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224B1 -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링 출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링 출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224B1
KR100678224B1 KR1020000044541A KR20000044541A KR100678224B1 KR 100678224 B1 KR100678224 B1 KR 100678224B1 KR 1020000044541 A KR1020000044541 A KR 1020000044541A KR 20000044541 A KR20000044541 A KR 20000044541A KR 100678224 B1 KR100678224 B1 KR 100678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usic
unit
output unit
inc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1192A (ko
Inventor
이존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4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224B1/ko
Publication of KR20020011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링 출력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와, 착신링 출력부와, 상기 휴대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엠피3음악을 착신링으로 제공하는 엠피3음악 제공부와, 소정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공된 엠피3음악을 상기 오디오 출력부와 상기 착신링 출력부에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스위치부와, 사용자가 엠피3음악을 착신링으로 사용 요구하면 상기 엠피3음악 제공부와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엠피3음악이 착신링 출력부로 출력되게 제어하는 착신링 출력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착신링(ring), MP3음악

Description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링 출력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TERMINATING RING IN PORTABLE RADIO TERMINAL EMBEDDED OF MP3 P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MP3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음악을 이용한 착신링의 출력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MP3(Motion Pictures Expert Group Audio Layer 3)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MP3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링 출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MP3 플레이어(Player)기능을 겸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등장으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발명자 양재득에 의해 발명되고 본원 출원인에게 양도된 후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제 1999-029837호(발명의 명칭 :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음악 파일의 재생 방법)에는 MP3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음악 파일의 재생 방법이 일 예로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하지만 MP3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도 여전히 착신링의 종류는 제한되어 있고, 현재와 비슷한 멜로디의 착신링이 인터넷 서버를 통하여 제공될 뿐이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 보급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널리 확대되었으나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착신링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어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착신링을 구별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자신만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링을 갖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요구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MP3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MP3음악 재생기능을 이용하여 MP3음악을 착신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MP3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MP3음악을 이용하여 링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링 출력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와, 착신링 출력부와, 상기 휴대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엠피3음악을 착신링으로 제공하는 엠피3음악 제공부와, 소정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공된 엠피3음악을 상기 오디오 출력부와 상기 착신링 출력부에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스위치부와, 사용자가 엠피3음악을 착신링으로 사용 요구하면 상기 엠피3음악 제공부와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엠피3음악이 착신링 출력부로 출력되게 제어하는 착신링 출력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디오 출력부와, 착신링 출력부 및 상기 오디오 출력부 또는 착신링 출력부 중 어느 하나와 스위칭 되어 엠피3음악을 인가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며,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 링 출력방법에 있어서, MP3 음악을 착신 링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링 착신 시 상기 스위치를 상기 착신링 출력부와 스위칭 시켜 상기 설정된 MP3 음악을 상기 착신링 출력부를 통해 착신 링으로 출력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착신 응답이 있으면 상기 착신링 출력부와 스위칭 된 스위치를 상기 오디오 출력부와 스위칭 시켜 상기 착신 링 출력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MP3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MP3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세 구성의 일 예 설명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 특허 출원된 출원번호 제 1999-029837호에 상세히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출원번호 제 1999-029837호의 구성들 중 본 발명에서 불필요한 구성요소들은 생략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MP3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는 MP3음악 제공 블록, 즉 MP3파일 버퍼(12)와 MP3디코더(14)가 구비된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MP3파일 버퍼(12)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RF부(18)를 통해 무선 수신한 MP3음악의 데이터를 버퍼링한다. 수신된 MP3음악은 단말기 내부의 음악 파일용 버퍼, 즉 MP3파일 버퍼(12)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MP3디코더(14)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MP3파일 버퍼(12)로부터 MP3음악을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중앙처리장치(10)는 상기 MP3파일 버퍼(12)와 MP3디코더(14)등을 제어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 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MP3음악을 착신링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케 한다. MP3디코더(14)에서 출력된 MP3음악은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6)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스위치(20)에 인가된다. 스위치(20)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거하여 MP3음악을 오디오 출력부(22) 및 슈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24)에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오디오 출력부(22)는 스위치(20)을 통해 인가되는 음악데이터를 증폭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가청음 형태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출력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피커는 물론이고 이어폰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슈미트트리거(24)는 스위치(20)로부터 수신한 MP3음악을 부저(28)의 동작특성에 매치되도록 파형변환 및 레벨변환하여 부저구동부(26)로 전송한다. 상기 슈미트트리거(24)는 통상적인 재생비교기(generative comparator)로서 부저(28)의 동작특성에 맞게 파형변환 및 레벨변환할 수 있도록 전달특성을 설정한 장치이다. 부저구동부(26)는 상기 슈미트트리거(24)로부터 출력된 MP3음악을 소정 증폭하여 부저(28)에 인가한다. 부저(28)는 상기 슈미트트리거(24)로부터 변환되고, 상기 부저구동부(26)로부터 증폭된 MP3음악을 착신링으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음악을 이용한 착신링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처리장치(10)는 도 2의 100단계에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링 착신을 판단하고, 링 착신이 있으면 도 2의 102단계로 진행한다. 중앙처리장치(10)는 102단 계에서 스위치(20)가 슈미트트리거(24)로 연결 되도록 스위치(20)를 제어한다. 그 후 중앙처리장치(10)는 도 2의 104단계로 진행하여 MP3파일 버퍼(12)에 저장되어 있던 착신링 출력용으로 미리 설정된 MP3음악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제어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MP3파일 버퍼(12)에 저장된 MP3음악은 MP3디코더(14)에 의하여 디코딩된다. 상기 디코딩 된 MP3음악은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6)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스위치(20)를 통해 슈미트트리거(24)로 인가된다. 부저(28)의 동작특성에 맞게 전달특성이 설정된 슈미트트리거(24)로 인가된 상기 MP3음악은 파형변환 및 레벨변환된 후 부저구동부(26)에 인가된다. 상기 파형변환 및 레벨변환 된 MP3음악은 부저구동부(26)에 의해서 증폭되어 부저(28)를 통하여 출력된다. 사용자는 착신링으로 MP3음악을 듣게되며 그후 착신응답을 하면, 중앙처리장치(10)는 도 2의 106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착신응답을 판단하고 108단계로 진행한다. 중앙처리장치(10)는 108단계에서 스위치(18)를 오디오 출력부(22)와 연결되게 제어하고 착신링용도의 MP3음악 출력을 중지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MP3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저장된 MP3음악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착신링을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링 출력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와,
    착신링 출력부와,
    상기 휴대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엠피3 음악을 착신링으로 제공하는 엠피3 음악제공부와,
    소정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공된 엠피3 음악을 상기 오디오 출력부와 상기 착신링 출력부에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스위치부와,
    사용자가 엠피3음악을 착신링으로 사용 요구하면 상기 엠피3 음악제공부와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엠피3음악이 착신링 출력부로 출력되게 제어하는 착신링 출력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링 출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착신링 출력부는
    착신링을 출력하는 부저와,
    상기 부저를 구동하는 부저구동부와,
    상기 스위치를 통해 인가된 엠피3음악을 파형변환 및 레벨변환하는 신호처리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링 출력장치.
  3. 오디오 출력부와, 착신링 출력부 및 상기 오디오 출력부 또는 착신링 출력부 중 어느 하나와 스위칭 되어 엠피(MP)3음악을 인가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며,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 링 출력방법에 있어서,
    MP3 음악을 착신 링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링 착신 시 상기 스위치를 상기 착신링 출력부와 스위칭 시켜 상기 설정된 MP3 음악을 상기 착신링 출력부를 통해 착신 링으로 출력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착신 응답이 있으면 상기 착신링 출력부와 스위칭 된 스위치를 상기 오디오 출력부와 스위칭 시켜 상기 착신 링 출력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 링 출력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착신링 출력제어부에서 상기 착신링의 중지 신호를 감지한 경우 상기 착신링 출력부에 상기 엠피3음악의 인가를 종료한 후 상기 오디오 출력부로 상기 엠피3음악이 인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링 출력 장치.
KR1020000044541A 2000-08-01 2000-08-01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링 출력장치 및 방법 KR100678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541A KR100678224B1 (ko) 2000-08-01 2000-08-01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링 출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541A KR100678224B1 (ko) 2000-08-01 2000-08-01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링 출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192A KR20020011192A (ko) 2002-02-08
KR100678224B1 true KR100678224B1 (ko) 2007-02-01

Family

ID=1968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541A KR100678224B1 (ko) 2000-08-01 2000-08-01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링 출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43B1 (ko) 2003-01-20 2010-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음질 보상을 위한 3-way 역필터링 시스템 및 그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332B1 (ko) * 2003-07-10 2007-06-15 유티스타콤코리아테크놀로지스 유한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mp3 플래이어 모듈을 이용한벨소리용 음악 설정 방법 및 mp3 플래이어 모듈에 의한벨소리 연주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634A (ko) * 1998-10-14 1999-01-25 서주철 휴대폰의 다양한 벨소리 제어방법
KR20000000422A (ko) * 1999-10-20 2000-01-15 한성균 무선 단말기 멀티미디어 자동 송수신 방법
KR20000026423A (ko) * 1998-10-20 2000-05-15 최승욱 엠피3 파일을 이용한 휴대폰 착신음의 다양화 장치
KR20010027241A (ko) * 1999-09-11 2001-04-06 서평원 휴대폰의 착신음 선택 장치 및 착신음 선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634A (ko) * 1998-10-14 1999-01-25 서주철 휴대폰의 다양한 벨소리 제어방법
KR20000026423A (ko) * 1998-10-20 2000-05-15 최승욱 엠피3 파일을 이용한 휴대폰 착신음의 다양화 장치
KR20010027241A (ko) * 1999-09-11 2001-04-06 서평원 휴대폰의 착신음 선택 장치 및 착신음 선택 방법
KR20000000422A (ko) * 1999-10-20 2000-01-15 한성균 무선 단말기 멀티미디어 자동 송수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43B1 (ko) 2003-01-20 2010-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음질 보상을 위한 3-way 역필터링 시스템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192A (ko) 200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2398B1 (en) On-line music data providing system via bluetooth headset
SE9800697D0 (sv)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5160758B2 (ja) モバイル機器
EP2173076A3 (en) Control of a wireless conference telephone system
KR20020089630A (ko) 블루투스 카키트를 통한 온라인 음악 배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504470A5 (ko)
JP200051713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内のマイクロフォンをミュートすること
WO2005069599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two audio files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TW2010160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ndering ambient signals
US734632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qualizer function
US2007006019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laying sound signals
KR100678224B1 (ko) 엠피3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링 출력장치 및 방법
KR200302150Y1 (ko)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mp3 플레이어 겸용 무선 헤드셋
TWI289989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rmware download in a mobile audio platform
KR20090027817A (ko) 배경음 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032430A (ja) 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PT1704706E (pt) Interface vocal de procura e selecção de um item, nomeadamente para um telemóvel a bordo de um veículo
BR9913113A (pt) Método para a seleção de som de campainha paraum telefone celular usando um sistema deresposta de áudio
US20070121917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regulating volume of ringtone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20020137553A1 (en) Distinctive ringing for mobile devices using digitized user recorded audio message
KR100513040B1 (ko) 음성합성을 이용하여 호출음을 생성하는 무선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JP2009506711A (ja) データ転送方法、移動通信装置を切り替え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第1及び第2のデータ変換機
JP2007124679A (ja) 個人携帯用端末機における通話背景音提供方法
KR100499481B1 (ko) 디지털 오디오의 음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294463B1 (ko) 호착신음녹음이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및호착신음지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