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700B1 - 복조기의 입력 버퍼와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조기의 입력 버퍼와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700B1
KR100677700B1 KR1020060019826A KR20060019826A KR100677700B1 KR 100677700 B1 KR100677700 B1 KR 100677700B1 KR 1020060019826 A KR1020060019826 A KR 1020060019826A KR 20060019826 A KR20060019826 A KR 20060019826A KR 100677700 B1 KR100677700 B1 KR 100677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uffer
counter
demodulato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구
박형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복조기에서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동기부의 동기 시간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손실없는 데이터의 복조를 가능하게 하는 입력 버퍼가 제공된다. 입력 버퍼는 입력 타이밍 버퍼, 제1 카운터, 제2 카운터 및 다중화 모듈을 포함한다. 입력 타이밍 버퍼는 제1 버퍼 및 제1 버퍼에 연결된 제2 버퍼를 포함하여,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후 주파수 변환 과정을 거쳐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제1 카운터는 상기 입력 타이밍 버퍼에서 데이터가 출력되는 위치를 결정하고, 제2 카운터는 제2 버퍼 내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위치를 결정하고, 다중화 모듈은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와 입력 타이밍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복조부로 출력한다.
버퍼, 카운터, 중간 주파수

Description

복조기의 입력 버퍼와 그 제어 방법{INPUT BUFFER OF DEMODUL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복조기의 입력 버퍼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조기의 입력 버퍼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조기의 입력 버퍼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복조기의 입력 버퍼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한 신호의 효율적인 복조를 위하여 데이터의 입력 타이밍을 조절하는 입력 버퍼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조기는 시각 기준이 되는 시스템 타이밍 클럭(STC, system timing clock)의 동기 시간에 기초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한다. 만약, 타이밍 클럭의 동기 시간의 변화가 전혀 없다면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통하여 형성되는 기저 대역 신호를 그대로 사용하여 복조가 이루어진다. 그러 나 단말의 이동, 무선 채널 환경의 변화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복조기의 동기 시간은 수시로 변하게 된다. 이때, 타이밍 클럭의 동기 시간이 빨라지게 되면 복조기에서 신호의 복조를 위한 데이터 추출 시간이 짧아지게 되므로, 신호의 복조 과정에서 선행 패킷의 뒤쪽 데이터와 후행 패킷의 앞쪽 데이터가 일부 중복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며 통신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복조기의 복조부 전단에 입력 데이터의 타이밍을 보완하기 위한 입력 버퍼를 위치시켜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여 복조부로의 데이터의 전달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러한 데이터 손실을 보완하여 왔다.
도 1은 종래의 복조기의 입력 버퍼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입력 버퍼(10)는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입력 버퍼(10)는 신호의 복조를 위하여 복조부(30)로 전송할 데이터의 추출을 위한 데이터 추출 위치(A)가 미리 설정되어 운영된다. 그러므로, 타이밍 클럭의 동기 시간이 변화하게 되면, 손실없는 데이터의 복조를 위하여 동기 시간의 변화에 따라서 데이터 추출 위치(A)를 변경시켜 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동기 시간이 ‘k’에서 ‘(k-s)’로 변화하면, 데이터 추출 위치(A)를 ‘k’에서 ‘(k-s)’로 바꾸어, ‘(k-s)’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조부(20)로 전송하여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동작 특성을 갖는 종래의 입력 버퍼(10)는 쉬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하므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 클록 주기로 모든 데이터를 한 자리씩 이동(shift)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 버퍼(10)로의 데이터의 저장시 에 지속적인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무선 통신의 복조기에서 타이밍 클럭의 동기 시간 변화시의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입력 버퍼와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복조기에서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어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패킷의 복조부에서의 손실없는 복조를 제공하는 입력 버퍼가 제공된다. 이 입력 버퍼는 제1 버퍼, 제2 버퍼, 제1 카운터, 제2 카운터 및 다중화 모듈을 포함한다. 제1 버퍼는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패킷 중 패킷 후단의 미리 설정된 길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버퍼는 제1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제1 카운터는 제1 버퍼 및 제2 버퍼에서의 데이터의 출력 위치를 결정하고, 제2 카운터는 제2 버퍼 내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다중화 모듈은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와 상기 입력 타이밍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복조부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복조기에서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어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의 복조부에서의 손실없는 복조를 위한, 제1 카운터 및 제2 카운터를 포함하는 입력 버퍼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우선, 입력 버퍼의 제1 카운터 및 제2 카운터를 서로 다른 값을 갖도록 초기화하고,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패킷 전체 길이 중 패킷 후단의 미리 설정된 길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복조기에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입력 버퍼에 저장한다. 그리고 복조기의 동기 시간의 변화를 확인하여, 동기 시간이 빨라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카운터의 초기값을 동기 시간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갱신하고, 갱신된 제1 카운터의 초기값이 지정하는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복조부로 출력하며, 상기 데이터의 출력과 함께 상기 제1 카운터의 값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킨 후, 데이터의 출력시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함과 동시에 제2 카운터의 값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킨다. 마지막으로, 제1 카운터의 값과 상기 제2 카운터의 값이 동일해지면, 상기 입력 버퍼로부터의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직접 상기 복조부로 출력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조기의 입력단 버퍼와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조기의 입력 버퍼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무선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어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패킷은 주파수 변환부(300)에서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되어 복조부(200)로 전송된다. 무선 채널 환경의 변화 및 단말의 이동 등으로 인한 통신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손실의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복조부(200)의 전단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100)가 이용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조기의 입력 버퍼(100)는 입력 타이밍 버퍼(110), 제1 카운터(C1)(120), 제2 카운터(C2)(130) 및 다중화 모듈(selection module)(140)을 포함한다.
입력 버퍼(100)는 동기부로부터 동기 시간의 변화량을 수신하여, 동기 시간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고, 제1 카운터(120) 및 제2 카운터(130)의 값의 변화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입력 버퍼(100)는 다중화 모듈(140)의 제어를 통하여, 입력 타이밍 버퍼(110)에 저장된 데이터의 상태 및 동기 시간의 변화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변환부(300)로부터 직접 복조부(20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입력 타이밍 버퍼(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조부(200)로 전송하도록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조정한다. 입력 타이밍 버퍼(110)는 제1 버퍼(111)와 제2 버퍼(112)를 포함한다. 주파수 변환부(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우선적으로 제1 버퍼(111)에 저장되고, 제1 버퍼(111)로부터 복조부(200)로 데이터가 출력되는 동안에 제2 버퍼(112)에 데이터 패킷이 저장된다.
제1 버퍼(111)는 주파수 변환부(3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패킷 중 후단의 일부 데이터를 시간 순서대로 저장하여, 동기부(도시하지 않음)에서의 타이밍 클럭의 변경으로 인한 데이터 패킷의 손실을 방지한다. 이때, 제1 버퍼(111)에 저장된 데이터 패킷이 우선적으로 다중화부(140)를 거쳐 복조부(200)로 출력된다. 그리고 제1 버퍼(111)의 길이는 복조기에서 허용 가능한 동기 시간 변화량의 최대값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조기에서 허용 가능한 동기 시간의 최대 변화값이 ‘t’라면, 제1 버퍼(111)의 길이는 ‘t’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버퍼(112)는 제1 버퍼(111)에서 데이터가 출력되는 시간 동안에 주파수 변환부(300)로부터 입력되는 기저 대역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신호의 복조를 위하여 제1 버퍼(111)에 저장되었던 모든 데이터가 출력된 이후에는 제2 버퍼(112)에 저장된 데이터도 복조부(200)로 출력되어 신호의 복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조기의 입력 버퍼(100)는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었던 종래의 입력 버퍼(10)와 달리,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제1 버퍼(111) 및 제2 버퍼(11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입력 버퍼(100)는 예를 들어, 0번부터 (t-1)번까지의 데이터 저장 장소를 갖는 길이 ‘t’의 제1 버퍼(111)와 t번부터 (t+g-1)번까지의 데 이터 저장 장소를 갖는 길이 ‘g’의 제2 버퍼(112)를 포함하여 총 길이 (t+g)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주파수 변환부(300)로부터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총 길이 ‘d’의 데이터 패킷(이때, ‘d’는 ‘t’보다 큰 값이다.)이 입력 버퍼(100)로 전송되면, 입력된 데이터 패킷의 0번 데이터부터 (d-t-1)번 데이터까지는 제1 버퍼(111)에 저장되지 않고, 다중화 모듈(140)을 거쳐 직접 복조부(200)로 전송된다. 그리고, 데이터 패킷 후단의 (d-t)번 데이터부터 마지막 d번까지의 데이터가 제1 버퍼(111)의 0번 저장 장소부터 (t-1)번 저장 장소에 순서대로 저장된다. 이후, 타이밍 클록의 동기 시간의 변동에 따라 데이터 추출 위치가 변경되고, 추출된 데이터는 다중화 모듈(140)을 거쳐 복조부(200)로 전송되어 신호가 복조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에 입력되는 후행 데이터 패킷은 제2 버퍼(112)에 저장되었다가 제1 버퍼(111)로부터의 데이터 추출이 완료되면 복조부(200)로 전송된다. 이러한 버퍼 구성을 통하여 타이밍 클럭의 동기 시간의 변경으로 인하여 선행 데이터 패킷의 후단 데이터가 후행 데이터 패킷의 전단 데이터로 인식되는 경우의 데이터 손실 및 오류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조기의 입력 타이밍 버퍼(110)의 제1 버퍼(111) 및 제2 버퍼(112)는 자리 옮김 방식이 아닌 직접 접근 기억 방식 또는 비순차적(non-sequential) 기억 방식으로 운영되는 기억 장치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타이밍 버퍼(11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카운터(120)는 제1 버퍼(111) 및 제2 버퍼(112)로부터의 데이터의 출력 위치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버퍼(111)로부터 데이터가 출력될 때마다 제1 카운터(120)의 값은 순차적으로 증가하여, 데이터의 다음 출력 위치를 지정한다. 그리고 제1 버퍼(111)에 저장된 데이터가 모두 출력되면, 제2 버퍼(112)로부터의 데이터의 출력 위치를 지정한다. 입력 버퍼(110)는 제1 카운터(120)가 지정하는 위치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조부(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1 카운터(120)의 최대값은 제1 버퍼(111)의 길이 및 제2 버퍼(112)의 길이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운터(120)의 값은 동기부로부터 입력된 동기 시간의 변화량에 대응하여 변동된다. 동기 시간이 빨라진 경우에는 제1 카운터(120)의 값은 제1 버퍼(111)의 길이에서 동기 시간의 변화량을 뺀 값으로 설정되고, 이 값이 지정하는 위치로부터 데이터가 추출된다. 동기 시간이 늦어진 경우에는 제1 카운터(120)의 값은 그대로 유지된다.
제2 카운터(130)는 제2 버퍼(112)에의 데이터 저장 위치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버퍼(112)에는 제1 버퍼(111)로부터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에, 주파수 변환부(3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며, 이때 제2 버퍼(112)에 데이터가 저장될 때마다 제2 카운터(130)의 값은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제2 카운터(130)는 복조기의 동작 초기시부터 제1 버퍼(111)의 길이를 초기값으로 설정한 상태로 운영된다.
다중화 모듈(140)은 복조부(200)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중화 모듈(140)은 2×1의 다중화기(multiplexer)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100)는 복조기의 동기 시간 변동폭에 기 초하여 버퍼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지속적인 쉬프트 동작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조기의 입력 버퍼의 동작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조기의 입력 버퍼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파수 변환부(300)에서 변환된 데이터 패킷이 입력 버퍼(100)로 전송되는 경우, 먼저 두 개의 카운터(120, 130)의 초기값이 설정된다(S301).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입력 버퍼(100)에서는 제1 카운터(120)의 값은 ‘0’으로, 제2 카운터(130)의 값은 제1 버퍼(111)의 크기와 동일한 값인 ‘t’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 카운터(130)의 초기값은 제2 버퍼(112)의 시작점으로 제1 카운터(120)의 초기값은 제1 카운터(120)의 시작점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다중화 모듈(140)은 주파수 변환부(300)로부터 복조부(200)로 직접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설정한다.
주파수 변환부(300)로부터 입력 버퍼(100)로 전송된 하나의 데이터 패킷에 있어서, 패킷 전체 길이 중 후단의 미리 설정된 수에 해당하는 일부분은 복조부(200)로 출력되는 동시에 입력 타이밍 버퍼(110)의 제1 버퍼(111)에 저장된다(S302). 즉, 데이터 패킷의 마지막 ‘t’개의 데이터를 제1 버퍼(111)에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기부는 필요한 시기마다 동기 시간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t는 상당히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입력 버퍼(110)는 동기 시간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S303), 현재의 동기 시간이 선행 데이터 패킷이 입력되는 시점에서 설정되었던 동기 시간과 동일하면 통신 환경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302)로 되돌아가서 패킷의 마지막 ‘t’개의 데이터를 제1 버퍼(111)에 저장하는 작업을 계속한다.
동기 시간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입력 버퍼(110)는 동기 시간이 빨라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304), 동기 시간이 늦어진 경우에는 늦어진 동기 시간만큼 대기한 후 복조부(200)로 주파수 변환부(300)에서 전송된 기저 대역 신호를 저장하지 않고, 다중화 모듈(140)을 거쳐 그대로 출력한다.
그리고 동기 시간이 빨라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버퍼(111)와 동기 시간의 변화량의 차에 해당하는 값을 제1 카운터(120)의 값으로 설정하고, 복조부(200)로의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주파수 변환부(300)에서 입력 버퍼(110)로 변경하여 설정한다(S306). 즉, 선행 데이터 패킷의 동기 시간이 ‘t’이고, 동기 시간의 변화량이 ‘s’라면, 제1 카운터(120)의 값을 ‘(t-s)’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제1 카운터(120)의 값을 변경함으로써, 이전 시간에 설정되어 있던 데이터의 추출 위치보다 후단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동기 시간이 변화된 경우에도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입력 버퍼(100)는 동기 시간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갱신된 제1 카운터(120)의 값을 기초로 하여, 제1 버퍼(111)의 해당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복조부(200)로 출력한다(S307). 입력 버퍼(100)는 제1 버퍼(111)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제1 카운터(120)의 값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이때 수신되는 기저 대역 의 데이터를 제2 버퍼(112)에 저장하면서, 제2 카운터(130)의 값을 증가시킨다. 즉, 동기 시간이 빨라진 경우에는 선행 데이터 패킷 후단의 데이터와 현재 입력되는 데이터 패킷의 전단 데이터가 겹쳐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파수 변환부(3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입력 버퍼(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조부(200)로 출력한다. 그런데, 복조부(200)의 입력 데이터의 처리 속도는 주파수 변환부(300)에서 데이터가 출력되는 속도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제1 버퍼(111)로부터 데이터가 출력되는 속도가 제2 버퍼(112)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속도에 비하여 빠르다. 이로 인하여, 입력 버퍼(100)에 저장된 데이터의 출력 위치를 지정하는 제1 카운터(120)의 값은 제2 버퍼(112)의 데이터 저장 위치를 지정하는 제2 카운터(130)의 값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데이터 처리 속도의 차이를 반영하여 입력 타이밍 버퍼(110)의 제2 버퍼(112)의 길이는 제1 버퍼(111)에 비하여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입력 버퍼(100)는 입력 타이밍 버퍼(110)에 저장된 데이터가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8). 여기서, 제1 카운터(120)의 값과 제2 카운터(130)의 값을 비교하여, 두 카운터(120, 130)의 값이 같은 경우에는 입력 타이밍 버퍼(110)에 저장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주파수 변환부(300)로부터 입력되는 기저 대역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다중화 모듈(140)을 통하여 복조부(200)로 직접 출력한다(S309).
입력 타이밍 버퍼(110)에 저장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즉 두 카운터(120, 130)의 값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307)을 반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타이밍 버퍼(110)가 주파수 변환부(300)의 출력 데이터 한 샘플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I 채널과 Q 채널의 쌍을 함께 저장해야 하며, 각 채널의 비트 수는 일반적으로 5 ~ 15 비트 정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즉, 적어도 버퍼 한 개의 비트 수는 10 비트가 넘는다. 그런데 제1 카운터(120)와 제2 카운터(130)는 수 비트 정도밖에 되지 않으므로, 입력 타이밍 버퍼(110)의 크기가 하드웨어적으로 그다지 크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100)는 적어진 버퍼 수만큼의 이득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입력 버퍼에 비하여 데이터 저장 위치의 수가 적을 뿐만 아니라, 자리 옮김 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있으므로 버퍼 내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쉬프트시키는 동작도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입력 버퍼(100)의 동작 시간도 짧아진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입력 버퍼의 구조에 따르면 버퍼의 쉬프트 동작으로 인한 전력소모가 항상 일어나며, 버퍼의 수도 많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상당히 크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100)는 버퍼 내에서의 쉬프트 동작이 없으며, 버퍼가 패킷 후단의 미리 설정된 개수에 해당하는 일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안에만 동작하기 때문에 패킷의 길이가 길수록 버퍼의 동작시간은 더욱 짧아진다. 예를 들어 패킷의 길이가 2048이고 t=20이라면, 전체 시간동안 입력 버퍼(100)가 동작하는 시간은 전체 패킷 입력 시간의 약 1% 정도만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100)는 동작 시간이 짧아지게 되어 전력의 소모가 더욱 작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조기의 동기 시간이 변화하더라도 손실 없는 데이터의 복조가 가능하며, 복조기 입력단의 타이밍 버퍼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하드웨어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전력 소모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복조기에서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어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패킷의 손실없는 복조를 제공하는 입력 버퍼에 있어서,
    상기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패킷 중 패킷 후단의 미리 설정된 길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버퍼;
    상기 제1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버퍼;
    상기 제1 버퍼 및 제2 버퍼에서 데이터가 출력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제1 카운터;
    상기 제2 버퍼 내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카운터; 및
    상기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와 상기 입력 타이밍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다중화 모듈
    을 포함하는 복조기의 입력 버퍼.
  2.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복조기에서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어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의 복조부에서의 손실없는 복조를 위한, 제1 카운터 및 제2 카운터를 포함하는 입력 버퍼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퍼의 제1 카운터 및 제2 카운터를 서로 다른 값을 갖도록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패킷 전체 길이 중 패킷 후단의 미리 설정된 길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복조기에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입력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조기의 동기 시간의 변화를 확인하여, 상기 동기 시간이 빨라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카운터의 초기값을 상기 동기 시간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갱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제1 카운터의 초기값이 지정하는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복조부로 출력하며, 상기 데이터의 출력과 함께 상기 제1 카운터의 값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출력시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함과 동시에 제2 카운터의 값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카운터의 값과 상기 제2 카운터의 값이 동일해지면, 상기 입력 버퍼로부터의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직접 상기 복조부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력 버퍼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시간의 변화의 확인 결과, 상기 동기 시간이 늦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늦어진 동기 시간만큼 대기한 후 상기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복조부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입력 버퍼의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터의 길이는 동기 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복조기의 입력 버퍼의 제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시간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동기 시간이 늦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늦어진 상기 동기시간만큼 경과한 후에 데이터의 저장을 개시하는 복조기의 입력 버퍼의 제어 방법.
KR1020060019826A 2005-12-10 2006-03-02 복조기의 입력 버퍼와 그 제어 방법 KR100677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369 2005-12-10
KR20050121369 2005-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700B1 true KR100677700B1 (ko) 2007-02-02

Family

ID=3810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826A KR100677700B1 (ko) 2005-12-10 2006-03-02 복조기의 입력 버퍼와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7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5143A (ja) 1982-12-29 1984-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同期変復調装置
JPH0556278A (ja) * 1991-07-30 1993-03-05 Hitachi Ltd 符号化/復号化装置並びに画像処理装置
KR19980070610A (ko) * 1997-01-21 1998-10-26 이데이노브유끼 복조방법과 장치, 수신방법과 장치 및 통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5143A (ja) 1982-12-29 1984-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同期変復調装置
JPH0556278A (ja) * 1991-07-30 1993-03-05 Hitachi Ltd 符号化/復号化装置並びに画像処理装置
KR19980070610A (ko) * 1997-01-21 1998-10-26 이데이노브유끼 복조방법과 장치, 수신방법과 장치 및 통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0435B2 (ja) Pciイクスプレスのバイトスキュー補償方法及びこのためのpciイクスプレス物理階層受信機
US7093061B2 (en) FIFO module, deskew circuit and rate matching circuit having the same
US96351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in a processing pipeline, a length of a data packet in a data block without modifying a length of the data block
JP2012507934A (ja) 複数のシリアルレシーバ用の自動データアライナの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02084264A (ja) 同期制御装置
JP5365132B2 (ja) 直列信号の受信装置、直列伝送システム、直列伝送方法、直列信号の送信装置
CN103369662A (zh) 适配器、基带处理单元和基站系统
CN115904307B (zh) 一种数据缓存器溢出处理方法及通信系统
KR100677700B1 (ko) 복조기의 입력 버퍼와 그 제어 방법
JP3125348B2 (ja) パラレルビット同期方式
JP2003244085A (ja) 複数系統伝送路における位相合致制御システム及び位相合致制御方法
CN113141487A (zh) 视频传输模组、方法、显示装置和电子设备
JP2603608B2 (ja) 切替型スペースダイバーシティディジタル無線通信の伝搬時間差補正回路
US8798096B2 (en) Method for configuring preamble for communication system, preambler,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acket using the same
US7136447B2 (en) Clock recovery circuit
JP2536401B2 (ja) 無瞬断切替方法
US7492792B2 (en)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data
JP4032975B2 (ja) W−cdma基地局装置遅延制御システム
US7526017B2 (en)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transmission system, and transmission method
KR100386558B1 (ko) 데이터 전송 속도의 고속 검출 방법
JP5182041B2 (ja) ベースバンド信号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送受信方法
JPWO2009001450A1 (ja) メモリアクセス制御装置
JP2605657B2 (ja) Tdma方式の移動電話機
JPH0730528A (ja) クロック乗換回路
US738888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