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668B1 - 표면품질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품질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668B1
KR100681668B1 KR1020050085677A KR20050085677A KR100681668B1 KR 100681668 B1 KR100681668 B1 KR 100681668B1 KR 1020050085677 A KR1020050085677 A KR 1020050085677A KR 20050085677 A KR20050085677 A KR 20050085677A KR 100681668 B1 KR100681668 B1 KR 100681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less
surface quality
steel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형
김현철
한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085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8Decarburising
    • C21C7/0685Decarburising of stainless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 %로, C :0.03% 이하, Cr : 18.1%~18.7%, Si: 0.3%~0.7%, Mn : 0.5% 이하, N: 200ppm이하, P:0.04%이하, S:0.01%이하, Nb:0.4%~0.5%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결정입도가 8.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품질이 개선된 400계 스테인레스강을 요지로 한다.
Nb, 결정입도, 표면품질

Description

표면품질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 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good surface quality}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양호재와 불량재를 상호 비교 도시하여 소재의 입도가 큰 경우의 오렌지 필 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a)는 종래의 Ti첨가강에서 보이는 각형 석출물을 도시한 사진도이고, (b)는 Ti를 Nb로 대체시 구상의 작은 석출물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진도이고, (c)는 Ti첨가강에서 TiO2 TiN 클러스터 형성으로 인한 제강성 결함을 유발하는 개재물을 도시한 사진도이다.
도 3은 Ti 첨가강과 Nb 첨가강의 온도에 따른 재결정 거동을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도 4는 입도가 8.0 이상인 경우 오렌지 필 현상이 제어되는 것을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도 5는 입도에 따른 절곡 시 표면 사진을 도시한 사진도이다. ((a)는 입도가 6.5-7이고 (b)는 입도가 8)
도 6의 (a),(b),(c)는 각각 본 실시예의 시험결과를 도시한 사진도이다.((a) 는 304강종, (b)는 439(Ti)강종, (c)는 439(Nb)강종)
본 발명은 표면품질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400계 스테인레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표면 결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Ti 대신 Nb를 첨가하여 절곡 가공시의 오렌지 필(orange peel) 현상 개선 및 리징 결함의 감소를 통한 표면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400계 스테인레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배기계용 또는 건축자재용으로 사용되는 400계 스테인레스강, 특히 439강종은 Ti가 대략 중량%로 0.3%가 첨가된 강종으로, 가공성 개선을 위하여 Ti가 첨가된다. 그러나, 상기 Ti는 용강중 TiO2, TiN의 개재물을 형성하여 노즐막힘 및 제품의 표면결함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상기 Ti는 CaTiO3 (몰드 슬래그 반응)를 형성하여 표면 품질에 영향을 준다. 이와 같이 Ti로 인한 표면 품질에 영향을 주는 제강성 결함요인은 크게 비금속 개재물에 의한 결함과 CaTiO3에 의한 크랙성 요인으로 인한 결함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비금속 개재물에 의한 결함발생 기구를 살펴보면, 래들에서 Ti는 TiO2 개재물을 형성하고 이는 노즐의 막힘을 유발하게 되고, 턴디시에서는 온도저하로 인한 질소과포하로 TiO2를 핵으로 TiN 불균질 핵생성 및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 결국 TiO2와 TiN는 TiO2를 브리지로 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되고, 이중 일부는 박리하여 대형 결함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크랙성 요인으로서, 염기도 상승 및 TiO2증가에 따른 CaTiO3의 고융점 개재물이 정출되어 몰드 슬래그가 굳어져 윤활능을 저하시키게 되고, 이는 주편의 표면결함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건축자재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절곡 가공 공정이 수반된다. 그리고 건축자재용의 특성상 외관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재의 입도가 큰 경우 오렌지 필 현상으로 외관 품질의 저하를 초래한다. 도 1에서 (a)와 (b)는 양호재와 불량재를 상호 비교 도시하여 소재의 입도가 큰 경우의 오렌지 필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Ti가 첨가된 강의 공통적인 특징은 소둔공정에 있어서 급격한 입도 성장을 초래한다는 점이다. 입도를 ASTM No. 기준으로 8.0 수준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조업 변동 요인에 의해서 소둔이 되지 않을 수도 있고, 혹은 입도 성장이 발생하는 등 연속적인 생산 공정에서는 제어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400계 스테인레스강, 특히 439강종에 Ti 대신 Nb를 첨가하여 결함을 감소하고, 입도를 제 어하여 표면품질을 개선하며, 공정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량 %로, C :0.03% 이하, Cr : 18.1%~18.7%, Si: 0.3%~0.7%, Mn : 0.5% 이하, N: 200ppm이하, P:0.04%이하, S:0.01%이하, Nb:0.4%~0.5%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결정입도가 8.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품질이 개선된 400계 스테인레스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히 NbC의 결정입도를 8.0 이상으로 제어하는 표면품질이 개선된 400계 스테인레스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Nb의 조성은 0.4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강을 진공탈탄(VOD) 공정을 생략하고 AOD정련로만을 거침으로서 등축정율을 향상시켜 리징결함을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강의 조성범위 한정이유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량 %로 C : 0.03% 이하, N : 0.02% 이하로 조성된다. C, N이 너무 높은 경우 용접 및 열처리 공정 시 각종 탄질화물 석출로 인한 내식성 저하로 인해 상한을 한정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439 Ti첨가강보다는 C, N 함량이 높게 한정되어있는데, 이를 통해서 탈탄, 탈질의 부하를 감소시켜 AOD 공정에서 C, N을 제어 가능토록 하기 위함이다.
Si은 제강 조업 시 탈산을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너무 낮은 경우 탈산이 효율적으로 되지 않아 제강성 결함이 증가할 수 있으며, 너무 높은 경우 Si 성분에 의해 열연산세 및 냉연 산세공정에서 산세성이 열위하게 되므로 0.3~0.7%로 제한 한다.
Cr은 당 발명이 439강종의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기존 배기계로 사용되는 강재보다 내식성 향상을 목적으로 18.1~18.7%로 한정하였다.
Mn은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 Mns 화합물을 형성하여 내식성을 저하시키므로 0.5%로 한정한다.
Nb 성분은 너무 낮은 경우 C, N 안정화 미흡으로 인한 내식성 저하 문제의 발생으로 하한을 0.4%로 한정하였으며, 너무 높은 경우 고가의 Nb첨가로 인한 비용 증가 발생 및 고용 Nb량 증가로 인한 재결정 부족 및 리징 결함 심화로 인해 0.5%로 제한한다. 표 1에 Nb 함량별 리징 수준 및 용접부 마르텐사이트 생성여부를 나타내었다. Nb함량이 너무 낮은 경우 용접부 마르텐사이트상 생성으로 용접용으로 사용이 어려운 반면 너무 높은 경우 고용 Nb 증가에 따른 재결정 지연으로 리징 품질이 열위해 진다.
구분 0.30%Nb 0.45%Nb 0.60%Nb
리징 높이 (15% 연신후 0.5t) 15㎛ 17㎛ 25㎛
용접부 마르텐사이트 생성여부 O X X
다음은 Ti 대신 Nb 첨가 이유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의 (a)는 종래의 Ti첨가강에서 보이는 각형 석출물을 도시한다. 이러한 석출물은 주로 TiN계열로서 응고과정중에서 정출되어 나타나므로 석출물의 크기가 크다. 또한 Ti첨가강에서는 Ti가 산소와의 높은 친화력으로 인해 TiO2 TiN 클러스터 형성으로 인한 제강성 결함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도 2의 (c)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b)는 Nb로 대체시 고상에서의 석출이기 때문에 구상의 작은 석출물이 석출되고 상대적으로 제강성 결함을 유발하지 않는다.
또한 치환형 고용원소인 Nb는 Ti첨가강 대비 재결정을 지연하여 입도제어에 유리하다. 도 3에서는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NbC 결정입도가 8.0 이상인 경우 오렌지 필 현상이 제어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Nb첨가로 인하여 소둔조건 조업 변경후 입도를 8.0 이상으로 미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의 439강의 경우 입도제어를 8.0이상으로 제어하기 어렵다.
도 5는 입도에 따른 절곡 시 표면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강의 정련공정중 진공탈탄(VOD) 공정을 생략하고 AOD정련만에 의한 탈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정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표 2는 본 발명에 관한 제강성 결함 발생 추이를 도시한 것으로,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Ti 대신 Nb를 첨가할 경우 제강성 결함이 대폭적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SDD 표면검사를 실시한 경우 Ti 첨가가 대비 Nb첨가강의 표면 결함수가 1/2이상 감소하였다.
구분 scab M형 Sliver Tot
439(Ti) 34 98 56 188
439(Nb) 11 27 35 73
(실시예 2)
실시예 2는 본 발명에 의한 400계 스테인레스 냉연강판에 대한 염수분무시험방법에 의한 내식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내식성 평가의 시험강종은 304 H/L, 439(Nb) H/L, 439(Ti) H/L이며, 시험방법은 외부부식평가법을 이용하였다. 즉, 35℃에서 4시간동안의 염수분무를 실시한 후 60℃ 에서 30% 2시간동안의 건조과정을 거쳐 35℃, 98% 2시간의 습윤과정을 거치도록 하였고, 총 12싸이클을 실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이용된 시험용액의 조성은 하기와 같으며, 시험기기는 복합싸이클 부식시험기를 이용하였다.
성분 NaCl CaCl2 MgCl2 NaHCO3 Na2Co3
농도 (g/l) 29.2215 1.5437 11.821 0.1680 0.0212
본 실시예의 시험조건에 의하 내식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439(Ti)H/L에 비하여 439(Nb)H/L재가 내식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304H/L 대비에는 439(Nb)H/L, 439(Ti)H/L 모두 내식성이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시험결과 전체적으로 내식성은 304H/L > 439(Nb)H/L > 439(Ti)H/L순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6의 (a),(b),(c)는 각각 본 실시예의 시험결과를 도시한 사진도로서, (a)는 304강종, (b)는 439(Ti)강종, (c)는 439(Nb)강종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Ti 대신 Nb가 첨가된 400계 스테인레스강의 내식성이 Ti 첨가된 400계 스테인레스강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Ti 첨가강 대비 Nb첨가로 개재물 결함이 대폭 감소하여 표면 품질이 개선되었고, 조업조건 변경 결정립 미세화로 표면품질, 특히 절곡품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는 공정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중량 %로, C :0.03% 이하, Cr : 18.1%~18.7%, Si: 0.3%~0.7%, Mn : 0.5% 이하, N: 200ppm이하, P:0.04%이하, S:0.01%이하, Nb:0.4%~0.5%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스테인레스 용강의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 NbC의 결정입도를 8.0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품질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을 정련공정중 진공탈탄(VOD) 공정을 생략하고 AOD정련만에 의한 탈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품질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KR1020050085677A 2005-09-14 2005-09-14 표면품질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KR100681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677A KR100681668B1 (ko) 2005-09-14 2005-09-14 표면품질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677A KR100681668B1 (ko) 2005-09-14 2005-09-14 표면품질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668B1 true KR100681668B1 (ko) 2007-02-09

Family

ID=3810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677A KR100681668B1 (ko) 2005-09-14 2005-09-14 표면품질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6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6643A (ja) 1998-12-14 2000-06-27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部に酸化不動態膜を形成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6643A (ja) 1998-12-14 2000-06-27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部に酸化不動態膜を形成す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970B1 (ko) 후물 고강도 고인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3695803B (zh) 低碳当量低温使用的大厚度齿条钢及其制造方法
JP7219882B6 (ja) 圧力容器用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866444B (zh) 耐腐蚀镜面模具钢及其制备方法
EP4198158A1 (en) Steel board for polar marine engineerin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1917456B1 (ko) 표면부 nrl-dwt 물성이 우수한 극후물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10629114A (zh) 一种低成本高强高韧桥梁钢及其制备方法
JP7483036B2 (ja) 355MPaグレードの海洋工学用低温耐性の熱間圧延されたH字型鋼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184530B (zh) 低温及酸性条件下使用的管件用正火态钢板及其制造方法
KR100547536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의 주조 부재 및 강판과 그 제조방법
JP7096337B2 (ja) 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315645B (zh) 一种耐磨钢及其生产工艺
CN105112810A (zh) 一种抗大线能量焊接用钢及其制备方法
KR100681668B1 (ko) 표면품질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KR102326046B1 (ko) 고온 특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저Cr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0856306B1 (ko) 용접부의 저온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1505299B1 (ko)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8375B1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초고강도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435320B1 (ko) 강재 제조 방법
KR101957601B1 (ko)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8772A (ko) 용접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15786806B (zh) 一种具有良好低温韧性的高强度低碳当量特厚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650258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CN114164373B (zh) 一种Nb微合金化双相不锈钢及其制备方法
CN110144517B (zh) 一种高强韧性高铝无镍易焊接40-70mm厚度耐磨钢板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