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769B1 -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Heat exc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769B1
KR100686769B1 KR1020050129380A KR20050129380A KR100686769B1 KR 100686769 B1 KR100686769 B1 KR 100686769B1 KR 1020050129380 A KR1020050129380 A KR 1020050129380A KR 20050129380 A KR20050129380 A KR 20050129380A KR 100686769 B1 KR100686769 B1 KR 100686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fin
slit
row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한춘
장동연
이상열
김주혁
사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7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7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1/28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the element being built-up from finned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28F1/128Fins with openings, e.g. louvered f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A heat exchanger is provided to form rear slit parts of rear fins to be biased toward front tubes for destroying air flow boundary layers generating low speed areas behind the front tubes, thereby carrying out heat exchange behind the front tubes smoothly. A heat exchanger includes tubes aligned in front and rear lines on the basis of air flow direction, and mounted with fins. The fins are divided into front and rear fins(20a,20b) and have slit parts(30;32,34) formed of slits aligned in a plurality of lines. The slit parts formed to the rear fins are biased to front ends of the rear fins for removing low speed areas formed behind the front tubes.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Heat exchang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Figure 2 shows the structure of a pin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도 2의 I-I'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열교환기 10 : 튜브1: heat exchanger 10: tube

20 : 핀 21 : 튜브 삽입공20: pin 21: tube insertion hole

22 : 칼라 30 : 슬릿부22: color 30: slit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기의 유동 과정에서 전열 튜브 후단부에 형성되는 저속 영역이 감소되도록 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exchanger to reduce the low speed region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heat transfer tube during the flow of air.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냉매와 공기 사이에 열교환 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장치로써, 공기 조화기 등 다양한 곳에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는 냉방의 경우에 증발기 역할을 수행하고, 난방의 경우에는 응축기 역할을 수행한다. In general, the heat exchanger is a device that causes a heat exchange action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air, and is applied to various places such as an air conditioner. The heat exchanger serves as an evaporator in the case of cooling and the condenser in the case of heating.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는 핀-튜브 형태의 열교환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튜브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동 면적이 길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전열과 후열으로 분리된 2열 타입의 열교환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In addition, the heat exchanger is a main body heat exchanger fin-tube type, and the heat exchanger of the two-row type heat exchanger is separated into a pre-heat and a post-heat in order to increase the flow area of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tube.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2열 타입의 열교환기는 다수 개의 핀이 소정 간격으로 적층되게 설치되고, 상기 핀을 관통하도록 튜브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exchanger of the two-row typ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fins are stack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tube is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fins.

상세히, 상기 튜브는 다수 회 절곡 성형되며, 내부로 냉매가 순환된다. 그리고, 상기 핀은 상기 튜브를 통과하는 냉매와 공기와 열교환 면적을 넓히도록 상기 튜브에 수직하게 설치된다.In detail, the tube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and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therein. In addition, the fin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tube to widen the heat exchange area with the refrigerant and air passing through the tube.

그리고, 상기 핀에는 공기의 유동 경계층을 제거하기 위한 슬릿이 다수 개 구비되며, 상기 튜브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칼라가 상기 핀의 길이 방향으로 지그재그를 이루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its for removing the air boundary layer of the air, the collar is formed so as to zigza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n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tube.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열교환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상기 튜브의 내부로 냉매가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의 유동 중에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열에서부터 유입되어 상기 핀과 만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후열로 배출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r by the above configuration, first,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tube. In addition, air flows from the heat transfer of the heat exchanger to meet the fins, and heat exchange is performed dur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and is discharged into the after heat.

그런데, 종래의 열교환기에 의하면, 전열 튜브의 후위에 공기의 유동 경계층이 파괴되지 않음에 따라 공기가 정체되는 저속 영역(wake)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By the way,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heat exchanger, a problem arises in that a low speed zone in which air is stagnated is formed as the flow boundary layer of air is not destroyed after the heat transfer tube.

즉, 지속적인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저속 영역에 의해서 상기 전열 튜브의 후단부는 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게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That is, the rear end of the heat transfer tube is a problem that the heat exchange with the air is not made due to the low speed region in which continuous air is not introduced.

그리고, 상기 전열 튜브의 후단부에서 열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됨 에 따라 열교환기 전체적으로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As the heat exchange is not performed smoothly at the rear end of the heat transfer tub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r as a whole decreases.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전열 튜브의 후위에 형성되는 저속 영역이 감소되도록 하는 열교환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heat exchanger in which a low speed region formed behind the heat transfer tube is reduced.

또한, 후열핀의 슬릿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저속 영역이 감소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열교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열교환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heat exchanger that improves the overall heat exchange performance by reducing the low speed region by improving the slit structure of the afterheat fin.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전열과 후열로 배치되는 튜브; 상기 튜브에 설치되며 전열핀과 후열핀으로 구분되는 핀; 및 상기 핀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되는 슬릿이 포함되는 슬릿부가 포함되며, 상기 후열핀에 형성되는 슬릿부는 상기 전열 튜브 후위에 형성되는 저속 영역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후열핀의 전단부에 편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a tube disposed in the heat transfer and after heat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A pin installed in the tube and divided into a heating fin and a heating fin; And a slit portion formed in the fin and including a slit disposed in a plurality of rows, wherein the slit portion formed in the rear fin is biased i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ear fin to remove the low speed region formed behind the heat transfer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후열핀에 형성되는 후열 슬릿부가 전열 튜브 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됨으로써, 전열 튜브 후위에 형성되는 저속 영역에 파괴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t heat slit formed on the heat transfer fin is biased toward the heat transfer tube, so that it can be destroyed in the low speed region formed behind the heat transfer tube.

즉, 후열 슬릿부의 첫번째 열의 슬릿이 전열핀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첫번째 열의 슬릿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두번째 열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슬릿에 의해서 공기의 유동 경계층이 파괴됨에 따라 상기 전열 튜브의 후위로 공기가 도달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전열 튜브의 후위에서 열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air reaches the rear of the heat transfer tube as the slit of the first row of the rear row slit portion is formed at the tip of the heat transfer fin and the second row is formed sequentially from the first row of slit and the flow boundary layer of air is destroyed by the slit. The heat exchange can be made smoothly at the rear of the heat transfer tube.

또한, 상기 후열 슬릿부가 상기 전열 튜브 측으로 편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후열핀의 후단부에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후단부로 열교환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rear heat slit portion is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heat transfer tube side, a slit is not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ear heat fin relatively, so that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 process to the rear end can be easily discharged.

또한,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응축수에 따른 공기의 유동 저항이 감소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s the condensate can be easily discharg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according to the condensate is reduced.

또한, 상기 전열 튜브의 후위에서 열교환이 원활이 이루어지고, 응축수의 용이 배출에 따른 공기 유동 저항이 감소됨으로써, 전체적인 열교환기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at exchange is smoothly performed at the rear of the heat transfer tube, and the air flow resistance due to the easy discharge of condensate is reduced,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heat exchanger is improv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전열(10a)과 후열(10b)로 배열되는 튜브(10)와, 상기 튜브(10)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핀(20)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 referring to FIG. 1, a heat exchang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10 arranged in a heat transfer 10a and a rear heat 10b based on a flow direction of air, and the tube ( 10, a plurality of pins 20 are installed.

상세히, 상기 튜브(10)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다수 회 절곡 성형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핀(20)은 소정 간격을 가지고 상기 튜브(10)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In detail, the tube 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bent and molded a plurality of times to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The plurality of fins 20 ar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tube 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여기서, 전열과 후열의 튜브(10a)(10b)는 서로 지그재그를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튜브(10a)(10b)의 열교환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heat transfer tube 10a (10b) is configured to be zigzag with each other, so that the heat exchange of each tube 10a (10b) can be easily performed.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열교환기(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상기 튜브(10)의 내부로 냉매가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의 유동 중에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의 전열 튜브(10a) 측에서부터 유입되어 상기 핀(10)과 만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후열 튜브(10b)의 후측로 배출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r 1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irst,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tube 10. Dur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air is introduced from the heat transfer tube 10a side of the heat exchanger 1 to meet the fins 10 to perform heat exchange, and is discharged to the rear side of the heat transfer tube 10b.

그리고, 상기 열교환 과정에서 상기 핀(20) 표면에 응축수가 발생하며, 상기 응축수는 상기 핀(20) 표면을 따라 하측으로 배출된다.In the heat exchange process,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fin 20, and the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downward along the surface of the fin 20.

이하에서는 상기 핀(2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in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I-I'의 단면도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 'of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핀(20)은 점선을 기준으로 크게 상기 튜브(10)의 전열에 설치되는 전열핀(20a)과, 상기 튜브(10)의 후열에 설치되는 후열핀(20b)으로 나뉘며, 상기 전열핀(20a)과 후열핀(20b)은 일체로 형성된다.2 and 3, the fin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installed on the heat transfer fin (20a) is installed on the heat transfer of the tube 10 on the basis of the dotted line, and is installed in the after heat of the tube (10) The heating fin 20b is divided, and the heating fin 20a and the heating fin 20b are integrally formed.

상세히, 상기 핀(20)에는 상기 튜브(10)가 관통 설치될 수 있는 튜브 삽입공(21)이 다수 개 형성된다.In detail, the pin 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ube insertion holes 21 through which the tube 10 can be installed.

그리고, 상기 튜브 삽입공(21)은 소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전열핀(20a)의 튜브 삽입공(21)과 상기 후열핀(20b)의 튜브 삽입공(21)은 서로 지그재그를 이루도록 형성된다.The tube insertion holes 21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tube insertion holes 21 of the heat transfer fins 20a and the tube insertion holes 21 of the heat transfer fins 20b are formed to be zigzag. do.

즉, 상기 전열핀(20a)의 튜브 삽입공(21) 간의 사이에 후열핀(20a)의 튜브 삽입공(21)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각 튜브(10)와 공기와의 열교환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tube insertion hole 21 of the rear heating fin 20a is positioned between the tube insertion holes 21 of the heating fins 20a, so that heat exchange between each tube 10 and air can be performed smoothly. To help.

그리고, 상기 튜브 삽입공(21)의 둘레에는 상기 튜브(10)가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튜브 삽입공(21)에 설치된 상기 튜브(10)가 지지 고정되도록 하는 칼라(22)가 상기 핀(2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연장 성형된다. In addition, a collar 22 is formed around the tube insertion hole 21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tube 10 and to support and fix the tube 10 installed in the tube insertion hole 21. It extends from the front or back of the pin 20.

또한, 상기 핀(20)에는 상기 핀(2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각 튜브(10)의 사이에 복수 개의 슬릿이 형성되는 슬릿부(3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n 20 is formed with a slit portion 30 in which a plurality of slits are formed between the tubes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 20.

상세히, 상기 슬릿부(30)는 상기 전열핀(20a)에 형성되는 전열 슬릿부(32)와, 상기 후열핀(20b)에 형성되는 후열 슬릿부(3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각 슬릿부(32)(34)에는 슬릿이 상기 핀(20)의 폭방향으로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된다. In detail, the slit part 30 includes a heat transfer slit part 32 formed on the heat transfer fin 20a and a after heat slit part 34 formed on the heat transfer pin 20b. In addition, slit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n 20 in each of the slit portions 32 and 34.

더욱 상세히, 상기 각 슬릿부(30)는 적어도 3열 이상의 슬릿이 포함되어 공기의 유동 경계층이 파괴되도록 한다.In more detail, each of the slits 30 includes at least three or more rows of slits so that the flow boundary layer of air is destroyed.

그리고, 상기 전열 슬릿부(32)는 상기 전열 튜브(10a)의 각 사이에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The heat transfer slits 32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between the heat transfer tubes 10a.

한편, 상기 후열 슬릿부(34)는 상기 후열핀(20b)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전열 튜브(10b) 측으로 편중되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heat slit 34 is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heat transfer tube (10b)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rear heat fin (20b).

즉, 상기 전열 튜브(10a)의 후위에 저속 영역이 형성됨에 따라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열핀(20b)에 형성되는 슬릿이 상기 전열 튜브(10a)의 후단에서 근접한 거리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전열 튜브(10a) 후위의 저속 영역에 형성되는 와류를 파괴시키는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prevent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from deteriorating as the low speed region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heat transfer tube 10a, the slit formed at the heat transfer fin 20b is disposed at a distance close to the rear end of the heat transfer tube 10a. Position to break the vortex formed in the low speed region behind the heat transfer tube 10a.

그리고,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열 슬릿부(34)의 첫번째 열의 슬릿은 상기 전열핀(20a)과 후열핀(20b)의 경계선에서 양측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형성되며, 상기 첫번째 열의 슬릿의 위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두번째 열 이후의 슬릿이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lits of the first row of the rear row slit part 34 are 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n both sides of a boundary line between the heat transfer fins 20a and the rear row fins 20b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air, and the slits of the first row From the position, the slits after the second row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즉, 상기 전열 튜브(10a)의 후단부와 상기 후열 슬릿부(34)의 첫번째 열의 슬릿 사이의 수평 거리를 d1이라고 하고, 상기 전열 튜브(10b)의 후단부와 상기 후열 튜브(10a)의 전단부 사이의 수평 거리를 d2라 할 때, 상기 d1은 That is,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heat transfer tube 10a and the slit of the first row of the rear heat slit portion 34 is d1, and the rear end of the heat transfer tube 10b and the front end of the heat transfer tube 10a. Whe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parts is d2, d1 is

0.3d2〈 d1〈 0.6d20.3d2 <d1 <0.6d2

를 만족한다.Satisfies.

여기서, 상기 d1이 0.3d2보다 작을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후열 슬릿부(34)의 첫번째 열의 슬릿에 의해서 오히려 상기 전열 튜브(10a)의 후위로 이동된 공기의 유동 저항이 커지게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상기 d1이 0.6d2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공기가 상기 전열 튜브(10a) 후위에 저속 영역이 형성되게 되므로, 상기 d1은 상기 범위 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when d1 has a value smaller than 0.3d2,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flow resistance of air moved to the rear of the heat transfer tube 10a is increased by the slit of the first row of the rear heat slit portion 34. In addition, when d1 has a value greater than 0.6d2, since air is formed at a low speed region behind the heat transfer tube 10a as in the related art, d1 is preferably formed within the above range.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전열 슬릿부(32)의 첫번째 열의 슬릿은 상기 전열핀(20a)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후열 슬릿부(34)의 첫번째 열은 상기 후열핀(20b)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slit of the first row of the heat transfer slit part 3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tip of the heat transfer fin 20a, the first row of the rear row slit part 34 is the rear row It can be explained that it is formed in the front-end | tip of the pin 20b.

그리고, 상기 후열 슬릿부(34)의 첫번째 열은 강도의 향상을 위하여 복수 개의 슬릿으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row of the rear row slit part 34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lits for improving the strength.

또한, 상기 후열 슬릿부(34)의 슬릿 간의 간격은 상기 전열 슬릿부(32)의 슬 릿 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pacing between the slits of the rear heat slit part 34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slits of the heat transfer slit part 32.

따라서, 상기 후열 슬릿부(34)의 첫번째 열의 슬릿이 상기 전열 튜브(10a) 측으로 편중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열 슬릿부(34)의 슬릿 간의 간격이 상기 전열 슬릿부(32)의 슬릿 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후열핀(20b)의 후단부에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Therefore, the slits of the first row of the rear row slit part 34 are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heat transfer tube 10a, and the spacing between the slits of the rear row slit part 34 is larger than the gap between the slits of the heat transfer slit part 32. By forming a narrow, the slit is not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afterheat fin (20b).

그리고, 상기 후열핀(20b)의 후단부에 슬릿이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후열핀(20b)의 후단부를 통하여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no slit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ear fin 20b, condensed water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rear end of the rear fin 20b.

상세히, 상기 핀(20)에 형성되는 슬릿은 공기의 유동 경계층을 파괴하여 공기의 유동 저항을 줄이고,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나, 상기 슬릿의 형상에 의해서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In detail, the slit formed in the fin 20 serves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by improving the flow boundary layer of the air and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ut is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 process between the air and the refrigerant by the shape of the sl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densate is not easily discharged.

그리고, 상기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응축수에 의한 공기 저항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densed water is not easily discharg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resistance caused by the condensed water increases.

따라서, 상기 후열핀(20a)의 전단부에 슬릿이 편중됨에 따라 상기 후열핀(20b)의 후단부에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게 되고, 상기 후열핀(20b)의 후단부에 슬릿이 형성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the slit is biased at the front end of the rear fin 20a, no slit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ear fin 20b, and the slit is not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ear fin 20b. The condensate can be easily discharged.

즉, 상기 후열핀(20b)의 후단부에는 상기 응축수의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at i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condensate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afterheat fin (20b).

그리고, 상기 후열 슬릿부(34)의 마지막 열의 슬릿과 상기 후열핀(20b)의 후단부 사이의 거리를 d3라 하고, 상기 전열 튜브(10a)의 중심과 후열 튜브(10b)의 중심 간의 수평 거리를 D1이라 하며, 상기 튜브(10)의 직경을 D2라 할 때, 상기 d3는 The distance between the slit of the last row of the rear row slit portion 34 and the rear end of the rear row fin 20b is d3, and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heat transfer tube 10a and the center of the heat transfer tube 10b. Is D1, and when the diameter of the tube 10 is D2, the d3 is

d3 〉1/2(D1+D2) d3〉 1/2 (D1 + D2)

를 만족한다.Satisfies.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열교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튜브(10)의 내부로 냉매가 유동된다. 그리고, 공기가 상기 전열핀(20a) 측에서부터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전열핀(20a)과 접촉되며 열교환된다. Referring to the heat exchange process by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first,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tube (10). Then, air is introduced from the heat transfer fin 20a side. Then, the introduced air is in contact with the heat transfer fins 20a and heat exchanged.

그리고, 상기 전열 튜브(10a)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후열 튜브(10b)의 사이를 유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transfer tube 10a flows between the heat transfer tubes 10b.

이때, 상기 전열 튜브(10a)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시 상기 전열 튜브(10a)의 후방 근접한 부분의 슬릿에 의해서 유동 경계층이 파괴되고, 상기 유동 경계층이 파괴됨에 따라 공기가 상기 전열 튜브(10a)의 후위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air passes through the heat transfer tube 10a, the flow boundary layer is destroyed by the slits of the rear adjacent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tube 10a, and as the flow boundary layer is destroyed, air is transferred to the heat transfer tube 10a. It is possible to reach the back of.

그리고,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중에 발생되는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 핀(20)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응축수 중 일부는 상기 전열 슬릿부(32)의 슬릿 사이를 통하여 하방으로 배출되며, 다른 일부는 공기에 의해 전열핀(20a)에서 후열핀(20b)으로 이동된다. In addition,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during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and the refrigerant fl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 20 by gravity. At this time, some of the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slits of the heat transfer slit part 32, the other part is moved from the heat transfer fin 20a to the heat transfer fin 20b by air.

그리고, 상기 후열핀(20b) 측으로 이동된 응축수는 상기 후열핀(20b)에서 형성된 응축수와 함께 상기 후열핀(20b)의 후단부를 통해서 하방으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The condensed water moved to the afterheat fin 20b is easily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rear end of the afterheat fin 20b together with the condensed water formed at the afterheat fin 20b.

본 발명에 의해서 후열핀에 형성되는 후열 슬릿부가 전열 튜브 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됨으로써, 전열 튜브 후위에 형성되는 저속 영역에 파괴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ar heat slit portion formed on the heat transfer fin is biased toward the heat transfer tube side, it can be destroyed in the low speed region formed behind the heat transfer tube.

즉, 후열 슬릿부의 첫번째 열의 슬릿이 전열핀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첫번째 열의 슬릿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두번째 열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슬릿에 의해서 공기의 유동 경계층이 파괴됨에 따라 상기 전열 튜브의 후위로 공기가 도달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전열 튜브의 후위에서 열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air reaches the rear of the heat transfer tube as the slit of the first row of the rear row slit portion is formed at the tip of the heat transfer fin and the second row is formed sequentially from the first row of slit and the flow boundary layer of air is destroyed by the slit. The heat exchange can be made smoothly at the rear of the heat transfer tube.

또한, 상기 후열 슬릿부가 상기 전열 튜브 측으로 편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후열핀의 후단부에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후단부로 열교환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rear heat slit portion is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heat transfer tube side, a slit is not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ear heat fin relatively, so that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 process to the rear end can be easily discharged.

또한,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응축수에 따른 공기의 유동 저항이 감소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s the condensate can be easily discharg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according to the condensate is reduced.

또한, 상기 전열 튜브의 후위에서 열교환이 원활이 이루어지고, 응축수의 용이 배출에 따른 공기 유동 저항이 감소됨으로써, 전체적인 열교환기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at exchange is smoothly performed at the rear of the heat transfer tube, and the air flow resistance due to the easy discharge of condensate is reduced,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heat exchanger is improved.

Claims (7)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전열과 후열로 배치되는 튜브;Tubes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rows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상기 튜브에 설치되며 전열핀과 후열핀으로 구분되는 핀; 및A pin installed in the tube and divided into a heating fin and a heating fin; And 상기 핀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되는 슬릿이 포함되는 슬릿부가 포함되며,Is formed in the pin, and includes a slit portion including a slit disposed in a plurality of rows, 상기 후열핀에 형성되는 슬릿부는 상기 전열 튜브 후위에 형성되는 저속 영역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후열핀의 전단부에 편중되게 형성되는 열교환기.And a slit portion formed on the afterheat fins to be biased toward the front end of the afterheat fin to remove the low speed region formed behind the heat transfer tub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열핀에 형성되는 슬릿부의 슬릿 간의 간격은 상기 전열핀에 형성되는 슬릿부의 슬릿 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열교환기.The spacing between the slits of the slit portion formed in the heating fin is small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slits of the slit portion formed in the heating fi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열 튜브의 후단부와 상기 후열 슬릿부의 첫번째 열의 슬릿의 수평 거리를 d1이라고 하고, 상기 전열 튜브의 후단부와 상기 후열 튜브의 전단부 사이의 수평 거리를 d2라 할 때, 0.3d2〈 d1〈 0.6d2를 만족하는 열교환기.Whe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heat transfer tube and the slit of the first row of the rear heat slit portion is d1, and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heat transfer tube and the front end of the heat transfer tube is d2, 0.3d2 <d1 < Heat exchanger satisfying 0.6d2.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열 슬릿부의 첫번째 열의 슬릿은 상기 후열핀의 선단에 형성되며, 상 기 첫번째 열의 슬릿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슬릿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열교환기.The slit of the first row of the rear row slit portion is formed at the tip of the rear row fin, the slits are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slits of the first row at regular interval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열 슬릿부의 첫번째 열의 슬릿은 복수 개로 구성되는 열교환기.And a plurality of slits in the first row of the rear row sli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열 슬릿부의 마지막 열의 슬릿과 상기 후열핀의 후단부 사이의 거리를 d3라 하고, 상기 전열 튜브의 중심과 후열 튜브의 중심 간의 수평 거리를 D1이라 하며, 상기 튜브의 직경을 D2라 할 때, d3 〉1/2(D1+D2)를 만족하는 열교환기.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lit of the last row of the rear row slit portion and the rear end of the rear row fin is d3,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heat transfer tube and the center of the heat transfer tube is D1, and the diameter of the tube is D2, Heat exchanger satisfying d3> 1/2 (D1 + D2).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열핀의 후단부에는 열교환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열교환기.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during the heat exchange process is discharged at the rear end of the afterheat fin.
KR1020050129380A 2005-12-26 2005-12-26 Heat exchanger KR1006867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380A KR100686769B1 (en) 2005-12-26 2005-12-26 Heat exc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380A KR100686769B1 (en) 2005-12-26 2005-12-26 Heat exchan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6769B1 true KR100686769B1 (en) 2007-02-26

Family

ID=38104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380A KR100686769B1 (en) 2005-12-26 2005-12-26 Heat excha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769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809B1 (en) Continuous combination fin for a heat exchanger
KR100973225B1 (en) Fin tube heat exchanger
KR20040017920A (en) Condensate drainage of heat exchanger
JPH09133488A (en) Heat exchanger with fin
US6026893A (en) Fin-type heat exchanger having slits formed therein
KR101520484B1 (en) Heat exchanger
JP2005315557A (en) Heat exchanger
JP2002062076A (en) Small diametric tube type heat exchanger
US20190024963A1 (en) Heat exchang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4073850B2 (en) Heat exchanger
US20090173479A1 (en) Louvered air center for compact heat exchanger
JP2007505282A (en) Heat exchanger
KR100686769B1 (en) Heat exchanger
JP2008116095A (en) Air heat exchanger
US9353997B2 (en) Heat exchanger
JP2017161186A (en) Fin tube heat exchanger
KR101601085B1 (en) evaporator
JP2009097833A (en) Air heat exchanger
JP2004036938A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JPH05322477A (en) Boiling heat transfer surface
JP2005156033A (en) Fin for heat exchanger of water heater, and heat exchanger for water heater provided with the same
JPH1123179A (en) Heat exchanger with fin
KR100382495B1 (en) a fin-tube type evaporator
KR100382493B1 (en) capillary tube type Heat exchanger
JPH10220979A (en) Fin type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