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040B1 -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040B1
KR100679040B1 KR1020050106670A KR20050106670A KR100679040B1 KR 100679040 B1 KR100679040 B1 KR 100679040B1 KR 1020050106670 A KR1020050106670 A KR 1020050106670A KR 20050106670 A KR20050106670 A KR 20050106670A KR 100679040 B1 KR100679040 B1 KR 100679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audio signal
audio
signal
d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효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040B1/ko
Priority to US11/529,396 priority patent/US20070104229A1/en
Priority to EP06123202A priority patent/EP1783934A2/en
Priority to CNA2006101445065A priority patent/CN1964238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은 DMB 또는 DA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제 1 서비스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제 2 서비스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 2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 및 상기 믹싱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MB, DAB, 오디오, 믹싱, 디코딩, DMB 단말기

Description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mixing plural audio signal included in plural DMB/DAB service in DMB/DAB device}
도 1은 DMB 방송 채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DMB 방송 수신부
120: 디코딩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출력부
150: 믹싱부
본 발명은 DMB 방송을 출력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기의 이동성이 향상되면서, 이동중에도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DMB, DAB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한다)과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이하 'DAB'라 한다)의 약칭이다. 방송 위원회는 2003년 2월 발표한 '디지털미디어센터(DMC), 데이터방송 및 DMB등 디지털방송에 대한 종합계획'에서 DMB를 'CD수준의 음질과 데이터 또는 영상 서비스 등이 가능하고 우수한 고정 및 이동 수신 품질을 제공하는 디지털방식의 멀티미디어 방송'으로 정의하고, DMB를 지상파, 위성 등 전송수단에 따라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구분했다. DMB, DAB의 속성으로는 '다채널', '멀티미디어', '이동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방식의 멀티미디어 방송을 의미한다.
DMB 방송은 여러 채널의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도 1은 DMB 방송 채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주파수 대역에서 DMB 채널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나의 채널(11)을 여러 개의 앙상블(ensemble)이 나누어 사용하고 있다. 하나의 앙상블이 실질적으로 특정 방송국이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앙상 블에는 비디오 신호(V)와 다수의 오디오 신호(A0, A1, A2, ... An)가 포함된다. 즉, DMB 주파수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앙상블 또는 다수의 채널 내에 여러 오디오 신호가 포함된다. 이때,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종래의 기술이었다. 다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현재 스피커로 출력중인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켜야 한다. 그러나 잠시 다른 오디오를 듣고자 한다든가, 음악과 뉴스를 같이 듣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다수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과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DMB 또는 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해서 출력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특정 방송을 시청중에 중단없이 다른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은 DMB 또는 DA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제 1 서비스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 디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제 2 서비스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 2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 및 상기 믹싱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는 DMB 또는 DA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에서 제 1 서비스의 정보를 추출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중에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둘 이상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 수신부는 소정의 입력 조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정보에서 제 2 서비스의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믹싱부는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출력부에 상기 믹싱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믹싱한 신호를 출력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 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방송에도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 즉 '~모듈' 또는 '~테이블' 등은 소프트웨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 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조도이다. DMB 단말기(100)는 노트북, PDA, PMP, HPC, 휴대폰 등 이동성과 휴대성이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포함한다.
DMB 방송 수신부(110)는 DMB 방송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에서 제 1 서비스의 정보를 추출출한다. 통상 튜너(111, 112)를 포함하여 특정 채널 또는 특정 앙상블의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DMB 방송 수신부(110)가 서로 다른 앙상블(ensemble)에 있는 둘 이상의 오디오 서비스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둘 이상의 튜너(111, 112)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앙상블 내에 다수의 오디오 신호 중에서 둘을 선태하여 출력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튜너만으로도 가능하다.
디코딩부(12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통상 오디오 신호는 압축되어 전송되므로 이를 원래의 신호로 디코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MPEG, AVC 등과 같은 다양한 압축방법이 존재하므로 이에 따른 디코딩 방법을 제공한다. 또는 상기의 여러 압축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통합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방송 정보 또는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 LCD, OLED 등이 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DMB 단말기에 부착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DMB 단말기는 이동성과 휴대성을 가지므로 소형 스피커에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또는 소형 스피커와 결합하여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믹싱부(150)는 둘 이상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여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디코딩부(120)와 결합하여 하나의 장치일 수 있다.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도록 디코딩한 오디오 신호, 예를 들어 PCM 데이터를 믹싱하여 생성한다.
DMB 방송 수신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제 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사용자가 다른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거나, 오디오 신호가 포함된 방송 서비스를 서치하는 등의 기능이 수행될 경우, 방송 서비스 정보에서 제 2 서비스의 정보를 추출한다.
믹싱부(150)는 DMB 방송 수신부(110)가 추출한 둘 이상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부(140)로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를 믹싱할 때, 둘 이상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의 볼륨 비율이 있다면 믹싱부(150)는 해당 볼륨의 비율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믹싱한다. 예를 들어 제 1 오디오 신호는 80%로 출력하고, 제 2 오디오 신호는 20%로 출력하도록 비율이 정해져 있다면 이에 따라 제 1 오디오 신호는 크게 들리도록, 제 2 오디오 신호는 작게 들리도록 믹싱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출력부(140)가 있을 경우, 오디오 신호를 각 출력부에 각각 할당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좌, 우의 구별이 있는 스테레오 출력부(140)가 구비된 경우, 좌측으로는 제 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고 우측으로는 제 2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DMB 방송 수신부(110)는 수신한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오디오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출력된 오디오 서비스에서 두 개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 중에 다른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정의 오디오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미리 듣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메인으로 듣는 오디오 신호 외에 다른 오디오 서비스가 어떤 서비스가 있는지를 검색하기 위해 10초, 20초와 같이 소정 시간동안 서비스의 오디오 정보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정 서비스들을 출력하는 중에, 특정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면 해당 오디오 신호를 메인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로 대체하거나, 또는 메인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믹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DMB 방송 수신부를 통해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210). 수신한 방송 신호 내에 서비스 정보를 추출한다(S212). 앙상블 단위로, 또는 채널 단위로 서비스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S214). 사용자가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청취중에 또다른 제 2 서비스를 선택한다(S220). 또는 DMB 단말폰에서 오디오 서비스를 검색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오디오 서비스를 들을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순서에 의해, 예를 들어 앙상블 별로, 또는 채널 별로, 오디오 서비스를 출 력하게 되는데, 이때 출력할 차례가 된 서비스가 선택된 제 2 서비스가 될 수 있다.
현재 청취중인 제 1 서비스와 사용자가 선택한 제 2 서비스가 동일한 앙상블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튜너에서 오디오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서비스와 제 2 서비스가 동일한 앙상블 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인지 체크한다(S230). 같은 앙상블 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라면 동일한 튜너를 사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다(S240). 그러나 동일한 앙상블 내에 제공되는 서비스가 아니라면 다른 튜너가 사용가능한지 체크한다(S250). 다른 튜너가 사용가능하다면 다른 튜너를 통해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다(S258). 그러나 다른 튜너가 없다면 해당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추출할 수 없으므로 완료한다.
추출한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S260). 디코딩된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한다(S262). 이때,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 출력과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 출력의 볼륨 비율이 있는 경우, 이에 따라 출력될 신호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둘 이상의 스피커로 스테레오 출력이 가능한 경우, 좌측에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우측에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믹싱할 수 있다.
S220 단계 이전에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다수의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부터 서비스를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가 포함된 서비스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방송을 청취중에 다른 방송을 살펴보는 경우, 오디오 신호가 포함된 방송 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방송 서비스들을 순차적으로 10초 정도씩 출력하여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로 전환하여 청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예를 보여준다.
310은 DMB 단말기를 통해 콘서트 방송이 출력되는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콘서트 방송의 동영상과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중이다. 사용자는 채널키와 볼륨키를 통해 방송 채널과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는 중에, 다른 오디오 서비스를 듣고자 할 경우에는 오디오 함께 듣기(311)을 선택한다. 그 결과 화면은 320과 같이 바뀐다. 콘서트 방송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중이면서, 사용자는 다른 선택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가 포함된 서비스의 목록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뉴스를 선택하게 되면, 330과 같이 원래의 콘서트 방송의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이전에 출력된 콘서트 방송의 오디오 신호에 뉴스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가 믹싱되어 출력 가능하다. 뉴스를 들으면서 콘서트를 함께 즐길 수 있으며,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뉴스가 방송되면 해당 방송을 메인으로 하여 시청할 수 있다. 또한 함께 듣는 오디오 중지(312) 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뉴스 방송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출력을 중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예를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믹싱시에 믹싱될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믹싱할 수 있고, 또한 좌측과 우측 스피커를 통해 달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410은 DMB 단말기를 통해 뉴스 방송이 출력되는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뉴스 방송의 동영상과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중이다. 사용자는 채널키와 볼륨키를 통해 방송 채널과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는 중에, 다른 오디오 서비스를 듣고자 할 경우에는 오디오 함께 듣기(411)을 선택한다. 그 결과 화면은 420과 같이 바뀐다. 뉴스 방송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중이면서, 사용자는 다른 선택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가 포함된 서비스의 목록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음악을 선택하게 되면, 430과 같이 원래의 뉴스 방송의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뉴스 서비스의 오디오를 크게 출력하고, 음악 서비스의 오디오를 작게 출력하여 배경음악처럼 사용할 수 있다. 추후 사용자가 음악을 더 크게 듣고자 할 경우, 볼륨 크기 반전(412)를 통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하나의 DMB 또는 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해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특정 방송을 시청중에 중단없이 다른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DMB 또는 DA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제 1 서비스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 1 서비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오디오의 출력이 가능한 서비스들의 선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선택정보로부터 제 2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서비스의 출력 중단 없이 상기 믹싱된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정보는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다수의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는,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오디오가 지원되는 서비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서비스의 오디오들을 소정의 시간 동안 각각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와 상기 제 2 서비스가 동일한 앙상블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는 동일한 튜너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제 1 서비스와 상기 세 2 서비스가 동일한 앙상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는 각각 다른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한 오디오 신호를 PCM 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하는 단계는
    소정의 볼륨 비율에 따라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인,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좌, 우로 달리 출력되도록 믹싱하는 단계인,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한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출력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10. DMB 또는 DA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에서 제 1 서비스의 정보를 추출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와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오디오의 출력이 가능한 서비스들의 선택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둘 이상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 수신부는 상기 선택정보에 대한 소정의 입력 조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정보에서 제 2 서비스의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믹싱부는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출력부에 상기 믹싱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1 서비스의 출력 중단 없이 상기 믹싱된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부는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에 존재하는 다수의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부는 수신한 방송 신호에서 오디오가 지원되는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서비스들의 오디오들을 소정의 시간 동안 각각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
  13. 삭제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부는 방송 신호를 튜닝하는 튜너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비스와 상기 제 2 서비스가 동일한 앙상블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는 동일한 튜너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제 1 서비스와 상기 제 2 서비스가 동일한 앙상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는 각각 다른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수신 단말기.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디코딩하며,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디코딩하는 디코딩 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믹싱부는 상기 디코딩한 오디오 신호를 PCM 데이터로 생성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는 소정의 볼륨 비율에 따라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는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좌, 우로 달리 출력되도록 믹싱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1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제 2 서비스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
KR1020050106670A 2005-11-08 2005-11-08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79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670A KR100679040B1 (ko) 2005-11-08 2005-11-08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US11/529,396 US20070104229A1 (en) 2005-11-08 2006-09-29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and outputting plural audio signals included in plural DMB/DAB services in DMB/DAB device
EP06123202A EP1783934A2 (en) 2005-11-08 2006-10-30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audio signals included in plural DMB/DAB services
CNA2006101445065A CN1964238A (zh) 2005-11-08 2006-11-08 混合和输出dmb/dab器件中的多个音频信号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670A KR100679040B1 (ko) 2005-11-08 2005-11-08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040B1 true KR100679040B1 (ko) 2007-02-05

Family

ID=37441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670A KR100679040B1 (ko) 2005-11-08 2005-11-08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04229A1 (ko)
EP (1) EP1783934A2 (ko)
KR (1) KR100679040B1 (ko)
CN (1) CN1964238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1986A (ja) * 1998-03-13 1999-09-24 Fujitsu Ltd デジタル多重伝送装置
JP2003347951A (ja) * 2002-05-29 2003-12-05 Pioneer Electronic Corp 受信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0557046B1 (ko) * 2003-09-29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에서 서비스 콤포넌트를 효과적으로 선택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70044137A1 (en) * 2005-08-22 2007-02-22 Bennett James D Audio-video systems supporting merged audio stre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04229A1 (en) 2007-05-10
CN1964238A (zh) 2007-05-16
EP1783934A2 (en)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47272A (zh) 用于接收广播信号的设备及使用该设备处理广播信号的方法
KR100600790B1 (ko) 듀얼 방송 출력 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장치
KR100810238B1 (ko)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듀얼 튜너를 이용하여수신기능을 향상시키는 dmb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679040B1 (ko) Dmb/dab 단말기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에 포함된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80037416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multitasking
JP4623389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受信システム
KR100603507B1 (ko) 부가 데이터 출력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US2015019561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0823040B1 (ko) 멀티태스킹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CN104519393A (zh) 处理影音数据的方法以及相关模块
CN101005578A (zh) 提供广播预览服务的dmb终端和方法
KR101150630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 및 운영 방법
US200900313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Broadcasting Program as a Background Image,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JP4460364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737096B1 (ko) Dmb 수신기에서 채널 탐색 방법
KR200334049Y1 (ko) 부가 데이터 출력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KR100690830B1 (ko) 멀티채널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194349B1 (ko) 카오디오의 표시제어방법
KR20040100170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KR101285657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방송자막 제공 방법
KR20050034034A (ko) Dmb를 이용한 영상표시기기의 부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60125355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KR20100009294A (ko) 휴대용 고품위 텔레비전 및 라디오 복합 수신 장치
KR20050037778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서비스 이동방법
KR20010073918A (ko)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수신기의 화면 뮤트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