센서부(2)의 경우,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발생한 시점에서의 압력 분포와, 열분포 또는 압력 변화, 열변화와 같은 센싱 데이터를 작성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를 사용한 경우, 휴대 단말기의 이동 유무, 가속도의 크기, 지속시간과 같은 내용이 센싱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성된 센싱 데이터는 센서부(2)로부터 제어부(1)에 제공된다.
센싱 데이터를 제공받은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는, 센싱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한 진위 이용시도인지, 허위 이용시 도인지를 판별하게 된다(S350). 즉,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잡는 위치를 변경했는지, 휴대 단말기를 이동시키는 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상인지와 같이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이용 패턴 데이터에 의해 변경되는 데이터에 의해 사용자가 실제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려 하는 것인지 파악하게 된다.
판단 결과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진위 이용시도라고 판단되며, 휴대 단말기는 구성요소들 중 동작대기상태 대상 기능을 동작대기상태로 전환하게 된다(S360). 동작대기상태 대상 기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사용빈도(n_app)와 같은 데이터에 의해 결정하게 된다.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일부 또는 전체가 동작대기상태로 전환되면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된다(S370). 이때, 사용자는 동작대기상태로 전환된 구성요소를 이용할 경우, 별도의 대기 시간없이 이용하거나, 종래보다 짧아진 구동 시간을 기다렸다가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동작대기상태로의 전환 종료시간보다 사용자의 명령 입력이 빠른 경우도 발생할 수 있지만, 이때에도 구성요소는 동작대기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종래보다 짧은 시간에 구성요소를 사용할 수 있게된다.
한편, S350 단계에서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허위 이용시도일 경우 단말기는 사용자의 진위 이용시도가 입력될 때까지,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게 된다(S350, S330).
도 7은 종래의 구동 준비 소요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유휴상태(S310)에서 명령 입력(또는 명령선택)시점(S330)까지 유휴상태 즉, 예비준비시간(t1)을 유지하게 된다. 이 예비준비시간(t1) 동안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시도(S320)을 수행하게 되지만, 이를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감지하지 못했었다. 때문에,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이용시도 시점이 명령 입력시점(S330)과 동일하게 취급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된 후에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구동하게 된다. 이때, 구동완료(S340) 시점 즉,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기까지에는 구동 준비시간(t2)만큼의 지연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 구동 준비시간(t2)은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의 처리능력, 구동소요기능(LTNF)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의 처리량, 입력부(4), 출력부(6), 메모리부(8) 및 통신부(10)와 같은 장치군의 응답속도 및 처리속도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다양한 서비스 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일 수록 필연적으로 길어지게 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구동준비시간(t2)만큼의 시간을 기다린 후 기능구동의 완료시점(S340)에서야 비로소 선택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된다. 이후,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동 및 활성시간(t3)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의 종료시점(S350)은 다시 휴대 단말기가 유휴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이 된다.
이렇듯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구동준비시간(t2)와 구동준비소요시간(t_dr)이 동일하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구동준비소요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예비 준비 시간이 도 7의 이용시도시간(t4) 만큼 감소된다. 즉 종래와 달리 본발영에서는 예비 준비시간(t1)이 이용시도시간(t4)만큼 앞당겨지게 되고, 그 결과 종래의 예비 준비시간(t1)에 비해 상당히 짧아진 시간을 가지는 예비준비시간(t1')으로 변경횐다. 그리고, 종래에는 실제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하고 해당 명령을 입력한 후 선택한 기능의 구동이 완료되는 구동 준비시간이 명령입력(S330)에서 기능 구동 완료(S340) 시점 사이의 기간이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구동준비시간(t2')이 종래와 달리 이용시도시점(S420)에서 기능 구동시점(S430) 사이의 시간으로 변경된다. 특히, 기능구동시점(S430)이 명령입력시점(S430)이전이거나 적어도 명령입력시점(S430) 직후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대기시간이 없거나 매우 짧이지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좀 더 설명을 하자면, 종래에는 도 7에서와 같이 구동준비시간(t2)가 사용자의 대기 시간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 대기시간이 없거나, 매우 짧은 시간이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실제로 선택한 기능을 사용하게 되는 구동활성시간(t3')는 도 8에서와 같이 명령 입력시점(S440)부터 종료 시점(S450)까지의 시간이며, 오히려 기능구동완료시점(S430)과 명령입력시점(S440)의 사이에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대기하는 명령입력대기시간(t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는 낭비되던 이용시도시간(t4)를 활용함과 동시에, 구동준비시간(t2)이 명령입력시점(S440) 이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구동을 위한 지연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선행 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좌측에 표현된 S610, S620, S630, S640, S650, S660 단계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부분이며, 우측의 S611, S621, S631, S641, S651은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구동을 나탠것이다. 또한, 이들 상호간의 정보 및 데이터 교환은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S600 단계에서 유휴상태를 유지하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이용하기 위한 시도를 행하게 된다(S610). 한편 S600 단계의 휴대 상태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최소 전력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구동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때,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만을 실행하게된다(S611). 즉, 항시 대기 상태로 유지할 경우, 전력 소모가 증가하는 구성요소의 구동은 정지하고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만을 실행하게 된다. 유휴상태의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된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할 시점을 결정하여 센서부(2)를 제어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주기적인 이용시점을 파악하여, 휴대 단말기가 해당 시점에 이르렀을때,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센서부(2)로 하여금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S621). 이와같이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으로부터 감지명령(Sensing Order : SO)를 제공받은 센서부(2)는 S620 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이용시도 감지되지 않으면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센선부(2)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유휴상태로 전환하여 전력소를 줄인다. 또한,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이요패턴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을 판단하여 재 감 지 시점을 결정하게된다.
S620 단계에서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감지되면, 센서부(2)는 센싱데이터를 작성하여 제어부(1)에 제공한다. S620단계에서 센싱데이터(SD)를 제공받으면, S631단계에서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진위 이용시도인지 허위 이용시도인지 판단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허위 이용시도를 판단될 경우,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S611, S621 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진위 이용시도를 감지할 때까지,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S631 단계에서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진위 이용시도라고 판단되면, S641단계에서, 선행 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사용자 이용패턴데이터에 포함된 구성요소 사용빈도와 같은 데이터를 통해 동작 대기상태로 전환할 구동준비소요기능을 선택하고, 선택된 구성요소를 동작대기상태로 전환시킨다. S641 단계에서 선택된 구성요소는 S640단계에서 동작대기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선택된 구성요소가 동작대기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S650 단계에서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됨과 동시에 명령에 해당되는 구성요소가 구동되어 사용자가 이용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이 이용명령이 입력되며, S651단계에서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이용패턴 데이터를 작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은 단말기 전력사용량은 최소화시키면서도 사용자의 이용요구에 즉각적으로 응답하 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과,센서의 동작 시점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보다 명확히 감지하고 보다 즉각적인 대응 및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은 전력사용량은 최소화시키면서 사용자의 이용요구에 즉각적인 응답이 가능한 방법을 휴대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휴대 단말기에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은 센서부에서 작성되는 센싱 데이터의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여, 실제 이용시에도 적용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은 사용자의 이용패턴 데이터를 누적하여 작성하고, 이 이용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지시점, 진위 이용시도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보다 명확하고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은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의한 동작 대기방법을 제공하여 이용패턴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용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센서부를 제어하며, 구동준비소요기능의 구동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5)

  1. 이동통신 시스템과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화 서비스 또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휴대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용 시도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작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유휴상태에서 사용자의 상기 휴대 단말기 이용시도를 감지할 시점을 결정하여 상기 센서부에 전달하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패턴을 파악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 진위 여부를 판단하며, 동작대기상태로 전환할 상기 휴대단말기의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시작과 동시에 상기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며, 상기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시점 직전에, 상기 센서부를 비롯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구성요소 또는 상기 구성요소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동작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 감지형, 이동 감지형, 접촉 감지형, 열 감지형, 자기 감지형, 압전형 및 압력 감지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소정의 주기로 상기 사용자의 이용 시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소는
    상기 구동 프로그램,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사용주기를 산출하고,
    상기 소정의 주기는 상기 사용주기의 대략 1 내지 1/1000의 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피디에이(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용 오디오 기기, 휴대용 정지/동영상 재생 기기, 휴대용 브이오디(VOD) 기기, 휴대용 게임기, 알에프아이디 리더(RFID Rea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시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결과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휴대 단말기 진위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구동에 필요한 소요시간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동준비를 수행하여 동작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기능의 사용을 위한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대기 상태의 상기 구성요소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는,
    압력 분포와, 열분포, 압력 변화, 열변화, 휴대 단말기의 이동 유무, 가속도의 크기,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진위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용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진위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
  10. 제 7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진위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이용시도가 허위 사용일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재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준비소요기능의 선행 구동을 위한 선행 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이용시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선행 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이용시도의 감지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 시점 결정에 따른 감지 명령을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이전의 이용시도시 작성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
  14. 제 7 항 또는 제 8 하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를 동작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이용패턴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구성요소의 사용빈도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대기상태로 전환할 상기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
  15.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의 구동 단계는,
    상기 구동된 구성요소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이용패턴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
KR1020050044888A 2005-05-27 2005-05-27 동작 대기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동작 대기 방법 KR100689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888A KR100689060B1 (ko) 2005-05-27 2005-05-27 동작 대기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동작 대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888A KR100689060B1 (ko) 2005-05-27 2005-05-27 동작 대기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동작 대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425A KR20060122425A (ko) 2006-11-30
KR100689060B1 true KR100689060B1 (ko) 2007-03-02

Family

ID=3770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888A KR100689060B1 (ko) 2005-05-27 2005-05-27 동작 대기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동작 대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5744B2 (en) 2013-07-04 2016-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mage data in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943B1 (ko) * 2007-02-05 201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패턴을 이용하여 전원제어를 수행하는 휴대용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사용자 패턴을 이용한전원제어 방법
KR101624903B1 (ko) 2009-09-16 201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00A (ko) * 2002-12-05 2004-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00A (ko) * 2002-12-05 2004-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499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5744B2 (en) 2013-07-04 2016-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mage data i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425A (ko)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3182B2 (en) User identification in cell phones based on skin contact
US8793519B2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ased on motion sensor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00039214A1 (en) Cellphone display time-out based on skin contact
KR10153257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201779B2 (ja) 運動感受性パワースイッチング集積回路を包含する電子装置及び関連する方法
JP4783503B2 (ja) 接触感応性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無線電話およびそれを運用する方法
CN105528055B (zh) 运行对象的处理方法及装置
EP2602981B1 (en) Hand-held mobile terminal standby method, micro processor and cellular phone thereof
WO2017032123A1 (zh)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及装置
CN104636065A (zh) 终端唤醒方法和装置
CN102461135A (zh) 基于姿势识别来控制移动设备的功耗
CN105487680B (zh) 用于终端截屏的方法、装置及终端
CN106604375A (zh) 一种休眠装置及方法
CN109074146A (zh) 用于通用串行总线(usb)系统的功率节省系统和方法
CN110268755A (zh) 非激活定时器超时处理方法及装置
KR20140147647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CN107439023A (zh) 请求获取和发送系统信息的方法及装置
KR100689060B1 (ko) 동작 대기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동작 대기 방법
CN105093980A (zh) 控制智能设备启停的方法及装置
CN109922098A (zh) 一种内容分享方法、装置以及用于内容分享的装置
CN110636598B (zh) 终端省电的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5824474A (zh) 一种控制方法、装置及移动设备
CN106455002A (zh) 无线搜索方法、装置及终端
CN105653186A (zh) 终端控制方法及装置
US20110185289A1 (en) Portable tablet computing device with two display scre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