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525B1 -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 Google Patents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525B1
KR100685525B1 KR1020000079399A KR20000079399A KR100685525B1 KR 100685525 B1 KR100685525 B1 KR 100685525B1 KR 1020000079399 A KR1020000079399 A KR 1020000079399A KR 20000079399 A KR20000079399 A KR 20000079399A KR 100685525 B1 KR100685525 B1 KR 100685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charge hole
bottle cap
groove
dri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5093A (ko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김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홍 filed Critical 김순홍
Priority to KR1020000079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525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formed by a rigid spout outlet and an overcap, the spout outlet being either pushed into alignment with, or pushed through an opening in the overcap, upon rotation of the la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2)발명의 목적
특허공개1996-31292호는 가해지는 힘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유연부(얇은박판)를 형성하였는 바, 그 유연부가 쉬파괴될 수 있는 것과, 또한 그 유연부가 파괴되지 않게 그 유연부를 연질의 수지로 제작(성형)할 경우 상기한 유연부를 포함하고 있는 병뚜껑이 탄산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그 병뚜껑이 변형이 되는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개량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본체(100)의 상부에는 배출용조절구조립부(104)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용기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공(202)이 있는 배출용조절구(200)를 삽입한다.
(4)발명의 효과
병뚜껑을 열지 않고도 용기내의 내용물을 필요한 만큼 배출시킬 수 있는 바, 탄산가스의 불필요한 배출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용기를 세워 둔체로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어 어린아이나 노약자 들도 쉽게 사용할 수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병뚜껑의 분리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병뚜껑이 용기의 목에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병뚜껑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배출용조절구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병뚜껑 100 : 본체 101 : 측면부
102 : 상면부 103 : 나사산 104 : 배출용조절구조립부
105 : 공간 106, 202, 204 : 배출공 107 : 구동부조립홈
108, 109 : 밀폐돌기홈 110 : 위조방지테 111 : 배출대조립부
200 : 배출용조절구 201 : 배출관 203 : 구동부
205 : 밀폐돌기 206 : 절취돌기 207 : 절취선
300 : 배출대 400 : 용기목
본 발명은 탄산가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종의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내압 을 이용한 병뚜껑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선행으로는 특허공개1996-31292호가 있다.
상기 선행인 특허공개1996-31292호는 병뚜껑의 상면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유연부(얇은 박판)를 형성하였는 바, 그 유연부가 쉬파괴될 수 있는 것과, 또한 그 유연부가 파괴되지 않게 그 유연부를 연질의 수지로 제작(성형)할 경우 상기한 유연부를 포함하고 있는 병뚜껑이 탄산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그 병뚜껑이 변형이 되는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유통중 다단으로 적재할 경우, 상기한 유연부에 힘이 가해지게 되면 출구가 열려 용기내의 내용물이 원하지 않게 배출되는 폐단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개량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병뚜껑은, 외부의 충격에도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배출용조절구지지대를 중심으로하여 본체의 상면에 록킹부를 두고, 상기한 배출용조절구지지대의 내부 배출공을 중심으로 하여는 상하로 움직이 가능한 구조의 배출용조절구와 밀폐면이 있는 패킹을 결합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병뚜껑(1)은 측방으로 배출용조절구(200)를 조립시킬 수 있는 공간이 있는 본체(1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체(100)는 측면부(101)와 상면부(102)로 구성되고, 본체(100)의 내 부는 상기한 본체(100)가 용기의 목에 회전방식이나 원터치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103)이나 걸림턱 등이 형성되거나 또는 기타 구조의 수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상면부(102)에는 공간(105)이 있는 배출용조절구조립부(104)가 형성되데, 그 공간(105)의 내측에는 배출공(106)과 연통된 구동부조립홈(107)이 형성되고, 구동부조립홈(107)에는 밀폐돌기홈(108, 109)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한 배출공(106)의 하방으로는 배출대조립부(111)를 두되, 그 배출대조립부(111)에는 임의 길이의 배출대(300)를 조립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한 구동부조립홈(107)에 조립되는 배출용조절구(200)는 측방으로 길게 된 배출공(202)이 있는 배출관(201)이 있고, 상기한 배출공(202)은 구동부(203)의 하방으로 뚫린 배출공(204)과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한 구동부(203)의 저부에는 밀폐돌기홈(108, 109)에 이동되어 고정될 밀폐돌기(205)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출용조절구(200)가 본체(100)에서 분리된 상태가 도 1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00)에 배출용조절구(200)를 밀폐 상태로 조립하여 이를 용기목(400)에 조립한 상태가 도 2와 같은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용기에 내입된 내용물이 밀폐돌기(205)가 배출공(106)의 상단에 있는 밀폐돌기홈(108)에 긴히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배출용조절구(200)의 배출관(201) 단부를 손가락으로 치켜올리게 되면 배출공(106)의 상단을 막고 있던 밀폐돌기(205)가 밀폐돌기홈(108)을 탄력적으로 타고 넘어 다음에 위치한 밀폐돌기홈(109)에 고정지지 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를 보인 것이 도 3과 같은 것이며, 이때 용기내에 있던 내용물은 탄산가스의 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대(300)의 하방을 통해 배출공(106)을 경유 최종 배출용조절구(200)의 배출공(202)으로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한 내용물이 필요한 만큼 배출되면 상기한 배출관(201)을 하방으로 끌어 내리게 되면 밀폐돌기(205)가 밀폐돌기홈(108)에 위치되어 배출공(106)의 상단을 막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남은 내용물을 재사용하고자 할때는 상기한 행위를 재반복하면 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도 4), 배출용조절구(200)의 배출관(201) 단부에 있는 배출공(202)에는 밀폐되게 절취돌기(206)를 형성하되, 상기한 절취돌기(206)는 절취선(207)으로 배출관(201)의 단부와 구획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용시에는 절취돌기(206)를 비틀게 되면 절취선(207)이 파괴되면서 배출공(202)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출공(106)의 상단에 위치한 밀폐돌기(205) 주위가 상기한 배출공(106)의 상단을 완벽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밀폐돌기홈(108)의 외측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는 연질의 링을 삽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앞서 강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병뚜껑(1)은 다양한 용기의 목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병뚜껑을 열지 않고도 용기내의 내용물을 필요한 만큼 배출시킬 수 있는 바, 탄산가스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고, 그 행위는 내용물의 고유맛을 유지시킬 수 있는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용기를 세워 둔체로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어 어린아이나 노약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용기의 목에 회전방식이나 원터치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된 본체(100)와 그 본체(100)의 상면부(102)에는 공간(105)이 있는 배출용조절구조립부(104)가 형성되데, 그 공간(105)의 내측에는 배출공(106)과 연통된 구동부조립홈(107)이 형성되고, 구동부조립홈(107)에는 밀폐돌기홈(108, 109)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한 배출공(106)의 하방으로는 배출대조립부(111)를 두되, 그 배출대조립부(111)에는 임의 길이의 배출대(300)를 조립시킨 것임과,
    또한 상기한 구동부조립홈(107)에 조립되는 배출용조절구(200)는 측방으로 길게 된 배출공(202)이 있는 배출관(201)이 있고, 상기한 배출공(202)은 구동부(203)의 하방으로 뚫린 배출공(204)과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한 구동부(203)의 저부에는 밀폐돌기홈(108, 109)에 이동되어 고정될 밀폐돌기(20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배출용조절구(200)의 배출공(202)이 있는 배출관(201) 단부에는 절취선(207)으로 구획된 절취돌기(20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배출용조절구(200)의 배출공(202)은 절취돌기(206)가 있는 후방이 밀폐돌기(205) 근접 부위 까지 뚫려 있는 상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한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배출공(106)의 상단에 위치한 밀폐돌기(205) 주위가 상기한 배출공(106)의 상단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밀폐돌기홈(108)의 외측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는 연질의 링을 삽입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KR1020000079399A 2000-12-20 2000-12-20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KR100685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399A KR100685525B1 (ko) 2000-12-20 2000-12-20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399A KR100685525B1 (ko) 2000-12-20 2000-12-20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093A KR20010035093A (ko) 2001-05-07
KR100685525B1 true KR100685525B1 (ko) 2007-02-22

Family

ID=1970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399A KR100685525B1 (ko) 2000-12-20 2000-12-20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5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27895A1 (de) * 2001-06-08 2002-12-12 Indag Gmbh Verschlusselement für eine Verpackung zur Aufnahme von flüssigem oder pastösem G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093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00741A1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EP2049410A1 (en) Container closure having a lifting cap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EP1332097B1 (en) Vented closure
WO2002057063A1 (en) Method for creating a seal gasket at the top of a container closure cap, and a cap comprising said gasket
US20060273119A1 (en)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KR100685525B1 (ko)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KR100685524B1 (ko)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KR100685523B1 (ko)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KR100299117B1 (ko) 다용도 병의 속 마개
KR20020079668A (ko)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KR200199480Y1 (ko) 탄산 음료병
AU762234B2 (en) A closure means for sealing a container containing a carbonated liquid
KR20020022332A (ko) 병마개
KR20080000056U (ko) 병뚜껑
KR20010087799A (ko) 합성수지제 병뚜껑의 구조
KR100447937B1 (ko) 발효식품용 뚜껑
KR200240068Y1 (ko) 병뚜껑내장재
KR200344567Y1 (ko) 음료 용기
KR0136562Y1 (ko) 밀폐용 패킹을 포함한 특징의 당김손잡이가 있는 합성수지 병뚜껑
KR920003427Y1 (ko) 오프너 없이 개봉하는 병마개
DE59500822D1 (de) Spundstopfen mit Entgasungseinrichtung
KR200365735Y1 (ko) 음료수 병마개
KR200244231Y1 (ko) 더블형 1.5리터 페트병
KR200331138Y1 (ko) 탄산음료 용기
KR950009888Y1 (ko) 가스유출이 원활한 탁주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