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921B1 - 타임스위치 - Google Patents

타임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921B1
KR100679921B1 KR1020050050981A KR20050050981A KR100679921B1 KR 100679921 B1 KR100679921 B1 KR 100679921B1 KR 1020050050981 A KR1020050050981 A KR 1020050050981A KR 20050050981 A KR20050050981 A KR 20050050981A KR 100679921 B1 KR100679921 B1 KR 100679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hour
actuator
da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0353A (ko
Inventor
김종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계전
Priority to KR1020050050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921B1/ko
Publication of KR20060130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3/00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 driving mechanisms, e.g. dosimeters with clockwork
    • G04F3/02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 driving mechanisms, e.g. dosimeters with clockwork with mechanical driving mechanism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2Time pieces of which the clockwork is visible partly or who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H01H43/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임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 상단 일측에 현재시간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본체와, 상기 스위치본체 전면의 환형수용홈 중심에 돌출 형성된 고정원통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조정핀들이 원주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환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24시 작동체와, 상기 환형수용홈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한 작동체의 이면에 형성된 링기어에 치합되어 상기한 작동체를 실시간으로 작동시키는 구동기어와, 상기한 작동체의 중심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한 고정원통부에 고정 부착되는 12시 문자판과, 상기한 고정원통부의 중심에 돌출 형성된 시침축·분침축·초침축 각각에 조립되는 시침과 투명분침판 및 초침작동판이 구비되어 있는 타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24시 작동체의 중심부에는 아침 6시와 저녁 6시를 기준하여 시간단위로 주간 12시간과 및 야간 12시간으로 구분하여 나타내기 위한 주간 시간대와 야간 시간대가 형성되어 있는 주야간 시간표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2시 문자판에는 상기한 주야간 시간표시부에 표기되어 있는 각 시간대의 시간표시를 투시할 수 있게 하는 시간확인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타임스위치, 24시 작동체, 주야간 시간표시부, 시간확인 투시창

Description

타임스위치{Time switch}
도 1은 본 발명의 타임스위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24시 작동체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야간 시간표시부 실시예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으로 타임스위치의 전원공급시간대를 설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타임스위치의 전원공급시간대를 설정하는 다른 실시예.
도 7은 종래 기술의 타임스위치.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임스위치 2 : 스위치본체
21 : 수용홈 22 : 고정원통부
23 : 시침축 24 : 분침축
25 : 초침축 26 : 구동기어
27 : 현재시간표시부 28 : 가동작동돌기
3 : 24시 작동체 31 : 조립홈
32 : 조정핀 34 : 링기어
35 : 24시 시간표시부 4 : 12시 문자판
41 : 시침 42 : 시간확인 투시창
5 : 투명분침판 51 : 분침
6 : 초침작동판 61 : 초침
7 : 전면케이스 8 : 주야간 시간표시부
본 발명은 시계와 같이 실시간으로 작동하면서 설정된 시간에 전기 및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타임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타임스위치에 전원인입선을 결선한 후 전원의 공급 및 차단하는 시간대를 현재시각에 맞추어 셋팅할 때 또는 셋팅된 시간을 재조정할 때 현재시각이 낮 시간대인지 또는 밤 시간대인지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주야간 시간표시부를 24시 작동체에 형성하고, 또한 12시 문자판에는 상기 주야간 시간표에 형성된 주간 및 야간 시간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타임스위치 셋팅시 주간 및 야간 시간대를 혼동하지 않고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에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타임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임스위치는 전원인입선을 결선하게 되면 실시간으로 작동하면서 전원을 동력으로 하여 작동되는 각종 제품 예를 들면, 가로등이나 보안등 또는 옥외 간판 등과 같은 각종 조명기계기구 또는 그밖의 모든 전기 및 전자제품에 대 하여 설정된 시간에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로서, 주로 타이머가 장착되지 아니한 전기 및 전자제품에 설정된 시간대에만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타임스위치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오래 전부터 현재까지 출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스위치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투명한 전면케이스를 통해서 투시되는 내부에는 실시간으로 작동하는 24시 작동체(20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본체(100)의 상단 좌측에 표시되어 있는 현재시간표시부(110)의 내측에는 가동작동돌기(120)가 상기한 24시 작동체(200)의 둘레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30)를 향해 탄력적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한 가동작동돌기(120)는 24시 작동체(200)의 둘레에 10분 단위로 형성된 다수의 조정핀(210)들이 공간부(130)로 돌출 조정되었을 경우 상기한 24시 작동체(200)가 실시간으로 작동하여 돌출된 조정핀(210)이 현재시간표시부(110)에 이르게 되면 가동작동돌기(120)를 스위치본체(100) 내부로 몰입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스위치본체(100) 내부의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에 접속되어 타임스위치는 전원공급의 제어대상이 되는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돌출 조정된 조정핀(210)이 현재시간표시부(110)을 벗어나게 되면 가동작동돌기(120)가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공간부(130)로 돌출되는데, 이때에는 스위치본체(100) 내부의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에서 단락되어 제어대상이 되는 제품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타임스위치의 24시 작동체(200) 전면에는 하루 24시간을 1시간 단위로 나누어 표기하는 1∼24의 시간표시숫자와 각 시간을 10분간격으로 표시하기 위한 10분간격 표시눈금이 표기되어 있는 24시 시간표시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한 24시 시간표시부의 중심에는 12시간을 시간별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표시 숫자와 눈금이 표기되어 있는 12시 문자판(300)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2시 문자판(300)의 중심에는 시침(400)과 분침(500) 그리고 초침작동판(600)이 차례로 장착되어 실시간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24시 시간표시부(220)가 형성된 24시 작동체(200)는 하루에 한바퀴씩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12시 문자판(300)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12시 문자판(300)의 전면에 장착된 시침(400)이 12시 문자판(300)을 두바퀴(2회전) 회전할 때 상기한 24시 작동체(200)는 한바퀴(1회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타임스위치를 통하여 전원공급의 제어대상이 되는 제품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시간대를 설정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는 먼저 타임스위치에 전원인입선을 결선한 후 현재시각에 맞추어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시간대를 셋팅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24시 작동체(200)의 24시 시간표시부(220)에 표기되어 있는 시간표시숫자를 보고 전원공급의 제어대상의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시간대에 있는 조정핀(210)들을 공간부(130)로 돌출되게 조작하는 방법으로 타임스위치를 셋팅시키게 된다. 그런데 12시 문자판(300)에 익숙한 사용자들은 24시 작동체(200)에 표기된 24시간표를 보고 주·야간의 시간대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식별하지 않은 상태에서 셋팅하는 사례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타 임스위치가 원하는 시간대에 작동되지 않고 엉뚱한 시간대 즉, 주간과 야간 시간대가 뒤바뀐 상태로 오작동되는 폐단이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인입선이 결선되어 실시간으로 작동하고 있는 타임스위치를 저녁 8시부터 자정(밤 12시)까지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셋팅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는 24시 작동체(200)의 24시 시간표시부(220)에서 저녁 8시와 자정을 나타내는 "20"숫자와 "24"숫자 사이에 있는 조정핀(210)들이 돌출되게 셋팅시켜야만 타임스위치가 저녁 8시부터 자정까지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로 작동하게 되는데,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24시 시간표시부(220)에 표기된 24시간표를 잘못 보고 도 7의 도시와 같이 24시 시간표시부(220)의 "8"숫자에서부터 "12"숫자 사이에 있는 조정핀(210)들을 돌출시켜서 셋팅하는 실수를 저질렀다고 가정할 경우에는 타임스위치는 저녁 8시부터 자정 사이에 작동되지 않고 엉뚱한 시간대인 아침 8시부터 정오 사이에 작동되는 폐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폐단은 타임스위치를 설치할 때 잘못 셋팅시키는 과정에서도 발생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셋팅 시간대를 조정할 때에도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타임스위치를 잘못 셋팅하게 되는 현상은 실제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생산한 타임스위치를 사용하는 수요자들로부터 전원의 공급시간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항의성 전화가 많이 걸려오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타임스위치에 전선인입선을 결선한 후 전원공급의 작동시간대를 셋팅할 때 또는 셋팅 시간대를 조정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에 조정핀들을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타임스위치의 24시 작동체의 중심부에는 하루 24시간을 아침 6시와 저녁 6시를 기준하여 주간 시간대 12시간과 야간 시간대 12시간으로 구분되어 있을 뿐 아니라 주·야간 시간대의 각 시간을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주야간 시간표시부를 형성하고, 12시 문자판에는 상기한 주야간 시간표시부에 한시간 단위로 표기된 주·야간 시간대 각각의 시간표시가 투시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투시창을 통해서 투시되는 주야간 시간표시부의 각 시간이 주간 시간대인지 또는 야간 시간대인지를 쉽게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누구든지 타임스위치를 조작할 때 24시 시간표시숫자를 잘못 인식하거나 또는 혼동하는 실수를 저지르지 않고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에 타임스위치가 작동되도록 타임스위치를 정확하게 셋팅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시계와 같이 시침, 분침, 초침을 작동시키는 무브먼트가 장착되어 있고 전면 상단에는 현재시간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본체와, 상기 스위치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환형수용홈의 중심에 돌출 형성된 고정원통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조정핀들이 원주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환형상으로 연속해서 배열되어 있는 24시 작동체와, 상기 환형수용홈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24시 작동체의 이면에 형성된 링기어에 치합되어 상기한 작동체를 실시간으로 작동시키는 구동기어와, 상기 24시 작동체의 중심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한 고정원통 부에 고정 부착되는 12시 문자판과, 상기한 고정원통부의 중심에 돌출 형성된 시침축·분침축·초침축 각각에 차례로 조립되는 시침과 투명분침판 및 초침작동판이 구비되어 있는 타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24시 작동체의 중심부에는 아침 6시와 저녁 6시를 기준하여 시간단위로 주간 12시간과 및 야간 12시간으로 구분하여 나타내기 위한 주간 시간대와 야간 시간대가 형성되어 있는 주야간 시간표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2시 문자판에는 상기한 주야간 시간표시부에 표기되어 있는 각 시간대의 시간표시를 투시할 수 있게 하는 시간확인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간확인 투시창으로 투시되는 주야간 시간표시부의 시간은 스위치본체의 현재시간표시부가 가르키는 24시 작동체의 현재시간과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야간 시간표시부는 스티커와 같이 별도 제작되어 24시 작동체의 중심부에 부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임스위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24시 작동체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주야간 시간표시부 실시예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5의 (A)(B)는 본 발명으로 타임스위치의 전원공급시간대를 설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타임스위치의 전원공급시간대를 설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타임스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타임스위치(1)는 시계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작동한다.
상기 타임스위치(1)는 시계와 같이 시침, 분침, 초침을 구동시키는 무브먼트(movement)가 장착되어 있는 스위치본체(2)와, 상기 스위치본체(2) 전면의 수용홈(21) 중심에 돌출 형성된 고정원통부(22)를 회전가능하게 감싼 상태로 조립되는 조립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에는 10분간격을 단위로 하여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다수의 조정핀(32)들이 원형으로 연속해서 배열되어 있는 24시 작동체(3)와, 상기 24시 작동체(3)의 중심에 형성된 요입부(33)에는 12시 문자판(4)과 투명분침판(5) 및 초침작동판(6)이 차례로 삽입되는 상태로 조립되며, 이어서 상기 스위치본체(2)의 전면에는 투명한 전면케이스(7)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본체(2)의 수용홈(21) 중심에 돌출 형성된 고정원통부(22)의 중심에는 시침축(23)과 분침축(24) 및 초침축(25)이 상기한 고정원통부(22)에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고정원통부(22)의 상측에는 24시 작동체(3)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기어(2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본체(2)의 상단에서 좌측으로 편중된 위치에는 타임스위치(1)의 실시간을 가르키는 현재시간표시부(27)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한 현재시간표시부(27)의 내측에는 가동작동돌기(28)가 수용홈(21)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한 가동작동돌기(28)는 24시 작동체(3)의 외주에 연속해서 배열된 조정핀(32)들에 의하여 스위치본체(2)의 수용홈(21)으로 출몰하면서 스위치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단자를 고정단자에 접속 및 단락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24시 작동체(3)는 그 이면에 형성된 링기어(34)가 스위치본체(2)의 구동기어(26)에 치합되어 하루에 한바퀴씩(1회전) 회전하면서 실시간으로 작동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작동체(3)의 전면에는 1시간을 단위로 하여 하루 24시간을 실시간으로 나타내기 위한 1에서부터 24의 시간표시숫자와 각 시간을 6등분하여 나타내는 10분간격의 눈금표시가 표기되어 있는 24시 시간표시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12시 문자판(4)은 스위치본체(2)의 고정원통부(22)에 고정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며, 표면에는 1시간에서부터 12시간을 순서대로 나타내기 위한 시간표시숫자 및 기호가 표기되어 있다.
상기 12시 문자판(4)의 전방측으로는 시침축(23)에는 시침(41)이 조립되어 있으며, 분침축(24)에 조립된 투명분침판(5)에는 분침(51)이 조립되어 있고, 초침축(25)에 조립된 초침작동판(6)에는 다수의 초침(61)이 방사상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24시 작동체(3)의 중심부에 형성된 요입부(34)에는 아침 6시부터 지녁 6시까지는 주간(낮)임을 나타내는 주간 시간대와 저녁 6시부터 아침 6시까지는 야간(밤)임을 나타내는 야간 시간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주간 및 야간 시간대의 각 시간이 12시간씩으로 등분된 상태로 표기되어 있는 주야간 시간표시부(8)를 형성한 구성과, 상기 24시 작동체(3)에 형성된 주야간 시 간표시부(8)에 표기되어 있는 주간 및 야간 시간대의 시간표시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12시 문자판(4)에 시간확인 투시창(42)을 형성한 것에 있다.
상기 주야간 시간표시부(8)는 24시 작동체(3)의 요입부(34) 내면에 직접 인쇄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지만 제작의 편의를 위하여 스티커와 같은 구조로 별도 제작한 다음 접착제 등으로 부착시키는 구조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주야간 시간표시부(8)의 주간 시간대에 해당하는 아침 6시부터 저녁 6시까지의 각 시간의 표시는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와 함께 해(sun)을 나타내기 위한 그림 그리고 아침·오전·낮·정오·오후 등의 문자로 나타내고 있으며, 또 야간 시간대에 해당하는 저녁 6시부터 아침 6시까지의 각 시간은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와 함께 달(moon)을 나타내기 위한 그림 그리고 밤·자정·밤·새벽 등의 문자로 나타내고 있는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표시수단은 주간 및 야간 시간대를 쉽게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의 주야간 시간표시부(8)를 반드시 상기와 같은 표시수단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여건에 따라 다른 표시수단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12시 문자판(4)에 형성된 시간확인 투시창(42)은 상기한 주야간 시간표시부(8)에 표기되어 있는 주간 및 야간 시간대에 표기된 시간표시숫자와 함께 그림 및 문자 표시가 동시에 투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시간확인 투시창(42)으로 투시되는 주야간 시간표시부(8)의 시간표시는 현재시간표시부(27)가 가르키는 24시 작동체(3)의 실시간과 항시 일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실시예로 하고 있는 타임스위치(1)는 본원인에 의하여 선 제안된 실용신안등록 제221243호, 동 제240546호, 동 제310866호, 동 제327461호, 동 제340015호 등에 적용된 타임스위치를 모델로 하고 있는 것이므로 타임스위치(1)의 스위치본체(2)에 장착되어 있는 무브먼트와 이에 관련된 구조적인 구성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의 연결구성에 대하여서는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구성과 작동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타임스위치(1)는 전원인입선이 결선되면 실시간으로 작동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에 타임스위치가 작동되도록 셋팅하거나 또는 셋팅된 시간대를 조정할 수 있는데,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제품에 전원이 공급되는 시간대를 셋팅시키고자 할 때에는 먼저, 스위치본체(2)에서 투명한 전면케이스(7)를 분리시킨 다음 24시 작동체(3)의 외주에 배열되어 있는 조정핀(32)들을 선택적으로 돌출되게 조작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타임스위치(1)가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대를 조작할 때의 현재시각이 오전 10시 10분이라고 가정할 때 타임스위치(1)는 도 5의 (A)와 같이 시침(41)과 분침(51)은 12시 문자판(4)에서 10시 10분을 실시간으로 나타내고 있을 뿐 아니라 시간확인 투시창(42)을 통해서는 주야간 시간표시부(8)의 시간표시는 주간 시간대임을 식별할 수 있게 하는 "10"의 숫자와 함께 "낮" 및 "해그림"이 투시되고 있으며, 또 24시 작동체(3)는 24시 시간표시부(35)에 표기되어 있는 시간표시숫자 "10시 10분"이 현재시간표시부(27)에 일치하게 되므로서 24시 작동체(3)의 시간이 실시간으로 나타나고 있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24시 작동체(3)의 조정핀(32)들을 셋팅시킬 때 시간확인 투시창(42)으로 투 시되는 시간표시가 주간 시간대임을 나타내고 있게 되므로서 현재시간표시부(27)가 가르키는 "10"의 숫자는 주간 시간대라는 것을 순간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사용자가 현재시간표시부(27)에서 실시간으로 가르키는 24시 작동체(3)의 시간표시숫자 "10"이 오전 10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면 24시 시간표시부(35)에 표기되어 있는 1∼24의 숫자에 대한 시간대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므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주간 및 야간 시간대에 타임스위치(1)를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저녁 8시부터 자정까지 타임스위치(1)가 전원을 공급하도록 셋팅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5의 (A) 도시와 같이 12시 문자판(4)의 시간확인 투시창(42)에 나타난 시간표시를 보고 현재시간이 주간 시간대라는 것을 판단하게 되므로서 저녁 8시부터 자정까지의 시간은 24시 시간표시부(35)에 표기된 시간표시숫자에서 "20"은 저녁 8시를, "24"는 자정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쉽게 인식하게 되어 그 숫자 사이에 있는 조정핀(32)들을 돌출 조작하여 셋팅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셋팅된 24시 작동체(3)는 실시간으로 작동하여 저녁 8시에 도달하게 되면 도 5의 (B)도시와 같이 돌출된 조정핀(32)이 가동작동돌기(28)를 스위치본체(2) 내부로 몰입시키게 되면 타임스위치(1)는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로 작동되어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24시 작동체(3)가 실시간으로 작동하여 자정시간을 지나가게 될 때에는 스위치본체(2) 내부로 몰입되었던 가동작동돌기(28)가 출현하게 되어 타임스위치(1)는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도 6의 도시는 타임스위치(1)의 작동시간대를 조정하여 셋팅하는 다른 실시 예로서, 이 실시예는 실시간으로 오후 5시부터 저녁 8시까지 전원이 공급되도록 조정하여 셋팅하게 되면 타임스위치(1)는 실시간으로 오후 5시부터 저녁 8시까지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모든 제품에 원하는 시간대에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 및 차단하는 타임스위치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타임스위치의 작동시간을 셋팅할 때 또는 셋팅시간을 재조정할 때 12시 문자판에 형성된 시간확인 투시창으로 투시되는 주야간 시간표시부의 주간 시간대 및 야간 시간대의 시간표시용 숫자와 문자 및 그림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간편한 수단으로 24시 시간표시부에 표기된 시간표시숫자의 시간대 개념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므로서 타임스위치가 전원을 공급해야할 작동시간대에 정확하게 셋팅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사용자는 24시 시간표시부의 24시간표를 순간적으로 잘못 이해하거나 또는 착각 내지 혼동하여 타임스위치의 작동시간대를 주간과 야간이 뒤바뀐 상태로 잘못 설정하는 실수를 저지르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주간 또는 야간 시간대에 타임스위치가 정확하게 작동하도록 조작할 수 있게 되므로서 전원공급의 제어대상이 되는 제품을 설정된 작동시간대에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시계와 같이 시침, 분침, 초침을 작동시키는 무브먼트가 장착되어 있고 전면 상단에는 현재시간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본체와, 상기 스위치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환형수용홈의 중심에 돌출 형성된 고정원통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조정핀들이 원주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환형상으로 연속해서 배열되어 있는 24시 작동체와, 상기 환형수용홈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24시 작동체의 이면에 형성된 링기어에 치합되어 상기한 작동체를 실시간으로 작동시키는 구동기어와, 상기 24시 작동체의 중심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한 고정원통부에 고정 부착되는 12시 문자판과, 상기한 고정원통부의 중심에 돌출 형성된 시침축·분침축·초침축 각각에 차례로 조립되는 시침과 투명분침판 및 초침작동판이 구비되어 있는 타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24시 작동체의 중심부에는 아침 6시와 저녁 6시를 기준하여 시간단위로 주간 12시간과 및 야간 12시간으로 구분하여 나타내기 위한 주간 시간대와 야간 시간대가 형성되어 있는 주야간 시간표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2시 문자판에는 상기한 주야간 시간표시부에 표기되어 있는 각 시간대의 시간표시를 투시할 수 있게 하는 시간확인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확인 투시창으로 투시되는 주야간 시간표시부의 시간은 스위치본체의 현재시간표시부가 가르키는 24시 작동체의 현재시간과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야간 시간표시부는 스티커와 같이 별도 제작되어 24시 작동체의 중심부에 부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스위치.
KR1020050050981A 2005-06-14 2005-06-14 타임스위치 KR100679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981A KR100679921B1 (ko) 2005-06-14 2005-06-14 타임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981A KR100679921B1 (ko) 2005-06-14 2005-06-14 타임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353A KR20060130353A (ko) 2006-12-19
KR100679921B1 true KR100679921B1 (ko) 2007-02-07

Family

ID=3781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981A KR100679921B1 (ko) 2005-06-14 2005-06-14 타임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9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724B1 (ko) 2010-05-18 2011-12-01 주식회사 신성계전 24시간 및 일주일 겸용 타임스위치
KR101093681B1 (ko) 2010-05-31 2011-12-15 주식회사 신성계전 오토-온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는 타임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314B1 (ko) 2019-02-25 2019-09-04 이응상 타임스위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227A (ko) * 1998-09-09 2000-04-06 권문구 전선용 고분자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227A (ko) * 1998-09-09 2000-04-06 권문구 전선용 고분자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019227000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724B1 (ko) 2010-05-18 2011-12-01 주식회사 신성계전 24시간 및 일주일 겸용 타임스위치
KR101093681B1 (ko) 2010-05-31 2011-12-15 주식회사 신성계전 오토-온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는 타임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353A (ko) 200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4802B2 (ja) ガラスの機能を実行する光学ガイドを有する時計
US20130017516A1 (en) Active braille timepiece & related methods
KR100679921B1 (ko) 타임스위치
WO2005104764A2 (en) Electronic device with secondary display projection
US6819632B1 (en) Wristwatch with removable face
US10012958B1 (en) Time keeping assembly with plurality of display appearances and associated systems
EP1283396B1 (en) Programmable modular adjusting apparatus
US20020131329A1 (en) World globe pocket clock and world globe desk clock
EP0655665B1 (en) Timepiece and its display switching mechanism
US10048652B1 (en) Analog timepiece with steps illustrating arrangement
JP2010530064A (ja) アナログ腕時計におけるデジタル表示方法及びこの方法を使用するアナログ腕時計
US9891588B1 (en) Linear clock
CN201993588U (zh) 带大液晶显示屏的声控霓虹投影钟
CN108369401A (zh) 混合型行针表
CN217960731U (zh) 一种智能药盒
JP2008151627A (ja) Led表示時計
JP4603666B2 (ja) 太陽電池付電子時計
CN109581854B (zh) 一种具有警示功能的钟表
CN2901380Y (zh) 时间显示器
KR101088724B1 (ko) 24시간 및 일주일 겸용 타임스위치
CN218446385U (zh) 双显示定时器
WO2008140279A2 (en) Globe apparatus
WO2009031789A1 (en) The solid watch
KR100638076B1 (ko) 시표시위치조정시계
KR200252360Y1 (ko) 이중 문자판을 갖는 시계의 다중 예약 타이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