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405B1 - 이동단말기의 음향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음향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405B1
KR100677405B1 KR1020040099972A KR20040099972A KR100677405B1 KR 100677405 B1 KR100677405 B1 KR 100677405B1 KR 1020040099972 A KR1020040099972 A KR 1020040099972A KR 20040099972 A KR20040099972 A KR 20040099972A KR 100677405 B1 KR100677405 B1 KR 100677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field
sound effect
voic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1101A (ko
Inventor
신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405B1/ko
Priority to CNA2005100830323A priority patent/CN1784043A/zh
Publication of KR2006006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음향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단말기 기능 및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사용자 음성에 대해 음향/음장효과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 및 다양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음향/음장효과 목록 및 관련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30)와, 사용자 키 조작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며, 음장/음향효과 설정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230)로부터 음장/음향효과 목록을 읽어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음장/음향효과 기능에 대응하는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를 상기 메모리(230)에서 읽어 해당 음장/음향효과 기능을 설정하는 이벤트 처리부(220)와, 메뉴화면,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 및 그 기능 처리에 대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240)와, 음장/음향효과 처리가 설정된 경우 마이크(MIC)로부터 아날로그 음성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 처리부(220)로부터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를 전달받아 상기 입력된 음성데이터에 해당 음장/음향효과 처리를 수행하고 그 처리된 음성데이터를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처리부(250)와, 음성처리부(250)에 연결되며 원격지와의 상기 디지털 음성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 음성송수신부(2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음향 처리 장치 및 방법{PROCESSING APPARATUS FOR INPUT SOUND IN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THEREOF}
도1은 종래의 음성 처리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음향 처리 장치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음장/음향효과 설정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음장/음향효과 처리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10 : 키 입력부 220 : 이벤트 처리부
230 : 메모리 240 : 표시부
250 : 음성처리부 260 : 음성송수신부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향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휴대단말기가 대중적으로 보급되었으며, 사용자들은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고자 자신의 휴대 단말기에 장식품을 부착하거나 휴대단말기의 배경화면 또는 벨소리를 독특하게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 사용자들 사이에는 이러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 사용자들은 휴대 단말기에 개성을 살릴 수 있는 장식품을 부착하거나 휴대단말기의 배경화면 또는 독특한 벨소리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고자 한다.
또한, 이동통신사업자는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휴대단말기를 통한 벨소리 또는 음악관련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휴대단말기에는 오디오 재생에 관련되는 코덱(CODEC)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이동단말기는 도1의 동작순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으로 통화음성을 처리하고 이를 원격지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이동단말기는 음성처리 과정과 음성송수신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음성처리 과정은 마이크 등으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에 대해 소음/잡음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거나 음조/음향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처리한 후 비디오 코딩을 통해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하고, 원격지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이다.
음성송수신 과정은 음성처리 과정에 변환된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원격지로 전송하거나 원격지로부터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대한 동작을 음성송신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크 등으로부터 음성데이터가 입력되면 음성처리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입력된 음성데이터에서 잡음/소음을 제거하거나 음조/음량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잡음/소음 제거 기능 및 음조/음량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처리 기능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일부 또는 모두가 동작하게 된다.
즉, 음성처리 과정은 단순형태의 음성 송신, 주변소음을 최소화한 음성송신, 급격한 음조/음향 변화를 방지한 음성 송신을 위한 음성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후, 음성처리 과정에서는 음성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처리가 완료되면 비디오 코딩을 수행하여 아날로그 음성데이터를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음성처리 과정에서 변환된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원격지로 송신하는 음성송수신 과정이 수행된다.
만일, 원격지로부터 디지털 음성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라면 상기의 역과정이 수행되고 최종적으로 아날로그 음성데이터로 변환된 후 스피커 등으로 출력된다.
종래의 이동단말기는 단순형태의 음성 송신, 주변소음을 최소화한 음성송신, 급격한 음조/음향 변화를 방지한 음성 송신 중 하나의 방식으로 음성으로 송신함으로써 수신자의 가청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종래 기술은 수신자가 수신 음성을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음성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순히 가청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음성처리만을 실행함으로 사용자의 오락적 욕구 및 다양성을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스테레오 스피커 등의 음악적 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단말기 기능 및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사용자 음성에 대해 음향/음장효과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 및 다양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창안한 이동단말기의 음향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음장/음향효과 목록과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음장/음향효과 목록을 표시하고, 사요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목록 중에서 적오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음장/음향효과에 대한 파라미터를 획득하여 음장/음향효과 처리를 설정하는 이벤트 처리부와,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된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를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적용하여 음장/음향효과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수행 결과를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원격지로 송신하는 음성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기의 음성 처리 방법에 있어서, 음장/음향효과 설정을 위한 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해당 키가 입력되면 음장/음향효과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장/음향효과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기저장되어 있는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를 읽어 음장/음향효과 처리를 설정하는 단계와,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된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를 상기 입력된 음성에 적용하여 음장/음향효과 처리를 반영시키는 단계와, 상기 음장/음향효과 처리가 반영된 음성을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원격지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입력부(210), 이벤트 처리부(220), 메모리(230), 표시부(240), 음성처리부(250) 및 음성송수신부(2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키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키 조작을 인식하여 인식하여 이벤트 처리부(220)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이벤트 처리부(220)는 사용자 키 조작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며, 음장/음향효과 설정으로 판단되면 메모리(230)로부터 음장/음향효과 목록을 읽어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음장/음향효과 기능에 대응하는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를 상기 메모리(230)에서 읽어 해당 음장/음향효과 기능을 설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음장/음향효과는 널리 알려진바와 같이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 처리에 사용되고, 상기 음장/음향효과는 스테레오(stereo), 돌비(dolby), 서라운드(surround), 컨서트홀, 극장, 스타디움(stadium), 노래방, 자동차내부, 공사현장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환경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는 상기 음장/음향효과를 구성하는 다양한 환경의 특징들을 추출한 값이다.
상기 메모리(230)는 음향/음장효과 목록 및 관련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240)는 이벤트 처리부(220)에 연동되어 메뉴화면,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 및 그 기능 처리에 대한 결과를 표시한다.
상기 음성처리부(250)는 음장/음향효과 처리가 설정된 경우 마이크(MIC)로부터 아날로그 음성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벤트 처리부(220)로부터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를 전달받아 해당 음장/음향효과 처리를 수행하고 그 처리된 음성데이터를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러한 음성처리부(250)는 음성송수신부(260)로부터 원격지의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전달받으면 아날로그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상기 음성송수신부(260)는 원격지와의 음성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도3 및 도4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음장/음향효과 설정 및 해제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키 입력부(210)에서 음장/음향효과 설정을 위한 메뉴 키를 조작하면 이를 인식한 이벤트 처리부(220)는 메모리(230)에서 음향/음장효과 목록을 획득하고 그 획득된 목록정보를 바탕으로 메뉴화면을 구성하고 이를 표시부(240)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장/음향효과 목록으로부터 송신 음성에 적용할 음장/음향 효과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한 이벤트 처리부(220)는 해당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를 메모리(230)로부터 읽어 상기 메모리(230)의 설정영역에 저장하고 음장/음향효과 기능의 처리를 설정한다.
또한, 사용자가 키 입력부(210)에서 메뉴 키가 아닌 해당 기능 설정을 직접 연동시키는 핫 키(hot key)를 선택하면 이벤트 처리부(220)는 그 핫키에 연동되는 기능이 무엇인지 확인한다.
여기서, 핫키와 연동되는 기능이 음장/음향효과 설정을 가정하는 것임으로 이벤트 처리부(220)는 메모리(230)로부터 해당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를 읽어 상기 메모리(230)의 설정영역에 저장하고 음장/음향효과 기능의 처리를 설정한다.
만일, 사용자가 현재 설정된 음장/음향효과를 해제하려는 경우 상기의 과정과 동일하게 메뉴 화면을 표시한 후 해당 음장/음향효과 항목을 선택하여 해제 설정하면 된다.
이에 따라, 원격지로 송신하려는 음성에 대해 설정된 음향/음장효과 처리를 수행하는데, 이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마이크(MIC)로 음성을 입력하면 음성처리부(250)는 잡음/소음 제거 또는 음조/음량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처리를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단순형태의 음성 송신, 주변소음을 최소화한 음성송신, 급격한 음조/음향 변화를 방지한 음성 송신을 위한 음성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후, 음성처리부(250)는 이벤트 처리부(220)와 연동하여 현재 설정된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그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음성데이터에 음장/음향효과 처리를 수행한 후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한다.
따라서, 음성송수신부(260)는 음성처리부(250)에서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전달받아 원격지로 송신한다.
반대로, 음성송수신부(260)가 원격지로부터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처리부(250)가 상기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피커(SP)로 출력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지로 전송할 음성에 대해 일반적인 음성처리를 통해 가청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자가 설정한 음향/음장효과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오락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4)

  1.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음장/음향효과 목록 및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과,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음장/음향효과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목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음장/음향효과에 대한 파라미터를 획득하여 음장/음향효과 처리를 설정하는 이벤트 처리 수단과,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된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를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적용하여 음장/음향효과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수행 결과를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처리 수단과,
    상기 음성처리 수단과 연계되어 원격지와 상기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음성송수신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음향 처리 장치.
  2. 이동단말기의 음성 처리 방법에 있어서,
    음장/음향효과 처리를 설정하는 단계와,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된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를 상기 입력된 음성에 적용하여 음장/음향효과를 반영시키는 단계와,
    상기 음장/음향효과가 반영된 음성데이터를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원격지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음향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음장/음향효과 설정 단계는
    음장/음향효과 설정을 위한 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해당 키가 입력되면 기저장되어 있는 음장/음향효과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장/음향효과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기저장되어 있는 음장/음향효과 파라미터를 읽어 음장/음향효과 처리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음향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음장/음향효과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음향 처리 방법.
KR1020040099972A 2004-12-01 2004-12-01 이동단말기의 음향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677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972A KR100677405B1 (ko) 2004-12-01 2004-12-01 이동단말기의 음향 처리 장치 및 방법
CNA2005100830323A CN1784043A (zh) 2004-12-01 2005-07-12 移动终端的音响处理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972A KR100677405B1 (ko) 2004-12-01 2004-12-01 이동단말기의 음향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101A KR20060061101A (ko) 2006-06-07
KR100677405B1 true KR100677405B1 (ko) 2007-02-02

Family

ID=36773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972A KR100677405B1 (ko) 2004-12-01 2004-12-01 이동단말기의 음향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7405B1 (ko)
CN (1) CN17840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714B1 (ko) 2007-06-13 201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음악 재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714B1 (ko) 2007-06-13 201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음악 재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101A (ko) 2006-06-07
CN1784043A (zh)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534B1 (ko) 음성과 배경음의 합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4201791B2 (ja) 携帯電話内蔵形音声変換システム
KR20100081022A (ko) 전화번호부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0691994B1 (ko) 헤드셋을 이용한 음원재생시스템 및 그 음원재생방법
KR100677405B1 (ko) 이동단말기의 음향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05163B1 (ko) 배경음악 송출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 및 신호 전송방법
US20060068835A1 (en) Background sound mixer for mobile audio platform applications and methods thereof
KR20090027817A (ko) 배경음 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1991B1 (ko) 음원데이터 변환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03333B1 (ko) 휴대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065151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및 수신방법
JP3903050B2 (ja) 個人携帯用端末機における通話背景音提供方法
KR10060580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소리음 제어방법
KR1011549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악 재생 중 문자 메세지 알림방법
KR1006781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파일 재생방법
WO2018010432A1 (zh) 一种基于声码标签的配置方法及设备、存储介质
KR20060072877A (ko)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mp3 파일을 이용한 알람벨 설정방법
JP3661627B2 (ja) エフェクタ搭載端末装置
KR20070051178A (ko) 휴대단말기의 라디오 청취방법
KR20060117136A (ko) 배경음 전송 방법 및 본 발명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KR2006000647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녹음 음성 벨소리 변환장치 및 방법
EP1560405A1 (en) Audio processing in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5940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변조 장치 및 방법
KR200424763Y1 (ko) 음색 변경 기능을 구비한 수신 단말기
KR10079014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