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674B1 -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 - Google Patents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674B1
KR100677674B1 KR20050123060A KR20050123060A KR100677674B1 KR 100677674 B1 KR100677674 B1 KR 100677674B1 KR 20050123060 A KR20050123060 A KR 20050123060A KR 20050123060 A KR20050123060 A KR 20050123060A KR 100677674 B1 KR100677674 B1 KR 100677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hoe
growth
midsole
hard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23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880A (ko
Inventor
문영진
Original Assignee
문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진 filed Critical 문영진
Publication of KR20060067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9/00Shoe-shaped inserts; Inserts covering the instep
    • A43B19/005Weighted inserts for shoes, i.e. insert comprising an additional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발에서 발바닥을 지지하는 한편, 그 하면이 지면과 접촉되는 밑창 및 밑창과 일체로 형성되고 발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갑피를 구비하되, 보행시 또는 운동시 후족부를 자극함으로써 발, 하퇴부, 대퇴부의 성장판이 자극되거나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되도록 신발 밑창의 경도를 조절하고, 신발 전족부위의 무게를 가중시켜 근력발현을 크게 하기 위하여, 신발 밑창의 후족부의 경도가 쇼어경도로 65 내지 85인 신발에 있어서, 그 경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중창표면부와 상기 중창이면부 사이에 경도조절부재가 구비되며, 또한 보행시 또는 운동시 후족부가 자극되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되도록 신발 전족부위의 무게를 가중시키기 위하여 50~100g 으로 된 무게가중재가 신발 전족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발밑창, 성장판, 성장호르몬, 경도조절부재, 자극분산부, 무게가중재.

Description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SHOES FOR PROMOTING GROWTH OF HEIGH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신발용 깔창과 중창의 구성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일반 운동화의 착용시 성장호르몬의 활성도와 본 발명에 의한 신발용 중창을 채용한 운동화의 착용시 성장호르몬의 활성도를 비교한 그래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중창 11a: 중창이면부
11b: 중창표면부 13: 경도조절부재
15: 자극분산부 16: 힐스퍼(heel spur) 방지 강화부재
17 : 무게 가중재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신발에 사용되는 밑창 내지 신발용 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성장은 세포의 증식과 성장으로 인한 전체적인 몸의 크 기나 신장의 증가를 의미하며, 특히 사람의 신장은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활성화되거나 성장판의 세포분열이 활성화되면서 증가하게 된다.
사람의 신장 성장에 관여하는 성장호르몬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성장호르몬은 운동, 불안, 스트레스, 큰 근력의 발현과 같은 인자들에 의하여 시상하부로 들어가는 신경자극이 존재할 때 분비된다. 이러한 성장호르몬은 단백질 합성, 골격의 성장 및 세포의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슐린성장인자(IGF)의 방출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다른 세포들 내에서도 인슐린성장인자(IGF)의 합성과 방출을 자극하여 성장의 촉진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는 강력한 자극 중의 하나는 운동이다. 운동에 의한 성장호르몬의 분비는 운동강도, 운동지속시간, 운동기간 등과 관계가 있으며, 특히 운동강도가 계속적으로 증가할수록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된다. 따라서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걷기, 달리기의 경우 지면으로부터 신체에 들어오는 충격력 및 충격량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근력 발현이 크게 나타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신장의 성장은 주로 성장판의 세포분열에 의한 뼈의 성장에 의하여 일어난다. 그 이유는, 신장은 사람의 몸의 뼈가 차곡차곡 쌓여서 생긴 높이가 대부분이며, 뼈이외의 다른 조직이 신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기 때문이다.
뼈의 성장은 주로 성장판에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성장판이란 새로이 뼈를 생성시키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주로 우리 몸에서 길게 생긴 뼈의 위 아래에 위치하여 양쪽 방향으로 뼈가 자라나게 해준다. 따라서, 자연적인 자극 이외에 인위적, 물리적인 수단으로 성장판을 자극시키면 성장판이 활발하게 세포분열을 일으켜 신장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상과 같은 성장판의 자극 또는 성장호르몬 분비의 촉진은 뜀뛰기, 줄넘기, 농구 등 중력 또는 체중을 이용한 수직운동을 통하여 얻을 수도 있고, 일상생활에서 일정한 도구나 방법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유도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인공중력에 의한 뼈성장 촉진장치에 관한 것이 있으나, 이는 그 구조의 복잡성, 사용장소의 제한, 사용의 불편함, 높은 제조단가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뼈신장용 교정장치에 관한 것도 있으나 이 역시 사용이 불편하고 오히려 무리한 수직하중으로 연약한 성장판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신발의 밑창의 경도를 조절함으로써 보행시나 운동시에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성장판을 자극하여 신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의 중창에 경도조절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보행시 또는 운동시에 신발을 통해 후족부로 자극이 보다 잘 전달되도록 하여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성장판을 자극하여 신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의 중창에 자극분산부 및/또는 힐스퍼 방지 강화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보행시 또는 운동시에 후족부로 자극이 전달될 때, 자극을 후족부에 골고루 분산시켜 자극의 집중에 의한 힐스퍼나 족저근막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 전족부위의 무게를 증가시킴으로써 운동시 근력을 더 크게 발현시키고 이를 통해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되도록 하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바닥을 지지하는 한편, 그 하면이 지면과 접촉되는 밑창 및 상기 밑창과 일체로 형성되고 발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갑피를 구비한 신발에 있어서, 보행시 또는 운동시에 후족부를 자극함으로써 발, 하퇴부, 대퇴부의 성장판이 자극되거나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되도록 상기 신발의 밑창의 경도가 조절된다.
즉, 밑창의 후족부의 경도가, 러버용 경도측정기 쇼어 C를 기준으로, 쇼어경도(이 경도는 이하, 단지 경도라고도 함)로 65 내지 85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밑창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지만, 통상, 바닥창, 중창, 깔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창이 대부분의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두께)로 구성되므로, 상기 중창의 후족부의 경도만을 조절함으로써 상술한 경도범위내의 밑창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깔창과 접촉하는 중창표면부와 상기 밑창과 접촉하는 중창이면부사이의 후족부 부분에 경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경도조절부재가 포함 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도조절부재의 재질은 고무, 폴리우레탄, 파이론, 실리콘 중의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자극을 잘 전달하고 탄성이 좋으면 어떤 재질이라도 사용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경도조절부재는 중창의 후족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밑창의 후족부를 통해 전달된 자극을 분산시키도록 하는 형상 내지 구조의 자극분산부가 상기 밑창의 발바닥 후족부의 접촉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자극분산부는 밑창이나 깔창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분리되게 형성된 후, 밑창의 후족부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자극분산부의 재질은 고무, 폴리우레탄, 파이론, 실리콘 중의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자극을 잘 분산시킬 수 있으면 어떤 재질이라도 사용가능하다. 그 자극분산부는 후족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극분산부의 표면에 족저근막염 및 힐스퍼(heel spur)의 발생 방지를 강화하는 힐스퍼 방지 강화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힐스퍼 방지 강화부재는 상기 자극분산부의 중앙부분에 그 표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되며, 그 힐스퍼 방지 강화부재의 재질은 고무, 폴리우레탄, 실리콘, 비스콘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힐스퍼를 잘 방지할 수 있으면 어떤 재질이라도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힐스퍼 방지 강화부재는 젤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에 의하면, 보행시 또는 운동시에 발뒤꿈치 부분을 자극함으로써 발, 하퇴부, 대퇴부의 성장판을 자극하거나 성장호르몬 분비 를 촉진하여 성장기 어린이와 성장기 청소년의 성장촉진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깔창과 중창을 분해시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과 관련하여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신발용 깔창, 중창 및 바닥창이 분리된 구조의 밑창에 있어서, 경도조절부재 및 무게가중재가 중창에 설치되고, 자극분산부 및 힐스퍼 방지 강화부재가 깔창에 설치된 것이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됨이 없다. 즉, 깔창, 중창 및 바닥창중 일부 또는 전부가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제조에 있어서도 인서트 성형, 성형후 압입 내지 접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바닥을 지지하는 한편 그 하면이 지면과 접촉되는 밑창 및 밑창과 일체로 형성되고 발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갑피를 구비한다. 밑창은 통상적으로 그 하부에서부터 바닥창, 중창, 깔창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성장판을 자극하거나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신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발에 가해주는 자극을 일정 이상으로 해주면 된다. 즉, 신발 밑창의 전체적인 경도를 통상의 신발의 밑창보다 크게 하여 성장판의 자극 및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신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신발의 밑창이 일반적으로 바닥창, 중창, 깔창으로 구성되고, 또한, 특히 운동화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자극의 대부분이 중 창에 흡수되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신발용 중창의 경도를 조절하여 신장의 증대를 꾀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발용 중창(11)은 하부에서부터 중창이면부(11a), 경도조절부재(13), 자극분산부(15) 및 중창표면부(11b)로 구성된다. 또한, 자극분산부(15)에는 힐스퍼(heel spur) 방지 강화부재(16)가 구비된다.
도 1에서 중창(11)의 적어도 후족부 부분에 있어서 경도(硬度)를 러버용 경도측정기 쇼어 C를 기준으로 쇼어경도 65 내지 85로 유지한다. 중창(11)의 경도는 이를 제조할 때의 압축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신발의 경우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해서, 중창(11)의 경도를 60 이하로 한다. 여기서, 경도는 쇼어경도로서 러버용 경도측정기 쇼어 C를 기준으로 측정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중창(11)의 후족부 부분의 경도를 쇼어경도 65 내지 85로 조정하여 보행시나 운동시 강한 자극을 받도록 하고 있다. 중창(11)의 경도를 크게 할수록 큰 자극이 유발되지만, 중창의 쇼어경도를 85 이상으로 할 경우 착용감이 현저히 떨어져 신발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따라서 중창의 경도는 65 내지 85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중창의 경도를 조절하여 발에 강한 자극을 줌으로써, 발과 연결된 하퇴부나 대퇴부에 있는 성장판을 자극하여 성장판의 세포분열을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뇌하수체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 도 1의 실시예에서, 중창이면부(11a)는 바닥창 상면에 접착되어 보행이나 운동시 바닥창을 통해 전달받은 자극을 받아들인다. 이때, 중창이면부(11a)를 통해 전달된 자극이 발, 하퇴부, 대퇴부로 잘 전달되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중창이면부(11a)와 중창표면부(11b) 사이 후족부 부분에 경도조절부재(13)를 설치한다. 이러한 경도조절부재(13)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그 경도조절부재(13)의 수용홈(11c)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도조절부재(13)를 분리되게 구성함으로써 밑창의 후족부 부분의 쇼어경도가 65 내지 85로 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도조절부재(13)의 재질이나 두께를 달리하여 쇼어경도 65 내지 85사이에서도 신발마다 서로 상이한 경도로 하는 것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쇼어경도 65 내지 85사이의 범위내에서도 65, 70, 80, 85와 같이 서로 다른 경도의 신발들이 간편하게 제조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체중, 나이 등에 따라 65 내지 85사이의 경도에서도 상이한 경도의 신발을 선택하여 신장의 성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경도조절부재(13)는 중창(11)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보행이나 운동시 주로 발뒤꿈치 부분에 충격이 가해진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중창의 후족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도조절부재(13)는, 경도조절부재(13)의 상부에 골을 형성시켜 경도조절부재(13)의 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신발 전체의 무게를 가볍게 하여 착용감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경도조절부재(13)를 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하여 신발 전체의 무게를 증가시킴으로써 근육활동 강화에 따른 성장호르몬 분비 를 촉진시킬 수도 있다.
경도조절부재(13)의 재질로는 주로 고무, 폴리우레탄, 파이론, 실리콘 등이 사용되나 반드시 이러한 재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자극을 잘 전이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재질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한 것은 탄성이 아주 좋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경도조절부재(13)로 전달된 자극은 이후 자극분산부(15)에 의해 발뒤꿈치전체로 분산된다. 이때, 자극분산부(15)는 중창의 후족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자극분산부(15)를 중창(11)의 내부에 삽입하는 이유는, 보행시나 운동시 자극의 집중에 의한 힐스퍼(heel spur) 또는 족저근막염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자극이 발뒤꿈치의 특정부위에 집중됨으로써 발생하는 힐스퍼 및 족저근막염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힐스퍼(heel spur)란 발뒤꿈치의 뼈융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힐스퍼는 발바닥의 아치가 높거나 발뒤꿈치뼈가 돌출된 사람이 발뒤꿈치 착지형태로 달리는 경우와 같이 발뒤꿈치에 강한 자극을 집중적으로 받는 때 발생한다. 힐스퍼가 발생하면 건(腱)이나 부드러운 조직에서 염증이 생기고 고통을 느끼게 된다.
한편, 힐스퍼와 비슷한 현상으로 족저근막염이 있다. 족저근막은 발바닥의 아치를 따라 발을 가로지르는 인대와 같은 조직을 말하는 것으로서, 족저근막염이란 발뒤꿈치에서 일어나는 자극과 연관되어 발뒤꿈치 밑부분에 수반되는 통증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신발용 중창(11)의 적어도 후족부 부분의 경도를 65 내지 85로 유지하기 때문에, 통상의 신발로부터 전달되는 자극보다 큰 자극이 후족부에 전달된다. 따라서, 후족부의 특정 부위가 강한 자극을 집중적으로 받게 되어 힐스퍼나 족저근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중창(11)을 통해 전달되는 자극이 후족부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분산부(15)가 깔창(10)의 후족부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극분산부(15)의 재질로는 고무, 폴리우레탄, 파이론,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일반적으로 자극을 잘 분산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다.
한편, 자극분산부(15)의 표면에는 족저근막염 및 힐스퍼의 발생 방지를 강화하기 위해 힐스퍼 방지 강화부재(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힐스퍼 방지 강화부재(16)는 자극분산부(15)의 표면부 중앙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힐스퍼 방지 강화부재(16)의 재질로는 고무, 폴리우레탄, 실리콘, 비스코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힐스퍼를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힐스퍼 방지 강화부재(16)는 젤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게 가중재(17)은 고밀도 고무, 고밀도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중창의 재질보다 무게가 더 많이 나가는 재질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위치는 전족부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발목을 기준으로 회전관성을 크게 함으로써 더 큰 근력이 발현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다만, 신발의 굴곡은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장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 신발의 굴곡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무게 가중재가 다수로 분할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 상기 무게가중재는, 50 내지 1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신발이 200 내지 300g이므로, 무게가중재의 무게가 100g이 넘으면, 신발의 무게가 너무 무거울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지 아니하며, 50g이하이면, 성장호르몬 분비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신발용 중창을 채용한 신발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보행시 또는 운동시 일반적으로 신발의 뒷굽이 먼저 지면에 닿은 후, 점차적으로 뒷굽으로부터 신발의 앞부분이 지면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최초로 신발의 뒷굽이 지면에 닿는 순간에는 체중 또는 중력에 의하여 신발의 뒷굽에 상당한 자극이 가해지게 되고, 이러한 자극은 운동시 또는 달리기를 하는 중에는 더욱 커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체중 또는 중력에 의하여 신발의 뒷굽에 가해지는 충격은 먼저 바닥창에 전달된다. 바닥창에 전달된 자극은 이후 신발의 중창이면부(11a)와 경도조절부재(13)로 전달된다.
경도조절부재(13)는 바닥창이나 중창이면부(11a)로부터 전달된 자극을 빠르게 중창표면부(11b) 및 발바닥과 접하고 있는 깔창의 자극분산부(15)로 전달한다. 특히 후족부 부분에서 자극분산부(15)는 경도조절부재(13)로부터 전달된 자극을 분 산하여 전달한다. 자극분산부(15)에 의해 분산되어 전달된 자극은 발바닥의 특정부위에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후족부에 골고루 분산되게 되며 이후 하퇴부 및 대퇴부로 전달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그 자극이 통상의 신발에 의한 자극보다 크고 근력발현이 크게 일어남으로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더욱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성장판을 자극하여 성장판의 세포분열을 촉진시키게 되고, 이는 뼈를 성장시켜 결국 신장을 성장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성장호르몬 분비의 활성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행한 실험의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낸다.
본 실험에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 운동화와 본 발명에 의한 운동화를 착용한 14-15세의 피험자 3명, 피험자 13명을 대상으로, 피험자가 1.6㎞, 2㎞, 3㎞를 각각 달린 후 분비되는 성장호르몬의 양을 1, 2차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2는 피험자 3명을 대상으로 일반 운동화의 착용시 성장호르몬의 활성도와 본 발명에 의한 신발용 중창을 채용한 운동화의 착용시 성장호르몬의 활성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의 그래프에 의하면, 피험자A는 일반운동화 착용시 성장호르몬이 9.1ng/㎖가 분비되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한 운동화 착용시에는 28.6ng/㎖가 분비되어, 본 발명에 의한 경우 성장호르몬이 3.14배 더 많이 분비된다.
그리고 피험자B는 일반운동화 착용시 성장호르몬이 13.2ng/㎖가 분비되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한 운동화 착용시에는 41.9ng/㎖가 분비되어, 본 발명에 의한 경 우 성장호르몬이 3.17배 많이 분비된다.
또한, 피험자C는 일반운동화 착용시 성장호르몬이 17.87ng/㎖가 분비되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한 운동화 착용시에는 21.3ng/㎖가 분비되어, 본 발명에 의한 경우 성장호르몬이 1.19배 더 많이 분비된다.
도 3은 피험자 13명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에서 실험한 결과그래프이다. 걷기에서 사전 성장호르몬분비 검사시 일반화인 경우 평균 3.73ng/ml, 신장성장촉진용 신발인 경우 3.7ng/ml에서 3km 걷기 직후 일반화인 경우 17.14ng/ml, 신장성장촉진용 신발인 경우 23.41ng/ml 더 증가함을 보였다. 4km 걷기 직후 일반화인 경우 18.55ng/ml, 신장성장촉진용 신발인 경우 21.02ng/ml 로 일반화보다 증가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달리기에서 사전 호르몬분비 검사시 일반와인 경우 2.28ng/ml, 신장성장촉진용 신발인 경우 5.06ng/ml에서 2km 달린 후 일반화는 16.68ng/ml, 성장성장촉진용 신발인 경우 38.66ng/ml 로 2.31배 성장 호르몬이 더 분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km 달린후 일반화는 23.49ng/ml, 신장성장촉진용 신발인 경우 27.49ng/ml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일반인이 2-3km 조깅시 통계적 방법인 일반선형모형 반복측정결과 본 신장성장 촉진용 신발이 일반 신발보다 성장호르몬 촉진에 유의한 효과를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상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발용 중창을 채용한 신발이 통상의 신발에 비해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크게 촉진시킴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신발에 의하면, 신발 밑창의 후족부 부분의 경도가 65~85인 신발의 중창 내부의 후족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경도조절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보행시 또는 운동시 지면으로부터 받은 자극을 발, 하퇴부, 대퇴부로 더욱 잘 전달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신발 착용시 성장판을 자극하여 세포분열을 왕성하게 하거나, 성장호르몬 분비가 더욱 활성화되어 간편하게 신장을 성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신발에 의하면, 중창 내부의 후족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자극분산부를 더 삽입하거나 자극분산부의 표면부 중앙에 젤타입의 힐스퍼 방지 강화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발뒤꿈치의 특정부위에 자극이 집중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힐스퍼나 족저근막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발 전족부위의 무게를 가중시켜 발목을 기준으로 회전관성을 크게 함으로써 더 큰 근력발현이 일어나도록 해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이다.

Claims (10)

  1. 발바닥을 지지하는 한편, 그 하면이 지면과 접촉되는 밑창 및 상기 밑창과 일체로 형성되고 발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갑피가 구비되며, 보행시 또는 운동시에 후족부를 자극함으로써 발, 하퇴부, 대퇴부의 성장판이 자극되거나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되도록 신발 밑창의 후족부분의 경도가 쇼어경도로 65 내지 85인 공지의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이 중창에서 충격의 대부분이 흡수되도록 바닥창, 중창, 깔창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창은 상기 깔창과 접촉하는 중창표면부와 상기 밑창과 접촉하는 중창이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밑창의 후족부의 경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중창표면부와 상기 중창이면부 사이의 후족부 부분에 고탄성 고무로 된 경도조절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조절부재의 재질은 고탄성고무 대신에, 폴리우레탄, 파이론,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발바닥을 지지하는 한편, 그 하면이 지면과 접촉되는 밑창 및 상기 밑창과 일체로 형성되고 발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갑피를 구비한 신발에 있어서,
    보행시 또는 운동시에 후족부를 자극함으로써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신발 전족부위의 무게를 가중시켜 발목을 기준으로 회전관성을 크게 함으로써 더 큰 근력발현이 일어나도록 50~100g 으로 된 무게가중재가 신발 전족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성장 촉진용 신발.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가중재는, 고밀도의 고무, 고밀도의 폴리우레탄, 고밀도의 파이론, 및 고밀도의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며, 신발의 굴곡을 방해하지 않도록 다수로 분할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성장 촉진용 신발.
KR20050123060A 2004-12-14 2005-12-14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 KR100677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482A KR20050039686A (ko) 2004-12-14 2004-12-14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
KR1020040105482 2004-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880A KR20060067880A (ko) 2006-06-20
KR100677674B1 true KR100677674B1 (ko) 2007-02-02

Family

ID=365880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482A KR20050039686A (ko) 2004-12-14 2004-12-14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
KR20050123060A KR100677674B1 (ko) 2004-12-14 2005-12-14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482A KR20050039686A (ko) 2004-12-14 2004-12-14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050039686A (ko)
WO (1) WO200606507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671B1 (ko) 2009-05-08 2009-11-17 주식회사화승 신장 성장 촉진을 위한 기능성 신발
KR100926672B1 (ko) 2009-05-08 2009-11-17 주식회사화승 신장 성장 촉진을 위한 기능성 신발
WO2009154399A2 (ko) * 2008-06-17 2009-12-2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다이어트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1032640B1 (ko) * 2009-12-22 2011-05-06 (주)인투스에이치씨앤 편심중량 밑창을 갖는 하지정렬교정 및 다이어트 겸용 신발
KR101033663B1 (ko) 2008-06-17 2011-05-18 주식회사 바이오핏 다이어트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125B1 (ko) * 2006-08-09 2007-01-16 안광우 신장 성장 촉진을 위한 자극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신발
KR100853187B1 (ko) 2006-12-07 2008-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지골 경계 추출 영상 획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26670B1 (ko) * 2009-05-08 2009-11-17 주식회사화승 신장 성장 촉진을 위한 기능성 신발
EP2580707B1 (en) * 2010-06-08 2013-12-25 Widex A/S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a monitoring device
KR102080154B1 (ko) * 2011-12-08 2020-02-21 아포스-메디컬 앤드 스포츠 테크놀로지즈 엘티디. 신경 장애들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2102A (ja) * 2000-03-10 2001-09-18 Marubeni Footwear Inc 子供用靴及び中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00116U1 (ko) * 1988-01-08 1988-02-25 Bauerfeind Gmbh & Co, 4152 Kempen, De
US20020050080A1 (en) * 1993-07-09 2002-05-02 Vasyli Phillip J. Orthotic device
KR20020057917A (ko) * 2002-06-10 2002-07-12 박차철 중량조절이 가능한 신발
KR100512534B1 (ko) * 2002-06-29 2005-09-02 이승연 키크는 신발
US20040194348A1 (en) * 2003-04-07 2004-10-07 Campbell Todd D Heat malleable orthotic shoe inse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2102A (ja) * 2000-03-10 2001-09-18 Marubeni Footwear Inc 子供用靴及び中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3252102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4399A2 (ko) * 2008-06-17 2009-12-2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다이어트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WO2009154399A3 (ko) * 2008-06-17 2010-04-0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다이어트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1033663B1 (ko) 2008-06-17 2011-05-18 주식회사 바이오핏 다이어트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0926671B1 (ko) 2009-05-08 2009-11-17 주식회사화승 신장 성장 촉진을 위한 기능성 신발
KR100926672B1 (ko) 2009-05-08 2009-11-17 주식회사화승 신장 성장 촉진을 위한 기능성 신발
KR101032640B1 (ko) * 2009-12-22 2011-05-06 (주)인투스에이치씨앤 편심중량 밑창을 갖는 하지정렬교정 및 다이어트 겸용 신발
WO2011078528A2 (en) * 2009-12-22 2011-06-30 Intoos Hcn Corporation Ltd. Shoe having eccentrically-weight distributing shoe sole for correcting lower limb alignment and losing weight
WO2011078528A3 (en) * 2009-12-22 2011-11-10 Intoos Hcn Corporation Ltd. Shoe having eccentrically-weight distributing shoe sole for correcting lower limb alignment and losing we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65070A1 (en) 2006-06-22
KR20060067880A (ko) 2006-06-20
KR20050039686A (ko) 200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674B1 (ko)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
US4841647A (en) ACU-pressure massaging insoles
KR101557782B1 (ko) 착탈가능한 지지 부재를 갖는 발 교정 기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6510626B1 (en) Custom orthotic foot support assembly
US11589645B2 (en) Variable reflex footwear technology
CA3038203C (en) Footwear for reducing inversion, reducing eversion or both
JP2004537387A (ja) 自然な足取りを容易にする履物
KR101998706B1 (ko)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WO2007037581A1 (en) Arch support for shoes and insole employing the same
KR200409793Y1 (ko) 발과 발목에 위치하는 반사구 및 성장판의 물리적,화학적인 자극을 통한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
CN101188957B (zh) 鞋的鞋底结构
US2902780A (en) Sport shoe
US2424159A (en) Weighted shoe
KR200362908Y1 (ko) 고도의 등산자세를 재현할 수 있는 신발
KR100960272B1 (ko)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 및 운동 경기력 향상을 위한 탄성강화 구조체, 이를 포함한 깔창 및 신발
KR100575475B1 (ko) 뇌하수체에 관여하는 반사구 및 성장판 자극을 통한 신장성장 촉진용 신발
CN216753697U (zh) 一种具有静音耐磨功能的鞋跟
CN215958574U (zh) 单层鞋帮的孕妇鞋
CN212877899U (zh) 一种可调节的运动鞋
CN218354858U (zh) 一种可保护脚踝的运动鞋
CN213663950U (zh) 一种磁疗健康鞋
CN219500531U (zh) 一种锻炼和穿戴两用鞋垫
CN219877567U (zh) 一种可调节中后腰包裹及防扭伤系统的篮球鞋
KR20090110805A (ko) 기능성 당뇨신발
KR101134527B1 (ko) 다이어트 및 근력강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