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654B1 -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및 승강방법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및 승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654B1
KR100688654B1 KR1020050017453A KR20050017453A KR100688654B1 KR 100688654 B1 KR100688654 B1 KR 100688654B1 KR 1020050017453 A KR1020050017453 A KR 1020050017453A KR 20050017453 A KR20050017453 A KR 20050017453A KR 100688654 B1 KR100688654 B1 KR 100688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kimchi refrigerator
motor
pinion
lif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6732A (ko
Inventor
오승환
김상오
정경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65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6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는 김치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용기; 상기 수용용기가 지지되도록 하는 선반; 상기 선반이 승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에 제공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이 치합되도록 상기 저장실의 내면에 형성되는 랙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김치 냉장고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수용용기가 편리하게 취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김치 냉장고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김치냉장고의 선반이 상승의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소정의 브레이크부가 작동되기 때문에, 선반승강장치의 안전성이 한층 더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김치냉장고, 선반, 승강

Description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및 승강방법{Shelf updown apparatus for gimchi refrigerator and updown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김치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
도 3에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김치 냉장고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치 냉장고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Ⅱ-Ⅱ'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승강장치에서 브레이크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 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 냉장고의 선반승강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본체 4 : 운전제어부 5 : 리프트 버튼
20 : 선반 30 : 승강부 31 : 모터
32 : 피니언 33 : 랙 34 : 홈
35 : 가이드 레일 36 : 솔레노이드 37 : 돌기
41 : 전자석 42 : 마찰패드 43 : 자성체
본 발명은 김치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김치 냉장고의 선반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및 승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 냉장고의 수용용기가 놓이는 선반이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수용용기를 취출할 수 있고, 상기 선반의 정지시에 위치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김치 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및 선방승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치 냉장고는 기존의 일반 냉장고와는 달리, 김치숙성의 원리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냉장고 내부의 온도에 대한 항상성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발효식품을 적절하게 보관하기에 적합하도록 특별히 제안된 장치이다. 이러한 김치 냉장고의 특성이 더욱 살려지도록 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김치 냉장고는 냉장고의 상측부를 통해서 음식물의 취출이 수행된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도어가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를 개방한 다음에, 음식물 수용용기를 상하방향으로 넣고 빼는 과정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어가 형성되는 이유는 냉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장실 내부 온도가 항상성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음식물 수용용기는 김치 냉장고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이 적층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음식물 수용용기가 냉장실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용 되기 때문에, 비록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수용용기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잡이를 잡고서 빼낼 수 있으나, 하측에 놓이는 음식물 수용용기는 빼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하측에 놓이는 음식물 수용용기의 손잡이를 사용자가 잡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이고, 냉장실 깊숙한 곳까지 손을 넣어서 손잡이를 잡아야만 하측 음식물 수용용기를 빼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허리를 숙여서 냉장실 깊숙한 곳까지 손을 닿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허리를 굽혀서 큰 신체적 동작을 수행해야 되기 때문에, 특히 노약자, 임신부등에게는 큰 어려움이 아닐 수 없다. 나아가서, 일반적으로 김치 냉장고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수용용기는 많은 양의 김치가 한꺼번에 수용되어 있어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어려움이 더욱 크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김치 냉장고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수용용기가 편리하게 취출될 수 있는 김치냉장고의 선방승강장치 및 선반승강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김치냉장고의 선반이 상승의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자동으로 브레이크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선반승강장치의 안전성이 한층 더 증진되는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및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는 김치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용기; 상기 수용용기가 지지되도록 하는 선반; 상기 선반이 승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에 제공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이 치합되도록 상기 저장실의 내면에 형성되는 랙이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는 음식물 수용용기가 놓이는 선반; 상기 선반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상기 선반이 일정높이에서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부; 및 상기 승강부 및 브레이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방법은 김치 냉장고의 선반이 승강되도록 승강부가 동작되는 단계; 및 상기 선반이 일정한 높이에 이르러 상기 승강부의 동작이 정지된 뒤에, 브레이크 부가 동작되어 선반의 높이가 일정위치에서 유지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김치 냉장고의 제어 장치에 의해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김치 냉장고 내부에서 음식물 수용용기를 취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용용기의 무거운 자중에 대해서도 선반승강장치가 안전하게 동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안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치환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실시예라도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김치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치 냉장고는 상측이 개구되어 음식물 수용용기가 취출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되는 김치 냉장고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상측에 형성되어 본체(3) 상측의 개구된 부분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1)와, 상기 본체 전면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김치 냉장고의 동작이 조작되도록 하는 운전 제어부(4)와, 상기 본체(3)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2)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운전 제어부(4)에는 사용자가 음식물 수용용기를 취출하는 경우에 음식물 수용용기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리프트 버튼(5)이 포함된다.
상기 리프트 버튼(5)는 상기 김치 냉장고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수용용기가 상하로 동작되도록 하는 이송 수단이 동작되도록 하는 버튼으로서, 다양한 구동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리프트 버튼(5)이 눌려지는 때에만 상기 이송 수단이 동작되도록 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적용 방법으로서, 상기 리프트 버튼(5)이 온 되면 상기 승강부가 자동으로 동작되어, 음식물 수용용기의 전체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일정한 수준 이하로 음식물 수용용기의 무게가 떨어졌을 때에, 상기 승강부가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 버튼(5)이 눌러지더라도 상기 도어(1)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선반이 상승되지 않도록 소정의 제어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 및 승강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치 냉장고에는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상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1)와, 본체(3)의 외관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2)와, 상기 본체(3)의 내측에서 음식물 수용용기가 수용되는 소정의 저장실(13)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10)와, 상기 본체(3)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기계실(6)과, 상기 음식물 수용용기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부(30)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음식물 수용용기는 적층되어 놓이는데, 상측에 놓이는 상측 음식물 수용용기(15)와, 하측에 놓이는 하측 음식물 수용용기(16)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외벽의 내부에는 단열재(11)가 발포되어 형성됨으로써, 냉장고의 내외부의 온도차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30)는 상기 음식물 수용용기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선반(20)과 연계되어 상기 음식물 수용용기(15)(16)가 승강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음식물 수용용기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을 그 재질로 하여, 강도가 약하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선반(20)를 대신하여 상기 음식물 수용용기가 일정 정도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음식물 수용용기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음식물 수용용기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소정 형태의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기계실(6)의 내부에는 냉매가 압축되도록 하는 압축기(7)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8)와, 상기 응축기(8)측으로 공기가 강제로 유동되도록 하여, 상기 응축기(8)의 냉매가 냉각되도록 하는 팬(9)이 포함된다. 한편, 상기 응축기(8)에 의해서 응축된 냉매는 소정의 냉매관을 통하여 증발 기(12)로 유동되는데, 상기 증발기(12)는 상기 내부 케이스(10)와 인접되는 저장실(13)의 내벽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저장실(13) 내부가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10)의 어느 일측에는 저장실(13)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14)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저장실(13)의 온도가 실시간으로 측정되도록 하여, 압축기(7) 및 팬(9)의 동작 상태가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김치 냉장고의 운전 상태가 제어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 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식물 수용용기(15)(16)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에 주된 관심을 두고 있다. 상세하게, 사용자가 하측에 있는 하측 음식물 수용용기(16)를 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측에 있는 상측 음식물 수용용기(15)를 먼저 꺼내야 한다. 상기 상측 음식물 수용용기(15)가 꺼내어진 뒤에는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하측 음식물 수용용기(16)를 꺼내게 되는데, 상기 하측 음식물 수용용기(16)는 상기 저장실(13)의 내부에서 비교적 깊은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직접 꺼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때에는, 상기 리프트 버튼(도 2의 5참조)을 작동하여 소정의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상기 승강부(30)가 작동되어 상기 선반(20)이 상방으로 상승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측 음식물 수용용기(16)가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하측 음식물 수용용기(16)를 상측 음식물 수용용기(15)를 꺼내는 동작과 동일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상기 하측 음식물 수용용기(16)를 꺼낼 수 있고, 노약자, 임신부라도 편리하게 상기 하측 음식물 수용용기(16)를 취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승강 수단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제안한다.
상기 승강부(30)에는 수용용기(15)(16)가 하측에서 지지되도록 하는 선반(20)과, 상기 선반(20)의 하측에 제공되는 모터(31)와, 모터(31)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되는 피니언(32)과, 상기 피니언(32)에 치합되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10)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랙(33)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선반(20)이 하강위치에 놓여있을 때, 모터(31) 및 피니언(32)이 수용되도록 하는 홈(34)이 내부 케이스(10)의 하측면에 제공되어 있다. 상세하게, 상기 홈(34)은 선반(20)이 내부 케이스(10)의 하측면에 닿는 하강 위치에 다다랐을 때, 모터(31) 및 피니언(32)이 수용되도록 하여, 모터(31) 및 피니언(32)이 선반의 동작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설명되는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선반승강장치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수용용기(15)(16)를 취출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의 지시 또는 도어를 여는 것과 같은 소정의 입력신호에 의해서 상기 모터(31)에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모터(31)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되면, 피니언(32)이 회전되고 피니언(32)이 회전되면 피니언(32)과 치합되는 랙(33)을 따라서 선반(20)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선반(20)이 상승되면, 선반(20)의 상측에 놓여있는 수용용기(15)(16)도 같이 상승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수용용기(15)(16)를 취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설명되는 김치 냉장고의 선방승강장치의 구성을 도 3에 제시되는 김치 냉장고의 저면사시도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케이스(10)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선반(20)와, 상기 선반(20)의 하측에는 모터(31)와 상기 모터(31)의 구동측에 연결되는 피니언(32)이 도시된다.
또한, 상기 피니언(32)과 치합되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20)의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랙(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선반(20)의 하면에는 솔레노이드(36)와, 상기 솔레노이드(36)에서 의해서 전후로 동작되는 돌기(37)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37)는 상기 솔레노이드(36)에 의해서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되고, 상기 돌기(37)의 단부는 상기 랙(33)의 치간간격부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10)의 저면에는 상기 모터(31) 및 피니언(32)이 놓이는 홈(34)이 제공되어, 상기 선반(20)의 하단부까지 이동되었을 때 모터(31) 및 피니언(32)이 홈(34)의 내부에 수용되어, 선반(20)의 하강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10) 벽면의 소정위치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35)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2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35)과 접촉되는 어떠한 형상의 돌기물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선반(20)이 상측으로 이동될 때, 선반(20)이 요동되지 아니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가 가이드 레일(35)이 대향되 는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경우의 수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반승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의 지시 또는 소정의 외부입력신호에 의해서 모터(31)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피니언(32)의 회전에 의해서 선반(20)이 상승하게 된다. 물론, 상기 피니언(32)이 역회전함으로써 선반(20)은 하강하는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35)에 의해서 선반(20)의 이동이 양방향에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선반(20)은 요동치지 않고 수평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선반(20)이 소정의 위치에 이른 뒤에는 모터(31)의 전원인가는 정지되고, 솔레노이드(36)로 전원이 인가되고, 솔레노이드(36)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돌기(37)가 바깥쪽으로 밀려서 상기 돌기(37)의 단부가 상기 랙(33)의 치간간격부에 걸려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모터(31)의 전원이 끊어지는 때에도 선반(20)이 하측으로 밀려내려오지 않기 때문에, 선반(20)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36), 돌기(37), 및 랙(33)으로 구성되는 장치에 의해서 선반(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치를 선반 브레이크부로 지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치 냉장고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Ⅱ-Ⅱ'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도 3에 설명되 는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다만 선반 브레이크부의 구성이 달라지는 것만 차이가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솔레노이드(36), 돌기(37), 및 랙(33)으로 구성되는 브레이크부와는 달리, 선반(20)의 하측면에 제공되는 안착부(40)와, 상기 안착부(4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전자석(41)과, 전자석(41)의 일측면에 더 형성되어 내부 케이스(10)의 벽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마찰패드(42)와, 상기 마찰패드(42)와 대응되는 내부 케이스(10)의 벽면에 제공되는 자성체(43)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전자석(41)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이 전자석으로 연결되는 것은 물론이다.
설명되는 선반 브레이크 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선반승강장치가 동작되어 선반이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동작이 수행되어, 선반(20)이 일정한 수준의 높이에 이르러서 사용자가 만족하면 선반승강장치가 정지된다.
이 후에는 상기 선반 브레이크 부가 동작되어 상기 전자석(41)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전자석(41)으로 인가된 전원에 의해서 전자석이 자성을 띠면, 전자석(41)이 상기 자성체(43)로 접근하게 되고, 마찰패드(42)가 자성체(43)에 접촉한다. 상기 마찰패드(42)는 마찰계수가 높기 때문에, 마찰패드(42)와 자성체(43)와의 접촉면은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상기 수용용기(15)(16)의 자중이 가해지더라도 마찰패드(42)와 자성체(43)와의 마찰력에 의해서 선반(20)은 하측으로 내려가지 아니한다.
물론, 이때에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선반(20)의 승강을 위한 모터(3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아니한 상태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승강장치에서 브레이크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도 5에 설명되는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다만 선반 브레이크부의 구성이 달라지는 것만 차이가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착부(40)의 내부에는 솔레노이드(44)와, 상기 솔레노이드(44)의 일단에서 내부케이스(10)의 벽면을 향하여 돌출가능한 마찰패드(45)가 포함된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상기 선반(20)이 일정한 높이에 이르러서 멈춰진 뒤에는, 솔레노이드(44)가 동작되어 상기 마찰패드(45)가 상기 내부 케이스(10)의 벽면으로 밀려진다. 상기 마찰패드(45)가 상기 내부 케이스(10)의 벽면이 닿으면, 그 접면에서의 마찰력에 의해서 선반(20)은 하방으로 밀려내려오지 아니하고, 설정된 위치에서 멈춰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되는 설명에서 지지되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 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의 기능적인 동작을 도 7에 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 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김치 냉장고의 선반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리프트 버튼(50)과, 상기 리프트 버튼(50)의 동작 신호가 전달되는 제어부(51)와, 상기 제어부(51)에 의해서 발생된 제어신호에 의해서 선반승강장치가 구동되도록 하는 승강 부(52)와, 선반(20)이 일정한 위치로 승강된 뒤에 선반(20)의 위치가 정지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 구동부(53)가 포함된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김치 냉장고의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에 의해서 상기 리프트 버튼(50)에 의한 신호가 제어부(51)로 입력되면, 제어부(51)의 신호에 의해서 먼저 승강부(52)가 동작되고, 승강부(52)가 동작되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높이에 이르러서 승강부(52)의 동작이 정지된 뒤에는 브레이크 구동부(53)가 동작되어 브레이크가 동작되어 선반(20)의 위치가 일정 위치에서 멈추어져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 버튼(50)에 의한 조작신호에 의해서 입력신호가 입력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가 열리는 동작과 연계되는 신호등에 의해서 제어부(51)로 소정의 제어신호가 전달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구동부(53) 및 승강부(52)가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 냉장고의 선반승강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치 냉장고의 선반승강방법은, 리프트 버튼이 동작되는 단계(S1), 리프트 버튼에 의해서 승강부의 동작이 개시되고 선방이 승강되는 단계(S2), 수용용기(15)(16)가 놓이는 선반(20)이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한 높이 수준에 이른 뒤에 리프트 버튼이 정지되고 승강부의 동작이 멈춰지는 단계(S3)가 수행된다.
승강부의 동작이 멈춰지면 선반은 일정한 위치에서 멈춰진 상태가 유지되고, 곧바로, 브레이크부가 동작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브레이크부가 동작되면 선반과 내부 케이스와의 사이에 소정의 걸림구조에 의해서 선반(20)이 일정의 위치에서 멈추는 과정이 수행된다(S4).
선반(20)이 멈추어진 뒤에 사용자가 수용용기(15)(16)를 넣고 빼는 과정이 수행된 뒤에는 리프트 버튼을 다시금 동작시켜(S5), 승강부가 구동됨으로써 선반(2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한다(S6).
상기되는 방법에 의해서 선반이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과정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김치 냉장고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용용기의 취출 중에 선반이 부주의하고 내려가거나 움직이는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 및 편의가 더욱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김치 냉장고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수용용기가 편리하게 취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김치 냉장고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김치냉장고의 선반이 상승의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소정의 브레이크부가 작동되기 때문에, 선반승강장치의 안전성이 한층 더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김치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용기;
    상기 수용용기가 지지되도록 하는 선반;
    상기 선반이 승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에 제공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이 치합되도록 상기 저장실의 내면에 제공되는 랙;
    상기 선반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마찰패드; 및
    상기 저장실의 내측면에 제공되는 자성체가 포함되는 김치 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2. 김치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용기;
    상기 수용용기가 안착되도록 하는 선반;
    상기 선반이 승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에 제공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이 치합되도록 상기 저장실의 내면에 제공되는 랙;
    상기 선반에 고정되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에 제공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시에 상기 저장실의 접면부와 닿아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패드가 포함되는 김치 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3. 김치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용기;
    상기 수용용기가 안착되도록 하는 선반;
    상기 선반이 승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에 제공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이 치합되도록 상기 저장실의 내면에 제공되는 랙;
    상기 랙에 선택적으로 끼워져서 상기 선반의 위치가 지지되도록 하는 돌기; 및
    상기 선반에 고정되어 상기 돌기가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가 포함되는 김치 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4. 상기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저면에 상기 선방의 하강시에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는 김치 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5. 상기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및 상기 피니언은 상기 선반의 좌우 양측에 제공되는 김치 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6. 상기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에일이 포함되는 김치 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50017453A 2005-03-02 2005-03-02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및 승강방법 KR100688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453A KR100688654B1 (ko) 2005-03-02 2005-03-02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및 승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453A KR100688654B1 (ko) 2005-03-02 2005-03-02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및 승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732A KR20060096732A (ko) 2006-09-13
KR100688654B1 true KR100688654B1 (ko) 2007-03-02

Family

ID=3762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453A KR100688654B1 (ko) 2005-03-02 2005-03-02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및 승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6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184A (ko) 2021-06-28 2023-01-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예매 내역을 통한 짐칸 자동 내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733B1 (ko) * 2006-09-22 2008-05-09 김선종 승강장치를 가진 저장고
KR200453461Y1 (ko) * 2008-05-13 2011-05-06 박제근 선반이 갖추어진 전후진 김치냉장고 케이스
KR102550220B1 (ko) * 2018-06-18 2023-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184A (ko) 2021-06-28 2023-01-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예매 내역을 통한 짐칸 자동 내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732A (ko)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1837B1 (en) Bottom drawer type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device
EP1617160B1 (en)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CN111380279B (zh) 一种冰箱
US7810891B2 (en)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KR100700776B1 (ko) 냉장고, 냉장고의 도어제어장치 및 도어제어방법
EP1621838B1 (en)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US11248837B2 (en) Refrigerator
KR100690645B1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08688B1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1508373B1 (ko) 냉장고
KR100688654B1 (ko) 김치냉장고의 선반승강장치 및 승강방법
KR100608689B1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JP2001280824A (ja) 冷蔵庫の扉開放装置
CN112639381B (zh) 冰箱
EP1630503A2 (en)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KR100470477B1 (ko) 김치저장고의 승강장치
JP2004301356A (ja) 棚装置、および棚装置を備えた冷蔵庫
CN212585282U (zh) 一种冰箱
KR100565249B1 (ko) 바스켓 승강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100590332B1 (ko) 김치 냉장고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128501A (ko) 냉장고
JP2008002792A (ja) 低温貯蔵庫
KR20030043221A (ko) 냉장고의 보조도어 개폐장치
KR20050081347A (ko)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