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208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208B1
KR100680208B1 KR1020050105585A KR20050105585A KR100680208B1 KR 100680208 B1 KR100680208 B1 KR 100680208B1 KR 1020050105585 A KR1020050105585 A KR 1020050105585A KR 20050105585 A KR20050105585 A KR 20050105585A KR 100680208 B1 KR100680208 B1 KR 100680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video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5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될 화면의 파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설정할 경우 상기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파일명을 상기 설정된 디스플레이 파일의 종류에 따라 변경함으로서, 추후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상기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삭제 또는 편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본 발명의 은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영상 파일, 동영상 파일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가 도시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아바타의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하는 화면예가 도시된 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대기화면의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하는 화면예가 도시된 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의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편집 화면예가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아바타의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통해 메시지를 보내는 화면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부 20 : 디스플레이부
30 : 입력부 40 : 제어부
41 : 신호처리부 42 : 파일관리부
43 : 디스플레이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바타나 배경화면 등으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된 파일의 삭제나 편집을 예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순히 전화기능 뿐만 아니라 mp3 청취 기능이나 카메라 기능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시계나 알람 또는 전자수첩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하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이나 대기화면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또는 개성에 따라 변경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는 특히 마음에 드는 영상이나 동영상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해 다운로드 받거나,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후 이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기만 할 뿐만 아니라 본인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자수첩으로 활용할 경우 사용자는 주소록에 등록 된 상대방의 아바타로 카메라를 이용해 직접 촬영한 상대방의 사진 등의 영상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렇게 직접 촬영 또는 다운로드된 영상 또는 동영상을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상대방의 아바타 또는 배경화면 등으로 사용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이를 의식하지 못한 채 영상 등을 삭제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앨범보기 기능 등을 이용하여 영상 또는 동영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갤러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한 사용자가 영상 또는 동영상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영상 또는 동영상이 배경화면 등으로 지정된 사실을 잊어버리고 이를 삭제해버려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환경에 유지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바타 또는 배경화면 등으로 설정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함으로서 사용자가 이를 영상 또는 동영상 편집 시 이를 한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이 디스플레이되는 디 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중 소정화면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 가능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 시 상기 설정된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중 소정화면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파일명이 변경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카메라 등을 통해 촬영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10)와, 상기 저장부(10)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출력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명령어 등이 입력 가능한 입력부(30)와,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전반을 담당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저장부(10)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장착되는 메모리이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탈 가능한 외장형 메모리로 구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저 장부(10)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직접 촬영한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외부 컴퓨터 또는 무선 기지국 등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30)는 키패드,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LCD 화면으로 구현 가능하나, 필요에 따라 상기 입력부(30)와 디스플레이부(20)는 터치패드나 터치프스크린 등으로 일체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어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판독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부(41)와, 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0)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등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43)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입력부(30)와 디스플레이부(20)가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등으로 일체로 구현된 경우 상기 신호처리부(41)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43) 역시 하나의 신호 입출력 처리부로서 구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이나 배경화면 등의 화면 등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나 주소부 등에 사용되는 아바타의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아바타나 대기화면 등의 디스플레이 파일로 상기 저장부(10)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이 경우 상기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파일명은 설정된 디스플레이 파일의 파일명에 따라 변경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30)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10)에 저장된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할 수 있는 파일관리부(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3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파일로 특정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선택할 경우, 상기 신호처리부(41)를 상기 입력부(30)의 신호가 제어부(40)에서 판독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동시에 그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파일관리부(42)로 전송한다.
상기 파일관리부(42)는 상기 신호처리부(41)를 통해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상기 저장부(10)의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특정 화면이나 아바타 등의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된 사실을 인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파일명이 변경되도록 상기 저장부(10)에 엑세스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바타로 사용자가 영상 또는 동영사아 파일을 설정한 경우를 도 2를 참고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를 검색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0)에는 상기 전화번호부에 현재 저장된 사람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가 이 중에서도 특정인인 'HongGilDong'의 전화번호부 정보를 편집하고자 할 경우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는 'HongGilDong'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사용자는 'HongGilDong'의 아바타를 새로 지정할 수 있는 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아바타가 지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집버튼을 선택할 경우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아바타를 편집할 수 있는 창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사용자는 갤러리에서 특정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선택하여 아바타용 디스플레이 파일로 지정하거나 아바타를 직접 만들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의 경우 '1.갤러리에서 선택'하기 명령을 입력한 경우를 살펴본다.
사용자가 (b)에서 '1.갤러리에서 선택'을 선택한 경우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현재 상기 저장부(10)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갤러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여러 파일 중 (c)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파일인 'PHOTO051030'을 'HongGilDong'의 아바타로 선택할 경우, 상기 파일관리부(42)에 의해 저장부에 저장된 'PHOTO051030'의 파일명은 'HongGilDong'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추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갤러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하여 이를 보게 될 경우, 아바타로 설정된 파일의 파일명은 아바타에 대응되는 상대방의 성명인 'HongGilDong'으로 변경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따라서, 'HongGilDong' 파일을 삭제하기에 앞서 상기 'HongGilDong' 파일이 'HongGilDong'이란 상대방의 아바타로 지정된 사실을 인지할 수 있어, 아바타를 설정한 후에 해당 파일을 삭제함으로서 이를 없애버리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대기화면이나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경우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대기화면을 변경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하 방향키를 이용함으로서 대기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기를 원하는 디스플레이 파일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대기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화면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설정한 경우 그 설정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파일명은 변경되는 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거 'PHOTO051030'의 파일명을 가졌던 파일의 파일명은 'Wallpaper'로 변경됨을 알 수 있다.
이 때, 상기 파일관리부(42)는 파일명을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파일의 종류에 따라 변경하는 바, 예를 들어 특정인의 아바타로 설정할 경우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파일명은 그 아바타의 성명으로 변경될 것이다.
또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대기화면으로 설정할 경우 그 파일명은 'Wallpaper'로 변경될 것이며, 이와 유사하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시의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파일명은 'PowerON', 'PowerOFF'와 같은 식으로 변경될 것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추후 갤러리에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확인할 때 어떤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아바타 또는 여러 배경화면 중의 하나로 설정되었는지 알 수 있다.
도 4의 (a), (b)는 사용자가 'PHOTO051030'인 파일을 대기화면으로 설정한 경우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PHOTO051030'을 대기화면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설정한 경우 상기 파일의 파일명은 'Wallpaper'로 변경된다.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갤러리를 보기를 원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Wallpaper'로 파일명이 변경된 파일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메뉴버튼을 선택할 경우 관련 메뉴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사용자가 현재 갤러리에 디스플레이 된 파일이 대기화면의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된 것을 모르고 '4.사진삭제'를 선택할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이를 알리는 경고창이 팝업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대기화면 등으로 설정한 파일을 모르고 삭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아바타로 설정 한 경우의 화면이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PHOTO051030'을 'HongGilDong'의 아바타 파일로 설정한 경우 갤러리에서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HongGilDong'의 아바타 파일인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과 함께 파일명인 'HongGilDong'이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상단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도 4의 (a)와 달리 'PHOTO051030'의 경우 대기화면의 디스플레이 파일이 아닌 아바타의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된 바, 갤러리에서 바로 문자 또는 멀티메일을 아바타가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갤러리에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디스플레이 하는 상태에서 하단 좌측의 '메뉴' 버튼을 선택하면(도 3의 (b)참고), 그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 여러 명령어가 팝업창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바, 그 중 하나가 '3.메시지전송'이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갤러리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대기화면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일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팝업창과 같은 메뉴창을 실행시키지만, 만일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아바타의 디스플레이 화면일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팝업??과 같은 메뉴창을 실행시킨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 상태에서 '3.메시지전송'을 선택할 경우 상기 아바타가 지정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바로 문자메시지 또는 멀티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화면이 실행되는 바, 이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여러 화면의 디스플레이 파일이나 특정인의 아바타의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갤러리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실수로 이를 삭제하거나 편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될 화면의 파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설정할 경우 상기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파일명을 상기 설정된 디스플레이 파일의 종류에 따라 변경함으로서, 추후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상기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삭제 또는 편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중 소정화면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 가능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 시 상기 설정된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제어부에서 판독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을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하라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관리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 중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된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관리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명을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 된 화면의 종류에 따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갤러리 형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중,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된 파일의 편집명령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경우 경고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갤러리 형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되는 파일의 파일명을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중 소정화면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파일명이 변경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아바타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아바타로 설정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파일명을 아바타에 대응되는 성명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2 단계 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갤러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아바타로 설정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 선택 시, 해당 아바타에 대응되는 상대방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또는 특정 메뉴 실행시의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대기화면 또는 배경화면의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파일명을 상기 설정된 화면의 종류에 따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2 단계 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갤러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파일로 설정된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편집명령이 입력되면 경고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2 단계 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이 갤러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되는 파일의 파일명을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KR1020050105585A 2005-11-04 2005-11-04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680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585A KR100680208B1 (ko) 2005-11-04 2005-11-04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585A KR100680208B1 (ko) 2005-11-04 2005-11-04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208B1 true KR100680208B1 (ko) 2007-02-08

Family

ID=3810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585A KR100680208B1 (ko) 2005-11-04 2005-11-04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20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970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from a camera on a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US9535592B2 (en) Mobi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executing capability and executing method thereof
US9239646B2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note system using the same
KR10180275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960014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41024A1 (en) Mobile terminal
JP2009533780A (ja) マルチメディアモバイル装置によるノートテイキングのユーザ体験
US2016013990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113238752A (zh) 代码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239307B (zh) 版本更新信息的显示方法及装置
CN107295167B (zh) 信息显示方法及装置
JP2009253772A (ja) 入力装置、入力方法、携帯端末装置の入力制御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US9448838B2 (en) Method for recording user input tasks for controlling a terminal
EP3185515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KR1006802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106060253B (zh) 信息呈现的方法及装置
CN113919311A (zh) 数据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20026458A (ko) 데이터 관리 장치,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A2768418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notes in a wireless device
CN106843860B (zh) 一种调整搜索框的显示样式的方法、装置和系统
US201202145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notes in a wireless device
KR20140089143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1880697B (zh) 一种百科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7076005B (zh) 一种应用运行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4068082B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