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643B1 - Luminescent body - Google Patents
Luminescent bod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4643B1 KR100684643B1 KR1020060002491A KR20060002491A KR100684643B1 KR 100684643 B1 KR100684643 B1 KR 100684643B1 KR 1020060002491 A KR1020060002491 A KR 1020060002491A KR 20060002491 A KR20060002491 A KR 20060002491A KR 100684643 B1 KR100684643 B1 KR 1006846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otoluminescent
- layer
- delete delete
- display
- top co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광 휘도가 높고, 잔광성이 길며, 특히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의 발생율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축광표시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luminescent display having a high phosphorescence brightness, a long afterglow, and particularly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a generation rate of toxic gas in the event of fire.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는, 기재의 상부면에 도포된 광반사층과, 광반사층의 상부면에 도포되어 빛을 축적 및 발광하는 축광층과, 축광층의 상부면에 각종 문양이 인쇄된 문양인쇄층과, 문양인쇄층의 상부면에 도포되어 축광층 및 문양인쇄층을 보호하는 톱 코팅층을 포함한다.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reflection layer applied to an upper surface of a substrate, a light emission layer appli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to accumulate and emit light, and a pattern printing in which various patterns are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hotoluminescent layer. And a top coating layer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ttern printing layer to protect the photoluminescent layer and the pattern printing layer.
축광표시체, 광반사층, 축광층, 문양인쇄층, 톱 코팅층 Photoluminescent display, light reflecting layer, photoluminescent layer, pattern printing layer, top coating lay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광표시체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hotoluminesc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광표시체를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hotoluminescent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3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에 있어서 축광 세라믹스의 도포횟수 및 인광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application of phosphorescent ceramics and phosphorescence luminance in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에 있어서 축광안료의 혼입율 및 인광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5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xing ratio of phosphorescent pigment and phosphorescence luminance in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에 있어서 축광안료 입경 및 인광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le size of phosphorescent pigment and phosphorescence luminance in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에 있어서 톱 코팅층과 인광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7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p coating layer and phosphorescence luminance in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의 내후성을 나타낸 그래프.8 is a graph showing weather resistance of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의 채도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hroma measurement of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에 있어서 다색 축광층과 인광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color photoluminescent layer and phosphorescence luminance in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축광표시체 11 : 기재10
12 : 광반사층 13 : 축광층12: light reflecting layer 13: photoluminescent layer
14 : 문양인쇄층 15 : 톱 코팅층14: pattern printing layer 15: top coating layer
본 발명은 축광표시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광 휘도가 높고, 잔광성이 길며, 특히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의 발생율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축광표시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전철역, 터미널, 백화점, 상가건물, 관공서 등과 같이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하는 각종 대형 건축물은 그 특성상 내부 공간이 상하로 구획되어 구성되는 바, 정전이나 화재 등에 의해 실내공간의 조명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비상계단, 비상통로 등을 찾기가 매우 곤란하여 치명적인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내포되어 있다. In general, various large buildings used by unspecified people, such as subway stations, terminals, department stores, mall buildings, and public offices, are divided into up and down interior spaces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If not, emergency stairs, emergency passages, etc. are very difficult to find, which can lead to fatal safety accidents.
실제로 과거의 각종 대형화재 또는 건물 붕괴사고시에 갑작스러운 정전으로 인해 조명이 차단되어 비상계단, 통로 등을 제대로 찾지 못함으로 인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게 되는 사례가 많이 있었다. 특히, 각종 시설물에 있어 층간의 통로가 되는 비상계단은 그 비상사태시에 병목현상을 야기하는 대표적인 구조물로서 그 식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대피의 지연은 물론이고, 통행의 적체 등 으로 인해 압사 등과 같은 또 다른 대형의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In fact,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a large number of casualties have occurred due to failure to find emergency stairs, passages, etc. due to a sudden power failure during various fires or building collapses in the past. In particular, the emergency stairway, which is the passage between floors in various facilities, is a representative structure that causes bottlenecks during the emergency. If the identification is not made properly, the emergency stairway is delayed due to delays in evacuation and due to traffic jams. It also causes another large safety accident.
이러한 점에 대한 대안으로, 시설물의 내부통로를 따라 바닥면에 소정의 야광도료를 도포하여 긴급 피난을 유도하는 방식이 이용되어 왔지만, 이 경우에도 야광도료의 얇은 도포층을 고려하여 볼 때 그 발광효율이 극히 낮은 취약점이 있었다. As an alternative to this, a method of inducing an emergency evacuation by applying a predetermined luminous paint on the floor along the inner passage of the facility has been used, but even in this case, considering the thin coating layer of the luminous paint, There was an extremely low vulnerability.
이에 따라, 최근에는 축광식 유도표시체가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축광 유도표시체는 평소에는 태양광이나 형광등의 광 에너지를 흡수 및 축적한 후에 야간 등과 같이 빛이 차단될 경우에 축적한 빛을 발광하여 피난구 또는 비상구 등의 식별 및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특히 피난 유도등의 대용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photoluminescent inductive indicators have been widely used, and these photoluminescent inductive indicators usually emit light accumulated when light is blocked, such as at night after absorbing and accumulating optical energy of sunlight or fluorescent lamps. Therefore, it is easy to identify and confirm evacuation or emergency exits, and in particular, it is a trend that is widely spread in place of evacuation guidance.
한편, 이러한 종래의 축광식 유도표시체는 무기 축광안료를 염화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료에 혼입한 후에 시트 형태로 사용하여 왔었다. On the other hand, such a conventional photoluminescent inducer has been used in the form of a sheet after incorporating an inorganic photoluminescent pigment into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vinyl chloride.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축광식 유도표시체는 인광 휘도가 높지 않고, 잔광성이 짧으며, 그 재질이 염화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화재발생시에 쉽게 연소되어 그 위급상황시에 유도표시의 기능 등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photoluminescent inductive display body does not have high phosphorescence brightness, has a short afterglow, and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vinyl chloride, and is easily burned in the event of a fire.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performed smoothly.
또한, 종래의 축광식 유도표시체는 화재 발생시 염화비닐과 같은 합성수지의 연소로 인해 유독가스의 발생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hotoluminescent induction indicator has a high generation rate of toxic gas due to the combustion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vinyl chloride when a fire occur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인광 휘도가 높고, 잔광성이 길며, 화재발생시에도 쉽게 연소되지 않고, 또한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의 발생율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축광표시체를 제공하는 데 주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has a high phosphorescence brightness, long afterglow, and does not easily burn in the event of a fire, and can also reduce the rate of generation of toxic gases in the event of a fire.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대폭 향상시킨 축광표시체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luminescent display member having significantly improved hea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durability, and wear resista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축광표시체는, 기재의 상부면에 도포된 광반사층과, 광반사층의 상부면에 도포되어 빛을 축적 및 발광하는 축광층과, 축광층의 상부면에 각종 문양이 인쇄된 문양인쇄층과, 문양인쇄층의 상부면에 도포되어 축광층 및 문양인쇄층을 보호하는 톱 코팅층을 포함하고, 축광층은 45~75 중량%의 수성 세라믹스, 20~50 중량%의 불연성 축광안료 및 5~10 중량%의 침강방지제로 이루어진 축광 세라믹스이다.The phot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ight reflection layer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photoluminescent layer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to accumulate and emit light; A pattern printing layer having various patterns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hotoluminescent layer, and a top coating layer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ttern printing layer to protect the photoluminescent layer and the pattern printing layer, and the photoluminescent layer is 45-75% by weight of aqueous Photoluminescent ceramics comprising 20 to 50% by weight of nonflammable photoluminescent pigments and 5 to 10% by weight of antisettling agents.
바람직하게는, 광반사층은 불연성 백색도료가 스프레이 건에 의한 분무방식으로 도포된다. Preferably, the light reflection layer is applied with a non-flammable white paint sprayed by a spray gun.
바람직하게는, 광반사층은 난연성 백색도료가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도포된다. Preferably, the light reflection layer is a flame-retardant white paint is applied by screen printing.
삭제delete
바람직하게는, 축광층은 난연성 축광안료가 스크린인쇄방식으로 도포된다. Preferably, the photoluminescent layer is coated with a flame retardant photoluminescent pigment by screen printing.
바람직하게는, 축광안료는 그 입경이 15~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phosphorescent pig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cle diameter of 15 ~ 50㎛.
바람직하게는, 축광층은 그 도막두께가 20~3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photoluminescent layer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oating film thickness of 20 to 300 µm.
바람직하게는, 톱 코팅층은 60~80 중량%의 2액 반응형 아크릴 실리콘 레진 및 20~40 중량%의 축합반응형 촉매로 이루어진 보호도료가 스프레이 건에 의한 분무방식으로 도포된다. Preferably, the top coating layer is a protective coating consisting of 60 to 80% by weight of two-liquid reactive acrylic silicone resin and 20 to 40% by weight of condensation reaction catalyst is applied by spraying with a spray gun.
바람직하게는, 톱 코팅층은 60~70 중량%의 2액 반응형 아크릴 실리콘 레진, 10~20 중량%의 글래스 비드 및 10~20 중량%의 축합반응형 촉매로 이루어진 보호도료가 스프레이 건에 의한 분무방식으로 도포된다. Preferably, the top coating layer is sprayed with a spray gun with a protective paint consisting of 60-70 wt% two-component reactive acrylic silicone resin, 10-20 wt% glass beads and 10-20 wt% condensation reaction catalyst. Is applied in a manner.
바람직하게는, 톱 코팅층은 수성 세라믹로 이루어진 보호도료가 스프레이 건에 의한 분무방식으로 도포된다. Preferably, the top coating layer is a protective coating made of an aqueous ceramic is applied by spraying with a spray gun.
바람직하게는, 톱 코팅층은 60~85 중량%의 수성 세라믹과, 15~40 중량%의 글래스 비드로 이루어진 보호도료가 스프레이 건에 의한 분무방식으로 도포된다. Preferably, the top coating layer is a protective coating consisting of 60 to 85% by weight of aqueous ceramics and 15 to 40% by weight of glass beads is applied by spraying with a spray gun.
바람직하게는, 톱 코팅층의 상부면에 투명 수성 세라믹이 도포된다. Preferably, a transparent aqueous ceramic is applied to the top surface of the top coating layer.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른 축광표시체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하부면에 부착된 점착제와, 상기 점착제의 하부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이형지와, 상기 기재의 상부면에 도포된 광반사층과, 상기 광반사층의 상부면에 도포되어 빛을 축적 및 발광하는 축광층과, 상기 축광층의 상부면에 각종 문양이 인쇄된 문양인쇄층과, 상기 문양인쇄층의 상부면에 도포되어 축광층 및 문양인쇄층을 보호하는 톱 코팅층을 포함하고, 축광층은 45~75 중량%의 수성 세라믹스, 20~50 중량%의 불연성 축광안료 및 5~10 중량%의 침강방지제로 이루어진 축광 세라믹스이다.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an adhesive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release paper detachably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and light appli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photoluminescent layer applied to a reflective layer, an upper surface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to accumulate and emit light, a pattern printing layer having various patterns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hotoluminescent layer, and a photoluminescent layer appli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attern printing layer A top coating layer for protecting the layer and the pattern printing layer, wherein the photoluminescent layer is a photoluminescent ceramics composed of 45 to 75% by weight of aqueous ceramics, 20 to 50% by weight of nonflammable photoluminescent pigments and 5 to 10% by weight of anti-settling agent.
바람직하게는, 기재는 금속, 합성수지, 나무, 돌,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 중 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Preferably, the substrate is made of any one of metal, synthetic resin, wood, stone,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광표시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llustrates a photoluminescent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광표시체(10)는 기재(基材, 11)의 상부면에 도포된 광반사층(12)과, 광반사층(12)의 상부면에 도포되어 빛을 축적 및 발광하는 축광층(13)과, 축광층(13)의 상부면에 각종 문양이 인쇄된 문양인쇄층(14)과, 문양인쇄층(14)의 상부면에 도포되어 축광층(13) 및 문양인쇄층 (14)을 보호하는 톱 코팅층(top coating layer, 15)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광반사층(12)은 기재(11)의 상부면에 백색도료가 도포됨에 따라 백색층으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축광층(13)에서의 광반사율을 높이며, 축광층(13)의 인광 휘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광반사층(12)은 백색 도료가 초벌식으로 도포된 형태이다. The
이러한 광반사층(12)의 도포작업에 대한 제1실시형태는 수성 세라믹과 같은 불연성 백색도료가 스프레이 건에 의한 분무방식으로 도포처리된다.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ating operation of the
대안적으로, 광반사층(12)의 도포작업에 대한 제2실시형태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난연성 백색도료가 스크린 인쇄되는 방식으로 도포처리된다. Alternatively,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ating operation of the
한편, 기재(11)는 금속, 합성수지, 나무, 돌(대리석, 화강암 등),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일 수 있다. Meanwhile, the
축광층(13)은 축광안료가 광반사층(12)의 상부면에 도포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축광층(13)은 빛을 축적한 후에 야간 또는 정전 등과 같은 비상시에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The
이러한 축광층(13)의 구성에 대한 제1실시형태는 실리콘, 질코니아 등으로 이루어진 45~75 중량%의 수성 세라믹과, 20~50 중량%의 불연성 축광안료와, 5~10 중량%의 침강방지제로 이루어진 축광 세라믹스가 스프레이 건에 의한 분무방식으로 도포된다. 여기서, 침강방지제는 수성 세라믹 내에 축광안료를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또한, 축광층(13)의 구성에 대한 제2실시형태는 난연성 축광안료가 스크린인 쇄방식으로 도포처리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한편, 상술한 축광안료는 그 입경이 15~50㎛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photoluminescent pigments have a particle diameter of 15-50 μm.
이러한 축광층(13)은 그 건조도막두께가 20~300㎛이 되도록 광반사층(12)의 상부면에서 1회 이상 도포처리됨이 바람직할 것이다.(여기서, 1회 도포시의 도막 두께는 최소 20㎛ 이상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와 같이 축광층(13)의 건조도막두께가 20~300㎛일 때 축광층(13)의 인광휘도가 최대치가 됨을 후술하는 실험예로부터 알 수 있다. Thus, it can be seen from the experimental example described later that the phosphorescence luminance of the
또한, 축광층(13)은 두 가지 색 이상의 축광안료를 사용하여, 2회 이상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옐로우 그린(Yellow Green)색과 블루 그린(Blue Green)색을 도포한다. 두 가지 색 이상의 축광안료를 혼합할 경우 초기 휘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광을 오래 지속시킬 수 있는 장잔광성을 높일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yellow green and blue green colors are applied. When two or more colors of phosphorescent pigments are mixed, not only the initial luminance can be increased, but also the long afterglow that can last light emission for a long time.
옐로우 그린색은 축광표시체의 초기 휘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블루 그린색은 장잔광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Yellow green color increases the initial luminance of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and blue green color increases the long afterglow.
따라서, 옐로우 그린색을 도포한 후에 블루 그린색을 추가로 도포하는 경우에는 옐로우 그린색만을 도포한 경우보다 초기 휘도가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발광이 오랜시간 지속 된다. Therefore, when the blue green color is additionally applied after the yellow green color is applied, not only the initial luminance is increased but also the light emission lasts for a long tim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ly the yellow green color is applied.
옐로우 그린색과 블루 그린색을 함께 도포한 경우 옐로우 그린색만을 도포한 것보다 축광층의 인광휘도가 높아지고, 잔광효과가 좋아졌다는 점은 후술하는 실험 예로부터 알 수 있다.When the yellow green color and the blue green color are applied together, the phosphorescence luminance of the photoluminescent layer is higher and the afterglow effect is improved than the yellow green color is applied.
문양인쇄층(14)은 축광층(13)의 상부면에 화살표, 사람모양 등과 같은 유도표시문양 또는 그외의 각종 다양한 문양 등이 난연재로 스크린인쇄 처리되어 형성된다. The
이러한 문양인쇄층(14)에 형성된 문양은 축광층(13)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해 그 모양이 보다 선명하게 표시된다.The pattern formed on the
한편, 문양인쇄층(14)은 축광표시체의 문양 부분을 통해 축광층(13)의 빛이 발광될 수 있고, 반대로 문양 외의 나머지 바탕면을 통해 축광층(13)의 빛이 발광될 수도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톱 코팅층(15)은 보호도료가 문양인쇄층(14)의 상부면에 도포되어 형성되고, 이 톱 코팅층(15)은 축광층(13) 및 문양인쇄층(14)을 보호하게 된다. The
이러한 톱 코팅층(15)에 대한 제1실시형태는 실록산(siloxane)상 결합 아크릴 도료와 같은 액상의 2액 반응형 아크릴 실리콘 레진(60~80 중량%)과, 축합반응형 촉매(20~40 중량%)로 이루어진 보호도료가 스프레이 건을 통해 분무되어 도포처리된다. The first embodiment of the
이러한 보호도료는 실리콘 레진의 작용기가 대기 중의 습기에 의해 축합반응하고, 또한 축합반응형 촉매가 이러한 축합반응을 촉진시켜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10) 최상단층에 보호도막인 톱 코팅층(15)을 형성하게 된다.This protective paint is condensation reaction of the functional groups of the silicone resin with moisture in the atmosphere, and the condensation reaction type catalyst promotes the condensation reaction so that the
톱 코팅층(15)에 대한 제2실시형태는 실록산(siloxane)상 결합 아크릴 도료 와 같은 액상의 2액 반응형 아크릴 실리콘 레진(60~70 중량%)과, 완전구체 형태의 글래스 비드(10~20 중량%)와, 축합반응형 촉매(10~20 중량%)로 이루어진 보호도료가 스프레이 건을 통해 분무되어 도포처리된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이러한 톱 코팅층(15)의 제2실시형태는 완전구체 형태의 글래스 비드가 더 추가됨에 따라, 톱 코팅층(15)의 논슬립(non-slip)구조를 구현하여 그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글래스 비드는 그 입경이 고른 것을 사용함으로써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오염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A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톱 코팅층(15)에 대한 제3실시형태는 수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보호도료가 스프레이 건을 통해 분무되어 도포처리된다.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또한, 톱 코팅층(15)에 대한 제4실시형태는 60~85 중량%의 수성 세라믹과, 15~40 중량%의 글래스 비드로 이루어진 보호도료가 스프레이 건을 통해 분무되어 도포처리된다. Further,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이러한 톱 코팅층(15)의 제4실시형태는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완전구체 형상의 글래스 비드가 추가됨에 따라 톱 코팅층(15)의 논슬립(non-slip)구조를 구현하여 그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글래스 비드는 그 입경이 고른 것을 사용함으로써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오염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10)는 그 최상단층에 난연성 내지 불연성의 톱 코팅층(15)을 형성함으로써, 화재발생시에도 내열효과를 높임과 더불어 유독가스의 발생율을 최소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10)는 톱 코팅층(15)의 상부면에 투명 수 성 세라믹을 추가적으로 도포함으로써, 톱 코팅층(15)의 내마모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10)의 기재(11) 형태를 보다 구체화한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는 금속, 합성수지, 나무, 돌(대리석, 화강암 등),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기재(11a)와, 이 기재(11a)의 하부면에는 부착된 점착제(11b)와, 점착제(11b)의 하부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이형지(11c)로 이루어진다.FIG. 2 is a detailed embodiment of the
한편, 점착제(11b)는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점착제와 난연제가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11b) may be made of a mixture of an acrylic or epoxy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a flame retardant.
본 실시예의 축광표시체(10)는 기재(11a)의 하부에 점착제(11b) 및 이형지(11c)가 부착되며, 이형지(11c)를 점착제(11b)로부터 분리한 뒤에 본 실시예의 축광표시체(10)를 바닥면 또는 벽면 등에 스티커 방식으로 용이하게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한편,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10)는 톱 코팅층(15)의 난연성으로 인해,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11a)가 약 500℃에서도 타지 않아 그 내열효과가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3은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luminesc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 제조방법은 기재(11)의 상부면에 백색도료를 도포하는 광반사층 도포단계(S1)와, 광반사층 도포단계(S1)를 통해 형 성된 광반사층(12)의 상부면에 축광안료를 도포하는 축광층 도포단계(S2)와, 축광층 도포단계(S2)를 통해 형성된 축광층(13)의 상부면에 각종 문양을 인쇄하는 문양 인쇄단계(S3)와, 문양 인쇄단계(S3)를 통해 인쇄된 문양인쇄층(14)의 상부면에 보호도료를 도포하는 톱 코팅층 도포단계(S4)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luminesc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 reflection layer applying step (S1) and a light reflection layer applying step (S1) for applying a white pai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 (S1) A photoluminescent layer applying step (S2) for applying a photoluminescent pigment to the upper surface of 12), and a pattern printing step (S3) for printing various patter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광반사층 도포단계(S1)는 백색도료를 기재(11)의 상부면에 도포함으로써 기재(11)의 상부면에 광반사층(12)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백색도료는 초벌식으로 도포처리된다. The light reflection layer applying step S1 is a step of forming the
이러한 광반사층 도포단계(S1)의 제1실시형태는 수성 세라믹과 같은 불연성 백색도료를 스프레이 건을 이용하여 분무 도포처리하는 방식이다. The first embodiment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coating step S1 is a method of spray coating a non-flammable white paint such as an aqueous ceramic using a spray gun.
이러한 광반사층 도포단계(S1)의 제2실시형태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난연성 백색도료를 스크린인쇄방식으로 도포처리하는 방식이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coating step (S1) is a method of coating the flame-retardant white paint, such as polyester by the screen printing method.
축광층 도포단계(S2)는 광반사층 도포단계(S1)를 통해 형성된 광반사층(12)의 상부면에 축광안료를 도포함으로써, 광반사층(12)의 상부면에 축광층(13)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The photoluminescent layer applying step (S2) forms a
이러한 축광층 도포단계(S2)에 대한 제1실시형태는 실리콘, 질코니아 등으로 이루어진 45~75 중량%의 수성 세라믹과, 20~50 중량%의 불연성 축광안료와, 5~10 중량%의 침강방지제로 이루어진 축광 세라믹스를 스프레이 건에 의한 분무방식으로 도포처리한다. 여기서, 침강방지제는 수성 세라믹 내에 축광안료를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hotoluminescent layer applying step (S2) is 45 to 75% by weight of an aqueous ceramic made of silicon, zirconia, etc., 20 to 50% by weight of a nonflammable photoluminescent pigment, and 5 to 10% by weight of sedimentation. The photoluminescent ceramics made of the inhibitor are applied by spraying with a spray gun. Here, the anti-settling agent serves to uniformly distribute the photoluminescent pigment in the aqueous ceramic.
또한, 축광층 도포단계(S2)에 대한 제2실시형태는 난연성 축광안료를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도포처리한다. Furth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hotoluminescent layer applying step S2, the flame retardant photoluminescent pigment is applied by screen printing.
한편, 상술한 축광안료는 그 입경이 15~50㎛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photoluminescent pigments have a particle diameter of 15-50 μm.
이러한 축광층 도포단계(S2)를 통해 형성된 축광층(13)은 그 건조도막두께가 20~300㎛이 되도록 광반사층(12)의 상부면에서 1회 이상 도포처리됨이 바람직할 것이다.(여기서, 1회 도포시의 도막 두께는 최소 20㎛ 이상이다.)The
이러한 축광층 도포단계(S2)를 통해 형성된 축광층(13)의 건조도막두께가 20~300㎛일 때 축광층(13)의 인광휘도가 최대치가 됨을 후술하는 실험예로부터 알 수 있다. It can be seen from the experimental example described below that the phosphorescence luminance of the
축광층 도포단계(S2)에서는 초기의 휘도 증가와 장잔광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여러 색상을 수회 도포하여 다색의 축광층(13)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photoluminescent layer applying step S2, in order to increase initial luminance and long afterglow, various colors may be applied several times to form 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옐로우 그린색을 3회 도포한 후 블루 그린색을 1회 도포한다. 옐로우 그린색을 3회 도포함으로써, 초기 휘도가 증가하였으며, 블루 그린색을 1 회 추가로 도포함으로써, 발광의 지속성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yellow green color is applied three times and then a blue green color is applied once. By applying the yellow green color three times, the initial luminance was increased, and by applying the blue green color once more, the persistence of light emiss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그러나, 옐로우 그린색과 블루 그린색의 도포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기 때문에, 초기 휘도를 증가시키고, 발광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는 한 이밖에 도포회수나 도포순서 또는 다른 축광안료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However, since the application of the yellow green color and the blue green color is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imes of application or order of application or other photoluminescent pigments can be increased as long as the initial luminance can be increased and the luminous effect can be maintained. You can also use
또한, 도포 횟수에 관해서도 전술한 방식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필요한 조건에 따라 각 색상별로 1회 이상 도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coating is only one embodiment, it may be applied one or more times for each color according to the necessary conditions.
문양 인쇄단계(S3)는 축광층 도포단계(S2)를 통해 형성된 축광층(13)의 상부 면에 화살표, 사람모양 등과 같은 각종 피난 유도용 표시무늬, 회사마크, 그외의 각종 장식용 무늬 등과 같은 다양한 문양을 난연재 스크린인쇄기법으로 인쇄함으로써, 문양인쇄층(14)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Glyph printing step (S3) is a variety of such as various markings, such as arrows, human appearance, such as display patterns, company marks, other decorative patter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이러한 문양 인쇄단계(S3)는 문양인쇄층(14)의 문양 부분을 통해 축광층(13)의 빛이 발광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문양외의 나머지 바탕면을 통해 축광층(13)의 빛이 발광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such a pattern printing step (S3) allows the light of the
톱 코팅층 도포단계(S4)는 문양 인쇄단계(S3)를 통해 형성된 문양인쇄층(14)의 상부면에 보호도료를 도포함으로써 톱 코팅층(15)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Top coating layer application step (S4) is a step of forming a
톱 코팅층 도포단계(S4)에 대한 제1실시형태는 실록산(siloxane)상 결합 아크릴 도료와 같은 액상의 2액 반응형 아크릴 실리콘 레진(60~80 중량%)과, 축합반응형 촉매(20~40 중량%)로 이루어진 보호도료를 스프레이 건을 통해 분무시켜 도포처리한다.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op coating layer coating step (S4) is a liquid two-component reactive acrylic silicone resin (60 to 80% by weight), such as a siloxane-bonded acrylic paint, and a condensation reaction catalyst (20 to 40). A protective paint consisting of weight%) is sprayed through a spray gun and applied.
이러한 보호도료는 실리콘 레진의 작용기가 대기 중의 습기에 의해 축합반응하고, 또한 축합반응형 촉매가 이러한 축합반응을 촉진시켜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10) 최상단층에 보호도막인 톱 코팅층(15)을 형성하게 된다.This protective paint is condensation reaction of the functional groups of the silicone resin with moisture in the atmosphere, and the condensation reaction type catalyst promotes the condensation reaction so that the
톱 코팅층 도포단계(S4)에 대한 제2실시형태는 실록산(siloxane)상 결합 아크릴 도료와 같은 액상의 2액 반응형 아크릴 실리콘 레진(60~70 중량%)과, 완전구체 형태의 글래스 비드(10~20 중량%)와, 축합반응형 촉매(10~20 중량%)로 이루어진 보호도료를 스프레이 건을 통해 분무시켜 도포처리한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op coating layer coating step (S4) is a liquid two-component reactive acrylic silicone resin (60 to 70% by weight), such as a siloxane-bonded acrylic paint, and glass beads in the form of a full sphere (10). 20 wt%) and a condensation reaction catalyst (10-20 wt%) are applied by spraying a spray gun through a spray gun.
이러한 톱 코팅층 도포단계(S4)의 제2실시형태는 완전구체 형태의 글래스 비 드를 더 추가함으로써, 톱 코팅층(15)의 논슬립(non-slip)구조를 구현하여 그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글래스 비드는 그 입경이 고른 것을 사용함으로써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오염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op coating layer applying step S4, the glass beads in the form of a perfect sphere are further added, thereby realizing a non-slip structure of the
톱 코팅층 도포단계(S4)에 대한 제3실시형태는 수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보호도료를 스프레이 건을 통해 분무시켜 도포처리한다. The third embodiment of the top coating layer application step (S4) is applied by spraying a protective paint made of an aqueous ceramic through a spray gun.
또한, 톱 코팅층 도포단계(S4)에 대한 제4실시형태는 60~85 중량%의 수성 세라믹과, 15~40 중량%의 글래스 비드로 이루어진 보호도료를 스프레이 건을 통해 분무시켜 도포처리한다. In addition, a fourth embodiment of the top coating layer coating step (S4) is applied by spraying a protective paint consisting of 60 to 85% by weight of aqueous ceramics and 15 to 40% by weight of glass beads through a spray gun.
이러한 톱 코팅층 도포단계(S4)의 제4실시형태는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완전구체 형상의 글래스 비드를 추가함으로써 톱 코팅층(15)의 논슬립(non-slip)구조를 구현하여 그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글래스 비드는 그 입경이 고른 것을 사용함으로써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오염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top coating layer application step (S4) is to implement a non-slip structure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10)는 그 최상단층에 난연성 내지 불연성의 톱 코팅층(15)을 형성함으로써, 화재발생시에도 내열효과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유독가스의 발생율을 최소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 제조방법은 톱 코팅층(15)의 상부면에 투명 수성 세라믹을 추가적으로 도포함으로써, 톱 코팅층(15)의 내마모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inforce the wear resistance of the
한편, 상술한 각 단계(S1, S2, S3, S4)에서 도포되거나 인쇄된 후에는 소정 온도로 건조시키는 단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러한 각 단계(S1, S2, S3, S4) 후의 건조온도는 120~140℃범위 내이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coating or printing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S1, S2, S3, S4), the step of drying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essentially required, the drying temperature after each of these steps (S1, S2, S3, S4) It is in the range of 120 to 140 ° C.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에 대한 각종 실험결과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Various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4는 수성세라믹스에 50 중량%의 축광안료를 혼입한 축광 세라믹스를 1, 2, 3, 7, 10회 도포한 실험체의 도포횟수와 인광휘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1회 도포시의 도막두께는 최소 20㎛이다.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imes of application of phosphorescent ceramics in which 50% by weight of photoluminescent pigment is mixed in aqueous ceramics and phosphorescence intensity. Here, the coating film thickness at the time of apply | coating once is 20 micrometers at least.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광휘도는 1회 도포시에 KS 규격치를 만족하였고, 3회 도포시까지는 인광휘도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3회 이상의 도포시에는 3회 도포시와 거의 동등한 휘도를 나타내었다.(여기서, 축광안료의 1회 내지 3회 도포시에는 그 도막두께가 20~300㎛ 범위가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phosphorescence luminance satisfied the KS standard value at one time of application, and the phosphorescence intensity value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up to three times of application. (Here, the coating thickness is in the range of 20 to 300 μm when applying the phosphorescent pigment once or three times).
이로부터 1회 도포시와 비교하여, 3회 도포시에는 실험체 상에 축광층(13)의 도포작업이 균일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에 균등한 인광효과가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an equal phosphorescence effect is generated because the coating operation of the
도 5는 10, 20, 30, 40, 50 80 중량%의 축광안료가 혼입된 축광 세라믹스를 실험체 상에 도포한 상태에서의 인광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여기서, 축광 세라믹스의 도포횟수는 3회이다.)FIG. 5 is a graph showing phosphorescence luminance in a state in which 10, 20, 30, 40, 50 and 80% by weight of phosphorescent pigments are coated on a test specimen. (In this case, the number of application of the phosphorescent ceramics is three times. to b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광휘도는 축광안료의 혼입율이 20 중량% 이상일 때 KS규격치를 만족하였다. 이러한 축광안료의 혼입율이 증대하면 이에 비례하여 인광휘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축광안료의 혼입율이 50 중량% 일 경우에 인광휘도치가 최고치(1248 mcd/m2)를 나타냈으며, 축광안료의 혼입율이 80 중량%가 되면 축광안료의 혼입율이 20 중량%일 때와 동동치로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즉, 축광안료의 혼입율이 50 중량% 이상으로 높게 되면 점성이 증가하여 스프레이 건 내에서 축광안료가 뭉쳐져 축광 세라믹스 내에서 축광안료가 손실되므로 인광휘도가 대폭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ure 5, the phosphorescence luminance satisfied the KS standard value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phosphorescent pigment is 20% by weight or more. When the mixing rate of the phosphorescent pigment increased, the phosphorescence brightness also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the phosphorescent pigment, and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phosphorescent pigment was 50% by weight, the phosphorescence brightness was the highest (1248 mcd / m 2 ). When the mixing ratio was 80% by weight, it was found that the mixing ratio of the phosphorescent pigment was reduced to the same level as when the mixing ratio was 20% by weight. That is, when the incorporation rate of the phosphorescent pigment is higher than 50% by weight, the viscosity increases and the phosphorescent pigment aggregates in the spray gun, so that the phosphorescent pigment is lost in the phosphorescent ceramics.
도 6은 15, 50㎛의 입경인 축광안료를 혼입한 실험체의 인광휘도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축광 세라믹스의 도포횟수는 3회, 축광안료의 혼입율은 30 중량%이다. Fig. 6 shows the phosphorescence luminance results of a test specimen incorporating a phosphorescent pigment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5 and 50 µm, wherein the number of application of the phosphorescent ceramics is three times and the mixing ratio of the phosphorescent pigment is 30% by weight.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광안료 입경이 15, 50㎛ 모두 KS규격치를 만족하였다. 하지만, 축광안료 입경이 15㎛인 경우가 50㎛인 경우 보다 약 1.7배 높은 인광휘도를 보였다. 그 원인은 축광안료의 사용량이 각각의 경우 동일한 중량이므로 축광 세라믹스를 도포한 실험체의 표면적에 접착하는 축광안료의 차이에 의한 것이라 사료된다. As shown in Figure 6, the phosphorescent particle diameter of 15, 50㎛ both satisfy the KS standard value. However, when the phosphorescent particle diameter was 15 µm, the phosphorescence luminance was about 1.7 times higher than that of 50 µm.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amount of the photoluminescent pigment is the same weight in each case, which is probabl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photoluminescent pigment adhering to the surface area of the test specimen coated with the photoluminescent ceramics.
도 7은 톱 코팅층(15)의 유무가 축광안료의 인광휘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 낸 그래프로서, 여기서 축광 세라믹스의 도포횟수는 3회, 축광안료의 혼입율은 50 중량%, 축광안료 입경은 15㎛이다. 7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광휘도는 톱 코팅층(15)의 유무와 상관없이 동등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톱 코팅층(15)의 도포로 인한 인광휘도의 저하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축광 세라믹스의 표면 보호를 위한 톱 코팅층(15)의 효과가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 7, the phosphorescence brightness showed an equivalent value with or without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체를 옥내 및 옥외에 1개월간 설치하여 그 인광휘도를 측정함으써 실험체의 내후성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여기서 축광 세라믹스의 도포횟수는 3회, 축광안료의 혼입율 30 중량%, 축광안료 입경은 15㎛이다. Figure 8 is a graph showing the weather resistance of the test specimen by installing the test specim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oors and outdoors for one month and measuring its phosphorescence brightness, wherein the number of application of the photoluminescent ceramics is three times, the mixing ratio of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광휘도는 옥내ㆍ외 및 폭로(暴露) 전ㆍ후 각각의 치수를 비교하여도 거의 동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축광 세라믹스는 1개월이 경과하여도 열화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 8, the phosphorescence luminance was found to be almost equivalent even when comparing the dimensions of indoor and outdoor and before and after exposu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hotoluminescent ceramics did not deteriorate even after one month.
도 9는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에 대한 채도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9 is a graph showing saturation measurement results for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채도 측정실험은 축광 세라믹스의 3회 도포, 축광안료 혼입율 30 중량%, 축광안료 입경 15㎛의 실험조건으로 제작된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10)와, 대조군 1(염화비닐 재질의 축광표지)과, 대조군 2(일반적인 바닥용 축광 타일)을 24시간 동안 암실에 안치한 후에, 상용 광원 형광램프 D65를 200lx의 조도로 설정한 상태에서 각 실험체에 빛을 20분간 발광한다. 그런 다음에, 실험체에 대해 색채 색차계 (미놀타 CR-310)를 연직방향으로 설치하여 축광부분의 채도를 측정하였다. The saturation measurement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ree times the application of the photoluminescent ceramics, the phosphorescent pigment content of 30% by weight, th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10)는 대조군 1, 2와 거의 동등한 채도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10)는 피난 유도용 표시체로서 상당히 높은 시인성(視認性)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 9,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축광표시체에 있어서 다색 축광층과 인광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color photoluminescent layer and phosphorescence luminance in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서는 옐로우 그린색 축광안료를 3회 도포하고, 블루 그린색 축광안료를 1회 도포한 다색 축광층을 갖는 축광표시체와 옐로우 그린색 축광안료 만을 1회 도포한 단색 축광층을 갖는 축광표시체의 시간에 따른 인광휘도를 비교하였다..FIG. 10 shows a photoluminescent display having a photoluminescent display having a multicolor photoluminescent layer coated three times with a yellow green photoluminescent pigment, and a single photoluminescent layer coated with only a yellow green photoluminescent pigment. Phosphorescence intensity was compared with sieve time.
다음 표 1은 다색 축광층을 갖는 축광표시체와 단색 축광층을 갖는 축광표시체의 시간에 따른 인광휘도를 나타낸 것이다.Table 1 shows the phosphorescence luminance over time of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having a multicolor photoluminescent layer and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having a single color photoluminescent layer.
표 1과 도 1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다색 축광층을 갖는 축광표시체와 단색 축광층을 갖는 축광표시체 모두가 KS 규격을 만족하지만, 다색 축광층을 갖는 축광표시체와 단색 축광층을 갖는 축광표시체를 서로 비교하면, 다색 축광층을 갖는 축광표시체가 초기 인광휘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광 지속성 측면에서도 단색 축광층을 갖는 축광표시체 보다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Referring to Table 1 and the bar shown in Fig. 10, although both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having a multicolor photoluminescent layer and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having a single color photoluminescent layer satisfy the KS standard,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having a multicolor photoluminescent layer and the monochromatic photoluminescent layer Comparing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with each other,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having a multicolor photoluminescent layer exhibits a high initial phosphorescence luminance, and has a superior effect over the photoluminescent display having a single photoluminescent layer in terms of luminescence persistence with tim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인광 휘도가 높고, 잔광성이 길며, 화재발생시에도 쉽게 연소되지 않고, 또한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의 발생율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that the phosphorescence brightness is high, the afterglow property is long, it is not easily burned even in the event of a fire, and the generation rate of the toxic gas at the time of the fire is grea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대폭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significantly improved hea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durability and wear resistance.
Claims (3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50068270 | 2005-07-27 | ||
KR1020050068270 | 2005-07-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3991A KR20070013991A (en) | 2007-01-31 |
KR100684643B1 true KR100684643B1 (en) | 2007-02-22 |
Family
ID=3801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02491A KR100684643B1 (en) | 2005-07-27 | 2006-01-10 | Luminescent bod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464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0298B1 (en) * | 2007-03-05 | 2008-09-25 | 야스히로 고바야시 | A luminescent apparatus |
KR102348394B1 (en) * | 2021-08-10 | 2022-01-10 | 한국산재장애인협회(주) | Anti-slip flooring block with phosphorescent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2006
- 2006-01-10 KR KR1020060002491A patent/KR10068464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공개특허공보 2000-66844 (2000.11.15.공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3991A (en) | 2007-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43151B2 (en) | Afterglow coating for cabins | |
EP2085451A1 (en) | Luminous phosphor, fluorescent lamp, luminous display, and luminous molded product | |
CN102082224A (en) | Optical film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 |
EP0522785A2 (en) | Phosphorescent panel | |
JP2013139106A (en) | White light storage luminescence film material | |
KR100684643B1 (en) | Luminescent body | |
JP5568839B2 (en) | Luminescent phosphor, fluorescent lamp, luminous display, and luminous molded product | |
JP2002366065A (en) | Guide plate | |
CN1485302A (en) | Process for producing luminous ceramic products | |
CN104403552B (en) | Outdoor use high-performance optical storage-spontaneous luminous membrane preparation method | |
KR20060122398A (en) | Guide indicating plate using luminescent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afacturing therof | |
JPH10102436A (en) | Optical guidance sheet by inorganic ceramic light emitter | |
JP5749097B2 (en) | Phosphorescent sign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 |
JPH10102443A (en) | Light emission indicating road member | |
JP2000346024A (en) | Luminescent bolt and luminescent article | |
KR100268605B1 (en) | Luminous t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2003502448A (en) | Long term phosphorescence and / or enhancement of the brightness of the fluorescent surface | |
KR200434530Y1 (en) | Emergency guide lamp using luminescent material | |
KR100882220B1 (en) | Dried mud block coated with phosphorescent phosphor lay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200346098Y1 (en) | Luminous block | |
US20140319416A1 (en) | Epoxy encapsulated fluorescent coating | |
KR101417436B1 (en) | long time luminous tile manufacturing methods and long time luminous tiles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
JP5337604B2 (en) | Luminescent mold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hosphorescent molded body | |
KR200163255Y1 (en) | Luminousness tile | |
KR102635815B1 (en) | Luminescent typed visibility indic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20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