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455B1 - Apparatus generating an on screen display signal being changed in accordance with luminance level - Google Patents

Apparatus generating an on screen display signal being changed in accordance with luminance lev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455B1
KR100679455B1 KR1020000017003A KR20000017003A KR100679455B1 KR 100679455 B1 KR100679455 B1 KR 100679455B1 KR 1020000017003 A KR1020000017003 A KR 1020000017003A KR 20000017003 A KR20000017003 A KR 20000017003A KR 100679455 B1 KR100679455 B1 KR 100679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uminance
osd
out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94611A (en
Inventor
임재희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7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455B1/en
Publication of KR20010094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6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4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휘도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인 신호 발생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휘도 신호와 OSD 신호가 신호 혼합부로 입력되면, 신호 혼합부는 OSD 신호가 휘도 신호보다 설정 레벨이 높은 휘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휘도신호와 OSD 신호를 혼합하여, 저역 통과 필터부로 출력한다. 저역 통과 필터부는 입력되는 신호중에서 설정 주파수 이하의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클립부로 출력한다. 클립부는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가 설정 크기를 초과할 경우 설정치로 크기를 제한한다. 그로 인해, 영상 신호의 휘도 상태에 따라 OSD신호의 휘도 상태가 가변하므로, 배경 영상의 고휘도로 인해 OSD 표시 성능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고, 윤곽표시를 위해, 별도의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휘도 차이를 이용하여 OSD 기능을 실행하므로, 처리해야 할 신호량을 감소시켜 신호 처리 시간이 향상되고, 신호의 전송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The on-screen display signal generator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luminance state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luminance state at which the OSD signal is higher than the luminance signal when the luminance signal and the OSD signal are input to the signal mixer to output an image. The luminance signal and the OSD signal are mixed and output to the low pass filter unit. The low pass filter filters only signals below a set frequency among the input signals and outputs them to the clip unit. The clip unit limits the size to a set value when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exceeds the set size. Therefore, since the luminance state of the OSD signal varies according to the luminance state of the video signal, the OSD display performance is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due to the high luminance of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luminance difference is eliminated without using a separate signal for contour display. By using the OSD function, the amount of signal to be processed is reduced, so that signal processing time is improved and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is improved.

OSD, 휘도, 영상처리OSD, brightness, image processing

Description

휘도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 발생 장치{APPARATUS GENERATING AN ON SCREEN DISPLAY SIGNAL BEING CHANGED IN ACCORDANCE WITH LUMINANCE LEVEL}On-screen display signal generator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brightness state {APPARATUS GENERATING AN ON SCREEN DISPLAY SIGNAL BEING CHANGED IN ACCORDANCE WITH LUMINANCE LEVEL}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온 스크린 디스 플레이 신호 발생 장치의 블럭도이고,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on-screen display signal that changes according to a luminanc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온 스크린 디스 플레이 신호 발생 장치의 상세 회로도이고,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n on-screen display signal generating device that changes according to a luminanc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휘도 신호와 OSD 신호의 상태 변화도이고, 3A and 3B are state diagrams of a conventional luminance signal and an OSD signal,

도 4a 및 도 4b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 신호와 OSD 신호의 상태 변화도이다.4A and 4B are state variation diagrams of a luminance signal and an OSD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발명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이하 'OSD'라 칭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영상 신호의 휘도 상태에 따라 OSD의 휘도 상태를 가변시키기 위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 Screen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SD')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n Screen Display signal generating device for varying a brightness state of an OSD according to a brightness state of an image signal. It is about.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기기에는 일반적으로 문자나 상태 표시등을 실행하는 기호 등을 나타내기 위한 OSD 기능이 첨가되어 있다.In general, an image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includes an OSD function for displaying a character or a symbol for executing a status indicator.

따라서, 영상을 출력하는 화면 위에 윤곽을 표시하여 원하는 문자나 기능을 표시하는 것으로, 보통 영상 신호에 OSD 신호를 중첩시켜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흰색에 검은색으로 윤곽을 표시하거나 단색에 윤곽을 첨가하여, 문자 인식이 용이하도록 한다. Therefore, by displaying an outline on a screen for outputting an image to display a desired character or function, an OSD signal is usually superimposed on an image signal so that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general, an outline is displayed in black on white or an outline is added to a single color to facilitate character recognition.

그러나, 종래의 OSD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OSD 신호에서는 휘도 신호는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However, in the OSD signal for executing the conventional OSD function, the luminance signal is designed to remain constant at all times.

즉,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출력을 위해 휘도 신호가 변화하여도, OSD 신호의 레벨은 항상 일정 상태를 유지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s. 3A and 3B, even when the luminance signal changes for video output, the level of the OSD signal always remains constant.

따라서, 영상을 출력하는 화면의 휘도 변화에 무관하게, 항상 OSD의 휘도 신호는 항상 일정하므로, 배경 화면이 어두울 경우에는 문자가 두드러지게 보이지만 배경 화면의 휘도가 높을 경우엔 반대로 문자가 어둡게 보이므로 화질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Therefore, regardless of the brightness change of the screen outputting the image, the brightness signal of the OSD is always constant. Therefore, when the background screen is dark, the characters appear prominent, but when the background screen is high, the characters appear dark. Problems arise that exacerbate.

또한, OSD 기능을 위해, 별도의 윤곽 표시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for the OSD function, a problem arises in that a signal for displaying a separate outline must be generated.

그러므로 이 발명기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경 화면의 휘도 상태보다 항상 일정 레벨이 높은 휘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OSD 신호의 휘도 레벨을 변화시키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luminance level of the OSD signal so that the luminance state is always maintained higher than the luminance state of the background screen.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휘도가 가변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 발생 장치는,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on-screen display signal generator of the variable bright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휘도 신호와 OSD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OSD 신호가 입력되어 OSD 신호가 휘도 신호보다 설정 레벨이 높은 휘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휘도 신호와 OSD신호를 혼합하는 신호 혼합부와;A signal mixing unit for mixing the luminance signal and the OSD signal so that a luminance signal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n OSD signal for displaying an OSD function are input so that the OSD signal can maintain a luminance state higher than a luminance signal;

신호 혼합부에서 휘도 신호와 OSD 신호가 혼합되어 출력되면,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최대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 설정치로 제한하는 클립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When the luminance signal and the OSD signal are mixed and output in the signal mixing unit, the input unit further includes a clip unit for limiting the setting value when the level of the input signal exceeds the maximum setting value.

바람직하게, 신호 혼합부는 일측 단자로 휘도 신호가 입력되고 타측단자로 OSD 신호가 입력되어, 해당 값에 따라 휘도 신호와 OSD 신호의 크기 차이가 발생하여, 해당 레벨만큼의 휘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저항으로 이루어진다.Preferably, the signal mixing unit inputs a luminance signal to one terminal and an OSD signal to the other terminal, so that a magnitude dif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signal and the OSD signal occurs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value, so that the luminance difference by the corresponding level may occur. Made of resistance.

또한 클립부는, 전원에 일측단자가 연결된 저항과, 저항과 저역 통과 필터부에 연결된 트랜지스터와, 트랜지스터의 출력 단자에 캐소우드 단자가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된 제너 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설정 크기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lip portion includes a resistor connected to one terminal to a power supply, a transistor connected to a resistor and a low pass filter, and a zener diode connected to a cathode terminal and an anode terminal ground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transistor. It is desirable to limit the size to a set size.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가 가변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Th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on-screen display device having a variable bright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preferred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 발생 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 발생 장치의 상세 회로도이고, 도4a 및 도 4b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 신호와 OSD 신호의 상태 변화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on-screen display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on-screen display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state diagrams of luminance signals and OSD signal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 발생 장치는 신호 처리되어 디지털 상태로 변환된 휘도 신호와 OSD 신호가 입력되는 신호 혼합부(1)와, 신호 혼합부(1)의 출력이 입력되는 저역 통과 필터부(2)와, 저역 통과 필터부(2)의 출력이 입력되는 클립(clip)부(3)와, 클립부(3)의 출력과 색신호가 입력되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휘도/색신호 혼합부(4)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an on-screen display signal generator which changes according to a luminance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gnal mixer 1 in which a luminance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state and an OSD signal are input. And a low pass filter portion 2 into which the output of the signal mixing section 1 is input, a clip portion 3 into which the output of the low pass filter portion 2 is input, and a clip portion 3 of An output and a color signal are input to the luminance / color signal mixing section 4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 발생 장치의 상세한 회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A detailed circuit of the on-screen display signal generator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luminance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신호 혼합부(1)는 입력되는 휘도 신호와 OSD 신호를 혼합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단자로 휘도 신호가 입력되고 타측단자로 OSD 신호가 입력되어 저역 통과 필터부(2)로 출력하는 저항(Rl)으로 이루어진다. The signal mixing unit 1 mixes the input luminance signal and the OSD signal, and as shown in FIG. 2, the luminance signal is input to one terminal and the OSD signal is input to the other terminal to the low pass filter unit 2. It consists of an output resistor Rl.

저역 통과 필터부(2)는 저역 통과 필터(21)는 혼합된 신호에 노이즈 성분등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역 통과 필터(21) 와, 저역 통과 필터(21)의 입력단자(IN)에 연결되어 접지된 저항(R2)과, 저역 통과 필터(21)의 출력단자(OUT)에 연결되어 접지된 저항(R3)으로 이루어진다.The low pass filter unit 2 is a low pass filter 21 to remove unnecessary signals such as noise components to the mixed signal, as shown in Figure 2, the low pass filter 21 and the low pass filter 21 The resistor R2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of the N) and grounded and the resistor R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low pass filter 21.

클립부(3)는 불필요한 신호 성분이 제거된 신호의 크기(진폭)가 최대 설정크 기를 초과할 경우 이를 최대 설정 크기로 한정하는 것으로, 전원(+5V)에 일측단자가 연결된 저항(R4)과, 저항(R4)의 타측단자에 에미터 단자가 연결되고 콜렉터단자가 접지되며 저역 통과 필터부(2)의 저역 통과 필터(21)의 출력단자(OUT)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1)와,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단자에 캐소우드 단자가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된 제너 다이오드(ZD1)로 이루어진다.The clip part 3 is limited to the maximum setting size when the magnitude (amplitude) of the signal from which unnecessary signal components are removed is exceeded the maximum setting size, and the resistor R4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 5V) and And a transistor Q1 having an emitter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resistor R4, a collector terminal grounded, and a base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UT of the low pass filter 21 of the low pass filter unit 2. The zener diode ZD1 has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Q1 and an anode terminal grounded.

휘도 및 색신호 혼합부(4)는 클립부(3)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색신호를 혼합하여 필요한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The luminance and color signal mixing section 4 mix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clip section 3 and the color signal and outputs a necessary video signal.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상세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Detaile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as follows.

먼저, 신호 혼합부(1)로 입력되는 휘도 신호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신호 처리되어 이용 가능한 디지털 상태의 신호이고, OSD 신호 역시 도시하지 않은 OSD 발생회로에서 출력되는 신호이다.First, the luminance signal input to the signal mixing unit 1 is a signal in a digital state which can be processed and used in a general manner, and an OSD signal is also a signal output from an OSD generation circuit (not shown).

따라서, 신호 혼합부(1)의 저항(Rl)의 양 단자로 휘도 신호와 OSD 신호가 각각 입력되면, 신호 혼합부(1)의 저항(Rl)을 통해 입력된 휘도 신호와 OSD 신호가 서로 혼합되어 저역 통과 필터부(2)로 입력된다.Therefore, when the luminance signal and the OSD signal are respectively input to both terminals of the resistor Rl of the signal mixer 1, the luminance signal and the OSD signal input through the resistor Rl of the signal mixer 1 are mixed with each other. And input to the low pass filter part 2.

이 때, 저항(Rl)을 통해 OSD 신호가 휘도 신호와 혼합되므로, 저항(Rl)의 값에 따라 휘도 신호가 더해지는 OSD 신호의 크기가 결정되어, 휘도 신호보다 설정된 크기의 휘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since the OSD signal is mixed with the luminance signal through the resistor Rl, the size of the OSD signal to which the luminance signal is add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resistor Rl, so that the luminance stat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an the luminance signal can be maintained. do.

저역 통과 필터부(2)는 신호 혼합부(1)의 저항(Rl)에 의해 휘도 신호와 OSD신호가 혼합된 신호중에서 해당 주파수의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The low pass filter 2 filters and outputs only a signal having a corresponding frequency among the signals in which the luminance signal and the OSD signal are mixed by the resistor Rl of the signal mixer 1.

따라서, 저역 통과 필터부(2)의 저역 통과 필터부(21) 입력 단자로 혼합된 해당 신호가 입력되면, 저역 통과 필터(21)는 입력되는 신호 중에서 이미 설정된 크기 미만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만을 통과시켜, 출력단자(OUT)로 출력한다.Therefore, when the corresponding signal mixed with the low pass filter 21 input terminal of the low pass filter 2 is input, the low pass filter 21 passes only the signal having a frequency less than the predetermined magnitude among the input signal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OUT).

이때, 저역 통과 필터(21)는 이미 주파수의 크기가 설정되어 그 이하의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At this time, the low pass filter 21 has already set the magnitude of the frequency and passes only the signals below it.

이와 같이, 저역 통과 필터부(2)를 통해 불필요한 성분의 신호가 필터링되어 출력되면, 클립부(3)는 저역 통과 필터부(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진폭)을 제한한다. In this way, when a signal of an unnecessary component is filtered out through the low pass filter part 2, the clip part 3 limits the magnitude (amplitud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low pass filter part 2.

따라서, 저역 통과 필터부(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트랜지스터(Q1)의 동작 상태가 가변하여 턴온 상태로 절환되면, 트랜지스터(Q1)는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를 출력한다.Therefore, 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istor Q1 varie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low pass filter unit 2 and is switched to the turn-on state, the transistor Q1 outputs a signal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do.

이 때, 트랜지스터(Q1)의 출력단인 에미터 단자에 저항(R4)과 3.3V의 제너다이오드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단자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제한한다. At this time, since the resistor R4 and the 3.3V zener diode are mounted at the emitter terminal which is the output terminal of the transistor Q1, the magnitude of the signal output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Q1 is limited.

일반적으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 신호의 레벨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휘도 신호와 혼합된 OSD 신호의 크기가 휘도 신호와의 설정된 크기 차이를 유지하기 위해 한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상태까지 크기가 증가할 경우에는 영상 출력을 위한 동기 신호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In general, since the level of an image signal for outputting an image is limited, when the magnitude of the OSD signal mixed with the luminance signal increases to a state in which the magnitude of the OSD signal exceeds the defined level to maintain a set magnitude difference from the luminance signal. In this case, the synchronization signal for image output is damaged.

그로 인해, 이와 같이, 휘도 신호의 크기가 설정 레벨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호의 크기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magnitude of the luminance signal from exceeding the setting level 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magnitude of the signal.

이 때,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휘도신호의 레벨이 설정레벨까지 증가할 경우 에도 휘도 신호의 레벨이 설정 레벨까지 증가한 경우는 없으므로, 역시 휘도 신호와 OSD 신호와의 휘도 차이가 발생한다. At this time, even when the level of the luminance signal for outputting the image increases to the set level, the level of the luminance signal does not increase to the set level, so that a luminance dif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signal and the OSD signal also occurs.

즉, 트랜지스터(Q1)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가 제너 다이오드(Dl)에 의해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면 제너 다이오드(Dl)의 동작 상태가 가변하므로, 트랜지스터(Q1)의 출력은 제너 다이오드(Dl)에 의해 최대값이 한정되어 출력된다. That is, when the magnitude of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the transistor Q1 exceeds the magnitude set by the zener diode Dl, the operation state of the zener diode Dl varies, so the output of the transistor Q1 is the zener diode ( The maximum value is limited and output by Dl).

이와 같이, 클립부(3)의 동작에 의해 저역 통과 필터부(2)를 통과한 신호의 크기가 최대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 휘도 신호가 OSD 신호가 혼합된 신호의 크기가 최대값으로 제한되어 휘도/색신호 혼합부(4)의 휘도 입력단자(Yin)로 입력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ize of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low pass filter unit 2 by the operation of the clip unit 3 exceeds the maximum setting value, the magnitude of the signal in which the luminance signal is mixed with the OSD signal is limited to the maximum value. It is input to the luminance input terminal (Yin) of the luminance / color signal mixing section 4.

따라서, 휘도 신호와 혼합되어 휘도/색신호 혼합부(4)로 입력되는 신호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출력을 위한 휘도 신호의 상태가 변화함에 따라 OSD 신호의 크기도 설정 레벨을 유지하면서 가변한다.Therefore, the signal mixed with the luminance signal and input to the luminance / color signal mixing unit 4 is, as shown in Figs. 4A and 4B, as the state of the luminance signal for image output changes, the size of the OSD signal is also set. While keeping it variable.

휘도/색신호 혼합부(4)는 휘도 입력단자(Yin)로 입력되는 휘도 신호와 색신 호 입력단자(C)로 인가되는 색신호를 혼합하여, 영상 출력이 가능한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The luminance / color signal mixing unit 4 mixes a luminance signal input to the luminance input terminal (Yin) and a color signal applied to the color signal input terminal (C), and outputs an image signal capable of outputting an image.

이 때, 휘도/색신호 혼합부(4)의 휘도 입력단자(Yin)로 인가되는 휘도 신호에는 영상 출력을 위한 휘도 신호와, 휘도 신호보다 어느 설정된 레벨만큼 휘도가 높은 OSD 신호가 혼합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luminance signal applied to the luminance input terminal (Yin) of the luminance / color signal mixing unit 4 is mixed with a luminance signal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n OSD signal having a higher luminance by a predetermined level than the luminance signal.

그로 인해, 영상신호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에는 윤곽(테두리)에 의해 OSD 기능이 표시되는 것이 아니고, 출력되는 영상과의 휘도 차이에 의해 OSD 기능이 표시 된다. Therefore, the OSD function is not displayed on the video output by the video signal but by the luminance difference from the video output.

이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의 효과는 영상 신호의 휘도 상태에 따라 OSD신호의 휘도 상태가 가변하므로, 배경 영상의 고휘도로 인해 OSD 표시 성능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brightness state of the OSD sign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brightness state of the image signal, thereby preventing the display performance of the OSD is reduced due to the high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image.

또한, 윤곽 표시를 위해, 별도의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휘도 차이를 이용하여 OSD 기능을 실행하므로, 처리해야 할 신호량을 감소시켜 신호 처리 시간이 향상되고, 신호의 전송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OSD function is executed using the luminance difference without using a separate signal for contour display, the signal processing time is improved by reducing the amount of signal to be processed, and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signal is generated. do.

Claims (3)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휘도 신호와 OSD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OSD 신호가 입력되어 OSD 신호가 휘도 신호보다 설정 레벨이 높은 휘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휘도 신호와 OSD 신호를 혼합하는 신호 혼합부와;A signal mixing unit for mixing the luminance signal and the OSD signal so that a luminance signal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n OSD signal for displaying an OSD function are input so that the OSD signal can maintain a luminance state higher than a luminance signal; 신호 혼합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입력되어 불필요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 통과 필터부와;A low pass filter for inpu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mixer to remove unnecessary noise components; 상기 저역 통과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최대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 최대 설정치로 제한하는 클립부와;A clip unit configured to limit the maximum output value when the level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low pass filter unit exceeds the maximum set value; 상기 클립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색신호가 입력되어,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휘도/색신호 혼합부A luminance / color signal mixing unit which outputs an image signal by inputting a signal and a color signal output from the clip unit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신호 혼합부는 일측 단자로 휘도 신호가 입력되고 타측단자로 OSD 신호가 입력되는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저항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휘도 신호와 OSD 신호의 크기 차이가 발생하여, 상기 크기 차이에 해당하는 레벨만큼 상기 OSD 신호의 휘도가 상기 휘도 신호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인 신호 발생 장치. The signal mixer includes a resistor to which a luminance signal is input to one terminal and an OSD signal is input to the other terminal. And the luminance of the OSD signal is higher than the luminance signal by the level of the on-screen display signal generato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lip portion, 전원에 일측단자가 연결된 저항과,A resistor with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일측 연결된 저항과 상기 저항과 저역 통과 필터부에 연결된 트랜지스터와,A resistor connected to one side and a transistor connected to the resistor and the low pass filter; 상기 트랜지스터의 출력 단자에 캐소우드 단자가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된 제너 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설정 크기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인 신호 발생 장치.Generation of an on-screen display signal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luminance state, comprising a zener diode having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an anode terminal grounded to limit the frequency of the input signal to a predetermined size Device.
KR1020000017003A 2000-03-31 2000-03-31 Apparatus generating an on screen display signal being changed in accordance with luminance level KR1006794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003A KR100679455B1 (en) 2000-03-31 2000-03-31 Apparatus generating an on screen display signal being changed in accordance with luminance le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003A KR100679455B1 (en) 2000-03-31 2000-03-31 Apparatus generating an on screen display signal being changed in accordance with luminance lev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611A KR20010094611A (en) 2001-11-01
KR100679455B1 true KR100679455B1 (en) 2007-02-07

Family

ID=1966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003A KR100679455B1 (en) 2000-03-31 2000-03-31 Apparatus generating an on screen display signal being changed in accordance with luminance lev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4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899A1 (en) * 2019-04-26 2020-10-29 이철우 Method for producing multi-reactive images, method for generating mult-reactive image metadata, method for analyzing interaction data for understanding human behavior, and program us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857U (en) * 1989-06-22 1991-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OSD brightness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screen brightness
KR970009274A (en) * 1995-07-28 1997-02-24 배순훈 Automatic text brightness control in OSD
JPH10290407A (en) * 1997-04-17 1998-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n-screen display level correction device
JPH10304248A (en) * 1997-04-30 1998-11-13 Fujitsu Ltd On-screen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857U (en) * 1989-06-22 1991-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OSD brightness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screen brightness
KR970009274A (en) * 1995-07-28 1997-02-24 배순훈 Automatic text brightness control in OSD
JPH10290407A (en) * 1997-04-17 1998-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n-screen display level correction device
JPH10304248A (en) * 1997-04-30 1998-11-13 Fujitsu Ltd On-screen display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086935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611A (en)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3317A (en) On-screen display device for a multimode monitor and method thereof
JP2004064775A (en) Beam scan speed modulating apparatus including inhibition circuit
KR100679455B1 (en) Apparatus generating an on screen display signal being changed in accordance with luminance level
KR970007479B1 (en) Compensation circuit of background display using signal of on screen-display
KR920002442Y1 (en) Osd letters color blot checking circuit of secam and mesecam mode image system
KR200194829Y1 (en) Noise removal circuit using a high chroma color signal
JP2929048B2 (en) Television equipment
KR100260474B1 (en) Video camera
KR920007376Y1 (en) Circuit for dispensing letter itself
US4760450A (en) Limiter circuit for preventing blooming in a video display terminal
KR20000010299U (en) HALF TONE On-Screen Display (OSD) Device
KR930008026Y1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of on-screen display
KR910002841Y1 (en) Luminance signal level translating circuit for tv set/monitor
CN100466059C (en) Brightness signal limiter circuit based amplification on negative feedback
KR0118645Y1 (en) Video character mixer circuit
KR950004056Y1 (en) Picture antiblanking circuit of nonisignal
KR100280727B1 (en) Noise filter circuit
KR910006311Y1 (en) Bar noise removing circuit
KR970006132Y1 (en) On screen display apparatus
KR200158969Y1 (en) Mixing circuit of analogue signal of monitors with osd signal
KR930003451Y1 (en) Automatic image edge part gain control circuit
KR100206322B1 (en) Luminance control method and circuit for lcd projection tv
KR0183696B1 (en) Character signal composition apparatus
KR970004903Y1 (en) Vertical size correction circuit in increasing beam-current of tv
KR930003445Y1 (en) Mode transfer operation stabiliza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