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032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032B1
KR100678032B1 KR1020040099451A KR20040099451A KR100678032B1 KR 100678032 B1 KR100678032 B1 KR 100678032B1 KR 1020040099451 A KR1020040099451 A KR 1020040099451A KR 20040099451 A KR20040099451 A KR 20040099451A KR 100678032 B1 KR100678032 B1 KR 10067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392A (ko
Inventor
박민정
손호성
조준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032B1/ko
Publication of KR20060060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인증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과정과, 소정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무선 전송한 인증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에 등록된 인증 정보와 일치함을 알리는 확인 정보 수신 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가능 시간을 포함한 동작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동작 정보를 상기 소정 전자기기로 무선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에서 어린이들이 컴퓨터나 게임기 등을 장시간 동안 이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자기기를 오작동 시킬 가능성이 있는 어린이나 노약자들이 위험한 전자기기를 함부로 사용하여 발생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기기, 제어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 전자기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기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외선 모듈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용 통신 서비스 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IMT-2000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단말기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전 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기기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최근에는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외선 모듈이 탑재되어 TV 리모컨으로 사용할 수도 있게 되었다. 상기 적외선은 전자파 중에서 가시 광과 밀리 파 사이에 있고, 레이저 기술의 발달로 인해 더욱 강력한 적외선 광원을 얻고 있다. 그 동안 주로 TV, VCR 등 가전제품의 리모컨에 채택 활용되어 오던 적외선 모듈은 양방향 TV나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 채택되는 등 점점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적외선 데이터 협회(Infrared Data Association: 이하 IrDA라 함.)에서는 적외선 모듈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채택될 수 있도록 통신기기간 1m ~ 2m의 송 수신거리와 115.2K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로 한 IrMC(Infrared Mobile Communication)규격도 발표하였다.
한편, 사회가 점차 발달하고 현대인들이 결혼 후에도 맞벌이를 하면서 집을 비우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비례하여 어른들이 집을 비우는 동안 어린이들이 컴퓨터나 게임기 등을 장시간 동안 이용하여 시력이 약화되거나 가스렌지 등과 같은 위험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들이나 노약자는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위험한 전자기기를 함부로 사용하여 발생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인증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과정과, 소정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무선 전송한 인증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에 등록된 인증 정보와 일치함을 알리는 확인 정보 수신 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가능 시간을 포함한 동작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동작 정보를 상기 소정 전자기기로 무선 전송하는 과정을 포 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수신 대기 상태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 수신 시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에 미리 등록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두 인증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가능 시간을 포함한 동작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 전자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전자기기(200)사이의 통신은 적외선이나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넷, 일반전화망, 휴대전화망 등의 원거리 통신 등 어떠한 통신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200)는 TV, DVD 플레이어, 가스렌지, 난방장치, 컴퓨터, 게임기 등 제어대상이 되는 기기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송수신부(110), 모뎀(120), 오디로 처 리부(130), 키입력부(140), 메모리(150), 단말 제어부(제1 제어부)(160), 제1 IrDA(165), 카메라부(170), 영상처리부(180) 및 표시부(190)를 포함한다.
무선송수신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무선송수신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IrDA(165)에서 적외선 통신 가능한 데이터로 변조된 인증 정보 및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소정 전자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인증 정보의 확인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상기 송신되는 인증 정보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고유번호 또는 비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모뎀(MODEM)(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송수신부(11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30)는 무선송수신부(110)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 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덱은 제어부(16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키입력부(140)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 키, 숫자 키,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메모리(15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인증 정보 및 사용자 요청에 의거하여 설정된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메모리(150)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제1 IrDA(165)를 통해 적외선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로 변조하도록 하고, 변조된 데이터를 무선송수신부(110)를 통해 소정 전자기기로 전송한다.
제1 제어부(160)는 전자기기(200)로부터 상기 전송한 인증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200)에 등록된 인증 정보와 일치함을 알리는 확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전자기기(200)의 동작 가능 시간을 포함한 동작 정보를 설정한다. 이 때 상기 설정되는 동작 정보는 전자기기(200)가 동작 가능한 시간을 설정한 정보(예컨대, 오후 12시부터 오후 6시까지), 잠금 정보 및 해제 정보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제1 제어부(160)는 상기 설정된 동작 정보를 전자기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부(camera module)(17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미도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80)는 카메라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80)는 카메라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9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80)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며, 표시부(19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8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제어부(16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 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9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9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90)는 영상처리부(18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전자기기(200)는 인터페이스부(210), 통신부(220), 기기 제어부(제2 제어부)(230), 저장부(240) 및 제2 IrDA(24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자기기(20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인증 정보의 수신을 대기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키(예컨대, 인증 정보 수신 키)가 구비된 인터페이스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인증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220)는 제2 제어부(230)가 저장부(240)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두 인증 정보가 일치하면, 이를 알리는 확인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2 제어부(2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200)가 수신 대기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가 저장부(240)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제2 제어부(240)는 상기 비교 결과 두 인증 정보가 일치하면 전자기기(200)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가능 시간을 포함한 동작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 도록 제어한다.
제2 IrDA(250)는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즉, 변조된 인증 정보 및 동작 정보)를 복조하여 제2 제어부(230)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 전송 요청이 있는지 체크한다(S110). 이 때 상기 인증 정보 전송 요청은 음성 입력이나 인증 정보 전송을 위해 설정된 키 입력 또는 메뉴 키 입력을 통한 인증 정보 전송 요청 등으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고유번호 및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 전송 요청이 있으면, 메모리(150)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제1 IrDA(165)를 통해 적외선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로 변조하고, 변조된 데이터를 무선송수신부(110)를 제어하여 전자기기(200)로 전송한다(S120).
제1 제어부(160)는 전자기기(200)로부터 확인 정보가 수신되는지 체크한다(S130). 상기 확인 정보는 전자기기(200)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한 인증 정보와 전자기기(200)에 기 등록된 인증 정보가 서로 일치함을 알리는 정보를 의미한다.
제1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가 전자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정보 설정 요청이 있는지 체크한다(S140). 상기 동작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200)의 동작이 가능한 시간을 설정한 정보(예컨대, 오후 12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자기기(200)가 동작이 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설정한 정보 및 상기 잠금 기능 설정을 해제한 정보 중 어느 하나이다.
제1 제어부(160)는 상기 설정 요청이 있으면 전자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정보를 설정한다(S150).
제1 제어부(160)는 상기 설정된 동작 정보를 제1 IrDA(165)를 통해 적외선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로 변조하고, 변조된 데이터를 무선송수신부(110)를 제어하여 전자기기(200)로 전송한다(S160).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5(a)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전자기기로부터 확인 정보를 수신한 화면으로서, "전송한 인증 정보가 확인되었습니다." 라는 메시지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 5(a)의 화면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확인키의 입력이 있으면, "동작 정보를 설정하시겠습니까?" 라는 메시지와 함께 동작 정보 설정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도 5(b)와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
도 5(b)의 화면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예"가 선택된 후 확인키의 입력이 있으면 도 5(c)와 같이 동작 정보 설정 메뉴 화면(191)을 디스플레이 한다. 동작 정보 설정 화면(191)에 디스플레이 된 메뉴는 소정 전자기기가 동작 가능한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1.동작 가능 시간", 전자기기가 동작이 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2.전자기기 잠금", 상기 잠금 기능 설정을 해제하기 위한 "3.전자기기 잠금 해제" 메뉴를 포함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동작 정보 설정 화면(191)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1.동작 가능 시간" 메뉴가 선택된 후 확인 키 입력이 있으면, 전자기기의 동작이 가능한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192)을 디스플레이 하게 되는데 상기 화면(192)은 오후 12시부터 6시까지가 사용 가능한 시각으로 설정되었음을 보여준다.
도 5(d)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동작 정보 설정 화면(191)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2.전자기기 잠금" 메뉴가 선택된 후 확인 키 입력이 있으면, "전자기기 잠금 기능을 설정할까요?" 라는 메시지와 함께 잠금 기능 설정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193)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화면(193)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예"가 선택된 후 확인키의 입력이 있으면 전자기기로 전송되는 동작 정보는 상기 전자기기가 동작이 되지 않도록 잠금 기능을 설정한 정보가 된다.
도 5(e)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동작 정보 설정 화면(191)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3.전자기기 잠금 해제" 메뉴가 선택된 후 확인 키 입력이 있으면, "전자기기 잠금 기능을 해제할까요?" 라는 메시지와 함께 잠금 기능 해제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193)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화면(193)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예"가 선택된 후 확인키의 입력이 있으면 전자기기로 전송되는 동작 정보는 전자기기의 잠금 기능 설정을 해제하도록 하는 정보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기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 제어부(230)는 정보 수신을 위해 설정 된 키(예컨대, 인증 정보 수신 키) 입력이 있는지 체크한다(S210).
제2 제어부(230)는 상기 설정된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전자기기(200)를 수신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S220). 상기 정보 수신을 위한 키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전자기기(200)를 항상 수신 대기 상태로 둘 수 없기 때문이다.
제2 제어부(230)는 수신 대기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한 인증 정보가 통신부(210)로 수신되면(S230),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가 저장부(240)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S240).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는 적외선 통신 가능하도록 변조된 데이터이므로 상기 변조된 데이터는 제2 IrDA(250)에서 다시 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제어부(240)는 상기 비교 결과 두 인증 정보가 일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가능 시간을 포함한 동작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250). 즉,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자기기(200)가 오후 12시부터 6시까지만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한 정보가 수신되면, 제2 제어부(230)는 상기 전자기기(200)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과정(S250)에서 제2 제어부(23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상기 두 인증 정보가 일치함을 알리기 위해 확인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적인 인증 방법을 통해 집에서 어린이들이 컴퓨터나 게임기 등을 장시간 동안 이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자기기를 오 작동시킬 가능성이 있는 어린이나 노약자들이 위험한 전자기기를 함부로 사용하여 발생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집에서 어린이들이 컴퓨터나 게임기 등을 장시간 동안 이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자기기를 오작동 시킬 가능성이 있는 어린이나 노약자들이 위험한 전자기기를 함부로 사용하여 발생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다.

Claims (7)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인증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과정과,
    소정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무선 전송한 인증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에 등록된 인증 정보와 일치함을 알리는 확인 정보 수신 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가능 시간을 포함한 동작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동작 정보를 상기 소정 전자기기로 무선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 또는 비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가능 시간을 설정한 정보, 잠금 정보 및 해제 정보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4.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수신 대기 상태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 수신 시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에 미리 등록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두 인증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가능 시간을 포함한 동작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과정은
    상기 설정된 인증 정보 수신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인증 정보 수신을 대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 또는 비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가능 시간을 설정한 정보, 잠금 정보 및 해제 정보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KR1020040099451A 2004-11-30 2004-11-30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KR100678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451A KR100678032B1 (ko) 2004-11-30 2004-11-30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451A KR100678032B1 (ko) 2004-11-30 2004-11-30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392A KR20060060392A (ko) 2006-06-05
KR100678032B1 true KR100678032B1 (ko) 2007-02-02

Family

ID=3715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451A KR100678032B1 (ko) 2004-11-30 2004-11-30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731B1 (ko) * 2006-07-21 2008-08-27 (주)네오프리라인 휴대용 전자기기의 인증방법 및 그 장치
KR101373291B1 (ko) * 2007-05-07 2014-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및 그 구현 장치
KR101505682B1 (ko) * 2008-09-11 2015-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공개 제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1132953A2 (en) * 2010-04-21 2011-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plural termina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in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392A (ko) 2006-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494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etachable wireless display window,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8036650B2 (en) Mobile terminal for remotely controlling and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the same
JP4719644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8203726A (ja) 開閉式通信端末装置及び映像切替方法
KR100735290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EP1722542B1 (en)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file of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KR10067803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KR1006782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US9392098B2 (en) Dummy terminal and main body
JP4859796B2 (ja) 開閉式通信端末装置
KR101136875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일괄 알람 설정 기능을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일괄 알람 설정을 하는 방법
JP5120819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800689B1 (ko) 휴대단말기의 알람제어 방법
KR10060607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정보 동기화 방법
KR100678072B1 (ko)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회신 방법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713405B1 (ko)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KR2007000026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689409B1 (ko) 휴대단말기의 외부표시부에 데이터 표시방법
KR100442950B1 (ko) 터치 스크린 방식의 블루투스 단말기에서 입력 펜을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KR20070044426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KR20030033354A (ko) Tv 리모콘이 추가된 무선전화기
KR100594167B1 (ko) 외부메모리를 통해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KR10067803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 응답 기능 수행 방법
KR10067808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