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415B1 - 불량픽셀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불량픽셀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415B1
KR100683415B1 KR1020050133602A KR20050133602A KR100683415B1 KR 100683415 B1 KR100683415 B1 KR 100683415B1 KR 1020050133602 A KR1020050133602 A KR 1020050133602A KR 20050133602 A KR20050133602 A KR 20050133602A KR 100683415 B1 KR100683415 B1 KR 100683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value
component
flag
b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3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415B1/ko
Priority to CNA2006800499742A priority patent/CN101352048A/zh
Priority to PCT/KR2006/005844 priority patent/WO2007075065A1/en
Priority to US12/159,385 priority patent/US813111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15Image demosaicing, e.g. colour filter arrays [CFA] or Baye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량픽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되는 베이어 패턴 이미지에 대하여 그 성분별 데이터로 분리하고, 각 성분별 데이터에서 각 데이터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한 화소값들의 분포(패턴)를 구하고,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을 기준으로 한 비교값을 구한 뒤 이를 이용하여 불량픽셀 및 핫픽셀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외부 플래그를 출력하고,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에서 중심 화소와 주변 화소값을 비교하여 중심 화소를 기준으로 한 측정값을 구하여, 이를 이용하여 내부 플래그를 출력하여, 불량픽셀 또는 핫픽셀을 보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량픽셀 또는 핫픽셀인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보정할 수 있다.
불량픽셀, 핫픽셀, 보정, 중심 화소, 마스크, 픽셀, 중앙값

Description

불량픽셀 처리 장치{Method for processing dead pix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픽셀 처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2a는 도 1에 입력되는 6×6 베이어 패턴 이미지의 일예시도,
도 2b는 도 2a의 베이어 패턴을 3×3 구조의 성분으로 분리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
도 3은 도 1의 패턴 비교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조도
도 4는 도 3의 중앙값 검출부, 절대값 검출부1, 차이값 검출부 및 비교값 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
도 5는 도 3의 절대값 검출부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장치에 입력되는 원영상을 나타낸 일예시도,
도 6b는 도 6a에 대하여 불량픽셀을 검출하여 보정을 수행한 것을 나타낸 일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성분 분리부 120 : 패턴 비교부
130 : 보정부 121 : 중앙값 검출부
122, 126 : 절대값 검출부 124 : 비교값 검출부
125 : 외부 플래그 생성부 127 : 내부 플래그 생성부
본 발명은 불량픽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 센서 등에 사용하기 위한 불량픽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는 여러 개의 픽셀(pixel)이 2차원 구조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픽셀은 들어오는 빛의 밝기에 따라서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전기 신호를 측정하면 각 픽셀에 유입되는 빛의 양을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픽셀 단위의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센서는 수십만에서 수백만개의 픽셀로 이루어진 픽셀 어레이와, 픽셀에서 감지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장치와, 수백 내지 수천개의 저장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많은 수의 장치들로 인해 이미지 센서는 공정상의 오류를 가질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픽셀들 중에는 불량픽셀(dead pixel) 또는 핫픽셀(hot pixel)이 발생되며, 이와 같은 불량픽셀은 이미지 센서의 등급과 가격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불량픽셀에 의해 생성된 픽셀 데이터는 인접 픽셀에 의해 생성 된 픽셀 데이터보다 지나치게 크거나 또는 반대로 지나치게 작은 특징이 있다.
종래의 불량픽셀 처리 방식은 주로 기준 픽셀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일정범위를 넘는 경우에는 이를 불량픽셀로 정의하고 이를 보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하드웨어 자원을 많이 사용하고, 조밀한 영상이나 밝기의 차이가 심한 영상의 경우에는 인접 픽셀간 차이가 심하게 발생하므로, 실제로 불량픽셀이 아닌 경우에도 불량픽셀로 취급되어 보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복원된 영상은 실제 영상에 비해 많은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6×6 마크스 내에서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의 패턴 및 다른 성분들의 패턴을 비교하여 불량픽셀 또는 핫픽셀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불량픽셀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량픽셀에 대하여 보정된 하나의 화소값을 출력하기 위한 불량픽셀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되는 베이어 패턴 이미지에 대하여 그 성분별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 및 각 성분별 데이터에서 각 데이터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한 화소값들의 분포(패턴)를 구하고,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을 기준으로 한 비교값을 구한 뒤 이를 이 용하여 불량픽셀 및 핫픽셀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외부 플래그를 출력하고,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에서 중심 화소와 주변 화소값을 비교하여 중심 화소를 기준으로 한 측정값을 구하여, 이를 이용하여 내부 플래그를 출력하기 위한 비교부를 포함하는 불량픽셀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 상기 비교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외부 플래그 및 상기 내부 플래그를 이용하여 보정된 화소값을 출력하기 위한 보정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정부는, 상기 외부 플래그 및 상기 내부 플래그를 참조로 하여, 불량픽셀/핫픽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 데이터의 중앙값(median)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외부 플래그 및 상기 내부 플래그를 참조로 하여, 불량픽셀/핫픽셀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중심 화소를 출력한다.
상기 비교부는, 상기 성분별로 분리된 데이터의 상기 중앙값을 검출하기 위한 중앙값 검출부; 상기 성분별로 분리된 데이터의 각 구성원소에서 상기 중앙값을 뺀 값의 절대값을 검출하기 위한 제1절대값 검출부;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1절대값 검출부의 출력에서, 그 외 성분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1절대값 검출부의 출력을 각각 차감한 값의 절대값인 차이값을 검출하기 위한 차이값 검출부; 상기 차이값 검출부의 출력을 합산하여 상기 성분별로 분리된 데이터의 구성원소별 비교값을 검출하기 위한 비교값 검출부; 상기 비교값과 불량픽셀 임계값 및 핫픽셀 임계값을 각각 비교하여, 불량픽셀 및 핫픽셀의 존재 여부에 대한 상기 외부 플래그를 생성하기 위한 외부 플래그 생성부; 상기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 분 데이터의 각 원소에서 중심 화소값을 차감한 값의 절대값을 검출하기 위한 제2절대값 검출부; 및 조도 분류를 위한 임계값과 상기 성분별로 분리된 데이터의 상기 중앙값을 이용하여 내부 플래그를 위한 임계값을 설정하고, 이에 의해 내부 플래그를 생성하기 위한 내부 플래그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부 플래그 생성부는, 상기 구성원소별 비교값과 상기 불량픽셀 임계값을 각각 비교하여, 중심 화소에 대한 비교값만이 상기 불량픽셀 임계값보다 큰 경우, 또는 상기 구성원소별 비교값과 상기 핫픽셀 임계값을 각각 비교하여, 중심 화소에 대한 비교값만이 상기 핫픽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불량픽셀/핫픽셀이 존재하는 것으로 외부 플래그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내부 플래그 생성부는, 각 성분별로 분리된 데이터의 중앙값의 합을 구하여 이에 따라 상기 내부 플래그를 위한 임계값을 설정하고, 상기 제2절대값 검출부에서 구한 구성원소별 절대값이 상기 내부 플래그를 위한 임계값보다 모두 큰 경우에는 불량픽셀/핫픽셀이 존재하는 것으로 내부 플래그를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불량픽셀을 처리하는 이미징 장치의 이미지 프로세서에 있어서, 입력되는 베이어 패턴 이미지에 대하여 그 성분별로 분리하여, 각 성분별 데이터에서 각 데이터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한 화소값들의 분포(패턴)를 구하고,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을 기준으로 한 비교값을 구한 뒤 이를 이용하여 불량픽셀 및 핫픽셀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외부 플래그를 출력하고,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에서 중심 화소와 주변 화소값을 비교하여 중심 화소를 기준으로 한 측정값을 구하여, 이를 이용하여 내부 플래그를 출력하기 위한 불량픽셀 처리부; 및 상기 비교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외부 플래그 및 상기 내부 플래그를 이용하여 보정된 화소값을 출력하기 위한 보정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세서가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픽셀 처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불량픽셀 처리 장치는, 성분 분리부(110), 패턴 비교부(120) 및 보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성분 분리부(110)는 입력되는 6×6 베이어 패턴(bayer pattern)을 도 2와 같이 3×3 구조의 4개의 성분으로 분리한다. 도 2a는 도 1에 입력되는 6×6 베이어 패턴 이미지의 일예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베이어 패턴을 3×3 구조의 성분으로 분리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분 분리부(110)는 6×6 베이어 패턴을 동일한 성분 즉, R(red), Gr(GR라인의 G; green), Gb(GB라인의 G) 및 B(blue)의 성분으로만 구성된 3×3 구조의 데이터로 분리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도 2b의 ‘B5’를 도 2a의 중심 화소로 가정하고 보 정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하고, 이후 일반화하기로 하자.
패턴 비교부(120)는 각 성분 데이터의 패턴(중앙값(median)을 기준으로 한 화소값들의 분포임. 이하 같다)을 구한 뒤,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의 패턴과 다른 성분들의 패턴을 비교하여,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을 기준으로 한 측정값을 구하고,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에서 중심 화소와 주변 화소값들을 비교하여 중심 화소를 기준으로 한 측정값을 구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자.
도 3은 도 1의 패턴 비교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턴 비교부(120)는, 중앙값 검출부(121), 절대값 검출부1(122), 차이값 검출부(123), 비교값 검출부(124), 외부 플래그 생성부(125), 절대값 검출부2(126) 및 내부 플래그 생성부(1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입력(Gr, Gb, R, B) 신호를 제외하고는 신호의 흐름을 하나의 선으로 처리하였으나, 그에 다양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중앙값 검출부(121)는 입력되는 3×3 구조의 Gr, R, B 및 Gb 데이터의 중앙값을 각각 검출한다. 위 데이터에 상응하는 중앙값을 각각 M1, M2, M3 및 M4라 하자.
절대값 검출부1(122)는 예를 들어, Gr 데이터의 경우를 설명하여 보면, 각 구성 원소(Gri, i=1~9)에서 중앙값 M1을 뺀 값의 절대값 Abs_Gri를 검출한다. R, B 및 Gb 데이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각 구성 원소(Ri, Bi 및 Gbi, i=1~9)에서 각 각 중앙값 M2, M3 및 M4를 뺀 값의 절대값 Abs_Ri, Abs_Bi 및 Abs_Gbi를 검출한다. Abs_Gri, Abs_Ri, Abs_Bi 및 Abs_Gbi를 식으로 나타내면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5077874697-pat00001
Figure 112005077874697-pat00002
Figure 112005077874697-pat00003
Figure 112005077874697-pat00004
차이값 검출부(123)는 중심 화소 B5를 가지는 B 데이터의 절대값 검출부1(122)의 출력인 Abs_Bi에서 나머지 데이터의 절대값 검출부1(122)의 출력인 Abs_Gri, Abs_Ri 및 Abs_Gbi를 각각 뺀 값의 절대값인 Diff1_i, Diff2_i 및 Diff3_i를 검출한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77874697-pat00005
Figure 112005077874697-pat00006
Figure 112005077874697-pat00007
비교값 검출부(124)는 외부 플래그 생성을 위하여, 위 Diff1_i, Diff2_i 및 Diff3_i를 합한 값 COMP_i를 생성한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77874697-pat00008
위 과정을 도면으로 나타내면 도 4와 같다. 도 4는 도 3의 중앙값 검출부, 절대값 검출부1, 차이값 검출부 및 비교값 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외부 플래그 생성부(125)는 위에서 검출한 비교값과 입력되는 불량픽셀 임계값(dead_threshold) 및 핫픽셀 임계값(hot_threshold) 비교하여, 불량픽셀 및 핫픽셀의 존재 여부에 대한 플래그를 생성한다. 이때, 불량픽셀 임계값(dead_threshold) 및 핫픽셀 임계값(hot_threshold)은 조정 가능한 값이다.
즉, 외부 플래그 생성부(125)는 각 원소에 대한 비교값과 불량픽셀 임계값을 각각 비교하여 불량픽셀 임계값보다 큰 비교값이 있고, 이때 i가 5인 경우(즉 중심 화소에 대한 비교값이 불량픽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만 불량픽셀이 있는지에 대한 플래그(dead_flag)를 1로 설정한다. 그 외의 경우에 dead_flag는 0이다.
한편, 외부 플래그 생성부(125)는 각 원소에 대한 비교값과 핫픽셀 임계값을 각각 비교하여, 핫픽셀 임계값보다 큰 비교값이 있고, 이때 i가 5인 경우(즉 중심 화소에 대한 비교값이 핫픽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만 핫픽셀이 있는지에 대한 플래그(hot_flag)를 1로 설정한다. 그 외의 경우에 hot_flag 는 0이다.
이후 외부 플래그 생성부(125)는 dead_flag 또는 hot_flag이 1인 경우에는 외부 플래그(external_flag)을 1로 설정한다. 그 외의 경우(즉, dead_flag 및 hot_flag이 모두 0인 경우)에는 외부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여 도 1의 보정부(130)로 출력한다.
한편, 절대값 검출부2(126)는 중심 화소 B5를 포함하는 B 데이터의 각 원소 (B5는 제외)에서 중심 화소값을 뺀 값의 절대값인 Abs_Ci를 검출한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으며, 도면으로 나타내면 도 5와 같다. 도 5는 도 3의 절대값 검출부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Figure 112005077874697-pat00009
내부 플래그 생성부(127)는 인가되는 조도 분류를 위한 임계값(Y_threshold)과 3×3 데이터의 중앙값인 M1~M4를 이용하여 내부 플래그를 위한 임계값 thr을 설정하고, 이에 의해 내부 플래그를 생성한다. Y_threshold는 시스템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각 성분의 중앙값의 산술평균을 Y_m(즉,
Figure 112005077874697-pat00010
)으로 정의했을 때, 내부 플래그 생성부(127)는 Y_m이 Y_threshold보다 작은 경우에는 thr을 0으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thr을 50으로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설정한 thr을 절대값 검출부2(126)가 생성한 각 구성원소에 대한 절대값과 비교하여, 8개의 값 중 어느 하나라도 thr보다 작은 경우에는 내부 플래그(internal_flag)를 0으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즉, 모든 원소에 대한 절대값이 thr보다 큰 경우)에는 내부 플래그를 1로 설정하여 보정부(130)에 전달한다.
보정부(130)는 외부 플래그 및 내부 플래그가 모두 1인 경우에는 출력을 3 ×3 구조의 B 데이터의 중앙값으로 출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B5를 그대로 보정부(130)의 출력으로 한다.
즉, 이상에서는 중심 화소를 B5로 상정하고 불량픽셀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중심 화소가 어떠한 성분이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장치에 입력되는 원영상을 나타낸 일예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대하여 불량픽셀을 검출하여 보정을 수행한 것을 나타낸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량픽셀 및 핫픽셀을 검출하여 이를 보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6×6 마스크 내에서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의 패턴 및 다른 성분들의 패턴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불량픽셀 또는 핫픽셀인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1픽셀의 보정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입력되는 베이어 패턴 이미지에 대하여 그 성분별 데이터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 및
    상기 성분별 데이터에서 각 데이터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한 화소값들의 분포(패턴)를 구하고,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을 기준으로 한 비교값을 구한 뒤 이를 이용하여 불량픽셀 및 핫픽셀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외부 플래그를 출력하고,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에서 중심 화소와 주변 화소값을 비교하여 중심 화소를 기준으로 한 측정값을 구하여, 이를 이용하여 내부 플래그를 출력하기 위한 비교부를 포함하되,
    상기 비교부는,
    상기 성분별 데이터의 상기 중앙값을 각각 검출하기 위한 중앙값 검출부;
    상기 성분별 데이터의 각 구성원소에서 상기 중앙값을 뺀 값의 절대값을 검출하기 위한 제1절대값 검출부;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1절대값 검출부의 출력에서, 그 외 성분별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1절대값 검출부의 출력을 각각 차감한 값의 절대값인 차이값을 검출하기 위한 차이값 검출부;
    상기 차이값 검출부의 출력을 합산하여 상기 성분별 데이터의 구성원소별 비교값을 검출하기 위한 비교값 검출부;
    상기 비교값과 불량픽셀 임계값 및 핫픽셀 임계값을 각각 비교하여, 불량픽셀 및 핫픽셀의 존재 여부에 대한 상기 외부 플래그를 생성하기 위한 외부 플래그 생성부;
    상기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 데이터의 각 구성원소에서 중심 화소값을 차감한 값의 절대값을 검출하기 위한 제2절대값 검출부; 및
    조도 분류를 위한 임계값과 상기 성분별 데이터의 상기 중앙값을 이용하여 내부 플래그를 위한 임계값을 설정하고, 이에 의해 내부 플래그를 생성하기 위한 내부 플래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픽셀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외부 플래그 및 상기 내부 플래그를 이용하여 보정된 1픽셀의 화소를 출력하기 위한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불량픽셀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외부 플래그 및 상기 내부 플래그를 참조로 하여, 불량픽셀/핫픽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 데이터의 중앙값(median)을 출력하는 불량픽셀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외부 플래그 및 상기 내부 플래그를 참조로 하여, 불량픽셀/핫픽셀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중심 화소를 출력하는 불량픽셀 처리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플래그 생성부는, 상기 구성원소별 비교값과 상기 불량픽셀 임계값을 각각 비교하여, 중심 화소에 대한 비교값만이 상기 불량픽셀 임계값보다 큰 경우, 또는 상기 구성원소별 비교값과 상기 핫픽셀 임계값을 각각 비교하여, 중심 화소에 대한 비교값만이 상기 핫픽셀 임계값보다 큰 경우가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불량픽셀/핫픽셀이 존재하는 것으로 외부 플래그를 설정하는 불량픽셀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플래그 생성부는, 각 성분별 데이터의 중앙값의 합을 구하여 이에 따라 상기 내부 플래그를 위한 임계값을 설정하고, 상기 제2절대값 검출부에서 구한 구성원소별 절대값이 상기 내부 플래그를 위한 임계값보다 모두 큰 경우에는 불량픽셀/핫픽셀이 존재하는 것으로 내부 플래그를 설정하는 불량픽셀 처리 장치.
  8. 불량픽셀을 처리하는 이미징 장치의 이미지 프로세서에 있어서,
    입력되는 베이어 패턴 이미지에 대하여 그 성분별 데이터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
    상기 성분별 데이터의 상기 중앙값을 각각 검출하기 위한 중앙값 검출부;
    상기 성분별 데이터의 각 구성원소에서 상기 중앙값을 뺀 값의 절대값을 검출하기 위한 제1절대값 검출부;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1절대값 검출부의 출력에서, 그 외 성분별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1절대값 검출부의 출력을 각각 차감한 값의 절대값인 차이값을 검출하기 위한 차이값 검출부;
    상기 차이값 검출부의 출력을 합산하여 상기 성분별 데이터의 구성원소별 비교값을 검출하기 위한 비교값 검출부;
    상기 비교값과 불량픽셀 임계값 및 핫픽셀 임계값을 각각 비교하여, 불량픽셀 및 핫픽셀의 존재 여부에 대한 상기 외부 플래그를 생성하기 위한 외부 플래그 생성부;
    상기 중심 화소가 포함된 성분 데이터의 각 구성원소에서 중심 화소값을 차감한 값의 절대값을 검출하기 위한 제2절대값 검출부;
    조도 분류를 위한 임계값과 상기 성분별 데이터의 상기 중앙값을 이용하여 내부 플래그를 위한 임계값을 설정하고, 이에 의해 내부 플래그를 생성하기 위한 내부 플래그 생성부; 및
    상기 외부 플래그 생성부 및 상기 내부 플래그 생성부로부터 각각 수신한 상기 외부 플래그 및 상기 내부 플래그를 이용하여 보정된 화소값을 출력하기 위한 보정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세서.
KR1020050133602A 2005-12-29 2005-12-29 불량픽셀 처리 장치 KR100683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602A KR100683415B1 (ko) 2005-12-29 2005-12-29 불량픽셀 처리 장치
CNA2006800499742A CN101352048A (zh) 2005-12-29 2006-12-28 坏点处理装置
PCT/KR2006/005844 WO2007075065A1 (en) 2005-12-29 2006-12-28 Device of processing dead pixel
US12/159,385 US8131111B2 (en) 2005-12-29 2006-12-28 Device of processing dead pix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602A KR100683415B1 (ko) 2005-12-29 2005-12-29 불량픽셀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415B1 true KR100683415B1 (ko) 2007-02-22

Family

ID=3810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602A KR100683415B1 (ko) 2005-12-29 2005-12-29 불량픽셀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3415B1 (ko)
CN (1) CN10135204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06B1 (ko) * 2007-06-28 2009-07-09 엠텍비젼 주식회사 불량 화소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114586B1 (ko) * 2010-02-08 201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불량 화소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175737B1 (ko) * 2010-12-14 2012-08-21 엠텍비젼 주식회사 결함 화소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81191A (ko) * 2019-06-27 2020-07-0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후천적 불량 픽셀의 검출을 위한 열상 카메라의 소프트 불량 픽셀 검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2391A1 (en) * 2009-07-02 2011-01-06 Scint-X Ab Reduction of noise caused by absorption of x-ray photons in pixelated image sensors
CN104935838B (zh) * 2015-06-04 2018-04-06 上海集成电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图像还原的方法
CN105718849B (zh) * 2015-10-21 2019-06-11 深圳芯启航科技有限公司 应用于指纹传感器的像素点扫描方法和装置
CN105516694B (zh) * 2015-12-08 2018-01-02 上海集成电路研发中心有限公司 避免产生镜头暗角的方法及系统
CN107016670B (zh) * 2017-03-27 2019-06-28 福州瑞芯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坏点检测方法和装置
CN107613229A (zh) * 2017-09-30 2018-01-19 杭州雄迈集成电路技术有限公司 一种图像传感器坏点检测校正装置及方法
CN110035281B (zh) * 2019-04-29 2021-04-13 昆山丘钛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坏点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7039A (ja) 1999-01-21 2000-08-04 Sanyo Electric Co Ltd 点欠陥検出方法および点欠陥画素値補正方法
JP2005123946A (ja) * 2003-10-17 2005-05-12 Sony Corp 欠陥画素検出方法、検出装置および撮像装置
KR20050103775A (ko) * 2004-04-27 2005-11-01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센서의 색 보간 방법
JP2005341020A (ja) 2004-05-25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素欠陥検出装置および画素欠陥補正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7039A (ja) 1999-01-21 2000-08-04 Sanyo Electric Co Ltd 点欠陥検出方法および点欠陥画素値補正方法
JP2005123946A (ja) * 2003-10-17 2005-05-12 Sony Corp 欠陥画素検出方法、検出装置および撮像装置
KR20050103775A (ko) * 2004-04-27 2005-11-01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센서의 색 보간 방법
JP2005341020A (ja) 2004-05-25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素欠陥検出装置および画素欠陥補正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06B1 (ko) * 2007-06-28 2009-07-09 엠텍비젼 주식회사 불량 화소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114586B1 (ko) * 2010-02-08 201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불량 화소 제거 장치 및 방법
US8837852B2 (en) 2010-02-08 201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defective pixels
KR101175737B1 (ko) * 2010-12-14 2012-08-21 엠텍비젼 주식회사 결함 화소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81191A (ko) * 2019-06-27 2020-07-0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후천적 불량 픽셀의 검출을 위한 열상 카메라의 소프트 불량 픽셀 검출 장치
KR102193913B1 (ko) 2019-06-27 2020-12-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후천적 불량 픽셀의 검출을 위한 열상 카메라의 소프트 불량 픽셀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52048A (zh)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415B1 (ko) 불량픽셀 처리 장치
US8131111B2 (en) Device of processing dead pixel
EP1940180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892268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913117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defective pixel in image
US10348989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4668185B2 (ja) 画像処理方法
JP3957148B2 (ja) フリーズ・フィールド検出方法及び装置
KR20100097016A (ko) 이미지 프로세싱 장치,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6593961B1 (en) Test efficient method of classifying image quality of an optical sensor using three categories of pixels
KR100906606B1 (ko) 불량 화소 처리 방법 및 장치
US89296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repair of anomalies in images
US8606016B2 (en) Edge detection apparatus and computing circuit employed in edge detection apparatus
JP639723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867510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865422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200304739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Zhang et al. The modified gradient edge detection method for the color filter array image of the CMOS image sensor
KR100696167B1 (ko) 불량픽셀 처리 장치
JP2012191595A (ja) 撮像装置
KR100595747B1 (ko) 불량 화소 처리 장치
JPH06245148A (ja) 画素欠陥補正装置
JP201323977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740625B1 (ko) 영상 처리 시스템의 라인 메모리 공유 방법
KR100648131B1 (ko) 불량 화소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