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078B1 -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078B1
KR100684078B1 KR1020050021940A KR20050021940A KR100684078B1 KR 100684078 B1 KR100684078 B1 KR 100684078B1 KR 1020050021940 A KR1020050021940 A KR 1020050021940A KR 20050021940 A KR20050021940 A KR 20050021940A KR 100684078 B1 KR100684078 B1 KR 100684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a hoop
main body
protrusions
acupress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1878A (ko
Inventor
김용각
Original Assignee
김용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각 filed Critical 김용각
Priority to KR102005002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078B1/ko
Publication of KR20050081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878A/ko
Priority to PCT/KR2006/000901 priority patent/WO2006098576A1/en
Priority to US11/908,788 priority patent/US2009010484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 훌라후프의 특징은, 본체 재질을 소정의 강도를 갖는 연질(반고체)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토록 하여 본체의 내측을 외측으로 간단하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훌라우프를 가지고 높고 낮은 돌기 2가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훌라후프와는 비교할 수 없는 지압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 훌라후프의 경우 사용치 아니할 때에는 어느 정도의 탄력적인 경직성으로 말미암아 원형을 유지하게 되지만, 훌라후프를 돌리는 회전 속도가 빨라지면 연질의 훌라후프가 갖는 유연성 및 탄력성으로 인해 본체는 타원형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는 결국 회전 반경이 커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됨으로 인하여 더 많은 갯수의 돌기가 사용자의 몸에 닿게 되고, 또한 더 세게 사용자의 몸을 압박 하게 됨으로 더 큰 지압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재질의 유연성으로 말미암아 훌라후프의 본체를 뒤집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몸에 닿는 돌기의 높이 정도 및 지압의 세기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체를 뒤집어 본체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뒤바꿀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측면이 외측면이 되며, 외측면이 내측면이 되게 하여, 내측면 및 외측면에 부착된 돌기의 높이를 2중으로 변형시킬 수 있어 매우 다양하게 지압의 효과를 배가 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돌기는 본체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므로 그 수를 얼마든지 조정할 수도 있는 바, 본체에 형성된 구멍에 모두 돌기를 끼워 넣어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동전 하나만 가지고서도 간단하게 나사를 풀어 모든 돌기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를 여러가지 실시예로 구성할 경우 매우 다양한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어서 기존것과는 크게 다른 것이다.
또한 종래의 흘라우프는 언제나 직경이 약1m 크기 내외로 고정되어 있지만, 본원발명의 경우는 훌라후프를 여러번(3겹이 적당) 접을 수가 있으므로 직경의 크기를 30㎝ 이하로 크게 줄일 수가 있어, 가방(백)에도 넣을 수 있어 휴대 및 보관도 매우 편리하게 한 것이다.
또한 본체의 단면이 마름모꼴 형상이고, 뒤집기가 용이하며, 색상이 반투명 칼라이므로 회전시 빛의 반사광이 많아 외관이 화려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어 기존것과는 완전히 차별화되어 종래것과는 전혀 비교할 수 없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훌라후프

Description

훌라후프{a hula hoop}
도1은 본 발명 훌라후프의 평면도
도2는 도1의 훌라후프를 뒤집어 놓은 상태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 훌라후프가 타원형으로 변형 되었을때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 훌라후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5는 본 발명 훌라후프의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6은 도5의 훌라후프를 뒤집어 놓은 상태의 평면도
도7은 본 발명 훌라후프의 또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8은 도7의 훌라후프를 뒤집어 놓은 상태의 평면도
도9는 본 발명 훌라후프의 또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 훌라후프의 부분 확대 평면도.
도11은 본 발명 훌라후프의 부분 확대 측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구성 부품인 돌기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구성 부품인 돌기의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구성 부품인 돌기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분해 측면도
통상적인 훌라후프는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되, 둥글게 연결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토록 한 것으로, 이를 허리에 두루고 회전을 시키도록 함으로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훌라후프를 허리에 걸친 후, 허리를 돌려 훌라후프를 회전시키면 훌라후프는 원심력에 의하여 계속 회전하게 되고, 사용자는 훌라후프의 회전을 계속 유지시키기 위하여 허리를 계속 움직여야 함으로 자연히 허리나 다리등이 운동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훌라후프는 단순히 몸을 움직여서 운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작용외에는 지압효과와 같은 다른 건강증진 효과는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지압효과를 갖도록 훌라후프의 본체 둘레에 다수개의 돌기를 결합한 훌라후프가 개발되었으나, 이 또한 지압 기능이 단순하여 큰 지압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즉 종래의 지압 효과를 갖는 훌라후프는 몸체의 재질이 어느 정도 딱딱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회전을 할 때나, 회전을 하지 않을때나 관계없이 언제나 그 형상이 둥그런 파이프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언제나 동일한 형상(원형상)으로 회전을 하게 됨으로 사용자의 허리에 닿는 부위도 일정하여 그 지압 효과도 매우 단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언제나 직경이 약 1m 정도나 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갖게 됨으로, 크 기가 커서 휴대 및 보관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돌기의 경우도 이를 한번 결합시키면 그 자체로 고정되는 것이므로, 체결된 돌기의 갯수 및 돌기의 튀어 나온 정도의 크기도 언제나 함께 고정되어 변형시킬 수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몸에 닿는 돌기의 갯수 및 돌기의 접촉면의 크기도 동일하여 결국은 지압의 세기 정도를 변형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 훌라후프의 특징은, 본체 재질을 소정의 강도를 갖는 연질(반고체)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토록 하여 본체의 내측을 외측으로 간단하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훌라우프를 가지고 높고 낮은 돌기 2가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돌기의 체결방식을 독특하게 하여 기존의 훌라후프와는 비교할 수 없는 지압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원래 본 발명 훌라후프의 경우 사용치 아니할 때에는 어느 정도의 탄력적인 경직성으로 말미암아 원형을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훌라후프를 돌리는 회전 속도가 빨라지면 연질의 훌라후프가 갖는 유연성 및 탄력성으로 인해 본체는 타원형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는 결국 회전 반경이 커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됨으로 인하여 더 많은 갯수의 돌기가 사용자의 몸에 닿게 되고, 또한 더 세게 사용자의 몸을 압박하게 됨으로 더 큰 지압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훌라후프(10)는 회전시에도 원형을 유지하지만 본 발명 훌라후프(1)는 타원형을 유지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 이 기존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재질의 유연성으로 말미암아 훌라후프의 본체를 뒤집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몸에 닿는 돌기의 높이 및 지압의 세기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체를 뒤집어 본체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뒤바꿀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측면이 외측면이 되며, 외측면이 내측면이 되게 하여, 내측면 및 외측면에 부착된 돌기의 높이를 2중으로 변형시킬 수 있어 지압의 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종래의 흘라우프는 언제나 직경이 약1m 크기 내외로 고정되어 있지만, 본원발명의 경우는 훌라후프를 접을 수가 있으므로(3겹으로 접는 것이 적당) 직경의 크기를 30㎝ 이하로 크게 줄일 수가 있어, 가방(백)에도 넣을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의 단면이 마름모꼴 형상이고, 색상이 반투명 칼라이므로 회전시 빛의 반사광이 많아 외관이 화려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훌라후프(1) 본체(2)의 원형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의 구멍(8)을 형성한 후, 상기 각각의 구멍(8)을 중심으로 돌기(3)를 체결하되, 체결된 다수개의 돌기(3) 중 일부의 돌기는 본체(2) 내측면 안쪽으로 낮은 높이로만 튀어나오게 구성하며, 나머지 돌기는 내측면 안쪽으로 높은 높이로 튀어나오게 구성한 것으로, 상기 훌라후프 본체(2)의 재질을 소정의 강도를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토록 함으로서, 본체(2)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뒤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돌기(3)는, 돌기의 상반부 몸체(4)와 하반부 몸체(5) 사이에 훌라후프의 본체(2)를 끼운 후, 돌기 몸체 상단에 형성된 머리 볼트부(6)를 조여 나사(7) 방식으로 결합토록 하였다.
상기 머리 볼트부(6)를 조임에 있어서는 동전 등으로도 쉽게 조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훌라후프의 가장 큰 특징은 훌라후프의 재질을 소정의 강도를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토록 하여 유연성과 탄력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본체의 내측을 외측으로 뒤집을 수 있어 이에 따른 지압 효과를 극대화 시킨 것이며, 또한 돌기의 결합 구성을 독특하게 하여 이에 따라 매우 다양한 지압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 기존것보다 크게 다른 것이다.
본 발명 훌라후프(1)의 경우, 본체(2)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의 구멍(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구멍(8)에는 각각 돌기(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돌기(3)는 상반부 몸체(4)와 하반부 몸체(5)로 나뉘어 지며, 상기 상반부 몸체(4)와 하반부 몸체(5) 사이에 훌라후프의 본체(2)를 끼운 후, 돌기 몸체 상단에 형성된 머리 볼트부(6)를 조여 나사(7)식으로 결합토록 하였다.
즉 훌라후프 본체(2)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8) 내측과 돌기(3)의 하반부 몸체(5) 내측에는 나사부(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돌기(3) 머리 볼트부(6)에 형성된 나사(7)(숫나사)를 조여 결합시키면 조립식으로 쉽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체에 결합된 돌기의 갯수는 도면상으로 27 내지 28개를 도시하였으나,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돌기는 본체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므로 그 수를 얼마든지 조정할 수도 있는 바, 본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8)에 모두 돌기(3)를 끼워 넣어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모든 돌기를 제거(구멍에 돌기를 한개도 끼우지 않음)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돌기와 돌기 사이의 간격도 조정(도9참조)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돌기의 갯수는 얼마든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조정할 수도 있는 것이며, 돌기의 튀어 나온 정도의 높이도 조정이 가능한 것이므로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재질의 유연성으로 말미암아 훌라후프의 본체를 뒤집을 수가 있어, 사용자의 몸에 닿는 돌기의 크기 및 지압의 세기 정도도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본체를 뒤집어 본체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뒤 바뀌도록 하면, 내측면이 외측면이 되고, 외측면이 내측면이 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하면 내측면 및 외측면에 부착된 돌기의 크기를 2중으로 변형시킬 수 있어 지압의 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27개의 돌기 중 3개마다 1나씩 9개의 돌기는 그 높이를 안쪽으로는 약간 낮게 , 바깥쪽으로는 높게 구성할 경우,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를 뒤집으면 9개의 돌기의 경우 안쪽으로는 높게 구성되고, 바깥쪽으로는 낮은 상태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정반대의 지압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되 는 것으로, 이를 여러가지 실시예로 구성할 경우 매우 다양한 지압 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훌라후프의 특징은, 본체 재질을 소정의 강도를 갖는 연질(반고체)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토록 하여 본체의 내측을 외측으로 간단하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훌라우프를 가지고 높고 낮은 돌기 2가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돌기의 체결방식을 독특하게 하여 기존의 훌라후프와는 비교할 수 없는 지압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 훌라후프의 경우 사용치 아니할 때에는 어느 정도의 탄력적인 경직성으로 말미암아 원형을 유지하게 되지만, 훌라후프를 돌리는 회전 속도가 빨라지면 연질의 훌라후프가 갖는 유연성 및 탄력성으로 인해 본체는 타원형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는 결국 회전 반경이 커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됨으로 인하여 더 많은 갯수의 돌기가 사용자의 몸에 닿게 되고, 또한 더 세게 사용자의 몸을 압박 하게 됨으로 더 큰 지압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재질의 유연성으로 말미암아 훌라후프의 본체를 뒤집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몸에 닿는 돌기의 크기 정도 및 지압의 세기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체를 뒤집어 본체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뒤바꿀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측면이 외측면이 되며, 외측면이 내측면이 되게 하여, 내측면 및 외측면에 부착된 돌기의 크기를 2중으로 변형시킬 수 있어 지압의 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돌기는 본체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므로 그 수를 얼마든지 조정할 수도 있는 바, 본체에 형성된 구멍에 모두 돌기를 끼워 넣어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모든 돌기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훌라후프는 언제나 직경이 약1m 내외로 고정되어 있지만, 본원발명의 경우는 훌라후프를 여러번 접을 수가 있으므로 직경의 크기를 30㎝ 이하로 크게 줄일 수가 있어, 가방(백)에도 넣을 수 있어 휴대 및 보관도 매우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의 단면이 마름모꼴 형상이고, 색상이 반투명 칼라이므로 회전시 빛의 반사광이 많아 외관이 화려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훌라후프(1) 본체(2)의 원형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의 구멍(8)을 형성한 후, 상기 각각의 구멍(8)을 중심으로 돌기(3)를 체결하며, 체결된 다수개의 돌기(3) 중 일부의 돌기는 본체(2) 내측면 안쪽으로 낮은 높이로 튀어나오게 구성하며, 나머지 돌기는 내측면 안쪽으로 높게 튀어나오도록 구성하되, 상기 돌기(3)는 돌기의 상반부 몸체(4)와 하반부 몸체(5) 사이에 훌라후프의 본체(2)를 끼운 후, 돌기 몸체 상단에 형성된 머리 볼트부(6)를 조여 나사(7) 방식으로 결합토록 하며, 상기 훌라후프 본체(2)의 재질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토록 함으로서, 본체(2)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뒤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2. 삭제
KR1020050021940A 2005-03-16 2005-03-16 훌라후프 KR100684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940A KR100684078B1 (ko) 2005-03-16 2005-03-16 훌라후프
PCT/KR2006/000901 WO2006098576A1 (en) 2005-03-16 2006-03-14 A hula hoop
US11/908,788 US20090104840A1 (en) 2005-03-16 2006-03-14 Hula hoo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940A KR100684078B1 (ko) 2005-03-16 2005-03-16 훌라후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282U Division KR200388197Y1 (ko) 2005-04-14 2005-04-14 훌라후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878A KR20050081878A (ko) 2005-08-19
KR100684078B1 true KR100684078B1 (ko) 2007-02-16

Family

ID=3699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940A KR100684078B1 (ko) 2005-03-16 2005-03-16 훌라후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104840A1 (ko)
KR (1) KR100684078B1 (ko)
WO (1) WO20060985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0090A2 (ko) * 2008-09-10 2010-03-18 Lee Woon 조립식 가변 훌라후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259B1 (ko) * 2005-10-01 2006-11-10 김용재 수직방향으로 허리살이 가압되는 훌라후프
US20090017719A1 (en) * 2007-07-13 2009-01-15 Kun Yuan Lin Structure of hula hoop
USD899545S1 (en) * 2019-02-21 2020-10-20 Gary D Stadler Lyra r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7039A (en) * 1975-02-06 1976-05-18 Ehren Fritz H Roller massager
US4052982A (en) * 1976-10-04 1977-10-11 Gennady Ozeryansky Massage hoop
US5490806A (en) * 1994-08-09 1996-02-13 Spector; Donald Toy hoop
US5997449A (en) * 1998-04-13 1999-12-07 Lee; Joseph Chen Lung Structure of a hula-hoop
KR200171514Y1 (ko) * 1998-09-02 2000-03-15 김상용 구슬을 갖는 훌라후프
US6056621A (en) * 1999-06-09 2000-05-02 Lin; Ruey-Hsiung Hula hoop
USD443002S1 (en) * 1999-08-30 2001-05-29 Lento Co., Ltd. Member for use in a hula-hoop
USD450097S1 (en) * 1999-11-17 2001-11-06 Lento Co., Ltd. Hula-hoop
KR200187828Y1 (ko) * 2000-01-14 2000-07-15 김준배 훌라후프
US6231420B1 (en) * 2000-01-21 2001-05-15 Reh-Shong Lin Hula ring structure
KR20010102784A (ko) * 2000-05-08 2001-11-16 이재영 휴대 및 건강증진용 후프
EP1377350A1 (en) * 2001-02-27 2004-01-07 Tae-Il Kuk Hula hoop
US6533635B1 (en) * 2002-02-27 2003-03-18 Ming-Dong Chern Foldable hula hoop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0090A2 (ko) * 2008-09-10 2010-03-18 Lee Woon 조립식 가변 훌라후프
WO2010030090A3 (ko) * 2008-09-10 2010-06-17 Lee Woon 조립식 가변 훌라후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878A (ko) 2005-08-19
US20090104840A1 (en) 2009-04-23
WO2006098576A1 (en)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078B1 (ko) 훌라후프
US6266853B1 (en) Non-rotatable enclosing buckle of fabric article
US20080255484A1 (en) Massage member, massage device and packaging and dispensing assembly incorporating such a massage device
CN209684376U (zh) 封闭组件
WO2007032545A3 (en) Plastic bottle
US20060236814A1 (en) Bottle cap turning device
US6533635B1 (en) Foldable hula hoop structure
KR200388197Y1 (ko) 훌라후프
US20040217117A1 (en) Cover for the great water outlet of a water bag
KR100787933B1 (ko) 훌라후프
US3302679A (en) Baskets, panniers, bowls and the like
US9908003B1 (en) Detachable exercise pad
US10192532B2 (en) Telescoping musical drum
US5873487A (en) Handle piece with rotatable assembly
TWI337566B (ko)
KR200249553Y1 (ko) 훌라후프
KR200478890Y1 (ko) 다단형 립스틱 용기
KR200232242Y1 (ko) 훌라후프
KR200291940Y1 (ko) 응원용구
KR960002737Y1 (ko) 소프트볼용 배트
US20060166767A1 (en) Sporting racket
JP2009102066A (ja) キャップ
KR200245360Y1 (ko) 훌라후프
KR200305537Y1 (ko) 훌라후프
KR200362630Y1 (ko) 회전기능을 가지는 반구형 받침대를 가지는 지압판 운동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