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550B1 -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550B1
KR100681550B1 KR1020050135348A KR20050135348A KR100681550B1 KR 100681550 B1 KR100681550 B1 KR 100681550B1 KR 1020050135348 A KR1020050135348 A KR 1020050135348A KR 20050135348 A KR20050135348 A KR 20050135348A KR 100681550 B1 KR100681550 B1 KR 100681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key input
sound source
oct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35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10H7/0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in which amplitudes at successive sample points of a tone waveform are stored in one or more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을 받는 키입력부와, 입력부의 키입력에 따른 음원을 출력하는 연주모드 시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변화를 인식하는 동작 인식부와, 연주모드 시에 키입력이 발생되면, 동작 인식부의 인식결과에 따라 키입력에 해당하는 음원을 조정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키 패드를 이용한 음악연주 모드 시에 반올림, 반내림, 옥타브 올림, 및 옥타브 내림 등의 음을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의 인식을 통해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악연주 범위를 증대시키는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USING ACTION RECOGNIZING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른 반올림, 반내림, 옥타브이동을 표현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인식을 통한 연주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키입력부 200: 스피커
300: 메모리 400: 동작인식부
500: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 패드를 이용한 음악연주 모드 시에 표현되지 않는 반올림, 반내림, 옥타브 올림, 및 옥타브 내림 등의 음을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의 인식을 통해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악연주 범위를 증대시키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팜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또는 HPC(Hand-held PC: 휴대용 PC)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통신은 물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첨단 통신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특별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과 같이, 키패드의 각각의 버튼을 누를 때마다 서로 다른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음이 발생된다. 즉, 12개의 키버튼이 각각 다른 주파수의 음계를 가지고 있어 총 12개음(도레미파솔라시도레미파솔)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이 12개의 음을 이용하여 음악을 연주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는 반올림, 반내림, 옥타브 올림, 옥타브 내림 등을 표현할 수 없어 연주할 수 있는 표현의 범위에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버튼을 이용한 음악 연주 시에 동작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반올림, 반내림, 옥타브 올림, 및 옥타브 내림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악 연주 범위를 확장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을 받는 키입력부와, 입력부의 키입력에 따른 음원을 출력하는 연주모드 시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변화를 인식하는 동작 인식부와, 연주모드 시에 키입력이 발생되면, 동작 인식부의 인식결과에 따라 키입력에 해당하는 음원을 조정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은, 키입력에 따른 연주모드로 진입되면 동작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제 1 과정과, 키입력이 발생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인식하는 제 2 과정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키입력에 해당하는 음원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키입력부(100), 스피커(200), 메모리(300), 동작인식부(400), 및 제어부(500)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각 부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키입력부(100)는 키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키 값을 입력받고, 특히 통신 모드와 동작 인식 모드를 구분하는 명령을 입력받는다. 스커피(200)는 제어부(500)의 제어하에 음원을 출력한다.
메모리(300)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메모리로 구성되는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과, 단말기의 동작변화를 인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데이터 메모리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변화에 대응하는 명령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동작인식부(400)는 3축 지자기센서 등과 같은 동작인식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좌우, 상하의 움직임, 회전 등의 동작변화를 감지한다.
제어부(500)는 키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키값에 따라 그 키값에 해당하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300)로부터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읽어와 구동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500)는 동작인식부(400)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 키입력의 음원을 변화시켜 출력한다. 예를 들면, "파"의 음원에 해당하는 키버튼 "4"가 입력되고 이동 통신 단말기가 좌측으로 이동된 경우, 제어부(500)는 키입력부(100)와 동작인식부(400)를 통해 상기와 같은 정보를 입력받아, 스피커(200)를 통해 "파의 반내림"음인 "파b"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도 3a, 도 3b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연주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연주모드로 진입되면(S100), 제어부(500)의 제어하에 동작인식부(400)의 동작인식센서(미도시)가 구동 된다(S200).
그 후, 제어부(500)는 키입력부(100)로부터 키 입력이 발생하였는지를 체크하여(S300), 키입력이 발생한 경우 동작인식부(400)는 이동 통신 단말기단말기의 X, Y, Z 좌표를 인식하여 동작상태를 감지하고 그 좌표 데이터를 출력한다(S400).
이때, 동작인식부(400)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좌표의 인식을 통해 좌측, 우측, 상측, 하측으로 움직였는지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를 제어부(500)에 인가한다.
그 후, 제어부(500)는 키입력과 좌표 데이터를 믹싱하여, 스피커(200)를 통해 음원을 출력한다(S500).
이때, 제어부(500)는 도 3a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반내림(b)으로 인식하고,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반올림(#)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도"에 해당하는 키버튼 "1"이 눌려지고 동시에 이동 통신 단말기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제어부(500)는 "도#"의 음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 3b와 같이 키버튼의 음원을 1옥타브의 기준옥타브로 할 때,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전방으로 이동시 기준옥타브에서 2 옥타브를 올리는 것으로 인식하고 후방으로 이동시 1옥타브를 내리는 것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면, "라"에 해당하는 키버튼 "6"이 눌려지고 이동 통신 단말기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제어부(500)는 1옥타브 아래의 "라"의 음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 표 1 과 같다.
좌표값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인식결과 반음올림(b) 반음내림(#) 상위 2옥타브 하위 1옥타브
이와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인식센서(미도시)를 통해 키버튼만으로 표현할 수 없는 반올림, 반내림, 옥타브이동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좌우, 전후방의 움직임에 대한 음원의 표현만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전각도 등 다양한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음원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버튼을 이용한 음악 연주 시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반올림, 반내림, 옥타브 올림, 및 옥타브 내림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좀 더 다양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을 받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의 키입력에 따른 음원을 출력하는 연주모드 시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변화를 인식하는 동작 인식부;
    상기 연주모드 시에 상기 키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동작 인식부의 인식결과에 따라 상기 키입력에 해당하는 음원을 조정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하, 좌우,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3축 지자기 센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인식부의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키 입력에 따른 음원을 반올림, 반내림, 옥타브 올림, 옥타브 내림 중 적어도 하나로 조정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인식부의 인식 결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전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키입력에 해당하는 음원을 적어도 한옥타브 이상 올린 음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후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키입력에 해당하는 음원을 적어도 한옥타브 이상 내린 음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인식부의 인식 결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상기 키입력에 해당하는 음원을 반올림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왼쪽으로 움직이면 상기 키입력에 해당하는 음원을 반내림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키입력에 따른 연주모드로 진입되면 동작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제 1 과정;
    상기 키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인식하는 제 2 과정;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키입력에 해당하는 음원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하, 좌우,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키입력에 해당하는 음원을 반올림, 반내림, 옥타브 올림, 옥타브 내림 중 적어도 하나로 조정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전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키입력에 해당하는 음원을 적어도 한옥타브 이상 올린 음으로 출력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후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키입력에 해당하는 음원을 적어도 한옥타브 이상 내린 음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상기 키입력에 해당하는 음원을 반올림하여 출력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왼쪽으로 움직이면 상기 키입력에 해당하는 음원을 반내림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
KR1020050135348A 2005-12-30 2005-12-30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 KR100681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348A KR100681550B1 (ko) 2005-12-30 2005-12-30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348A KR100681550B1 (ko) 2005-12-30 2005-12-30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550B1 true KR100681550B1 (ko) 2007-02-09

Family

ID=3810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348A KR100681550B1 (ko) 2005-12-30 2005-12-30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4933A2 (ko) * 2008-02-23 2009-08-27 Hwang Jay-Yeob 포켓피아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4933A2 (ko) * 2008-02-23 2009-08-27 Hwang Jay-Yeob 포켓피아노
WO2009104933A3 (ko) * 2008-02-23 2009-12-03 Hwang Jay-Yeob 포켓피아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808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전자 장치 및 그 설정값 변경 방법
US8577100B2 (en) Remote input method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JP4699955B2 (ja) 情報処理装置
CN100381982C (zh) 使用便携终端中的触摸屏输入字符的装置和方法
KR101115467B1 (ko) 가상 키보드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KR101020029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US7532200B2 (en) Apparatus for setting multi-stage displacement resolution of a mouse
US20090222770A1 (en) Method of inputting control instruction and handheld device thereof
WO2010008078A1 (ja) 情報端末
US2006006658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touch pad device
JP2011254554A (ja) 携帯情報端末
CN106125923A (zh) 电子设备、输入输出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10025520A (ko) 휴대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3024530A1 (ja) 携帯電子機器及びキー表示プログラム
US20040113955A1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US81889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key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US20090135154A1 (en) Handheld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68155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인식을 통한 음악연주 방법
KR20080049696A (ko)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게임 방법
KR100983726B1 (ko) 측면 키 인터페이스 장치, 측면 키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229357B1 (ko)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JP4935691B2 (ja) 携帯端末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10010522A (ko) 드래그 동작을 활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단말기
KR101026868B1 (ko)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터치스크린 장치
JP3447645B2 (ja) 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