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498B1 - Method for building a scatternet of bluetooth - Google Patents

Method for building a scatternet of bluetoo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498B1
KR100680498B1 KR1020050067742A KR20050067742A KR100680498B1 KR 100680498 B1 KR100680498 B1 KR 100680498B1 KR 1020050067742 A KR1020050067742 A KR 1020050067742A KR 20050067742 A KR20050067742 A KR 20050067742A KR 100680498 B1 KR100680498 B1 KR 100680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devices
scatternet
connection request
reque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3434A (en
Inventor
윤찬필
김민정
손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498B1/en
Publication of KR20070013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4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4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7Joint weighting using maximum ratio combining techniques, e.g. signal-to- interference ratio [SIR], received signal strenght indication [R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기들 간에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 서버의 제어에 따라 각 기기들 간에 스캐터넷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각 기기들의 기능을 서버에서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스캐터넷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orming a scatternet between Bluetooth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scatternet between devices under the control of a predetermined server, and accordingly, a method for forming a scatternet to control functions of each device in a server. It is about.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서버를 중심으로 스캐터넷에 동참하고자 하는 기기들이 서버로 연결요청을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소정 하위 기기를 지정받아 그 기기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스캐터넷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catternet forming method configured to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to a server around a predetermined server, and to connect to the device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lower device from the server.

이에 따라 서버를 통해 스캐터넷 상의 각 기기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스캐터넷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 준다. This allows the formation of a scatternet that can perform remote control of each device on the scatternet through a server.

블루투스, 스캐터넷 Bluetooth, Scatternet

Description

블루투스의 스캐터넷 형성 방법{Method for building a scatternet of bluetooth}Method for building a scatternet of bluetooth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스캐터넷의 개략도를 나타낸 도면,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catternet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스캐터넷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Figure 2a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catternet form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FIG. 2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of forming the scatternet shown in FIG. 2A.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102 : 피코넷 104 : 서버100, 102: piconet 104: server

106 : 제 1 기기 108 : 제 2 기기106: first device 108: second device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기들 간에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 서버의 제어에 따라 각 기기들 간에 스캐터넷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각 기기들의 기능을 서버에서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스캐터넷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orming a scatternet between Bluetooth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scatternet between devices under the control of a predetermined server, and accordingly, a method for forming a scatternet to control functions of each device in a server. It is about.

블루투스는 저렴한 가격, 적은 전력 소모로 비교적 좁은 구역(10~100m) 내에 서 여러 기기들 간의 자유로운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규격이다. 1994년 에릭슨의 이동통신그룹(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Group)이 휴대폰과 주변기기들 간의 소비전력이 적고 가격이 싼 무선(radio) 인터페이스를 연구하기 시작해서, 1998년 2월 에릭슨, 노키아, IBM, 도시바, 인텔로 구성된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가 발족되었고, 이 SIG에 의해 99년 8월에 버전 1.0 블루투스 규격이 발표되었으며, 공식적인 국제표준 단체로는 IEEE 802.15 워크그룹이 있어 블루투스 규격에 근거한 국제표준 제정을 위해 SIG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Bluetooth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tandard developed to enable fre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devices in a relatively small area (10-100m) at low cost and low power consumption. In 1994,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Group began researching low-power, low-cost radio interfaces between mobile phones and peripherals.In February 1998, Ericsson, Nokia, IBM, Toshiba, and Intel The Bluetooth Special Interest Group (SIG) was established, and the version 1.0 Bluetooth specification was released in August 1999 by the SIG, and the official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was the IEEE 802.15 workgroup to establish international standards based on the Bluetooth standard. Is working closely with SIG.

블루투스는 가정 및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모든 정보기기에 장착이 가능하며 이들 사이의 무선망을 구성, 어떠한 유/무선망과도 연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가 완성되면 모든 정보기기 특히, 노트북, PDA, 휴대폰 간의 데이터 교환이 자유로워지며, 블루투스를 이용해 인터넷 브리지를 구성하면 현재 광케이블이나 ADSL, 모뎀 등을 통해, 데스크탑 컴퓨터에 도달해 있는 인터넷 정보가 사용자의 손 안에까지 도달될 수 있게 된다. 즉, 블루투스를 이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어떤 형태의 정보도 교환한다는 무선통신의 궁극적인 목표에 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Bluetooth can be installed in all information devices used in homes and offices, and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wireless network between them and to interwork with any wired / wireless network. Therefore, when the wireless network using Bluetooth is completed, data exchange between all information devices, especially laptops, PDAs, and mobile phones, is free. When the Internet bridge is configured using Bluetooth, it reaches the desktop computer through optical cable, ADSL, modem, etc. Internet information can be reached in the user's hand. In other words, by using Bluetooth, anyone can reach the ultimate goal of wireless communication anytime, anywhere, anyone, any type of information exchange.

블루투스 네트워크는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 형태로 구성되는데, 하나의 마스터 역할을 하는 기기가 7개의 슬레이브까지 거느릴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마스터에 의해 구성된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피코넷(piconet)이라고 하고, 다수의 피코넷이 연결된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스캐터넷(scatternet)이라고 한다. The Bluetooth network is configured as a master / slave. A master device can have up to seven slaves. The Bluetooth network configured by one master is called a piconet, and a Bluetooth network to which a plurality of piconets are connected is called a scatternet.

피코넷은 개인통신망(Personal Area Network, PAN)을 구성하는데 적합한 구조이며, 스캐터넷은 무선 AD-HOC 네트워크(Mobile Ad-hoc Network)를 구성하는데 적당한 구조이다. 스캐터넷을 형성하게 되면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기기들 간의 통신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어, 회의장에서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정보 교환, 선이 없는 사무실 구현, 무선 홈 네트워크 구성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The piconet is a suitable structure for constructing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nd the scatternet is a suitable structure for constructing a mobile AD-HOC network. The establishment of a scatternet allows free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ing Bluetooth, which can be used in many fields such as exchanging information using Bluetooth in conference halls, implementing a wireless office, and configuring a wireless home network.

하지만 현재 블루투스 SIG에서는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프로토콜에 대한 정의를 하고 있지 않아, 여러 가지의 다양한 스캐터넷 형성 프로토콜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the Bluetooth SIG does not define a protocol for forming a scatternet, and thus, various various scatternet formation protocols have been proposed.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중앙 서버를 통해 각 기기들의 연결을 제어하도록 하는 블루투스의 스캐터넷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forming a scatternet of Bluetooth to control the connection of each device through a central server as a new method of forming a scattern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캐터넷 형성 방법은 스캐터넷을 형성하려는 기기들 중 임의의 기기 하나를 서버로 지정하고, 그 나머지 기기들이 상기 서버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자신의 통신 영역 내에서 자신에게 페이징을 수행하는 제 1 기기와 서로 연결을 이루는 단계; 상기 제 1 기기가 자신의 통신 영역 내에서 상기 서버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제 2 기기를 확인한 후, 상기 제 2 기기와의 연결요청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기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제 2 기기와의 연결요청정보를 통해 상기 제 1 기기로 상기 제 2 기기와의 연결을 명령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2 기기로의 페이징을 수행하며 연결을 이루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catternet form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signating any one of the devices to form a scatternet as a server, the remaining devices to page the server; The server making a connection with a first device that performs paging to itself in its communication area; Identifying, by the first device, a second device performing paging to the server in its communication area, and transmitting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with the second device to the server; Instructing, by the server, the first device to connect with the second device through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with the second device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And making a connection by performing the paging of the first device to the second device according to the command.

여기서, 상기 제 2 기기와의 연결요청정보는 상기 제 2 기기의 주소 및 상기 제 2 기기의 수신감도세기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with the second device may include an address of the second device and a reception sensitivity strength value of the second device.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기기은 복수 개의 기기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제 1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기기와의 연결요청정보를 수신받은 경우에, 그 수신받은 연결요청정보 내에 상기 제 2 기기의 수신감도세기 값으로 가장 큰 값을 전송한 제 1 기기로 상기 제 2 기기와의 연결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vice is a plurality of devices, when the server receives the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with the second device from the plurality of first devices, receiving the second device in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The first device having transmitted the largest value as the sensitivity strength valu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and to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 device.

또한, 그 연결요청정보를 보낸 복수 개의 제 1 기기들 각각에 현재 연결되어 있는 기기 개수를 확인하여, 그 기기 개수가 가장 적은 제 1 기기로 상기 제 2 기기와의 연결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devices current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devices that have sent the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may be checked, and the first device having the smallest number of devices may be instructed to connect with the second device. .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버로부터 특정 기기로의 데이터 전송은 하위 기기들로의 데이터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수행되고, 상기 특정 기기에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받을 시, 자신의 데이터임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ata transmission from the server to a specif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through data broadcasting to lower devices, and when receiving the data from the specific device, it is confirmed that it is its data and receives data It is do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스캐터넷의 개략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피코넷(100)은 마스터(Master)와 슬레이브(Slave)관계가 성립되어 이미 통신이 설정된 피코넷으로, 피코넷(100)에 속한 기기들 중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기기(104)가 마스터이고, 주변에 위치한 기기(106)가 슬레이브이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 기기(104)는 서버(104)로 칭하고, 그 서버(104)에 슬레이브로 연결된 기기(106)는 제 1 기기(106)로 칭하도록 하겠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diagram of a scatternet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piconet 100 is a piconet in which communication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by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a master and a slave, and a device belonging to the piconet 100. Among them, the centrally located device 104 is the master, and the peripheral device 106 is the slave. Here, the master device 104 will be referred to as a server 104, and the device 106 connected to the server 104 as a slave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device 106.

일반적인 무선 통신의 경우, 그 신호 강도의 한계 때문에 유효 전파가 미치는 통신 도달거리 내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서로 다른 피코넷의 기기들 간에 통신이 가능하게 되면 두 피코넷을 포함하는 공간만큼 통신 도달거리가 확장되고, 나아가 여러 개의 피코넷 기기 간에 순차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에, 여러 개의 피코넷을 포함하는 공간만큼 통신 도달거리가 확장된다. In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is possible only within the communication reach of the effective radio wav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ignal strength. However, when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f different piconets becomes possible, the communication reach is extended to the space containing two piconets, and further, when data is sequentially transmitted between multiple piconets, the space containing multiple piconets Communication reach is extended.

이에 따라, 서버(104)는 자신의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은 새로운 제 2 기기(108)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자신에 슬레이브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기기(106)를 이용하여 제 2 기기(108)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 1 기기(106)와 제 2 기기(108)가 새로운 피코넷(102)을 형성하며 통신 가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서버는 자신의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은 제 2 기기(108)에 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결국, 서버(104)와 제 1 기기(106)가 마스터와 슬레이브 관계로 형성된 피코넷(100)과 제 1 기기(106)와 제 2 기기(108)가 마스터와 슬레이브 관계로 형성된 피코넷(102)이 서로 연결된 스캐터넷을 형성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server 104 uses the first device 106 connected as a slave to the second device 108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new second device 108 that does not exist in its communication area. By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 RTI ID = 0.0 >) and controlling the first device 106 and the second device 108 to communicate and form a new piconet 102, the server < / RTI > Enable control over As a result, the piconet 100 in which the server 104 and the first device 106 are in a master-slave relationship, and the piconet 102 in which the first device 106 and the second device 108 are in a master-slave relationship, It will form a scatternet connected to each other.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스캐터넷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Figure 2a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catternet form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of forming a scatternet shown in Figure 2a.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되는 스캐터넷의 구조가 하나의 서버 (S)를 중심으로 하위 기기들이 트리구조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스캐터넷이 서버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방법을 제공하여 각 하위 기기들(TL1내지TL6)이 서버의 원격 제어를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ure 2a,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of the scatternet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wer devices are connected in a tree structure around one server (S),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method formed around the server, each subordinate device (TL1 to TL6) can form a network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the server.

도 2a에 도시된 스캐터넷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도 2b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스캐터넷의 형성에 참여하는 기기들 중 임의의 기기 하나를 서버로 지정한다. 그리고 그 나머지 기기들(TL1내지TL6)은 그 지정된 서버의 주소를 제공받아 미리 설정해 두는 작업이 필요하다. 여기서 그 나머지 기기들(TL1내지TL6)이 서버의 주소를 제공받는 방식으로는 기기들을 서버의 통신 영역 내에 위치시켜서 서버와 일정 시간동안 서로 통신을 수행하며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방식 외에도 스캐터넷 형성에 참여하는 기기들을 서버의 통신 영역 내에 위치시키지 않고, 사용자의 개입을 통해 기기들에게 서버의 주소가 제공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The method of forming the scatternet shown in FIG. 2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B. First, any one of the devices participating in the formation of the scatternet is designated as a server. The remaining devices TL1 to TL6 need to be pre-configured with the address of the designated server. Here, the rest of the devices TL1 to TL6 receive the address of the server so that the devices are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server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for a certain time and participate in the scatternet formation in addition to the method provided from the server. Instead of placing the devices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server, a method of providing the addresses of the servers to the devices through user intervention may be used.

그리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기기들 TL1,TL2,TL3은 서버의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는 기기들이고, TL4,TL5,TL6은 서버의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은 기기들이다. As shown in FIG. 2A, the three devices TL1, TL2, and TL3 are devices that exist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server, and TL4, TL5, and TL6 are devices that do not exist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server.

서버로 지정된 기기은 자신의 주소로 페이지 스캔(Page Scan)을 수행하며(200), 자신의 통신 영역 내에서 자신의 주소로 페이징(Paging)하는 기기들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TL1부터 TL6 기기들은 미리 저장해 놓은 서버의 주소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페이징을 수행한다(202). The device designated as the server performs a page scan with its own address (200), and discovers devices paging to its own address within its own communication area. The devices TL1 to TL6 perform paging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with the address of the server stored in advance (202).

이에 따라 서버는 자신의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는 TL1,TL2,TL3 만이 페이징 을 수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TL1,TL2,TL3의 페이징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해 줌으로써(204), 서버와 각 TL1,TL2,TL3 기기 간에 연결이 이루어지며(206), 하나의 피코넷이 형성된다. Accordingly, the server knows that only TL1, TL2, and TL3 in the communication area are performing paging,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for paging of TL1, TL2, and TL3 (204). A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TL2 and TL3 devices (206), and one piconet is formed.

TL4,TL5,TL6 기기들은 서버와 연결되기 위해서 계속적으로 서버의 주소로 페이징을 수행하고, 서버는 자신의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은 TL4,TL5,TL6의 페이징을 발견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서버의 하위 기기로 연결되어 있는 TL1,TL2,TL3이 서버와 연결된 이후에, 서버의 주소로 페이징 스캔을 수행하면서 주변에 서버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기기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도록 한다(208). The TL4, TL5, and TL6 devices continuously page to the server's address in order to connect with the server, and the server cannot detect paging of the TL4, TL5, or TL6 that does not exist in its communication area. After TL1, TL2, and TL3 connected to the subordinate devices of the server are connected to the server, the device performs a paging scan to the address of the server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 device that performs paging to the server around (208).

이에 따라 TL1은 TL4,TL5의 페이징을 발견하게 되고, TL2는 TL4,TL5,TL6의 페이징을 발견하게 되고, TL3은 TL5,TL6의 페이징을 발견하게 되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에, TL1,TL2,TL3 각 기기들은 페이지 스캔을 통해 발견한 기기들과의 연결요청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210,214). Accordingly, when TL1 discovers paging of TL4, TL5, TL2 discovers paging of TL4, TL5, TL6, and TL3 discovers paging of TL5, TL6, each of TL1, TL2, TL3 The devices transmit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with the devices found through the page scan to the server (210, 214).

그래서 서버가 TL1,TL2,TL3 기기들이 전송해 주는 TL4,TL5,TL6과의 연결요청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페이징을 수행하고 있는 TL4,TL5,TL6들을 TL1,TL2,TL3 각 기기들 중 어느 기기의 하위 기기로 연결시킬 것인지를 지정해 준다(216). Therefore, the server uses the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with TL4, TL5, and TL6 transmitted by the TL1, TL2, and TL3 devices to select TL4, TL5, and TL6 devices that are paging themselves. It specifies whether to connect to the lower device of (216).

여기서, TL1,TL2,TL3 각 기기들이 서버로 전송해 주는 TL4,TL5,TL6 과의 연결요청정보란 TL1,TL2,TL3 각 기기들이 서버의 주소로 패이지 스캔을 하면서 발견한 기기들의 주소, 즉 상기 가정한 바와 같이 TL1은 TL4,TL5 기기의 주소, TL2는 TL4,TL5,TL6의 주소, TL3은 TL5,TL6의 주소와, 그 기기들의 수신감도세기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Here, the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with TL4, TL5, and TL6 transmitted by the TL1, TL2, and TL3 devices to the server is the address of devices found by each of the TL1, TL2, and TL3 devices as they scan the page with the address of the server. As assumed, TL1 means the address of the TL4, TL5 device, TL2 means the address of the TL4, TL5, TL6, TL3 means the address of the TL5, TL6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device.

상기와 같은 연결요청정보를 각 TL1,TL2,TL3 기기들로부터 전송받은 서버는 그 연결요청정보를 살펴서 각 TL1,TL2,TL3 기기들 중 한 기기에 연결되는 기기 개수가 많아지지 않도록 TL4,TL5,TL6 과의 연결을 지정하며, 또한 각 TL4,TL5,TL6 기기들에 대한 수신감도세기 값으로 가장 큰 값을 전송한 기기(TL1,TL2, 또는 TL3) 과 그 수신감도세기가 큰 기기(TL4,TL5, 또는 TL6)이 서로 연결되도록 지정해 준다. The server receiving the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TL1, TL2, and TL3 devices checks the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so that the number of devices connected to one of the TL1, TL2, and TL3 devices does not increase. The device (TL1, TL2, or TL3) which has the largest value as the reception sensitivity value for each TL4, TL5, and TL6 devices, and the device having the largest reception sensitivity (TL4, TL5, or TL6) is specifi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다시 말하면, 서버는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각 TL1,TL2,TL3 기기들의 현재 연결되어 있는 기기 개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며 각 TL1,TL2,TL3 기기들이 연결 요청한 기기들과의 연결을 지정하고, 각 TL1,TL2,TL3 기기들이 감지한 TL4,TL5,TL6 기기들에 대한 수신감도세기를 고려하여 통신이 원활이 수행될 수 있는 기기와의 연결을 지정해 준다. In other words, the server checks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connected devices of each of the TL1, TL2, and TL3 devices connected to the server, and designates the connection with the devices that the TL1, TL2, and TL3 devices have requested to connect. It designates the connection with the device that can communicate smoothly consider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L4, TL5, TL3 devices detected by TL1, TL2, TL3 devices.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구조와 매칭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서버가 각 TL1,TL2,TL3 기기들의 연결요청정보를 살핀 후, 다음과 같은 TL1-TL4, TL2-TL5, TL3- TL6 연결을 지정하면, TL1에게 TL4와의 연결을, TL2에게 TL5와의 연결을, TL3에게 TL6과의 연결을 명령한다(218). 그리고 그 명령을 전송받은 각 기기 TL1은 TL4에게 페이징을, TL2는 TL5에게 페이징을, TL3은 TL6에게 페이징을 수행한다(220).In order to match the connection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2a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erver examines the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of each TL1, TL2, TL3 devices, the following TL1-TL4, TL2-TL5, TL3- TL6 connection designation Then, TL1 is instructed to connect TL4, TL2 to TL5, and TL3 to connect TL6 (218). Each device TL1 receiving the command paging to TL4, TL2 to paging to TL5, and TL3 to paging to TL6 (220).

각 TL4,TL5,TL6 기기들은 서버로 페이징을 수행한 이후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자신의 주소로 페이지 스캔을 수행하도록 하며(212), 페이지 스캔을 통해서 자신에게 페이징을 하는 TL1,TL2, 또는 TL3 기기들을 발견하게 되는 때에, 해당 기기 로 페이징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222) 서버를 포함하는 피코넷과 서버의 통신 영역 외에 존재하는 각 TL4,TL5,TL6 기기들이 서로 연결되면서(224), 새로운 스캐터넷이 형성된다. Each TL4, TL5, or TL6 device performs a page scan to its address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paging to the server (212), and TL1, TL2, or TL3 to page to itself through the page scan. When the devices are found, by sending a response signal for paging to the device (222), each TL4, TL5, and TL6 devices existing outside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ser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224), A new scatternet is formed.

이와 같이 형성된 스캐터넷 상에서 서버는 자신의 통신 영역 외에 존재하는 기기들(TL4,TL5,TL6)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결국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스캐터넷에서 서버는 먼 곳에 위치한 기기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the scatternet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may perform data transmission to devices TL4, TL5, and TL6 existing outside its own communication area. In the scatternet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be connected to devices located far away. Remote control of the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스캐터넷에서 서버가 특정 기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그 전송하는 데이터 내에 데이터를 전송받을 기기의 주소를 포함시켜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이러한 브로드캐스팅이 서버의 하위 기기들을 통해 연속적으로 발생되면서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각 기기들 전체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데이터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받은 각 기기들은 데이터 내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 주소가 자신의 주소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자신의 주소와 동일한 경우에 그 전송받은 데이터를 자신의 데이터로 받아들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전송방식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스캐터넷 상의 각 기기들에 대한 서버의 데이터 전송 시, 서버가 목적지 기기까지의 라우팅 경로를 형성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In the scat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transmits data to a specific device by broadcasting the data by including the address of the device to receive the data in the transmitting data, and the broadcasting is continuously performed through the lower devices of the ser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is transmitted to all the devices forming the scatternet as it occurs, each device receiving the data in this data method whether the device address included in the data is the same as its own address. If it is the same as its own address, it decides to accept the received data as its own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is transmitted through such a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hus, when the server transmits data to each device on the scatternet, the server can perform data transmission without the hassle of forming a routing path to the destination device. To help.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서버를 중심으로 스캐터넷에 동참하고자 하는 기기들이 서버로 연결요청을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소정 하위 기기를 지정받아 그 기기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스캐터넷 형성 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서버를 통해 스캐터넷 상의 각 기기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스캐터넷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 준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rver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to a scatternet, receives a predetermined subordinate device from the server, and provides a method for forming a scatternet configured to be connected with the device. This allows a scatternet to be formed that can perform remote control of each device on the scatternet.

그래서 기존의 학교 건물에 에어콘, 또는 선풍기 등을 설치하고, 이를 중앙에서 제어하고자 할 경우에 위 제품을 중앙에 서버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연결을 해 줌으로써, 서버와 각 제품 사이에 별도의 네트워크 선로 작업이 없이 중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So, if you want to install an air-conditioner or a fan in an existing school building and control it centrally, by connecting the above product to the server in the center and th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network line between the server and each product Allows centralized control without work.

Claims (5)

스캐터넷을 형성하려는 기기들 중 임의의 기기 하나를 서버로 지정하고, 그 나머지 기기들이 상기 서버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Designating any one of the devices to form a scatternet as a server, and the remaining devices perform paging to the server; 상기 서버가 자신의 통신 영역 내에서 자신에게 페이징을 수행하는 제 1 기기와 서로 연결을 이루는 단계; The server making a connection with a first device that performs paging to itself in its communication area;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서버와 연결된 후, 상기 서버의 주소로 페이징 스캔을 수행하며 자신의 통신 영역 내에서 상기 서버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제 2 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기기와의 연결요청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After the first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rver, the second device performs a paging scan to the address of the server and checks the second device performing the paging to the server within its communication area, and connects the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with the second device. Transmitting to the server;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기기에서 전송한 상기 제 2 기기와의 연결요청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제 1 기기로 상기 제 2 기기와의 연결을 명령하는 단계; 및Receiving, by the server,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with the second device transmitted from the first device, and instructing the first device to connect with the second device; And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2 기기로의 페이징을 수행하며 연결을 이루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루투스의 스캐터넷 형성 방법. And establishing a connection by the first device performing a paging to the second device according to the comman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기기와의 연결요청정보는 상기 제 2 기기의 주소 및 상기 제 2 기기의 수신감도세기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의 스캐터넷 형성 방법. And the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with the second device comprises an address of the second device and a received sensitivity strength value of the second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기기은 복수 개의 기기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제 1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기기와의 연결요청정보를 수신받은 경우에, When the first device is a plurality of devices, and the server receives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with the second device from the plurality of first devices, 그 수신받은 연결요청정보 내에 상기 제 2 기기의 수신감도세기 값으로 가장 큰 값을 전송한 제 1 기기로 상기 제 2 기기와의 연결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의 스캐터넷 형성 방법. And a command for connecting the second device to the first device which has transmitted the largest value as the received sensitivity strength value of the second device in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기기은 복수 개의 기기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제 1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기기와의 연결요청정보를 수신받은 경우에, When the first device is a plurality of devices, and the server receives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with the second device from the plurality of first devices, 그 연결요청정보를 보낸 복수 개의 제 1 기기들 각각에 현재 연결되어 있는 기기 개수를 확인하여, 그 기기 개수가 가장 적은 제 1 기기로 상기 제 2 기기와의 연결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의 스캐터넷 형성 방법. The number of devices current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devices that have sent the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is checked, and the first device having the smallest number of devices is instructed to connect with the second device. How to form a scatterne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버로부터 특정 기기로의 데이터 전송은 하위 기기들로의 데이터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수행되고, 상기 특정 기기에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받을 시, 자신의 데이터임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의 스캐터넷 형성 방법. The data transmission from the server to a specific device is performed through data broadcasting to lower devices, and when receiving the data from the specific device, confirms that it is its own data and receives the data. How to form a scatternet.
KR1020050067742A 2005-07-26 2005-07-26 Method for building a scatternet of bluetooth KR1006804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742A KR100680498B1 (en) 2005-07-26 2005-07-26 Method for building a scatternet of bluetoo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742A KR100680498B1 (en) 2005-07-26 2005-07-26 Method for building a scatternet of bluetoo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434A KR20070013434A (en) 2007-01-31
KR100680498B1 true KR100680498B1 (en) 2007-02-08

Family

ID=3801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742A KR100680498B1 (en) 2005-07-26 2005-07-26 Method for building a scatternet of bluetoo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4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550B1 (en) * 2009-06-23 2010-07-12 (주)제이씨와이컴 Method and apparatus for full-duplex relaying based on tree topology
US9887919B2 (en) 2016-04-01 2018-02-06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and systems for logical mesh networks
US20170290069A1 (en) * 2016-04-01 2017-10-05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and systems for logical mesh network contr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746A (en) * 2002-05-09 2003-1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piconets within bluetooth scattern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746A (en) * 2002-05-09 2003-1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piconets within bluetooth scatterne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8774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434A (en)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4074B2 (en) Mesh network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individual mesh networks
KR100677078B1 (en) Method for operating personal ad-hoc network between bluetooth-devices
US10051076B2 (en) Low power digital radio range extension
US679568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 area network (PAN) degrees of mobility-based configuration
KR100389820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link between bluetooth apparatuses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JP2004112225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CN1989741A (en) Method of connecting a new device to an existing network
US20050180343A1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network formation
CN100391185C (en) Wireless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reassociation bwteen wireless networks using the wireless network device
WO2002039484A2 (en) Intelligent bluetooth inquiry procedure
KR100680498B1 (en) Method for building a scatternet of bluetooth
KR20120066979A (en)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system
KR100761257B1 (en) Network topology extending method for bluetooth
KR20060091374A (en) Chatting method used bluetooth technology and mobile phone used it
JP480954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repeater thereof
JP2011071715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remote controller
KR20090102277A (en) Wireless method to set the zigbee network
WO201411561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program
Kettimuthu et al. Is Bluetooth suitable for large-scale sensor networks?
Lin et al. A new BlueRing scatternet topology for Bluetooth with its formation, routing, and maintenance protocols
EP3860082A1 (en) A mesh network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individual mesh networks
JP2014086776A (en) Management node,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877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piconets within bluetooth scatternet
CN116684216B (en) Communication method, readabl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6074560A (en) Radio conn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