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376B1 - 이동통신단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376B1
KR100677376B1 KR1020040088011A KR20040088011A KR100677376B1 KR 100677376 B1 KR100677376 B1 KR 100677376B1 KR 1020040088011 A KR1020040088011 A KR 1020040088011A KR 20040088011 A KR20040088011 A KR 20040088011A KR 100677376 B1 KR100677376 B1 KR 100677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8842A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376B1/ko
Publication of KR20060038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정보단말기에 이동통신단말기를 결합하여 휴대정보단말기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휴대폰(200)과 연동하여 임의의 기능을 실현하는 노트북 컴퓨터(100)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200)을 결합하기 위한 데이터교환용 잭(jack)(110)과, 상기 휴대폰(200)의 결합을 검출하는 휴대폰연결 검출부(120)와, 상기 휴대폰(200)이 상기 잭(110)에 결합된 경우 그 휴대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30)와, 상기 잭(110)을 통해 수신된 상기 휴대폰(200)의 엘씨디 영상을 모니터(15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140)와, 상기 휴대폰(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키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잭(110)을 통해 상기 휴대폰(200)에 해당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휴대폰(200)을 동작시키는 단말기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 제어 장치{CONTROLL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노트북 컴퓨터 110 : 데이터교환용 잭
120 : 휴대폰연결 검출부 130 : 전원부
140 : 영상처리부 150 : 모니터
160 : 단말기제어부 200 : 휴대폰
본 발명은 정보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단말기는 크기가 작고 가볍게 제작되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휴대하고 있을 정도로 보급되었다.
따라서, 사람들은 언제, 어디에서라도 원하는 상대방과 통화는 물론 인터넷 서비스 등의 데이터 통신도 가능하게 되었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는 고화질의 컬러 엘씨디(LCD)를 장착한 제품이 보급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고화질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는 소형으로 구현됨으로 엘씨디의 크기가 제한될 수 밖에 없어 게임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때 현실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 제어 장치를 창안한 것으로, 휴대정보단말기에 이동통신단말기를 결합하여 휴대정보단말기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모듈과,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엘씨디 영상을 모니터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임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키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연결모듈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해당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정보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모듈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커넥터를 결합하기 위한 데이터교환용 잭(jack)으로서, 고정 장착된다.
상기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정보단말기의 무선랜 모듈로 동작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정보단말기는 노트북 컴퓨터 또는 개인정보단말기(PDA) 등의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휴대정보단말기에는 노트북 컴퓨터 또는 개인정보단말기(PDA)가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노트북 컴퓨터를 가정하고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폰"이라 약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이동통신단말 제어 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100)에 휴대폰(200)을 연결하여 그 휴대폰(2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는 휴대폰(200)을 결합하기 위한 데이터교환용 잭(jack)(110)과, 상기 휴대폰(200)의 결합을 검출하는 휴대폰연결 검출부(120)와, 상기 휴대폰(200)이 상기 잭(110)에 결합된 경우 그 휴대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30)와, 상기 잭(110)을 통해 수신된 상기 휴대폰(200)의 엘씨디 영상을 모니터(15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140)와, 상기 휴대폰(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키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잭(110)을 통해 상기 휴대폰(200)에 해당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휴대폰(200)을 동작시키는 단말기제어부(160)를 포함하는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데이터 교환용 잭(110)에 휴대폰(200)의 접속 코넥터가 연결되면 휴대폰연결 검출부(120)가 휴대폰(200)이 연결되었음을 인식하여 이를 단말기제어부(160)에 알린다.
이때, 단말기제어부(160)는 휴대폰(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부(130)를 제어하며 동시에 휴대폰(2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내장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그리고, 단말기제어부(160)는 휴대폰(200)과 연동하여 임의의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메뉴 화면을 모니터(150)에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140)를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가 모니터(150)에 표시된 메뉴 화면에서 휴대폰(200)에 탑재된 임의의 기능 예로, 게임을 실행시키면 단말기제어부(160)가 상기 휴대폰(200)에서 실행된 게임의 그래픽 영상을 모니터(150)에 표시하도록 영상처리부(1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모니터(150)에 표시되는 그래픽 영상을 보면서 노트북 컴퓨터(100)에 구비된 키를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모니터(150)에 표시된 메뉴 화면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설정하면 단말기제어부(160)는 휴대폰(200)을 통해 무선 인터넷 서버(도면 미도시)에 접속하고 그 무선 인터넷 서버(도면 미도시)에서 제공하는 페이지 화면을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40)에 전달하도록 휴대폰(200)을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니터(150)에 표시되는 페이지 화면에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노트북 컴퓨터(100)에 휴대폰(200)이 연결된 경우 사용자가 데이터 통신 기능을 설정하면 단말기제어부(160)는 상기 휴대폰(200)을 통신 준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가 목적지 주소 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단말기제어부(160)는 휴대폰(200)에 전송하여 호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이 개설되면 단말기제어부(160)는 휴대폰(200)에 수신된 문자, 그래픽 등의 영상을 모니터(150)에 표시하도록 영상처리부(140)에 전달하게 한다.
상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노트북 컴퓨터 또는 개인정보단말기(PDA) 등의 휴대정보단말기에 연결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무선 데이터 통신용 장치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도 통화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단말기연결 수단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연결을 검출하는 연결검출 수단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엘씨디 영상을 모니터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처리 수단과,
    상기 연결검출 수단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연결을 인식하고 그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하여 사용자 선택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말기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휴대정보단말기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휴대정보단말기의 무선랜 모듈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정보단말기는 노트북 컴퓨터 또는 개인정보단말기(PDA)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제어 장치.
KR1020040088011A 2004-11-01 2004-11-01 이동통신단말 제어 장치 KR100677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011A KR100677376B1 (ko) 2004-11-01 2004-11-01 이동통신단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011A KR100677376B1 (ko) 2004-11-01 2004-11-01 이동통신단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842A KR20060038842A (ko) 2006-05-04
KR100677376B1 true KR100677376B1 (ko) 2007-02-02

Family

ID=3714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011A KR100677376B1 (ko) 2004-11-01 2004-11-01 이동통신단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536B1 (ko) 2010-07-23 2011-12-29 류자용 양방향 스마트폰 뷰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42B1 (ko) * 2010-07-26 2011-06-20 주식회사 케이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4742545B (zh) * 2015-04-08 2017-09-26 北京东方金鹰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印章监控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536B1 (ko) 2010-07-23 2011-12-29 류자용 양방향 스마트폰 뷰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842A (ko)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96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bluetooth conn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0956025B2 (en) Gesture control method, gesture control device and gesture control system
KR101555063B1 (ko)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RU2012119472A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JP2002366255A (ja) 小型表示パネルを有するノート型コンピュータ
EP4123437A1 (en) Screen projection display method and system,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07013936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a common display screen
US9042843B2 (en) Distributed mobile phone system
WO2020211692A1 (zh) 信息交互方法及终端设备
KR100677376B1 (ko) 이동통신단말 제어 장치
CN111343591B (zh) 一种会话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WO2007049933A1 (en) Portable terminal and data output method thereof
KR20080080917A (ko)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인터넷폰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선마우스 및 통신 시스템
CN111522674B (zh) 多媒体内容的跨应用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8965514B (zh) 一种双屏终端的显示屏fpc结构及其移动终端
JP4283982B2 (ja) 携帯電話機
CN112418367B (zh) 价签基站多串口切换调试装置、调试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387066B1 (ko)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화상전화기와 그를 위한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KR20040019673A (ko)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0201186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0663516B1 (ko) Dmb 모듈을 이용한 화상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040107071A (ko) 블루투스가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
CN116321028A (zh) 通话转移方法和终端设备
KR2003009040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컬러 문자메시지 전송 방법
KR100700009B1 (ko) 내장용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