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673B1 -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 및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 및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673B1
KR100679673B1 KR1020060105681A KR20060105681A KR100679673B1 KR 100679673 B1 KR100679673 B1 KR 100679673B1 KR 1020060105681 A KR1020060105681 A KR 1020060105681A KR 20060105681 A KR20060105681 A KR 20060105681A KR 100679673 B1 KR100679673 B1 KR 100679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frame
clean room
ion generating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모
Original Assignee
수공아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공아이엔씨(주) filed Critical 수공아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060105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갖는 필터 프레임, 상기 필터 프레임에 수용 설치되는 필터 부재, 상기 필터 부재의 하측에 1개 이상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필터 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취부되는 이온발생부 및 상기 필터 프레임의 측면부재의 외측면에 취부되어 상기 이온발생부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온발생부가 필터 부재의 하부에 필터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설치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서 송풍유닛, 필터유닛 및 이온발생부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정실, 필터, 송풍팬.

Description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 및 송풍장치{A Filter Assembly And Wind-Control Device For Clean Roo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청정실용 송풍장치에 이온발생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정실용 송풍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임과 사이드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 : 송풍유닛 11 : 케이스
12 : 모터 13 : 마운팅 플레이트
14 : 통공 15 : 브라켓
16 : 송풍팬 제어기 17 : 송풍팬
20 : 필터 프레임 30 : 필터 부재
40 : 사이드 플레이트 41 : 체결 볼트
43 : 커버 45 : 개구부
50 : 이온발생부 51 : 니들
60 : 케이블 70 : 접속 하네스
80 : 고압 제어기
본 발명은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 및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온발생부가 필터 부재의 하부에 필터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설치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서 송풍유닛, 필터유닛 및 이온발생부가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이온발생부 일체형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 및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정실은 먼지가 전혀 없으며 외부와 차단 또는 격리된 공간으로서, 초고밀도집적회로나 유전자 조작 등과 같이 세포 속의 미소한 유전자를 다루 는 곳에서와 같이 환경 조건이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치는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청정실은 환경 조건의 하나로 먼지의 유무가 문제되는데, 눈에 보이 지 않을 정도의 미세한 것도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청정실은 외부로부터 먼지가 들어오지 않도록 방을 격리, 방안으로 들어오는 사람의 먼지를 문 밖에서 제거, 방안에 있는 사람에게 먼지가 나지 않는 특수복 착용 또는 필수적으로 방안의 먼지를 없애는 장치를 설비해야 한다.
전술된 청정실의 청정도는 공조 시스템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현재, 청정실의 공조 시스템은 상단부의 송풍팬을 통해 필터를 경유하여 청정 공기가 청정실 내부로 공급된 후 플로어 액서스(floor access)를 통해 순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청정실에서 정전기 방지, 살균 및 먼지 제거를 위해 필터의 하부에 이온발생부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예로서 이온발생부를 송풍유닛(1)과 필터 부재(3) 사이에 내장한 일체형 송풍장치가 제안된 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온발생부 내장형 송풍장치는 발생된 이온이 필터 부재(3)를 통과하는 동안 거의 소멸되어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온발생부의 교체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부재(3)가 부착된 필터 프레임(2)을 지지하는 지지대(4)의 하부에 복수 개의 이온발생부(5)를 취부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종래 방식에 의할 경우에는 이온발생부(5)에서 인출되는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케이블이 손상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으며, 모든 이온발생부(5)를 각각 지지대(4)의 하부에 취부시켜야 하므로 설치시에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 부재(3)의 교체 시에는 모든 이온발생부(5)를 지지대(4)로부터 분리한 후 다시 일일이 각 이온발생부(5)를 지지대(4)에 취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필터 부재(3)의 교체 작업이 용이한 청정실용 송풍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발생부가 필터 부재의 하부에 필터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설치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서 송풍유닛, 필터유닛 및 이온발생부가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 및 송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 프레임의 일측 외측면에 사이드 플레이트를 탈착가능하게 취부하고 이온발생부에 접속되는 케이블과 고압 제어부 간을 접속 하네스로 중간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이온발생부 및 필터 부재의 탈부착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하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갖는 필터 프레임, 상기 필터 프레임에 수용 설치되는 필터 부재, 상기 필터 부재의 하측에 1개 이상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필터 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취부되는 이온발생부 및 상기 필터 프레임의 측면부재의 외측면에 취부되어 상기 이온발생부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삭제
또한, 상기 필터 프레임의 일측 외측면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면 일측에는 1개 이상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커버가 상기 개구 위치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는 이온발생부의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하네스가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청정실의 천정에 설치되고 공기를 유동시켜 하방으로 제공하는 송풍유닛, 상기 송풍유닛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박스 구조를 갖는 필터 프레임, 상기 필터 프레임에 수용 설치되는 필터 부재, 상기 필터 부재의 하측에 1개 이상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필터 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취부되는 이온발생부 및 상기 필터 프레임의 일측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취부되어 상기 이온발생부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송풍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송풍유닛의 일측에 상기 이온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이온발생부에 고압을 인가하는 고압 제어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필터 조립체는 필터 프레임(20), 필터 부재(30), 사이드 플레이트(40) 및 이온발생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터 프레임(20)은 상하가 개방된 4각형 형상의 박스 형상으로서, 상,하부 부재 및 측면 부재를 볼트(21)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하여 조립된 구조를 갖는다.
필터 부재(30)는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 등을 여과시켜 청정공기를 청정실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터 프레임(20)의 개방된 내부에 수용결합되며,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필터 또는 ULPA(Ultra Low Penetration Air) 필터가 사용된다.
이온발생부(50)는 긴 막대 형상을 가지며 필터 부재(30)의 하측에 복수 개가 설치되고 양단이 필터 프레임(20)의 하단 양측에 취부되어 있다. 이온 발생부(50)에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복수 개의 니들(51)이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40)는 필터 프레임(20)의 일 측면부재의 외측면에 취부되어 이온발생부(50)에 접속되는 케이블(6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사이드 플레이트(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41) 등의 체결 부재를 통해 필터 프레임(20)의 상면부재에 탈착 가능하도록 취부되어 필터 부재(30)의 교체 시나 이온발생부(50)의 교환 시에 사이드 플레이트(40)를 필터 프레임(20)으로부터 분리한 후 이온발생부(50)를 필터 프레임(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40)의 일측면에는 이온발생부(50)로부터 인출된 케이블(60)이 인출되는 인출구(90)가 형성되어 인출된 케이블(60)이 후술하는 고압 제어부(80)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정실용 송풍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정실용 송풍장치는 상술한 필터 조립체가 송풍유닛(10)에 결합된 구조로서 청정실의 천정에 설치되어 송풍장치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필터 부재(30)를 통해 여과한 후 청정실 내부로 공급한다.
송풍유닛(10)은 청정실의 천정에 설치되고 공기를 유동시켜 하방으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부면의 중심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대향된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 구조를 갖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내부 중심 부분에 형성된 마운팅 플레이트(13) 및 마운팅 플레이트(13)의 중심에 위치한 송풍팬(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1)의 상면부에는 취부를 위한 브라켓(15),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송풍팬 제어기(16) 및 이온발생부(50)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압 제어기(80)가 설치된다.
마운팅 플레이트(13)에는 송풍팬(12)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필터 부재(30)에 고르게 확산되도록 복수개의 통공(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플레이트(40)의 내부에는 고압 제어기(80)와 이온발생부(50)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 하네스(7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송풍팬(12)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마운팅 플레이트(13)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공(14) 및 마운팅 플레이트(13)와 케이스(11) 상면 과의 공간을 통해 필터 부재(30)로 고르게 유입되며, 필터 부재(30)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삭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임과 사이드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플레이트(40)가 체결부재를 통해 필터 프레임(20)의 상면부재에 결합하지 않고, 사이드 플레이트(40) 및 필터 프레임의 측면부재(22)에 결합부(22a, 40a)를 형성하여 사이드 플레이트(40) 및 필터 프레임의 측면부재(22)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재(22)의 결합부(22a)를 전방으로 만곡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사이드 플레이트(40)의 결합부(40a)를 후방으로 만곡 형성되도록 하여 각 결합부(22a, 40a)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5의 실시예 외에도 필터 프레임과 사이드 플레이트 간을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주지된 결합 구조가 다양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은 당연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면 일측에 1개 이상의 개구(45)를 형성하고, 개구(4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커버(43)가 사이드 플레이트(4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에는 필터 부재(30)나 이온발생부(50)의 교체 시에 사이드 플레이트(40)를 분리할 필요 없이 커버(43)만을 분리한 후 케이블(60)의 접속 플러그(60a)를 접속 하네스(45)의 접속잭(100a)으로부터 분리한 후 이온발생부(50)를 빼내면 되므로 필터 부재(30)나 이온발생부(50)의 교체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온발생부가 필터 부재의 하부에 필터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설치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서 송풍유닛, 필터유닛 및 이온발생부가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 프레임의 일측 외측면에 사이드 플레이트를 탈착가능하게 취부하고 이온발생부에 접속되는 케이블과 고압 제어부 간을 접속 하네스로 중간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이온발생부 및 필터 부재의 탈부착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7)

  1.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하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갖는 필터 프레임;
    상기 필터 프레임에 수용 설치되는 필터 부재;
    상기 필터 부재의 하측에 1개 이상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필터 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취부되는 이온발생부; 및
    상기 필터 프레임의 측면부재의 외측면에 취부되어 상기 이온발생부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프레임의 일측 외측면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면 일측에는 1개 이상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커버가 상기 개구 위치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는 이온발생부의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하네스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
  6. 청정실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청정실의 천정에 설치되고 공기를 유동시켜 하방으로 제공하는 송풍유닛;
    상기 송풍유닛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박스 구조를 갖는 필터 프레임;
    상기 필터 프레임에 수용 설치되는 필터 부재;
    상기 필터 부재의 하측에 1개 이상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필터 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취부되는 이온발생부; 및
    상기 필터 프레임의 일측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취부되어 상기 이온발생부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송풍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의 일측에 상기 이온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이온발생부에 고압을 인가하는 고압 제어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송풍장치.
KR1020060105681A 2006-10-30 2006-10-30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 및 송풍장치 KR100679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681A KR100679673B1 (ko) 2006-10-30 2006-10-30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 및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681A KR100679673B1 (ko) 2006-10-30 2006-10-30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 및 송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673B1 true KR100679673B1 (ko) 2007-02-06

Family

ID=3810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681A KR100679673B1 (ko) 2006-10-30 2006-10-30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 및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05B1 (ko) 2007-01-09 2007-09-13 수공아이엔씨(주) 청정실용 송풍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306A (ko) * 1999-04-30 2001-06-15 사토 히로시 청정실, 청정 이송 방법 및 청정 이송 장치
KR20010085513A (en) * 2000-02-24 2001-09-07 Connector Systems Tech Nv Electric connector having press contact unit
KR20030082092A (ko) * 2002-04-16 2003-10-22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20040004928A (ko) * 2002-07-06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정 공기 덕트 및 청정실용 공기 제공 장치
KR100463637B1 (ko) * 2004-07-20 2004-12-29 수공아이엔씨(주) 청정실 천정 설치용 송풍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306A (ko) * 1999-04-30 2001-06-15 사토 히로시 청정실, 청정 이송 방법 및 청정 이송 장치
KR20010085513A (en) * 2000-02-24 2001-09-07 Connector Systems Tech Nv Electric connector having press contact unit
KR20030082092A (ko) * 2002-04-16 2003-10-22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20040004928A (ko) * 2002-07-06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정 공기 덕트 및 청정실용 공기 제공 장치
KR100463637B1 (ko) * 2004-07-20 2004-12-29 수공아이엔씨(주) 청정실 천정 설치용 송풍 장치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4636370000
1020010049306
1020040004928
2001855130000
2003820920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05B1 (ko) 2007-01-09 2007-09-13 수공아이엔씨(주) 청정실용 송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063B1 (ko) 역 설치형 음이온 발생기와 산소 클러스터 발생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장치
KR101185250B1 (ko) 공기청정기
WO2013061865A1 (ja) 発生ユニットを有する電気機器
KR100679673B1 (ko) 청정실용 필터 조립체 및 송풍장치
CN215765438U (zh) 空调的室内机
KR20120050696A (ko) 벽걸이형 장치구조물
KR20040075448A (ko) 공기청정기
JPS59217431A (ja) 空気清浄機
JP6179471B2 (ja) 空気清浄機
JP470198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0758505B1 (ko) 청정실용 송풍장치
KR20060111031A (ko) 공기청정기
KR100753448B1 (ko) 공기조화기
JPH10205812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5793647B2 (ja) 換気装置
KR200305868Y1 (ko) 음이온 공기 청정 시스템
KR20080055461A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012A (ko) 공기조화기
CN219735533U (zh) 滤网快拆结构
CN208025763U (zh) 净化模组及空调器
JPH0696127B2 (ja) 空気清浄装置
CN218763904U (zh) 空气净化设备
CN211177338U (zh) 一种中央空调清洗用消毒装置
JP2004232882A (ja) 空気調和機
KR100564492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