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629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629B1
KR100681629B1 KR1020050058684A KR20050058684A KR100681629B1 KR 100681629 B1 KR100681629 B1 KR 100681629B1 KR 1020050058684 A KR1020050058684 A KR 1020050058684A KR 20050058684 A KR20050058684 A KR 20050058684A KR 100681629 B1 KR100681629 B1 KR 100681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audio
decoder
digital multimedia
demultiple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2969A (ko
Inventor
임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5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629B1/ko
Publication of KR2007000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전송 스트림을 비디오 및 오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와, 역다중화부의 비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비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와, 역다중화부의 오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오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와, 역다중화부의 비디오 및 오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이동 모드 선택키 신호에 따라 비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고 오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또는 차량 탑재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의 사용자가 도보, 자전거 또는 차량 이동 중에 방송을 시청할 경우 오디오 청취만 가능하도록 하여 이동 중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시켜 사용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 이동, 오디오 청취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DMB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회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너부 12 : 역다중화부
14 : 디코딩 제어부 16 : 비디오 디코더,
18, 22 : 오디오 디코더 20 : 데이터 처리부
24 : 사용자 인터페이스 26 : 제어부
28 : 멀티미디어 저장부 30 : 출력 처리부
32 : 디스플레이 34 : DAC
36 : 스피커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중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경우 오디오만 선택적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은 멀티미디어의 이동 수신을 목적으로 한 국제적인 표준안이다. 이 규격에서 방송 수신과 데이터 전송의 방식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규격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비디오 방송을 위해 MPEG 데이터를 함께 송신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TV)이나 라디오 방송은 별개의 수신기를 통해 재생하였으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텔레비전 방송, 라디오 방송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이와 같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특징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방식을 통해 일정 주파수 대역에 다중 캐리어를 보내 이동 수신에 강하고, 기존의 한 채널에 하나의 방송을 보내는 방식에 비해 한 채널에 여러 가지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가 도보, 자전거, 또는 차량 이동 중에 수신 시스템을 통해 방송을 시청하게 되면 방송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가 모두 디코딩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비디오 시청이 용이하지 않아 시야를 분산시키고 이로 인해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신 시스템의 위치가 변화하는 이동 중일 경우 수신된 방송 스트림중에서 비디오 신호를 차단하고 오디오 신호만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중에 사용자 안전을 도모하면서 방송 청취만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 시스템으로서, 수신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전송 스트림을 비디오 및 오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역다중화부의 비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비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와, 상기 역다중화부의 오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오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와, 상기 역다중화부의 비디오 및 오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이동 모드 선택키 신호에 따라 상기 비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고 상기 오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만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 모드 선택키를 해제하는 키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비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디코더에 전달하여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디코더를 통해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가 모두 디코딩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회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은, 튜너부(10), 역다중화부(12), 디코딩 제어부(14), 비디오 디코더(16), 오디오 디코더(18, 22), 데이터 처리부(20), 사용자 인터페이스(24), 제어부(26), 멀티미디어 저장부(28), 출력 처리부(30), 디스플레이(32),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34), 스피커(36) 등을 포함한다.
튜너부(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신호인 압축된 전송 스트림(MPEG-TS)을 튜닝하여 복조하고 이를 역다중화부(12)에 전달한다.
역다중화부(12)는 튜너부(10)에서 수신된 압축된 전송 스트림을 비디오 데이터/오디오 데이터 등의 엘리먼트 스트림(ES)으로 역다중화하여 비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비디오 디코더(16)에 전달하고, 오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오디오 디코더(18)에 전달한다.
디코딩 제어부(14)는 제어부(26)의 이동 모드 제어에 따라 비디오 디코더(16)를 정지시키고, 오디오 디코더(18)만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비디오 디코더(16)는 역다중화부(12)에서 분리된 비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원래 비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여 이를 출력 처리부(30)에 전달하고, 오디오 디코더(18)는 역다중화부(12)에서 분리된 오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원래 오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여 이를 출력 처리부(30)에 전달한다.
데이터 처리부(20)는 튜너부(10)에서 수신된 BWS(Broadcasting Website Service),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 JPG 등 데이터 서비스용 데이터를 처리한다.
다른 오디오 디코더(22)는 튜너부(10)에서 수신된 뮤직캠(musicam)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의 이동 모드를 선택, 해제하는 키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6)에 전달한다.
제어부(2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에서 입력된 이동 모드 선택키 또는 이동 모드 해제키 신호에 따라 디코딩 제어부(14)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의 이동시 비디오 디코더(16)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 처리부(30)에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멀티미디어 저장부(28)는 역다중화부(12)에서 역다중화된 엘리먼트 스트림을저장한다.
출력 처리부(30)는 비디오 디코더(16) 및 오디오 디코더(18)의 동기화, 데이터 처리부(20) 및 다른 오디오 디코더(22)의 동기화를 이루어 비디오 또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32)에 출력하고, 오디오 또는 뮤직캠 오디오를 DAC(34)를 통해 스피 커(36)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32)는 출력 처리부(30)에서 전달된 비디오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고, DAC(34)는 출력 처리부(30)에서 전달된 오디오 또는 뮤직캠 오디오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에 이를 스피커(36)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의 이동시 사용자 인터페이스(24)로부터 이동 모드 선택키가 입력될 경우 제어부(26)에서 디코딩 제어부(14)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비디오 디코더(16)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 처리부(30)에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오디오 디코더(18)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만 출력 처리부(30), DAC(34)를 통해 스피커(36)에 출력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우선, 제어부(2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로부터 방송 수신 키 신호가 입력되고 이동 모드 선택 키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0∼S20)
S10∼S20 판단 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24)로부터 방송 수신 키 신호 및 이동 모드 선택 키 신호가 입력될 경우 제어부(26)는 튜너부(10)에서 안테나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압축된 전송 스트림(MPEG-TS)을 수신하여 복조하도록 한다.(S30)
제어부(26)는 역다중화부(12)를 통해 튜너부(10)에서 수신된 압축된 전송 스트림을 비디오 데이터/오디오 데이터 등의 엘리먼트 스트림(ES)으로 역다중화한 후에 비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비디오 디코더(16)에 전달하고, 오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오디오 디코더(18)에 전달하도록 한다.(S40)
비디오 디코더(16)는 역다중화부(12)에서 분리된 비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원래 비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고, 오디오 디코더(18)는 역다중화부(12)에서 분리된 오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원래 오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한다.(S50)
그리고 제어부(26)는 디코딩 제어부(14)에 제어 신호를 보내서 비디오 디코더(16)를 통해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 처리부(30)에 전달하지 않도록 하고, 오디오 디코더(18)를 통해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만 출력 처리부(30)에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출력 처리부(30)는 오디오 디코더(18)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DAC(34)에 전달하여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스피커(36)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S60)
그리고나서 제어부(26)는 역다중화부(12)를 통해 역다중화된 비디오 데이터/오디오 데이터 등의 엘리먼트 스트림(ES)을 멀티미디어 저장부(28)에 저장한다.(S70)
이후 사용자 인터페이스(24)로부터 이동 모드 해제 키 신호가 입력된 후에, 방송 재생 키 신호가 입력될 경우 제어부(26)는 멀티미디어 저장부(28)에 저장된 엘리먼트 스트림(ES)를 비디오 디코더(16) 및 오디오 디코더(18)를 통해 디코딩한 후에 출력 처리부(30)를 통해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32)에 출력하면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 처리부(30) 및 DAC(34)를 통해 스피커(36)에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의 이동시 방송 신호 중 오디오 신호만 청취가능하도록 하여 전방 시야가 안정적으로 확보되지 않는 상황에서 비디오 시청이 되지 않도록 하면서 수신된 방송을 저장한 후에 이후 이동 모드가 해제되면 저장된 방송의 비디오 시청 및 오디오 청취가 모두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또는 차량 탑재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의 사용자가 도보, 자전거 또는 차량 이동 중에 방송을 시청할 경우 오디오 청취만 가능하도록 하여 이동 중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시켜 사용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이동시 비디오 시청을 강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수신 시스템의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3)

  1. 삭제
  2.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 시스템으로서,
    수신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전송 스트림을 비디오 및 오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역다중화부의 비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비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와,
    상기 역다중화부의 오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오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와,
    상기 역다중화부의 비디오 및 오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이동 모드 선택키 신호에 따라 상기 비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고 상기 오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만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 모드 선택키를 해제하는 키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비디오 엘리먼트 스트림을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디코더에 전달하여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디코더를 통해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가 모두 디코딩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
  3. 삭제
KR1020050058684A 2005-06-30 2005-06-3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 KR100681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684A KR100681629B1 (ko) 2005-06-30 2005-06-3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684A KR100681629B1 (ko) 2005-06-30 2005-06-3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969A KR20070002969A (ko) 2007-01-05
KR100681629B1 true KR100681629B1 (ko) 2007-02-09

Family

ID=3786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684A KR100681629B1 (ko) 2005-06-30 2005-06-3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6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969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210B1 (ko) 방송송신장치와, 이의 방송신호 송신방법 및방송수신장치와, 이의 예약녹화방법
US20070074248A1 (en)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JP5174623B2 (ja) 放送受信回路および放送受信装置
KR1008462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 정보 공유 방법
KR10068162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
KR20020014875A (ko) 엠피쓰리 플레이어 기능을 내장한 디지털 방송수신기
KR100772652B1 (ko) 이동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속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070006366A (ko) Dmb 단말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시작 알림 방법 및예약 저장 방법
KR20140145039A (ko) 차량용 라디오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892465B1 (ko) 방송 신호의 재생/녹화 장치 및 방법,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KR20070016410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이동모드시제어방법
KR101358709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1229896B1 (ko)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70646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KR20060105186A (ko) 방송프로그램 시작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262949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892466B1 (ko) 방송 신호의 재생/녹화 장치, 이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KR20060064277A (ko)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 방송 재생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장치
KR20060089284A (ko) 통합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방법
KR10059819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부가정보 수신장치 및 방법
JP2008153916A (ja) デジタル放送送受信装置及び方法
KR10075047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재생 방법
KR100814412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신호수신 방법
KR10060916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컨텐츠 이용방법
KR20070093667A (ko)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