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953B1 - 개인휴대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휴대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953B1
KR100678953B1 KR1019990041833A KR19990041833A KR100678953B1 KR 100678953 B1 KR100678953 B1 KR 100678953B1 KR 1019990041833 A KR1019990041833 A KR 1019990041833A KR 19990041833 A KR19990041833 A KR 19990041833A KR 100678953 B1 KR100678953 B1 KR 100678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area code
mobile communication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9169A (ko
Inventor
오영배
조명재
최영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1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9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29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85Appending a prefix to or inserting a pause into a dialling sequence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휴대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개인휴대 통신단말기(10)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송신하는 기지국(20)와 ; 상기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된 지역번호를 저장해두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앞에 지역번호를 추가하여 상기 기지국(20)으로 송신하는 하는 개인휴대 통신단말기(10)로 구성되어,
개인휴대 통신단말기(10)가 기지국(20)으로부터 현재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해두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앞에 지역번호를 추가하여 상기 기지국(20)으로 송신하므로써, 사용자가 이동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몰라도 전화번호만으로 통화가 가능하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개인휴대 통신단말기, 기지국, 지역번호, 전화번호

Description

개인휴대 통신시스템{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개인휴대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개인휴대 통신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 통신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
11 : RF신호 처리수단 12 : 베이스밴드 처리수단
13 : 음성처리수단 14 : 표시수단
15 : 저장수단 16 : 제어수단
17 : 버튼입력수단 10 : 휴대폰
20 : 기지국
본 발명은 개인휴대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휴대 통신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해두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앞에 지역번호를 추가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되어진 개인휴대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개인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개인휴대 통신단말기(PCA : Personal Communication Assistant)의 보급률이 최근 급증하고 있어, 가입자의 편의를 위해 개인휴대 통신단말기의 일반적인 통화 기능에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된 다양한 기능의 개인휴대 통신단말기들이 선보이고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개인휴대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로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휴대 통신시스템은, 가입자가 보유하고 있는 개인휴대 통신단말기(PCS), 상기 개인휴대 통신단말기(PCS)와 무선으로 접속하여 교환국(PCX)과의 정보전송을 중계하는 기지국(BS), 상기 기지국(BS)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개인휴대 통신단말기(PCS)의 발착신호를 설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기능을 수행하며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며 타망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국(PCX), 개인휴대 통신단말기(PCS)의 위치정보를 비롯한 가입자의 상태와 통계 및 각종 서비스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홈위치 등록기(HLR), 방문위치 등록기(VLR)로 구성된다.
도 2 는 일반적인 개인휴대 통신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휴대 통신단말기(10)는 인터페이스(11), 베이스밴드 처리수단(12), 음성처리수단(13), 표시수단(14), 저장수단(15), 제어수단(16), 입력수단(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성처리수단(13)에서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된 가청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수단(12)로 출력하면,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수단(12)에서는 상기 디지탈 신호를 채널 부호화(channel encoding) 및 인터리빙(interleaving) 등을 거치게 한 후 전송 단위별로 프레임을 구성하여 상기 RF신호 처리수단(11)으로 출력한다.
상기 RF신호 처리수단(11)에서는 상기 프레임 형태의 신호를 대역 확산이나 변조 등을 통해 무선 채널에 전송할 수 있는 RF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20)으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20)으로부터 안테나(ANT)를 통해 전송받은 RF신호는 RF신호 처리수단(11)에서 프레임 형태의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처리수단(12)로 출력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수단(12)에서는 상기 플레임 형태의 디지탈 신호를 채널 복호화(channel decoding) 및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을 거치게 한 후 표시수단(14)에 표시하거나 또는 저장수단(15)에 저장하거나 또는 음성처리수단(13)로 보낸다.
상기 음성처리수단(13)에서는 상기 디지탈 신호를 가청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를 통해 출력한다.
현재 개인휴대 통신단말기(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지역번호를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상기 저장된 지역번호를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 앞에 추가하여 기지국(20)으로 송신하는 지역번호 단축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컨데 사용자가 지역번호 "02"를 저장수단(15)에 저장해두었다면, 제어수단(16)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의 첫번째 숫자가 "0"인가를 판단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 "011-***-****"가 입력되었다면 첫번째 숫자가 "0"이므로 제어수단(1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 "011-***-****"를 기지국(20)으로 송신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 "***-****"가 입력되었다면 첫번째 숫자가 "0"이 아니므로 제어수단(1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 "***-****" 앞에 저장수단(15)에 저장된 지역번호 "02"를 추가하여 "02-***-****"를 기지국(20)으로 송신한다.
그러나 종래의 개인휴대 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저장시킨 지역번호와 다른 지역번호를 사용하는 지역으로 이동하여 개인휴대 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지역번호 단축기능이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을 때 사용자가 이동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모르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지역에서 통화에 불편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개인휴대 통신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해두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앞에 지역번호를 추가하 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되어진 개인휴대 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인휴대 통신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와 ;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지역번호를 저장해두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앞에 지역번호를 추가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하는 개인휴대 통신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개인휴대 통신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 통신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인휴대 통신단말기(10)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송신하는 기지국(20)와 ; 상기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된 지역번호를 저장해두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앞에 지역번호를 추가하여 상기 기지국(20)으로 송신하는 하는 개인휴대 통신단말기(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인휴대 통신단말기(10)는, 상기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된 지역번호를 저장수단(15)에 저장하는 과정(S11) ; 통화모드로 전환하는 과정(S12) ;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의 첫번째 숫자가 "0"인가를 판단하는 과정(S13) ; 첫번째 숫자가 "0"이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상기 기지국(20)으로 송신하는 과정(S14) ; 첫번째 숫자가 "0"이 아니면 상기 저장수단(15)에 저장된 지역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앞에 추가하여 상기 기지국(20)으로 송신하는 과정(S15)으로 제어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 2 과 도 3 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지국(20)은 개인휴대 통신단말기(10)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개인휴대 통신단말기(10)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개인휴대 통신단말기(10)는 개인휴대 통신단말기(10)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저장수단(15)에 저장한다(S11).
통화모드로 전환되면(S1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의 첫번째 숫자가 "0"인가를 판단하여(S13), 첫번째 숫자가 "0"이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상기 기지국(20)으로 송신하고(S14), 첫번째 숫자가 "0"이 아니면 상기 저장수단(15)에 저장된 지역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앞에 추가하여 상기 기지국(20)으로 송신한다(S15).
예컨데, 개인휴대 통신단말기(10)가 기지국(20)으로부터 지역번호 "02"를 수신받아 저장수단(15)에 저장해두었다면(S11), 제어수단(16)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의 첫번째 숫자가 "0"인가를 판단한다(S13).
이때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 "011-***-****"가 입력되었다면 첫번째 숫자가 "0"이므로 제어수단(1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 '011-***-****"를 기지국(20)으로 송신한다(S14).
한편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 "***-****"가 입력되었다면 첫번째 숫자가 "0"이 아니므로 제어수단(1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 "***-****" 앞에 저장수단(15)에 저장된 지역번호 "02"를 추가하여 "02-***-****"를 기지국(20)으로 송신한다(S15).
상기 개인휴대 통신단말기(PCS)와 무선으로 접속하여 교환국(PCX)과의 정보전송을 중계하는 기지국(BS)은, 개인휴대 통신단말기(10)로부터 전화번호를 수신받아 교환국(PCX)으로 송신하고, 상기 교환국(PCX)은 수신받은 전화번호를 가지고 상대방 개인휴대 통신단말기(PCS)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즉, 교환국(PCX)은 개인휴대 통신단말기(PCS)의 발착신호를 설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바, 필요한 회선을 선택하고 벨을 울려 상대방을 불러내고 상대방과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휴대 통신단말기(10)가 기지국(20)으로부터 현재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해두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앞에 지역번호를 추가하여 상기 기지국(20)으로 송신하므로써, 사용자가 이동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몰라도 전화번호만으로 통화가 가능하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개인휴대 통신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송신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지역번호를 저장해두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앞에 지역번호를 추가하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의 첫번째 숫자가 "0"인가를 판단하여 첫번째 숫자가 "0"이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첫번째 숫자가 "0"이 아니면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지역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앞에 추가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통신시스템.
  2. 삭제
KR1019990041833A 1999-09-29 1999-09-29 개인휴대 통신시스템 KR100678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833A KR100678953B1 (ko) 1999-09-29 1999-09-29 개인휴대 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833A KR100678953B1 (ko) 1999-09-29 1999-09-29 개인휴대 통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169A KR20010029169A (ko) 2001-04-06
KR100678953B1 true KR100678953B1 (ko) 2007-02-07

Family

ID=1961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833A KR100678953B1 (ko) 1999-09-29 1999-09-29 개인휴대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9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792A (ko) * 1997-08-20 1999-03-15 윤종용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이동 전화 시스템에서 지역 번호자동 설정 방법
KR19990049434A (ko) * 1997-12-12 1999-07-05 김영환 무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 발신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792A (ko) * 1997-08-20 1999-03-15 윤종용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이동 전화 시스템에서 지역 번호자동 설정 방법
KR19990049434A (ko) * 1997-12-12 1999-07-05 김영환 무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 발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169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642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character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conversation by telephone
US200701268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video call in mobile terminal
KR100678953B1 (ko) 개인휴대 통신시스템
KR1004627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KR100350248B1 (ko) 이동전화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방법
CN100461947C (zh) 多用户电话号码无线终端及其呼入、呼出方法
KR100483146B1 (ko) 가입자가 선택한 착신 벨소리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상기시스템의 착신 벨소리 제공 방법, 상기 착신 벨소리를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착신 벨소리 제공 방법
KR20010027850A (ko) 이동무선단말기의 자동 문자 메시지 응답 방법
KR20050072199A (ko) 로밍 상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착신번호 입력 방법
US7299060B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bridging
KR100215726B1 (ko) 모드설정에 의한 자동 착신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JPH0440045A (ja) Isdn用ディジタル電話機
KR100703294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수신측 상태 통보 방법
KR101084119B1 (ko) 메시지 또는 부재중 전화에 대한 답장 발송방법
KR0136732B1 (ko) 다수개의 휴대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의 국선 전환 방법
JPH0691585B2 (ja) 無線を利用した構内電子交換機の内線呼出装置
KR100247031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음성메시지 수신여부 확인방법
KR100267863B1 (ko)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음성메시지확인방법.
KR100217225B1 (ko) 국선접속 통화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JPH0514274A (ja) Dtmfレシーバ搭載無線通信端末装置
JP3077249B2 (ja) 無線電話装置
KR19980063874A (ko) 전화기 및 이러한 전화기가 내장된 전화 통신 시스템
KR20000044736A (ko) 이동 전화 시스템에서의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00044500A (ko) 휴대폰에서 통화가능한 시간 통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