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197B1 -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197B1
KR100681197B1 KR1020040094788A KR20040094788A KR100681197B1 KR 100681197 B1 KR100681197 B1 KR 100681197B1 KR 1020040094788 A KR1020040094788 A KR 1020040094788A KR 20040094788 A KR20040094788 A KR 20040094788A KR 100681197 B1 KR100681197 B1 KR 100681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memory
capacit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5236A (ko
Inventor
지유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4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197B1/ko
Publication of KR20060055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19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 메모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장 메모리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외장 메모리의 사용을 계획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장 메모리가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외장 메모리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소정의 접속 단자를 갖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외장 메모리의 전체 저장용량, 기 저장되어 있는 저장용량, 남아있는 저장용량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외장 메모리의 용량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검출부가 상기 외장 메모리의 용량을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외장 메모리의 용량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외장 메모리의 용량을 쉽게 확인 할 수 있게 되어, 외장 메모리의 사용 계획을 세우게 할 수 있는 등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외장 메모리, 시리얼 포트, USB 포트

Description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PACITY INDICATION FUNCTION OF EXTERNAL MEMOR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메모리 용량이 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의 상태도이다.
도 2b는 외장 메모리 용량이 표시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c는 외장 메모리 용량이 표시되는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이동통신 단말기 20; 외장 메모리
30; 제어부 40; 연결부
50; 검출부 60; RF부
70; 키패드 80; 표시부
82; 외장 메모리 용량 표시 90; 저장부
본 발명은 외장 메모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장 메모리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외장 메모리의 사용을 계획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통신 산업이 발전하면서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셀룰러폰, PCS 단말기, PDA 단말기, IMT2000 단말기 등 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고유한 통신 기능뿐 아니라 전자수첩기능, 게임기능, 스케줄 관리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동작 알고리즘 및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포함하게 된다.
이렇게 제공되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또는 컴퓨터 접속을 통해 동영상 이미지와 같은 데이터를 다운 받아 저장하거나, 게임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플래시(flash)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를 가상 메모리(VM:virtual Memory)를 통해 실행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사용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활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예를 들어 고화질의 사진, 동영상, MP3, 게임이나 뮤직비디오 저장과 같은 기능을 요구하게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보다 많은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활용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장착된 메모리 용량의 한계로 인해 단말기 사용자는 제한된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만을 이용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사용자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제 233108호 '외장형 메모리의 착탈을 통한 다 기능 무선 단말기'에서는, 외장형 메모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보다 자유롭게 가감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외장형 메모리의 착탈을 통한 다 기능 무선 단말기'에서는 외장 메모리의 용량 상태에 대한 정보 즉,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용량이나 남아 있는 용량 등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가 없어서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외장 메모리의 용량을 쉽게 확인 할 수 있게 되어, 외장 메모리의 사용 계획을 세우게 할 수 있는 등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장 메모리의 연결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외장 메모리를 연결하기 위한 소정의 접속 단자를 갖는 연결부, 상기 외장 메모리의 전체 저장용량, 기 저장되어 있는 저장용량, 남아있는 저장용량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외장 메모리의 용량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외장 메모리의 용량을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외장 메모리의 용량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외장 메모리의 용량은 상기 표시부에 아날로그 식 또는 디지털 식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장 메모리는 착탈 가능하며, 상기 연결부는 시리얼(Serial) 포트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로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RF부(60), 제어부(30), 표시부(80), 키패드(70), 검출부(50), 저장부(90), 연결부(40), 외장 메모리(20)로 구성된다. 물론, 여기서 설명하는 것은 본 발명과 관련 있는 구성요소를 나열한 것일 뿐,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RF부(6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RF 변조하여 적정 레벨로 조정한 후 제어부(30)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제어부(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는 외장 메모리(20)의 연결 시, 검출부(50)로 하여금 외장 메모리(20)의 전체 용량, 기 저장되어 있는 용량 및 남아 있는 용량을 검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표시부(80)는 통상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어부(30)의 제어하에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문자 또는 영상 등으로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변화를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메모리(20)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는 표시부(80)를 통해 외장 메모리(20)의 용량을 표시하도록 하게 되는데, 이러한 외장 메모리(20)의 용량 표시는 아날로그 식, 디지털 식 또는 계단 식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패드(70)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들(*, # 등; 미도시)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30)로 출력한다.
검출부(50)는 외장 메모리(20)가 연결부(40)에 연결되게 되면, 제어부(30)의 제어하에 외장 메모리(20)의 전체 저장용량, 기 저장되어 있는 용량 및 남아있는(저장할 수 있는) 저장용량을 검출하게 된다.
저장부(90)는 통상 내장 메모리로 명명되나,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외장 메모리(20)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그 명칭을 저장부(90)로 한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저장부(90)는 메모리 반도체인 RAM(정보의 기록과 삭 제가 자유롭지만, 전원이 끊기면 저장된 데이터가 없어지는 휘발성 메모리)과 ROM(전원이 끊어져도 저장됐던 데이터가 없어지지 않으나, 일단 데이터를 입력시키면 소거가 불가능하여 정보의 기록과 삭제가 불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으로 구성되게 된다.
비휘발성 메모리인 ROM은 전기적으로 전 내용을 소거할 수 있고, 제어부(30)와 신호를 교환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사용자 서비스를 위해 설정된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휘발성 메모리인 RAM은 전원이 있는 한도 내에서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외측에 형성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외장 메모리(20)를 연결하기 위한 소정의 접속 단자(미도시)를 구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장 메모리(20)가 연결부(4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연결되게 되고, 접속 단자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외장 메모리(20) 간의 신호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외장 메모리(20)에도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형성된 연결부(40)의 역할을 하는 소정의 접속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20)는 시리얼(Serial) 포트 또는 USB 포트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외장 메모리(20)에는 저장부(9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부가적인 기능 추가나 더 많은 저장 용량이 필요한 경우 저장부(90)의 기능을 보충하기 위해 연결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장 메모리(20)는 저장부(90)와 마찬가지로 ROM과 RAM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외장 메모리(20) 용량 표시 동작을 요약하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40)의 접속 단자에 외장 메모리(20)가 연결되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연결부(40)를 통해 외장 메모리(20)가 연결되었음을 감지하게 되면, 검출부(50)로 하여금 외장 메모리(20)의 전체 저장용량, 기 저장되어 있는 용량 및 남아있는 저장용량을 검출하게 되며, 검출된 저장 용량을 표시부(80)로 하여금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메모리 용량이 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의 상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80)의 상단 일측에는 검출부(50)에 의해 검출된 외장 메모리(20)의 용량이 표시(82)되게 된다.
도 2a에 도시된 외장 메모리 용량 표시(82)는 디지털 식으로 표현된 것으로, 외장 메모리(20)의 전체 저장용량을 100%이라고 했을 때 남은 저장용량%를 숫자로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외장 메모리 용량 표시(82)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메모리(20)의 전체 저장용량에서 저장된 용량이 가감됨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가감되는 것을 아날로그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2c에 도시된 것처럼, 외장 메모리(20)의 전체 저장용량과 남아 있는 저장용량을 바아(Bar) 형상을 갖는 계단 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외장 메모리의 용량을 쉽게 확인 할 수 있게 되어, 외장 메모리의 사용 계획을 세우게 할 수 있는 등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장 메모리의 연결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외장 메모리를 연결하기 위한 소정의 접속 단자를 갖는 연결부,
    상기 외장 메모리의 전체 저장용량, 기 저장되어 있는 저장용량, 남아있는 저장용량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외장 메모리의 용량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외장 메모리의 용량을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외장 메모리의 용량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메모리의 용량은 상기 표시부에 아날로그 식 또는 디지털 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메모리는 착탈 가능하며, 상기 연결부는 시리얼(Serial) 포트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94788A 2004-11-18 2004-11-18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1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788A KR100681197B1 (ko) 2004-11-18 2004-11-18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788A KR100681197B1 (ko) 2004-11-18 2004-11-18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236A KR20060055236A (ko) 2006-05-23
KR100681197B1 true KR100681197B1 (ko) 2007-02-09

Family

ID=3715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788A KR100681197B1 (ko) 2004-11-18 2004-11-18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1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236A (ko)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9055B2 (en) Method for performing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and associated apparatus
EP3811191B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list of executable applications on split scree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50088876A (ko) 데이터 표시 장치 및 방법
US20130167093A1 (en) Display apparatus for releasing locked state and method thereof
US941139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remaining amount of electric power of battery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743796A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6720951B2 (en) Key customizing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8433307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PDA phone and PDA phone using the same
US200800722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grading software in portable terminal
KR100681197B1 (ko) 외장 메모리의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1202846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urning to home screen in portable terminal with multi-software platform
CN107391196B (zh) 一种应用程序更新方法及移动终端
JP2008263324A (ja) シークレットモード機能を有する端末装置およびシークレットモード切替制御方法
KR20070050116A (ko) 배터리의 충전량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통신단말기
JP2008186168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における報知方法
JP2014055816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1967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차원 그래픽을 이용하는 계층적인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155473B1 (ko) 배터리 잔량 확인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2014056360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142555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における報知方法
US8989819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saving number method and digital storage media
EP2017725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PDA phone and PDA phone using the same
KR20210101700A (ko)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100769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10219435A1 (en) Content processing system, content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