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845B1 - 가입자 보안기의 단자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가입자 보안기의 단자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845B1
KR100677845B1 KR1020050090237A KR20050090237A KR100677845B1 KR 100677845 B1 KR100677845 B1 KR 100677845B1 KR 1020050090237 A KR1020050090237 A KR 1020050090237A KR 20050090237 A KR20050090237 A KR 20050090237A KR 100677845 B1 KR100677845 B1 KR 100677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trunk line
fixed
high voltag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하
Original Assignee
김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하 filed Critical 김순하
Priority to KR102005009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핀과 플레이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단자핀과 플레이트의 연결부 접촉저항을 없앰으로써 통화품질향상과 자료전송속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단자의 제조를 매우 원활하게 하고, 이러한 단자들을 조립구조를 갖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가입자 보안기의 단자 연결구조에 관한 하는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된 한 쌍의 내선 연결부,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된 한 쌍의 국선 연결부, 내선 연결부와 국선 연결부의 사이에 각각 끼워져 이상 고전압 또는 고전류 발생시 그 이송을 차단하는 한 쌍의 포지스터, 각 국선 연결부의 사이에 끼워져 이상 고전압 또는 고전류 발생시 열을 발생시키는 아레스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간에 고정되어 아레스터로부터 열이 전달될 경우 선택적으로 각 국선 연결부와 접촉되는 접지부로 구성된 가입자 보안기에 있어서, 내선 연결부, 국선 연결부, 그리고 접지부는, 각각 평판 상태에서 봉상으로 말리고 그 하단부는 끝부분이 뾰족하도록 오므려진 단자핀과, 타부재와 접촉되는 플레이트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며; 베이스플레이트는 내선 연결부, 국선 연결부, 그리고 접지부의 각 단자핀이 끼워지도록 서로 대응되는 다수의 반원형 고정홈을 갖는 몸체와 좌우 덮개로 구성되어 각 단자핀이 몸체와 좌우 덮개의 사이에서 각 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입자 보안기의 단자 연결구조{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of preserver for subscrib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입자 보안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보안기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보안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보안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구조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베이스플레이트 111 : 몸체
111a,112a : 고정홈 112 : 좌우 몸체
120 : 내선 연결부 121,131,161 : 단자핀
122,132,162 : 플레이트 130 : 국선 연결부
140 : 포지스터 150 : 아레스터
160 : 접지부 163 : 바이메탈
본 발명은 가입자 보안기의 단자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핀과 플레이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단자핀의 제조를 매우 원활하게 함은 물론 이러한 단자핀들을 조립구조를 갖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가입자 보안기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국선과 내부의 전화기 또는 교환기 등의 통신기기에 연결되는 구내선의 사이를 연결해주면서 국선을 통해 이상 고전압 및 고전류 등이 유입되는 경우 이를 구내선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접지시켜 통신기기 및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중간 연결기구이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 제 130287 호에 따른 가입자 보안기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종래 기술에 따른 가입자 보안기의 한 예로서 설명한다.
다수의 삽입구멍(미도시)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0); 베이스플레이트(10)의 일측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한쌍의 내선 연결 단자핀(21)과, 내선 연결 단자핀(21)과 리벳팅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한쌍의 내선 연결 플레이트(22)로 이루어진 내선 연결부(20); 베이스플레이트(10)의 다른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한쌍의 국선 연결 단자핀(31)과, 국선 연결 단자핀(31)과 리벳팅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한쌍의 국선 연결 플레이트(32)로 이루어진 국선 연결부(30); 내선 연결 플레이트(22)와 국선 연결 플레이트(32)의 사이에 각각 끼워져 이상 고전압 또는 고전류 발생시 그 이송을 차단하는 한쌍의 포지스터(40); 국선 연결 플레이트(32)의 사이에 끼워져 이상 고전압 또는 고전류 발생시 열을 발생시키는 아레스터(50); 베이스플레이트(10)의 또 다른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접지 단자핀(61)과, 하단부는 접지 단자핀(61)과 리벳팅되고 상단부는 직각절곡된 접지 플레이트(62)와, 아레스터(50)의 하부측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접지 플레이트(62)의 상단면에 고정되고 그 양단부는 열변형시에만 각 국선 연결 플레이트(32)와 접촉되도록 위치된 바이메탈(63)로 이루어진 접지부(60)로 구성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포지스터(40)의 저항값이 낮고, 포지스터(40)를 통해 국선 연결 플레이트(32)와 내선 연결 플레이트(22)가 서로 전기적으로 통해 있어 국선과 내선 사이의 원활한 통화가 가능하며, 낙뢰, 전력선과의 단락, 고압선으로부터 유도되는 충격 전압 등에 의해 국선으로부터 이상 고전압이 유입되면 포지스터(40)에 열이 발생되면서 그 저항값이 상승하여 이상 고전압 또는 고전류가 포지스터(40)를 통과하지 못함으로써 내선과 연결된 통신기기를 보호할 수 있고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이상 고전압 또는 고전류로 인해 어레스터(50)에 열이 발생되면서 바이메탈(63)이 변형되어 각 국선 연결 플레이트(32)와 접촉됨으로써 이상 고전압 또는 고전류가 접지측으로 흘러 소멸되어 버리는 것이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은 케이스이다.
그러나, 이러한 등록실용신안 제 130287 호에 따른 가입자 보안기에서는 내선 연결부, 국선 연결부, 접지부를 구성할 때 각각의 단자핀을 베이스플레이트의 삽입구멍에 삽입한 상태에서 각각의 플레이트에 리벳팅시켜 고정하고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었으며, 특히 각각의 단자핀과 각각의 플레이트를 별도로 제작해야 해야 함은 물론 단자핀은 원재료를 봉상으로 일일이 깎아서 제작하고, 각 플레이트는 프레스공정을 통해 제작하게 되므로 단자핀과 플레이트의 제작비용이 2배로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각 단자핀과 각 플레이 트를 리벳팅하는 공정에서 접촉불량 가능성이 많고, 만약 각 부재 사이의 접촉이 불량할 경우 고전압 또는 고전류 발생시 고전압 또는 고전류가 접지측으로 흘러 소멸되지 않고 각 단자핀과 각 플레이트의 연결부위를 태우면서 화재를 일으킬 가능성도 매우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 단자핀과 각 플레이트가 리벳팅됨에 따라 이로 인한 접촉저항이 커지게 되어 통화품질 및 자료전송속도가 떨어지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내선 연결부, 국선 연결부, 접지부의 각 단자핀과 각 플레이트를 각각 일체로 구성하여 조립구조를 갖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입자 보안기의 단자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보안기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보안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보안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보안기는 베이스플레이트(110),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된 한 쌍의 내선 연결부(120),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된 한 쌍의 국선 연결부(130), 내선 연결부(120)와 국선 연결부(130)의 사이에 각각 끼워져 이상 고전압 또는 고전류 발생시 그 이송을 차단하는 한 쌍의 포지스 터(140), 각 국선 연결부(130)의 사이에 끼워져 이상 고전압 또는 고전류 발생시 열을 발생시키는 아레스터(150),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중간에 고정되어 아레스터(150)로부터 열이 전달될 경우 선택적으로 각 국선 연결부(130)와 접촉되는 접지부(160)로 구성되는데, 내선연결부(120), 국선 연결부(130), 접지부(160)는 각각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되는 단자핀(121)(131)(161)과, 타부재와 접촉되는 플레이트(122)(132)(162)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내선 연결부(120), 국선 연결부(130), 그리고 접지부(160)는, 최초 플레이트(122)(132)(162)와 일체로 평판 형태의 단자핀용 판을 형성하여 이러한 단자핀용 판을 봉상으로 말아 구성하는 것이며, 이러한 단자핀용 판의 하단부는 여러개소 등간격으로 절취 형성하여 단자핀용 판을 말아주면서 그 하단부를 오므려줄 때 인접한 부위와 겹침없이 뾰족하게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내선 연결부(120), 국선 연결부(130), 그리고 접지부(160)의 각 단자핀(121)(131)(161)이 끼워지도록 서로 대응되는 다수의 반원형 고정홈(111a)(112a)을 갖는 몸체(111)와 좌우 덮개(112)로 구성되어 각 단자핀(121)(131)(161)이 몸체(111)와 좌우 덮개(112)의 사이에서 각 고정홈(111a)(112a)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63은 아레스터(150)로부터 열이 발생될 경우에만 열변형되면서 국선 연결부(130)의 플레이트(132)에 접촉되는 바이메탈을 나타내며, 1은 케이스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보안기는 내선 연결부(120), 국선 연결부(130), 접지부(160)의 각 단자핀(121)(131)(161)과 플레이트(122)(132)(162)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국선 연결부(13)와 내선 연결부(120)의 사이에는 포지스터(140)가 각각 끼워져 있고, 국선 연결부(130)의 사이에는 아레스터(150)가 끼워져 있어 평상시에는 포지스터(140)가 저항값이 낮아 원활한 통화가 가능하고, 이상 고전압 또는 고전류 발생시에는 포지스터(140)의 저항값이 올라가 고전압 또는 고전류가 내선측으로 통과하지 못하고 아레스터(150)로부터 열을 발생시키게 되며, 아레스터(150)로부터 열이 바이메탈(163)로 전달되면 바이메탈(163)이 열변형되어 국선 연결부(130)의 플레이트(132)와 접촉됨으로써 고전압 또는 고전류가 접지부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즉, 이상 고전압 또는 고전류의 발생시 이를 내선측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하면서 접지시켜주는 기본적인 기능에 있어서는 종래와 동등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가입자 보안기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내선 연결부(120), 국선 연결부(130), 접지부(160)의 각 단자핀(121)(131)(161)과 플레이트(122)(132)(1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를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시킬 때에는 베이스플레이트(110)를 이루는 몸체(111)와 좌우 덮개(112)를 서로 끼워주기만 하면 조립식으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단자핀(121)(131)(161)과 플레이트(122)(132)(162)를 연결하기 위해 리벳팅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선 연결부(120), 국선 연결부(130), 접지부(160)를 구성할 때 각각 단자핀(121)(131)(161)과 플레이트(22)(132)(162)를 별도로 제조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제조비용을 1/2 정도로 절감할 수 있고, 단자핀 (121)(131)(161)으로부터 플레이트(122)(132)(162)가 연결부위없이 그대로 한몸체로 되어 있으므로 이상 고전압 또는 고전류가 단자핀(121)(131)(161)으로부터 플레이트(122)(132)(162)까지 그대로 고전압 또는 고전류가 흐를 수 있어 가입자 보안기로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선 연결부, 국선 연결부, 접지부를 이루는 각각의 단자핀과 플레이트를 하나의 몸체로 구성한 것이므로 이들을 개별적으로 제조하는 것보다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또 이들 사이를 리벳팅을 통해 연결해주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자핀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사이가 연결부위 없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므로 고전압 또는 고전류가 아무런 저항없이 그대로 흐를 수 있어 가입자 보안기로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단자핀과 플레이트의 연결부위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연결부위에서의 접촉저항이 전혀 없어 통화품질 및 자료전송속도를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베이스플레이트(1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된 한 쌍의 내선 연결부(12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된 한 쌍의 국선 연결부(130), 상기 내선 연결부(120)와 상기 국선 연결부(130)의 사이에 각각 끼워져 이상 고전압 또는 고전류 발생시 그 이송을 차단하는 한 쌍의 포지스터(140), 상기 각 국선 연결부(130)의 사이에 끼워져 이상 고전압 또는 고전류 발생시 열을 발생시키는 아레스터(15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중간에 고정되어 상기 아레스터(150)로부터 열이 전달될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각 국선 연결부(130)와 접촉되는 접지부(160)로 구성된 가입자 보안기에 있어서,
    상기 내선 연결부(120), 상기 국선 연결부(130), 그리고 상기 접지부(160)는, 각각 평판 상태에서 봉상으로 말리고 그 하단부는 끝부분이 뾰족하도록 오므려진 단자핀(121)(131)(161)과, 타부재와 접촉되는 플레이트(122)(132)(162)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상기 내선 연결부(110), 상기 국선 연결부(120), 그리고 상기 접지부(160)의 각 단자핀(121)(131)(161)이 끼워지도록 서로 대응되는 다수의 반원형 고정홈(111a)(112a)을 갖는 몸체(111)와 좌우 덮개(112)로 구성되어 상기 각 단자핀(121)(131)(161)이 상기 몸체(111)와 상기 좌우 덮개(112)의 사이에서 상기 각 고정홈(111a)(112a)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보안기의 단자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121)(131)(161)은, 하단부가 여러개소 등간격으로 절취 형성되어 인접부위와 겹침없이 뾰족하게 오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보안기의 단자 연결구조.
KR1020050090237A 2005-09-28 2005-09-28 가입자 보안기의 단자 연결구조 KR100677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237A KR100677845B1 (ko) 2005-09-28 2005-09-28 가입자 보안기의 단자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237A KR100677845B1 (ko) 2005-09-28 2005-09-28 가입자 보안기의 단자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845B1 true KR100677845B1 (ko) 2007-02-02

Family

ID=3810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237A KR100677845B1 (ko) 2005-09-28 2005-09-28 가입자 보안기의 단자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8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442U (ko) * 1994-07-30 1996-02-17 박건규 가입자 보안기
KR20000017776U (ko) * 1999-03-04 2000-10-05 정기호 영구접지 및 고장표시기능을 가지는 통신용 보안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442U (ko) * 1994-07-30 1996-02-17 박건규 가입자 보안기
KR20000017776U (ko) * 1999-03-04 2000-10-05 정기호 영구접지 및 고장표시기능을 가지는 통신용 보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6621A (en)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s circuit
US4907120A (en)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s circuit
US7670179B2 (en) Connecting element for shielded USOC RJ telecommunication and/or data cables having metal housing
CA1137544A (en)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s circuit
US7050285B2 (en) Surge protector assembly with ground-connector status indicator circuitry
RU2396623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я
JPS61281794A (ja) ブレ−ク・アクセス試験用に用いる保安器モジユ−ルを備えたモジユラ−形配線盤
US5596475A (en) Protector device
CA2796910A1 (en)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US5643014A (en) Mounting of protectors in connector blocks
RU2365004C2 (ru) Вста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й
KR100677845B1 (ko) 가입자 보안기의 단자 연결구조
US4149211A (en) Line surge protection device for telephone system
CA2204456A1 (en) Connector device with overvoltage protection
KR101447309B1 (ko) 전기적 보호 장치
CN113067323B (zh) 一种浪涌保护器
CA2527270A1 (en) Telecom circuit protection apparatus
TWI805729B (zh) 變阻器熱保護裝置
RU1814742C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 планка дл установки дальней св зи
KR0130287Y1 (ko) 가입자 보안기
CN212647980U (zh) 过电压保护器
CN101038806B (zh) 具有简化设计和增加的可靠性的过压保护装置
CN101278445A (zh) 电信领域的插头、包括电信模块和插头的组件以及制造该插头的方法
KR0124508Y1 (ko) 통신용 보안기
US20060139831A1 (en) Electrical subassembly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