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936B1 - 냉장고용 얼음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얼음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936B1
KR100688936B1 KR1020040083248A KR20040083248A KR100688936B1 KR 100688936 B1 KR100688936 B1 KR 100688936B1 KR 1020040083248 A KR1020040083248 A KR 1020040083248A KR 20040083248 A KR20040083248 A KR 20040083248A KR 100688936 B1 KR100688936 B1 KR 100688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discharge passage
dispenser
inclined surfac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110A (ko
Inventor
박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3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9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얼음디스펜서의 토출통로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얼음토출구로 가루얼음, 조각얼음, 각얼음을 모두 토출할 수 있도록 얼음토출통로의 상부보다 하부가 좁도록 상기 얼음토출통로의 일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얼음토출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얼음토출통로의 상부에는 조각얼음과 각얼음이 공급되는 제1공급부와 가루얼음이 공급되는 제2공급부가 형성되며 상기 얼음토출통로는 두개의 공급부와 접속된다.
상기 제1공급부의 하부에는 경사면이 위치하여 제1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조각얼음과 각얼음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떨어지며, 상기 제2공급부의 하부에는 경사면이 없어 제2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가루얼음은 경사면과 마찰없이 떨어지는 얼음토출통로를 구비한 얼음디스펜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얼음디스펜서{ICE DISPENSER FOR REFREGERATOR}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얼음디스펜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냉장고의 얼음디스펜서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디스펜서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용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토출통로의 수직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얼음토출통로 50a: 경사면
54: 얼음선택버튼 55: 토출부
56: 얼음토출구 57: 얼음토출레버
65: 얼음분쇄실 70: 얼음저장용기
71: 제 1회전축 72: 제 1얼음이송스크류
75: 격벽 76: 조각얼음제조칼날
81: 제 2회전축 82: 제 2얼음이송스크류
86: 가루얼음제조칼날
본 발명은 냉장고용 얼음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얼음토출구로 가루얼음, 조각얼음, 각얼음을 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얼음토출통로를 구비한 얼음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보관 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냉각실이 형성된 본체와 냉동시스템을 구비한다. 최근에는 냉장고가 고급화 및 대용량화되면서,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얼음을 인출할 수 있는 얼음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얼음디스펜서가 설치된 냉장고의 냉동실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냉장고의 후면하부에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140)가 설치되어 있고, 냉장고 후면상부에는 압축된 냉매을 증발시켜 주위의 열을 빼앗기 위한 증발기(145)가 설치된다.
냉장고의 냉동실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얼려서 얼음을 제조하는 자동 제빙기(150)가 구비되고, 이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은 내부에 설치된 얼음저장그릇(120)에 쌓여서 보관된다.
사용자가 얼음을 필요로 할 때에 토출레버(127)을 작동하게 되면 구동모터(122)가 작동하게 되고 구동모터(122)는 얼음이송스크류(121)을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얼음저장그릇(120)에 보관된 얼음은 얼음토출통로(128)를 통해 얼음토출구(129)로 토출된다.
이때, 사용자가 조각얼음을 필요로 해서 조각얼음모드를 작동한 상태에서 토출레버(127)를 작동하게 되면, 분쇄실(124)에 있는 얼음분쇄칼날(125)이 작동하게 되어 조각얼음이 토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냉장고 도어(110)를 열지 않고도 냉동실에 보관된 얼음을 인출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냉장고의 얼음디스펜서의 확대사시도이다.
냉장고의 디스펜서에는 얼음을 인출하기 위한 얼음토출구(129)와 차가운 물을 인출하기 위한 물토출구(139)로 나누어 구성된다. 사용자가 차가운 물을 필요로 할 때 물토출레버(137)를 작동하게 되면 물토출구(139)를 통해 냉장고에 보관된 차가운 물이 토출된다. 또한, 사용자가 얼음을 필요로 할 때 얼음토출레버(127)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가 작동하게 되고 구동모터는 회전축(123)을 회전시키고, 회전축과 결합된 얼음이송스크류(121)는 얼음저장그릇(120)에 보관된 얼음을 축선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이송된 얼음은 얼음분쇄실(125)를 거쳐 얼음토출통로(128)를 통해 얼음토출구(129)로 토출된다. 이때 얼음저장용기(120)에 보관된 각얼음은 사용자가 조각난 얼음을 필요로 해서 조각얼음모드를 작동한 상태에서 토출레버(127)를 작동하 게 되면, 분쇄실(125)에 있는 얼음분쇄칼날이 작동하게 되어 조각얼음형태로 토출된다. 즉, 얼음선택버튼(126)이 있어, 얼음토출구(129)로 나오는 얼음의 종류를 각얼음 또는 조각얼음으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얼음선택버튼(126)의 선택모드에는 각얼음과 조각얼음 모드뿐이었다. 따라서, 각얼음과 조각얼음 뿐만 아니라. 팥빙수등을 만들때 사용되는 가루얼음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점차 증대해 짐에 따라 얼음선택버튼(126)의 선택모드에 가루얼음 모드를 추가하여 가루얼음을 토출할 수 있는 얼음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얼음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는 공개실용신안공보 1999-0038736호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공개실용신안공보 1999-0038736에 나타난 얼음디스펜서는 조각얼음과 가루얼음을 취출하고자 하우징(51)내부의 안내판(57a)내측에서 회전하는 절단날(57)이 조각얼음 절단날과 가루얼음 절단날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크기가 일정한 양질의 조각얼음과 가루얼음을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얼음의 취출구가 물취출구와 함께 되어 있어, 물을 취출하면서 취출구에 남은 물에 의해 가루얼음이 녹거나, 취출구에 달라붙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질의 조각얼음과 가루얼음을 공급하고, 얼음 배출동로에서 가루얼음이 녹거나 누적되지 않는 얼음토출통로를 구비한 냉장고용 얼 음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냉장고용 얼음디스펜서의 얼음토출통로를 물토출구와 별도의 하나의 얼음토출구로 가루얼음, 조각얼음, 각얼음을 토출할 수 있도록 얼음토출통로의 상부보다 하부가 좁고 상기 얼음토출통로의 일측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 얼음토출통로의 상부에는 조각얼음과 각얼음이 공급되는 제1공급부와 가루얼음이 공급되는 제2공급부가 형성되며 상기 얼음토출통로는 두개의 공급부와 접속되며, 상기 제1공급부의 하부에는 경사면이 위치하여 제1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조각얼음과 각얼음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떨어지며, 상기 제2공급부의 하부에는 경사면이 없어 제2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가루얼음은 경사면과 마찰없이 직하강하여 토출되도록 형성된 얼음토출통로를 구비한 얼음디스펜서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디스펜서의 확대사시도이다.
얼음저장용기(70)는 상향개구된 정육면체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상부에 설치된 제빙기에서 제빙되어 낙하하는 얼음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얼음저장용기(70)의 중앙에는 격벽(75)이 설치되어 있고, 격벽(75)에 의해 얼음저장용기는 두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즉, 기존의 얼음저장용기에 이웃하여 다른 하나를 병렬로 결합한 구조를 띤다. 이와 같이 얼음저장용기를 두개의 저장용기로 나눈 이유는 한쪽에 저장된 얼음은 각얼음과 조각얼음을 만들기 위한 것이고, 다른쪽에 저장된 얼음은 가루얼음을 만들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조각얼음과 가루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부분을 나눔으로써 좋은 품질의 조각얼음과 가루얼음을 제조 할 수 있다.
도 3에서 디스펜서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얼음저장용기의 우측은 조각얼음을 만들기 위한 얼음을 저장하는 곳이고, 얼음저장용기의 좌측은 가루얼음을 만들기 위한 얼음을 저장하는 곳이다. 얼음저장용기의 우측에는 제1구동모터(73)와 결합되어 회전하기 위한 제1회전축(71)이 제1구동모터(73)의 구동축과 맞물려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저장된 얼음을 분쇄실(65)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얼음이송스크류(72)가 상기 제1회전축(71)과 결합되어 제1구동모터(73)의 구동시 회전하면서 얼음을 분쇄실(65)로 이송하게 된다.
얼음저장용기의 좌측에도 제2구동모터(83)와 결합되어 회전하기 위한 제2회전축(81)이 제2구동모터(83)의 구동축과 맞물려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저장된 얼음을 분쇄실(65)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얼음이송스크류(82)가 상기 제2회전축(81)과 결합되어 제2구동모터(83)의 구동시 회전하면서 얼음을 분쇄실(65)로 이송하게 된다.
얼음저장용기(70)의 일단에는 각얼음을 조각얼음 또는 가루얼음으로 분쇄하 는 공간인 분쇄실이 마련되어있다.
분쇄실(65)의 하부에는 각얼음 또는 분쇄된 얼음을 얼음토출구(56)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얼음토출통로(50)가 형성되어 있다. 얼음토출구통로(5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을 지니고, 한쪽면은 경사지게 경사면을 이루는 형태를 띈다. 이와 같은 형태를 지님에 따라 분쇄실(65)에서 분쇄되는 얼음을 모두 수용할 수 있으며, 얼음토출구(56)로 얼음이 나가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토출부(55)에는 토출되는 얼음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얼음선택버튼(54)이 있어, 사용자가 선택버튼(54)을 누름에 따라 토출되는 얼음의 종류가 달라지게 된다. 얼음선택버튼(54)에는 각얼음, 조각얼음, 가루얼음의 세가지 모드가 있어 이중 한가지를 선택가능하다.
얼음선택버튼(54)의 하부에는 얼음토출통로(50)와 연결되어 얼음이 토출되는 토출구(56)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56)의 아래 방향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얼음이 토출되게 동작시키는 얼음토출레버(57)가 구비된다.
토출부(55)에는 얼음토출구(56)와 별도로 물이 토출되는 물토출구(66)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언제나 시원한 냉수를 마실 수 있다.
도 4는 얼음저장그릇의 평단면도이고 도 5는 얼음토출통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얼음디스펜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의 얼음디스펜서에서는 얼음 선택모드가 각얼음, 조각얼 음, 가루얼음 모드 세가지로 나누어져 있어 이 중 한가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토출부(55)에 형성된 얼음선택버튼중 각얼음 버튼을 누른후 토출레버를 작동시켰을 경우, 구동모터와 결합된 제1회전축(71)이 회전하게 되고, 제1회전축과 연계된 제1얼음이송스크류(72)가 회전하면서 얼음저장그릇에 저장된 각얼음을 축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이송되는 각얼음은 점차 분쇄실에 다다르게 되는데, 분쇄실에는 개폐도어(78)가 형성되어 있고, 각얼음 모드에서는 상기 개폐도어(78)가 얼음토출통로(50) 방향으로 열리게 된다.. 따라서, 분쇄실로 이송되는 각얼음은 개폐도어(78)를 통해 아래방향으로 떨어지게 되고, 얼음토출통로(50)를 통해 토출부(55)에 형성된 얼음토출구로 통해 토출된다.
사용자가 토출부(55)에 형성된 얼음선택버튼중 조각얼음 버튼을 누른후 토출레버를 작동시켰을 경우, 구동모터와 결합된 제1회전축(71)이 회전하게 되고, 제1회전축과 연계된 제1얼음이송스크류(72)가 회전하면서 얼음저장그릇에 저장된 각얼음을 축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이송되는 각얼음은 점차 분쇄실에 다다르게 되는데, 분쇄실에는 개폐도어(78)가 형성되어 있어, 조각얼음 모드에서는 이 개폐도어(78)가 닫히게 된다. 따라서, 분쇄실로 이송되는 각얼음은 개폐도어(78)를 지나치게 되고, 분쇄실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조각얼음제조칼날(76)에 의해 얼음이 갈리게 되어 조각얼음이 만들어지고, 만들어진 조각얼음은 조각얼음공급구(79)를 통해 얼음토출통로(50)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각얼음이 토출되는 개폐도어(78)와 조각얼음이 토출되는 조각얼음공급부(79)는 하나의 제1공급부를 형성한다.
사용자가 토출부(55)에 형성된 얼음선택버튼중 가루얼음 버튼을 누른후 토출레버를 작동시켰을 경우, 구동모터와 결합된 제2회전축(81)이 회전하게 되고, 제2회전축과 연계된 제2얼음이송스크류(82)가 회전하면서 얼음저장그릇에 저장된 각얼음을 축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이송되는 각얼음은 점차 분쇄실에 다다르게 되고, 분쇄실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가루얼음제조칼날(86)에 의해 갈리게 되어 가루얼음이 만들어지고, 만들어진 가루얼음은 제2공급부(87)를 통해 얼음토출통로(50)로 떨어지게 된다. 가루얼음제조칼날(86)은 조각얼음제조칼날(76)
에 비해 더 촘촘하며, 칼날 개수도 많아 얼음이 곱게 분쇄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토출통로(50)는 상부보다 하부가 좁도록 상기 얼음토출통로(50)의 일면이 경사면(50a)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얼음토출통로(50)의 상부에는 각얼음과 조각얼음이 공급되는 제1공급부(77)와 가루얼음이 공급되는 제2공급부(87)가 마련되고, 상기 얼음토출통로(50)는 각각의 공급부(77,78)와 접속된다. 상기 제1공급부(77)의 하부에는 경사면(50a)이 위치하여 제1공급부(77)에서 공급되는 각얼음과 조각얼음(31)은 상기 경사면(50a)을 따라 떨어지며, 상기 제2공급부(87)의 하부에는 경사면(50a)이 없어 제2공급부(87)에서 공급되는 가루얼음(41)은 경사면(50a)과 마찰없이 직하강하여 토출구로 토출된다.
무게가 무거운 각얼음이나 조각얼음(31)은 경사면(50a)을 따라 내려오면서 경사면(50a)과의 마찰이 생겨 얼음토출구를 통해 얼음을 받기 위한 그릇에 떨어질 때 충격이 약하게 된다.
이에 반해, 무게가 가벼운 가루얼음(41)은 경사면(50a)과의 마찰없이 직접 떨어지게 됨으로써 얼음토출통로(50)에 누적됨이 없이 얼음토출구로 토출된다.
얼음토출통로를 물토출통로와 분리함으로써 물토출통로에 남아 있는 물기에 의해 가루얼음이 배출되면서 녹거나 달라붙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가루얼음이 경사진 가루얼음토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면서 경사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토출통로에 누적되어 가루얼음이 잘 나오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다.

Claims (5)

  1. 각얼음을 저장하기 위한 얼음저장용기의 일단에는 가루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가루얼음제조유닛과 조각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조각얼음제조유닛이이 구비되고, 상기 가루얼음제조유닛 및 조각얼음제조유닛과 얼음이 토출되는 토출구사이에는 얼음토출통로가 마련되며, 상기 얼음토출통로는 상부보다 하부가 좁도록 얼음토출통로의 일면이 경사면을 형성하여 조각얼음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토출되고 가루얼음은 상기 경사면을 거치지 않고 직하강하여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얼음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토출통로는 물토출통로와 별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토출통로를 구비한 얼음디스펜서.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의 전면에는 얼음선택버튼이 구비되고, 얼음선택버튼의 선택에 따라 배출되는 얼음이 선택되고, 배출구에 설치된 얼음토출레버의 작동에 의해 얼음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5. 제 4항에 있어서, 조각얼음버튼 선택시 조각얼음제조유닛만 작동하고, 가루얼음버튼 선택시 가루얼음제조유닛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KR1020040083248A 2004-10-18 2004-10-18 냉장고용 얼음디스펜서 KR100688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248A KR100688936B1 (ko) 2004-10-18 2004-10-18 냉장고용 얼음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248A KR100688936B1 (ko) 2004-10-18 2004-10-18 냉장고용 얼음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110A KR20060034110A (ko) 2006-04-21
KR100688936B1 true KR100688936B1 (ko) 2007-03-02

Family

ID=3714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248A KR100688936B1 (ko) 2004-10-18 2004-10-18 냉장고용 얼음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478B1 (ko) * 2015-06-17 2016-11-0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설빙 생성이 가능한 냉장고 및 설빙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57437A1 (en) 2006-12-11 2011-08-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 dispenser
KR20100061185A (ko) * 2008-11-28 2010-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471A (ko) * 1998-09-11 2000-04-15 구자홍 냉장고의 얼음선별취출용 제빙기 어셈블리
KR100277587B1 (ko) * 1997-12-31 2001-02-01 윤종용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587B1 (ko) * 1997-12-31 2001-02-01 윤종용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19471A (ko) * 1998-09-11 2000-04-15 구자홍 냉장고의 얼음선별취출용 제빙기 어셈블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2775870000 *
102000001947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478B1 (ko) * 2015-06-17 2016-11-0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설빙 생성이 가능한 냉장고 및 설빙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110A (ko) 200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2991B1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and ice-dispenser
JP4593934B2 (ja) アイスメーカーを備えた冷蔵庫
KR101631322B1 (ko) 냉장고
EP3290832B1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0845859B1 (ko) 얼음배출장치
KR101555755B1 (ko) 아이스 빈 및 이를 이용한 얼음 분쇄 방법
EP2808627B1 (en) Refrigerator
US20060059939A1 (en) Refrigerator having a shaved ice supplying device
KR100934185B1 (ko) 아이스 메이킹 장치
EP2541173B1 (en) Ice bank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US20060065008A1 (en) Refrigerator
KR20050021066A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20050028225A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20080020126A (ko) 냉장고
KR101555756B1 (ko) 아이스 빈 및 이를 이용한 얼음 이송 방법
KR100688936B1 (ko) 냉장고용 얼음디스펜서
US8015837B2 (en) Ice bank of refrigerator
KR101652213B1 (ko) 냉장고
KR100519304B1 (ko) 냉장고
JP2006214615A (ja) 冷蔵庫
KR101596502B1 (ko) 냉장고
KR100525416B1 (ko)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KR100587326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0781269B1 (ko) 얼음배출장치
KR20190124834A (ko) 제빙드럼이 내장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