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985B1 -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985B1
KR100682985B1 KR1020050044269A KR20050044269A KR100682985B1 KR 100682985 B1 KR100682985 B1 KR 100682985B1 KR 1020050044269 A KR1020050044269 A KR 1020050044269A KR 20050044269 A KR20050044269 A KR 20050044269A KR 100682985 B1 KR100682985 B1 KR 100682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ayer
leaf
return channe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209A (ko
Inventor
석주명
임성용
최진수
남제호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4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985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985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를 계층적으로 제작하고, 계층화된 콘텐츠 특성에 따라 방송망과 리턴채널을 통하여 단말에게 분산 전송함으로써, 다양하고 신속한 고품질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콘텐츠 제공자와 데이터 방송망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루트 계층 콘텐츠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 계층 콘텐츠로 계층화된 콘텐츠에 대해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들을 저장하고,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의 요구에 따라 리턴 채널을 통해 제공하는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수단; 및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고, 리턴채널을 통해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수단으로부터 리프계층 콘텐츠를 전달받아 재생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수단은,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루트 계층 콘텐츠를 재생하고,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에 리프 계층 콘텐츠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리턴 채널을 통해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수단으로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에 포함된 리프 계층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를 요구하는 계층 콘텐츠 제어수단; 상기 계층 콘텐츠 제어수단의 요구에 따라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수단으로부터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를 수신받는 리프 계층 콘텐츠 수신수단; 및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리프 계층 콘텐츠를 저장하는 리프 계층 콘텐츠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계층 콘텐츠 제어 수단은, 사용자의 서비스 참여에 의해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콘텐츠, 계층화, 리턴채널, 데이터 방송, 루트 계층, 리프 계층

Description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System and method of layered data content based data broadcast services through return channel}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층화된 콘텐츠의 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층화된 콘텐츠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루트 계층 콘텐츠 101 : 리프 계층 콘텐츠
21 : 콘텐츠 제작부 22 : 데이터 방송 제공부
23 :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 231 : 저장부
24 : 데이터방송 수신 단말 241 : 계층 콘텐츠 제어부
242 : 리프 계층 콘텐츠 저장부
본 발명은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텐츠를 계층적으로 제작하고, 계층화된 콘텐츠 특성에 따라 방송망과 리턴채널을 통하여 단말에게 분산 전송함으로써, 다양하고 신속한 고품질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 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일반화되고, 저변확대로 인하여 활성화된다면 사용자의 요구와 시대적 흐름에 따라 다양한 고품질의 콘텐츠를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현재, 데이터 방송 콘텐츠 제작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단일화 콘텐츠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인 콘텐츠 제작방법이다.
따라서, 방송망을 통한 데이터 방송 전송은 오브젝트 카루셀 전송방법의 반복 주기로 인한 서비스 시작 지연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반복 주기는 서비스에 따른 콘텐츠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달라진다. 또한, 콘텐츠의 크기는 수신 단말에서 수신 지연 시간과 비례하고, 이는 단말의 성능과 리소스의 환경에 따라 다르며, 적은 데이터 방송의 대역폭과도 연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약사항 때문에 콘텐츠 제작은 최소 성능에 적합하도록 제작되어서 사용자가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렵게 되므로, 추후 데이터 방송서비스가 활성화될 경우, 다양하고 신속하며 고품질의 서비스를 요구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게 되므로, 이에 적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콘텐츠를 계층적으로 제작하고, 계층화된 콘텐츠 특성에 따라 방송망과 리턴채널을 통하여 단말에게 분산 전송함으로써, 다양하고 신속한 고품질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하고 신속한 고품질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계층적으로 제작하고, 계층화된 콘텐츠 특성에 따라 방송망과 리턴채널을 통하여 단말에게 분산 전송함으로써, 단말의 서비스 로딩시간을 단축시키고, 단말의 콘텐츠 수신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며, 데이터 방송대역폭 활용도를 증대시키고, 다양한 맞춤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자와 데이터 방송망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루트 계층 콘텐츠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 계층 콘텐츠로 계층화된 콘텐츠에 대해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들을 저장하고,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의 요구에 따라 리턴 채널을 통해 제공하는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수단; 및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고, 리턴채널을 통해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수단으로부터 리프계층 콘텐츠를 전달받아 재생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수단은,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루트 계층 콘텐츠를 재생하고,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에 리프 계층 콘텐츠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리턴 채널을 통해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수단으로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에 포함된 리프 계층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를 요구하는 계층 콘텐츠 제어수단; 상기 계층 콘텐츠 제어수단의 요구에 따라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수단으로부터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를 수신받는 리프 계층 콘텐츠 수신수단; 및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리프 계층 콘텐츠를 저장하는 리프 계층 콘텐츠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계층 콘텐츠 제어 수단은, 사용자의 서비스 참여에 의해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콘텐츠 제공자와, 데이터 방송망과,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과,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루트 계층 콘텐츠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 계층 콘텐츠로 계층화된 콘텐츠에 대해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단말이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에 리프 계층 콘텐츠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리프 계층 콘텐츠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리턴 채널을 통해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에 포함된 리프 계층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를 요구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요구에 의해 수신된 리프 계층 콘텐츠를 저장하는 제4 단계; 및 사용자의 서비스 참여에 따라 상기 저장된 리프 계층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콘텐츠 계층화 방식을 나타낸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를 크게 두 종류의 계층, 즉 루트 계층 콘텐츠(10)와 리프 계층 콘텐츠(101)로 구조화한다. 여기서, 리프 계층 콘텐츠는 다수의 리프 계층 콘텐츠와 다단계의 리프 계층 콘텐츠(101, 102, 103)를 포함한다.
데이터 방송 콘텐츠의 시나리오는 사용자가 서비스 참여를 한 후, 단계별(menu-driven)로 키보드 혹은 리모컨을 이용하여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방송 셋탑인 경우는 오디오 및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데이터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는 부가적인 콘텐츠로 인식되어서 단계별 시나리오에 따라 디스플레이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가 아닌 일반적인 콘텐츠 시나리오의 경우에도 단계별 방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콘텐츠 시나리오의 단계별 특징을 이용하여 단일 단계의 루트 계층 콘텐츠(10)와 다수 리프 계층 콘텐츠와 다단계의 리프 계층 콘텐츠(101, 102, 103) 또는 단일 단계 리프 계층 콘텐츠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다단계의 계층화 구조로 콘텐츠를 제작할 경우 사용자가 사용할 서비스에 대한 동기에 문제가 없도록 콘텐츠를 계층화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 동기화에 관하여서는 시나리오 특성 혹은 도 2와 같은 환경과 사용자의 접근 예측시간에 따라 정의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a는 일반적인 데이터 방송 싱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모델로 계층화 구조를 설명한 것이다. 즉,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단일 콘텐츠로 제작하는 경우이다. 일반적인 콘텐츠 제작방법이라면 단일 콘텐츠로만 제작하였겠지만, 콘텐츠 계층화 방법을 통하여 하나의 루트 계층 콘텐츠(10), 리프 계층 콘텐츠(1 단계)(101), 리프 계층 콘텐츠(2 단계)(102), 리프 계층 콘텐츠(3 단계)(103)로 계층화하였다. 계층화에 대한 기준은 시나리오 특성에 따라 서비스 동기화를 목 적으로 제작하며, 계층화 콘텐츠 중 루트 계층 콘텐츠(10)는 일반적인 데이터 방송 콘텐츠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되어질 것이므로 그 특징에 맞도록 계층화하며, 다른 리프 계층 콘텐츠(101, 102, 103)들은 루트 계층 콘텐츠(10)를 구동할 때, 루트 계층 콘텐츠의 요구에 의하여 부가적인 방법으로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로 전송되어야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과 동시에, 서비스 동기화에 적합하도록 다수 또는 다단계로 계층화 제작을 한다.
이와 같이, 루트 계층 콘텐츠는 기존의 데이터 방송 콘텐츠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되어 일반적인 데이터 방송 콘텐츠처럼 오디오, 비디오와 함께 사용자의 참여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또한, 루트 계층 콘텐츠(10)는 방송망으로 전송되어야 할 기존의 콘텐츠보다 크기가 훨씬 작아 대역폭 활용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콘텐츠보다 다양한 시나리오로 서비스하는데 유리하다. 이렇듯,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에서 실행되는 루트 계층 콘텐츠(10)는 사용자 참여가 예상되는 시나리오에 따라 해당 리프 계층 콘텐츠(1 단계)(101) 획득을 요구하고, 부가적인 방법 등으로 수신된 리프 계층 콘텐츠(1 단계)(101)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단계의 리프 계층 콘텐츠는 하위 단계의 리프 계층 콘텐츠 획득을 요구하여 서비스 동기화에 문제가 없도록 한다. 또한, 콘텐츠 계층화 제작시 재사용을 위해 사용되거나 공유되는 계층화 콘텐츠들을 객체 지향적 언어를 이용하여 컴포넌트로 개발하고 컴포넌트에 대한 디스크립션(description)을 제공하며, 계층화된 콘텐츠를 일반적인 데이터 방송 서비스와 같이 사용자의 서비스 참여에 문제가 없도록 제공하기 위하여 제작된 계층화 콘텐츠의 리프 계층 콘텐츠들을 획득 하기 위한 방법으로 리턴채널을 이용하여 신뢰하는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하위 리프 계층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의 수신에 있어서 사용자가 서비스에 참여가 가능한 서비스 동기에 적합하도록 제공하기 위하여 루트 계층 콘텐츠 혹은 리프 계층 콘텐츠들의 상위 리프 계층 콘텐츠가 활성화시 최초로 서비스 참여가 예상되는 모든 하위 리프 계층 콘텐츠에 대하여 수신을 요구하여 단말의 리프 계층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하여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리프 계층 콘텐츠를 수신하는 부가적인 방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되는 도 2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b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중 멀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모델로 한 예이다. 즉, 멀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란 싱글 어플리케이션 콘텐츠를 다수개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대한 범위를 넓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즉, 콘텐츠 제작에 의한 서비스 확대보다는 전송 방식에 의한 서비스의 확대 제공에 목적이 있다.
하지만, 전송 방식에 의한 다수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대역폭이 협소하므로 많은 수의 어플리케이션 콘텐츠를 제공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도 적합하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하고자 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작은 크기의 루트 계층 콘텐츠(10)만을 기존의 데이터 방송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대역폭이 적어 다수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기존의 콘텐츠 제작 방법으로 제작된 콘텐츠는 그 특성상 독립적인 콘 텐츠이므로 콘텐츠 내 일부가 동일한 시나리오를 가진 콘텐츠라도 콘텐츠간의 공유(102)가 어렵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대역폭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용하면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콘텐츠 간에 리프 계층 콘텐츠 레벨 단계에서는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어, 단말의 메모리 사용 감소, 콘텐츠의 재활용성 증대, 전송 대역폭 활용도 증가 등의 이점을 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리프 계층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부가적인 방법에 관하여서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경우에 리턴채널을 통해 리프 계층 콘텐츠를 전송/수신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되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1a 및 도 1b에서는 이러한 리턴채널 등의 부가적인 방법을 통하여 리프 계층 콘텐츠를 획득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 콘텐츠 계층화 제작 단계에서 각 계층 콘텐츠에 요구할 리프 계층 콘텐츠를 획일화한 기술방식으로 표기 또는 프로그램함으로써, 콘텐츠 계층화 제작의 편리성뿐만 아니라 관리 및 개발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그 방법으로는, 루트 계층 콘텐츠 혹은 상위 리프 계층 콘텐츠가 구동되는 시점에서 필요로 하는 리프 계층 콘텐츠를 HTTP URL 혹은 FTP URL 등으로 표현하거나 혹은 프로그램으로 기술하여 획득하는 방법이다. 그 예로 "HTTP://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아이디@패스워드/GET: 레벨 1 단계 리프 계층 콘텐츠 이름"(104, 105) 및 "FTP://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아이디@패스워드/ 레벨 1 단계 리프계층 콘텐츠 이름"으로 기술한다. 이러한 방법은 이미 제공되는 데이터 방송 표준 규격에 의해 제공되는 HTTP URL 파서와 프로토콜을 이용하므로 특별한 추가 모듈 없이 웹 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과 같이 쉽게 사용 가능하며, 그에 대한 확장성과 활용성이 높다. 또한, 미리 수신되어 단말의 리프 계층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구동 대기하는 리프 계층 콘텐츠를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서 활용할 시 리프 계층 콘텐츠 저장부를 표현하기 위하여 계층화 콘텐츠 내에 기술하는 방법이다. 그 예로, "ROOT/리프계층 콘텐츠 저장부 이름/계층 콘텐츠 이름"으로 기술하며, 리프 계층 콘텐츠 저장부의 이름과 위치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방송 표준 미들웨어로부터 획득하며, 리턴채널을 통하여 리프 계층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 혹은 상위 리프 계층 콘텐츠에서 단말의 시스템 레지스터 정보를 얻어 단말의 성능, 단말의 종류에 적합한 리프 계층 데이터를 요구한다.
여기서,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24)에 적합한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에 대한 구분에 있어서, 단말의 소비환경 종류에 따른 일반 데이터 방송 셋탑, 피디에이(PDA), 랩탑, 이동단말, DMB 등으로 정의하고, 또한 해상도 혹은 화면 크기에 따른 HD(High Definition), SD(Standard Definition), CIF(Common Interface format), QCIF(Quarter Common Interface Format), SQCIF(Sub Quarter Common Interface Format)의 기준으로 구분하여 동일 리프 계층 콘텐츠에 대한 다중 품질의 리프 계층 콘텐츠를 제작하고, 소비되는 단말 환경의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표준에 따라 혹은 동일 리프 계층 콘텐츠 시나리오에 대한 다중 리프 계층 콘텐츠를 제작하여 단말에 적합한 리프 계층 콘텐츠를 제공하며, 단말의 종류 혹은 성능에 따라 다양한 리프 계층 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요구되는 다양한 리프 계층 콘텐츠들을 송신하는 정보를 활용하여 리프 계층 콘텐츠 사용 빈도수, 사용자 선호 콘텐츠 시나리오, 효율적인 콘텐츠 계층화 구조 정의, 계층 패키지 방법 등의 통계정보를 수집, 저장하여 데이터 방송 제공부(22) 및 콘텐츠 제작부(21)로 제공하는 피드백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계층화된 콘텐츠 중 루트 계층 콘텐츠 제작에 있어서, 일반적인 데이터 방송 셋탑뿐만 아니라, 다양한 단말 환경에 운용될 수 있도록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혹은 자바 버츄얼 머신, 이동단말 미들웨어,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DMB 미들웨어 중 공통된 자바 패키지만을 이용하여 루트 계층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콘텐츠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리턴 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에서 리프 계층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 방송 리턴채널 접속 방법을 준수하고,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로부터 요구되는 리프 계층 콘텐츠에 대하여 방송 스케쥴과 비교하여 제공 여부를 판단하고,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의 요구 접근 권한을 검사한 후 리프 계층 콘텐츠를 제공하며, 계층 콘텐츠에 관련된 통계정보를 데이터 방송 제공부(22) 및 콘텐츠 제작부(21)로 제공하는 피드백 기능에 있어서, 권한자만이 볼 수 있도록 이메일, 웹, 데이터베이스 공유 등의 방법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작된 계층화 콘텐츠는 서비스 업그레이드가 필요시에 단일 콘텐츠보다 필요한 부분에 해당하는 리프 계층 콘텐츠만을 업그레이드하여 데이터 방송 제공부(22) 혹은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에게 모듈별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적 업그레이드 특성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획일적 기술방식에 의해 기술한 계층 콘텐츠 이름으로 계층화되므로, 연관된 상 위 계층 콘텐츠의 수정 없이 업그레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계층화 제작에 있어 각 리프 계층 콘텐츠는 다른 서비스에도 재사용을 할 수 있어, 동일한 기능에 대하여 단말에서 리프 계층 콘텐츠가 중복 수신되지 않도록 제공 가능하여 단말 리소스를 최소로 사용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신속하고 고품질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기존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전송 방식은 단일 콘텐츠를 오브젝트 카루셀 전송 방법으로 전송하는데, 이러한 오브젝트 카루셀 전송 방법은 일방적으로 수신되는 여러 채널에 대하여 사용자의 채널 변경에 따라 데이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기를 갖고 반복 전송을 한다. 이러한 반복 전송 주기는 사용자가 채널 변경이 발생한 다음 반복주기까지의 수신지연시간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며, 이러한 반복 전송 주기는 콘텐츠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에서는 단일 콘텐츠의 수신이 시작되면 콘텐츠 전체를 수신 완료할 때까지 대기하며, 수신 완료 후 단말에서 서비스 로딩이 되기 전까지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없어 서비스 사용의 불편을 겪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을 활용하면, 전체 콘텐츠가 아닌 루트 계층 콘텐츠만을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하므로 콘텐츠 크기가 작아 오브젝트 반복 주기를 빠르게 조정하여 반복주기에 따른 수신 지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수신완료시간도 빠르고, 그 결과로 서비스 로딩 시간도 짧게 되어 사용자가 서비스 참여를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크게 감소시켜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방송 서 비스를 위한 대역폭의 한계 때문에 적절한 품질의 콘텐츠를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여 부가적인 방법으로 수신하는 리프 계층 콘텐츠는 높은 품질로 제작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획일적인 콘텐츠 소비가 아니라 부가적인 방법으로 리프 계층 콘텐츠를 획득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동일 시나리오에 대한 다중 품질의 콘텐츠를 제작하여 단말의 성능과 기종을 고려한 맞춤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방송 셋탑뿐만 아니라 저사양의 휴대용 장치를 이용해서도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단말의 기종, 및 성능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루트 계층 콘텐츠 혹은 상위 레벨의 리프 계층 콘텐츠에서 단말의 시스템 레지스터리 정보를 획득한 후, 비교하여 계층 콘텐츠 기반 맞춤형 콘텐츠를 요구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송신 부분은,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콘텐츠를 루트 계층 콘텐츠(10) 및 리프 계층 콘텐츠(101 내지 103)로 계층화하여 제작하기 위한 콘텐츠 제작부(21)와, 방송망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작부(21)를 통해 제작된 루트 계층 콘텐츠(10)를 포함한 데이터 방송 콘텐츠(25)를 송출하기 위한 데이터 방송 제공부(22)와, 상기 콘텐츠 제작부(21)를 통해 제작된 리프 계층 콘텐츠(101 내지 103)들을 전달받아 저장부(232)에 저장하고,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른 콘텐츠의 요구 혹은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24)로부터의 리프 계층 콘텐츠(101 내지 103)들의 요구에 따라 해당 리프 계층 콘텐츠(101 내지 103)들을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24)로 전송하기 위한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24)은, 방송망의 데이터 수신 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방송 제공부(22)로부터의 데이터 방송 콘텐츠(25)를 수신하고,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으로부터의 리프 계층 콘텐츠(101 내지 103)를 수신하기 위한 콘텐츠 수신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콘텐츠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으로부터의 리프 계층 콘텐츠(101 내지 103)를 저장하기 위한 리프 계층 콘텐츠 저장부(242)와, 서비스 운용 방식에 따라 데이터 콘텐츠(253)와 루트 계층 콘텐츠(10)를 구동하고,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10)에 정의되어 있는 리프 계층 콘텐츠(101 내지 103)들을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으로 요구하여 해당하는 리프 계층 콘텐츠(101 내지 103)들을 수신 및 저장하여 사용자 서비스 참여가 가능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계층 콘텐츠 제어부(241)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계층 콘텐츠 제어부(241)는 사용자 참여에 필수적인 리프 계층 콘텐츠만을 각 서비스 시나리오 혹은 단말의 특성에 따라 리턴채널을 이용하여 획득한다.
여기서,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은 고품질의 콘텐츠 계층화 제작을 위하여 전송하는 리프 계층 콘텐츠(101)들에 대한 리프 계층 콘텐츠 사용 빈도수, 사용자 선호 콘텐츠 시나리오, 효율적인 콘텐츠 계층화 구조 정의, 계층 패키지 방법 등의 통계 정보를 수집, 저장하여 데이터 방송 제공부(22) 및 콘텐츠 제작부 (21)에게 피드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도 1a 및 도 1b에서 설명된 콘텐츠 계층화 구조에 따라 콘텐츠 제작부(21)가 콘텐츠를 계층화하여 제작하면 계층화된 콘텐츠 중 루트 계층 콘텐츠(10)들은 데이터 방송 제공부(22)로 전달되고(211), 리프 계층 콘텐츠(101 내지 103)들은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으로 전달된다(212).
이러한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은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리턴채널 시스템의 일부 부가 서비스 시스템으로 정의한다. 현재 데이터 방송 사업자가 리턴채널 시스템을 공동 운영하는 방안이 일반적이지만, 서비스가 활성화되거나 사업자 정책 방안에 의하여 리턴채널 시스템을 서드파티 사업자가 운용할 수 있으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만을 서드파티 사업자가 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은 신뢰되어야 하며, 데이터 방송 표준에 의거한 보안,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리턴채널을 활용하여야 한다.
한편,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은 콘텐츠 제작부(21)로부터 전달받은 리프 계층 콘텐츠(101 내지 103)들을 저장부(231)에 저장하고,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24)에서 운용되는 루트 계층 콘텐츠(10)에 따른 콘텐츠 요구 혹은 리프 계층 콘텐츠들(101 내지 103)의 요구를 수신 대기한다.
그리고, 데이터 방송 제공부(22)는 콘텐츠 제작부(21)로부터 전달받은 루트 계층 콘텐츠(10)를 포함한 데이터 방송 콘텐츠(25)를 방송망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송출한다(221). 이 때, 송출되는 데이터 방송 콘텐츠(25)의 구성은 데이터 방송 표준규격에 따라 오디오(251), 비디오(252), 데이터(253), 인증서(254) 및 루트 계층 콘텐츠(10)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 방송 콘텐츠(25)는 데이터 방송 멀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모델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데이터 콘텐츠(253)와 루트 계층 콘텐츠(10)를 멀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콘텐츠들로 정의한다. 여기서, 두 데이터 콘텐츠(10, 253)는 기존의 일반적인 전송 방법인 데이터 방송의 오브젝트 카루셀 전송방법에 의하여 송출되므로, 데이터 방송 사업자가 추가적으로 할 작업은 없다.
한편,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24)은 기존의 데이터 콘텐츠 수신 방법(221)에 따라 (일반)데이터 콘텐츠(253)와 루트 계층 콘텐츠(10)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동한다. 이 때, 일반 데이터 콘텐츠(153)는 기존의 방법대로 구동하고 서비스 참여를 대기하며, 루트 계층 콘텐츠(10)는 상기 도 1a 및 도 1b의 콘텐츠 계층화 방식에 따라 하위 리프 계층 콘텐츠(101)를 요구한다.
이에,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24)은 기존의 리턴채널 보안, 인증 방법에 따라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에 접속하여 해당하는 리프 계층 콘텐츠(101)를 획득하고(232), 리프 계층 콘텐츠 저장부(242)에 수신한 리프 계층 콘텐츠들을 저장한다. 여기서, 리프 계층 콘텐츠 저장부(242)는 사용자의 채널 변경에 따라 수시로 콘텐츠가 변경되기 때문에 활성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많은 데이터 방송 콘텐츠 서비스 방법이 본 발명을 사용한다면, 중복 수신을 배제하기 위하여 비 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계층 콘텐츠 제어부(241)는 리프 계층 콘텐츠의 수신 체크, 중복 수신 체크 등의 계층 콘텐츠의 원활한 흐름에 대하여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하여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은 접속한 사용자 정보, 전송한 리프 계층 콘텐츠 정보, 사용횟수, 선호 품질 등의 정보를 계속적으로 수집, 기록하여 데이터 방송 제공부(22) 혹은 콘텐츠 제작부(21)로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하도록 피드백 기능(233, 234)을 제공하도록 하며, 그 결과로 다양하고 고품질인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24)에서 단일의 콘텐츠를 수신하지 않고 계층화 콘텐츠를 획득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서비스에 대한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도록 서비스 동기화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즉, 해당 계층 콘텐츠가 구동이 시작될 때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사용 예측되는 리프 계층 콘텐츠를 신속히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24)은 방송망을 통해 수신된 루트 계층 콘텐츠가 구동되면(301) 루트 계층 콘텐츠에 기술되어 있는 프로그램 획득 명령에 따라 하위 리프 계층 콘텐츠가 필요한지를 확인한다(302).
상기 확인 결과(302), 하위 리프 계층 콘텐츠가 필요하면 리턴채널을 통하여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으로 하위 리프 계층 콘텐츠를 요구하고, 데이터 방송 제공부(22)로부터 전달되는 루트 계층 콘텐츠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303).
이어서,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으로 요구한 하위 리프 계층 콘텐츠 획득을 위하여,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23)과 보안, 및 인증 과정을 일반적인 데이터 방송 전송 방식에 따라 수행하고 하위 리프 계층 콘텐츠를 수신한다(304).
이렇게 하위 리프 계층 콘텐츠를 수신한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24)은 해당 리프 계층 콘텐츠를 단말의 리프 계층 콘텐츠 저장부(242)에 저장하고(305), 사용자의 서비스 참여에 따라 해당하는 리프 계층 콘텐츠를 구동시킨 후(306), 하위 리프 계층 콘텐츠가 필요한지를 확인하는 과정(302)으로 진행한다.
한편, 하위 리프 계층 콘텐츠가 필요한지를 확인한 결과(302), 더 이상 하위 리프 계층 콘텐츠가 필요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서비스 종료 시기에 맞추어 종료한다(307). 이 때, 저장부(231)에 저장되어 있는 리프 계층 콘텐츠는 삭제 혹은 재사용을 위해 보존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24)은 콘텐츠 계층화 방법에 대한 사용에 있어서, 기존의 방송망을 이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이외에 유무선, 휴대 인터넷,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망 등의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를 서비스에 포함시켜 배포하고, 해당 리프 계층 콘텐츠들을 미리 수신/저장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참여에 문제가 없도 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에 있어, 방송망을 통한 데이터 방송 콘텐츠 전송 방식으로 인한 수신 지연시간, 적은 대역폭, 수신단말의 성능에 따른 콘텐츠의 품질 저하를 극복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계층적으로 제작하고, 계층화된 콘텐츠 특성에 따라 방송망과 리턴채널을 통하여 단말에게 분산 전송함으로써, 단말의 서비스 로딩시간 단축, 단말의 콘텐츠 수신 지연시간 최소화, 데이터 방송대역폭 활용도 증대, 및 다양한 맞춤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서비스 참여 여부에 따라 필수적인 리프 계층 콘 텐츠만을 각 서비스 시나리오 혹은 단말의 특성에 따라 기존의 리턴채널을 이용하여 획득하므로, 기 개발된 데이터 방송 단말에 특별한 업그레이드없이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단말, 및 저사양의 단말에도 적합하므로 맞춤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 혹은 통신/방송 융합(통신/방송 연동) 서비스로 확대되어 맞춤형 콘텐츠 표준규격인 TV-애니타임(anytime)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이 보급되기 이전에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콘텐츠 제공자와 데이터 방송망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루트 계층 콘텐츠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 계층 콘텐츠로 계층화된 콘텐츠에 대해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들을 저장하고,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의 요구에 따라 리턴 채널을 통해 제공하는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수단; 및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고, 리턴채널을 통해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수단으로부터 리프계층 콘텐츠를 전달받아 재생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수단은,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루트 계층 콘텐츠를 재생하고,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에 리프 계층 콘텐츠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리턴 채널을 통해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수단으로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에 포함된 리프 계층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를 요구하는 계층 콘텐츠 제어수단;
    상기 계층 콘텐츠 제어수단의 요구에 따라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수단으로부터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를 수신받는 리프 계층 콘텐츠 수신수단; 및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리프 계층 콘텐츠를 저장하는 리프 계층 콘텐츠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계층 콘텐츠 제어 수단은, 사용자의 서비스 참여에 의해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수단은,
    상기 저장된 리프 계층 콘텐츠들에 대한 리프 계층 콘텐츠의 사용 빈도수, 사용자 선호 콘텐츠 시나리오, 콘텐츠 계층화 구조 정의, 계층 패키지 방식과 같은 통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통계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수단은,
    상기 통계 정보를 권한자만이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의 위치 정보는 URL 정보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콘텐츠 제공자와, 데이터 방송망과,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과, 데이터 방송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루트 계층 콘텐츠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 계층 콘텐츠로 계층화된 콘텐츠에 대해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단말이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에 리프 계층 콘텐츠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리프 계층 콘텐츠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리턴 채널을 통해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루트 계층 콘텐츠에 포함된 리프 계층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를 요구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요구에 의해 수신된 리프 계층 콘텐츠를 저장하는 제4 단계; 및
    사용자의 서비스 참여에 따라 상기 저장된 리프 계층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 수행 후, 상위의 리프 계층 콘텐츠가 재생됨에 따라, 상기 상위의 리프 계층 콘텐츠에 하위의 리프 계층 콘텐츠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리턴채널 계층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하위의 리프 계층 콘텐츠를 요구하는 전달받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 계층 콘텐츠의 위치 정보는 URL 정보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050044269A 2005-05-25 2005-05-25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82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69A KR100682985B1 (ko) 2005-05-25 2005-05-25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69A KR100682985B1 (ko) 2005-05-25 2005-05-25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209A KR20060122209A (ko) 2006-11-30
KR100682985B1 true KR100682985B1 (ko) 2007-02-15

Family

ID=3770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269A KR100682985B1 (ko) 2005-05-25 2005-05-25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9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814A (ko) * 2000-01-28 2001-08-16 박광배 웹티브이를 이용한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대화형 프로그램자동송출방법
KR20010092504A (ko) * 2000-03-22 2001-10-26 이영진 양방향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
KR100375882B1 (ko) * 2000-12-28 2003-03-15 주식회사 엠큐브 대규모 사용자를 위한 대화형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40045182A (ko) * 2002-11-22 2004-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리턴 채널을 이용한 대화형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49566A (ko) * 2002-12-06 2004-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814A (ko) * 2000-01-28 2001-08-16 박광배 웹티브이를 이용한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대화형 프로그램자동송출방법
KR20010092504A (ko) * 2000-03-22 2001-10-26 이영진 양방향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
KR100375882B1 (ko) * 2000-12-28 2003-03-15 주식회사 엠큐브 대규모 사용자를 위한 대화형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40045182A (ko) * 2002-11-22 2004-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리턴 채널을 이용한 대화형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99052B1 (ko) * 2002-11-22 2005-07-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리턴 채널을 이용한 대화형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49566A (ko) * 2002-12-06 2004-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 제2004-45182호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49566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209A (ko)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2599B (zh) 一种数字电视用户界面管理系统及管理方法
US8646002B2 (en) System for realistically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 and method thereof
CN100456826C (zh) 一种实现电视节目内容定制的系统及方法
US7844661B2 (en) Composition of local media playback with remotely generated user interface
KR100987256B1 (ko) 유비쿼터스 환경의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US201001155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distributing media content
US99180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distributing media content
US20020143791A1 (en) Content deployment system, method and network
US20040073925A1 (en) Content delivery server with format conversion function
CN103248962A (zh) 获取流媒体数据的方法、设备及系统
US102687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 successively in a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one integrated metadata
MX2007006224A (es) Gestion de sesion multimedia.
CN104115466A (zh) 具有多屏幕服务的无线显示器
CN101159868A (zh) 用于接收自适应广播信号的设备及其方法
CN102007484A (zh) 提供/接收用户接口的方法及装置
US200803132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volving user preferences
US201703321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stream personalization
US20080240670A1 (en) Picture recording system and picture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US200200997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vergent network services
CN102118377A (zh) 跨平台多媒体内容录制方法、装置和系统
CN106790205B (zh) 流媒体服务系统
KR100682985B1 (ko) 콘텐츠 계층화와 리턴채널을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78933B1 (ko) 대화형 방송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17344B1 (ko)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유비쿼터스 서버 및 유비쿼터스 단말
CN107534792A (zh) 接收设备、发送设备以及数据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