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320B1 -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를 통한 서비스의 호환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를 통한 서비스의 호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320B1
KR100677320B1 KR1020040030748A KR20040030748A KR100677320B1 KR 100677320 B1 KR100677320 B1 KR 100677320B1 KR 1020040030748 A KR1020040030748 A KR 1020040030748A KR 20040030748 A KR20040030748 A KR 20040030748A KR 100677320 B1 KR100677320 B1 KR 100677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obile terminal
mode mobile
dual mod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5024A (ko
Inventor
김대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320B1/ko
Priority to CNA2004101012924A priority patent/CN1694562A/zh
Publication of KR20050105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를 통한 서비스의 호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 1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제 2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를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수행하도록 요청받으면,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셀 재선택에 의해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제 2 네트워크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네트워크가 상기 요청을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요청을 전달받으면, 셀 재선택에 의해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를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서비스 호환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 1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생기는 제 2 네트워크의 접속 과잉 문제를 해결하고, 제 1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으나 제 2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셀 재선택을 통해 제 2 네트워크로 접속시킴으로써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를 통한 서비스의 호환 방법{METHOD FOR PROVIDING COMPATIBILITY OF SERVICES THROUGH DUAL MODE MOBILE TERMINAL}
도 1은 제 1 네트워크에 등록된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쌍방향 동화상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의 서비스 호환 방법에 관한 래더 다이어그램(Ladder Diagram).
도 2는 제 2 네트워크에 등록된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제 1 네트워크에 등록된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로 제 1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를 시도하는 경우의 서비스 호환 방법에 관한 래더 다이어그램.
본 발명은 무선 액세스 기술체계(RADIO ACCESS TECHNOLOGY : RAT)에서의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의 서비스 호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제 1 네트워크 즉, 제 2세대(2'nd Generation: 2G)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 즉, 제 3세대(3'rd Generation: 3G) 네트워크가 동시에 존재하는 실정에서 듀얼모드 이동단말기(Dual Mode Mobile Terminal)를 통해 상기 2 개의 네트워크 간에 상이한 서비스를 적절히 호환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시스템을 보면 2G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분류되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이 유럽 및 기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고속 고품질의 음성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3G 이동통신 시스템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이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동통신 기술은 2G 이동통신 시스템에 해당하는 GSM으로부터 3G 이동통신 시스템에 해당하는 UMTS로 발전할 것이나, 2G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3G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전환은 꽤 오랜 기간 동안 수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운영자는 양쪽 기술, 즉 GSM 및 UMTS 모두에서 동작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느껴 양 시스템을 동시에 지원하는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UMTS가 완전히 구현되기 이전 단계에서 사용자들은 GSM과 UMTS를 동시 지원하는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UMTS를 사용할 수 없는 지역에서도 GSM 900이나 GSM 1800 등과 같이 현재 활용 가능한 기술로 전환되는 멀티 RAT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2G 이동통신 시스템인 GSM과 3G 이동통신 시스템인 UMTS을 사용하기 위한 2가지 네트워크가 동시에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받고자 할 때, 어떤 네트워크를 사용할 것인지가 문제되므로 이에 대한 여러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초기의 셀 선택 단계에서 수신 강도가 센 셀에 등록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네트워크에 매뉴얼(Manual)로 등록하는 방법만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수신 강도가 좋은 셀에 등록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2G 또는 3G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방법만으로는 적절한 리소스(Resource) 분배를 위한 네트워크 선택에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3G 이동통신 시스템인 UMTS를 통하여 쌍방향 동화상 통화(VT: Video Telephony)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2G 네트워크를 사용하더라도 지장이 없는 음성 통화 사용자가 3G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쌍방향 동화상 통화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특정 네트워크에 따라 상이하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를 통하여 호환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에서의 서비스 호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제 2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를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수행하도록 요청받으면,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셀 재선택에 의해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제 2 네트워크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네트워크가 상기 요청을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요청을 전달받으면, 셀 재선택에 의해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를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잠시,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2G 네트워크일 수 있고,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한, 제 2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에서의 서비스 호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제 1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를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수행하도록 요청받으면,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셀 재선택에 의해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제 1 네트워크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가 상기 요청을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요청을 전달받으면, 셀 재선택에 의해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를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네트워크에 등록된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 및 제 2 네트워크에 등록된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에서의 서비스 호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제 1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를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수행하도록 요청받으면,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셀 재선택에 의해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제 1 네트워크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가 상기 요청을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를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제 1 네트워크 즉, 2G 네트워크에 등록된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쌍방향 동화상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의 서비스 호환 방법에 관한 래더 다이어그램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제 1 네트워크(예컨대, 2G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S101, S102)에서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제 2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예컨대, 쌍방향 동화상 통화(VT)와 같은 서비스)를 시도(S103)하는 경우, 제 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제 2 네트워크(예컨대, 3G 네트워크)로의 셀 재선택을 요청(S104)하고, 이에 따라 제 2 네트워크로의 셀 재선택이 승인(S105)되면,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등록(S106)된다. 이때,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기지국(예컨대, 3G 기지국)으로 상기 서비스(예컨대, VT 서비스)를 요청(S107)하면,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이를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알리고(S108), 다시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로 상기 서비스(VT 서비스) 이용 요청 사실을 알린다(S109).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의 상기 서비스 요청을 받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셀 재선택을 요청(S110)하고, 이에 따라 셀 재선택을 승인(S111) 받으면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등록(S112)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이용을 요청(S113)하면, 이를 이용하겠다는 응답을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전송(S114)하여,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 간의 상기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즉, 양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한 때에 한하여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 즉, 쌍방향 동화상 통화 서비스의 경우,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이 제 1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이면, 제 2 네트워크의 셀 재선택을 통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로 상기 제 2 네트워크 셀 재선택의 승인이 되지 않은 경우(도면 미도시),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서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로 상기 승인이 되지 않은 사실을 전송하고, 제 1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예컨대, 음성통화 서비스)의 이용 여부에 관한 응답을 요청하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서비스(음성통화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 상호 간의 상기 서비스(음성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제 1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승인을 받지 못한 경우(도면 미도시),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로 상기 승인받지 못한 사실을 전송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예컨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다. 이때,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음성 통화)를 원하는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상기 제 1 네트워크로의 셀 재선택을 요청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 셀 재선택을 승인받는다. 이에 따라,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 1 이동통신 서비스를 요청한다면 양 사용자간에 상기 제 1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은 제 2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의 일례로 쌍방향 동화상 통화(VT)를 나타내고 있으나,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의 주문형 비디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무선 전자 상거래 서비스의 경우도 이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셀 재선택을 통하여 서비스 호환을 제공한다.
도 2는 제 2 네트워크에 등록된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제 1 네트워크에 등록된 제 1 듀얼 모드 단말기로 제 1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음성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의 서비스 호환 방법에 관한 래더 다이어그램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는 제 1 네트워크에 등록(S201)되고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는 제 2 망에 등록(S202)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 1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 예컨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시도(S203)하는 경우,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상기 제 1 네트워크로의 셀 재선택을 요청(S204)하고, 이에 따라 승인을 받으면(S205)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등록(S206)된다. 이때,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상기 서비스(음성통화 서비스)의 이용을 요청(S207)하면,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로 이를 전달하고(S208), 상기 요청에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응답(S209)하면 상기 제 1 및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 간의 음성통화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의 예시로서 음성 통화를 언급하였으나, 메시지 전송 서비스 역시 해당될 수 있고, 나아가 다른 서비스 또한 해당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가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원하는 서비스에 따라 효율적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용하는 서비스에 따라 제 2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를 제 1 네트워크로 접속시켜, 제 1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제 2 네트워크를 과잉 사용하는 이유로, 다른 사용자들이 제 2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제 1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으나 제 2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 2 네트워크의 셀 재선택을 통해 네트워크에 따른 리소스를 적절히 분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제 1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에서의 서비스 호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제 2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를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수행하도록 요청받으면,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셀 재선택에 의해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제 2 네트워크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네트워크가 상기 요청을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요청을 전달받으면, 셀 재선택에 의해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를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호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의 셀 재선택 과정은,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상기 제 2 네트워크로의 셀 재선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셀 재선택을 승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호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의 셀 재선택 과정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상기 제 2 네트워크로의 셀 재선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셀 재선택을 승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호환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에서 지원가능한 서비스는 쌍방향 동화상 통화,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또는 무선 전자 상거래 서비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호환 방법.
  5. 제 2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에서의 서비스 호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제 1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를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수행하도록 요청받으면,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셀 재선택에 의해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제 1 네트워크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가 상기 요청을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요청을 전달받으면, 셀 재선택에 의해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를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호환 방법.
  6. 제 1 네트워크에 등록된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 및 제 2 네트워크에 등록된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에서의 서비스 호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제 1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서비스를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수행하도록 요청받으면,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셀 재선택에 의해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제 1 네트워크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가 상기 요청을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를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와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호환 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의 셀 재선택 과정은,
    상기 제 2 듀얼모드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상기 제 1 네트워크로의 셀 재선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네트워크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셀 재선택을 승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호환 방법.
  8. 제 5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서 지원가능한 서비스는 음성 통화 서비스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호환 방법.
KR1020040030748A 2004-04-30 2004-04-30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를 통한 서비스의 호환 방법 KR100677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748A KR100677320B1 (ko) 2004-04-30 2004-04-30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를 통한 서비스의 호환 방법
CNA2004101012924A CN1694562A (zh) 2004-04-30 2004-12-15 一种双模式移动终端的小区重选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748A KR100677320B1 (ko) 2004-04-30 2004-04-30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를 통한 서비스의 호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024A KR20050105024A (ko) 2005-11-03
KR100677320B1 true KR100677320B1 (ko) 2007-02-02

Family

ID=3535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748A KR100677320B1 (ko) 2004-04-30 2004-04-30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를 통한 서비스의 호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7320B1 (ko)
CN (1) CN16945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7922C (zh) * 2006-06-02 2008-06-2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呼叫业务的重试连接方法
CN100466797C (zh) * 2006-10-16 2009-03-04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移动通信系统间负荷分担的方法
KR100771900B1 (ko) 2006-10-27 2007-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셀 재선택 방법 및 장치
BRPI0811699B1 (pt) * 2007-06-18 2020-09-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étodo de nova seleção de células de inter-tecnologias de acesso via rádio e aparelh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072A (ko) * 2000-12-07 2002-06-19 조정남 듀얼모드 단말기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핸드오프 결정지원 방법
US20020085514A1 (en) 2000-12-28 2002-07-04 Illidge William E.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high-speed packet data service option and non-high-speed circuit switched or packet data service options without disrupting user data flow
KR20030033500A (ko) * 2001-10-23 2003-05-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망에서의 계층적 셀 구조 구현 및 그의 운영 방법
KR20030047476A (ko) * 2001-12-10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공중육상 이동통신망을선택하는 방법
KR20050102022A (ko) * 2004-04-20 2005-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망과 무선랜이 하이브리드 결합된 이동통신시스템과 이를 위한 핸드 오프 방법 및 패킷 데이터 전송방법과 그 게이트웨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072A (ko) * 2000-12-07 2002-06-19 조정남 듀얼모드 단말기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핸드오프 결정지원 방법
US20020085514A1 (en) 2000-12-28 2002-07-04 Illidge William E.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high-speed packet data service option and non-high-speed circuit switched or packet data service options without disrupting user data flow
KR20030033500A (ko) * 2001-10-23 2003-05-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망에서의 계층적 셀 구조 구현 및 그의 운영 방법
KR20030047476A (ko) * 2001-12-10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공중육상 이동통신망을선택하는 방법
KR20050102022A (ko) * 2004-04-20 2005-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망과 무선랜이 하이브리드 결합된 이동통신시스템과 이를 위한 핸드 오프 방법 및 패킷 데이터 전송방법과 그 게이트웨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024A (ko) 2005-11-03
CN1694562A (zh) 200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72999B (zh) 一种小区切换方法,终端以及核心网设备
US8787159B2 (en) Mechanism for wireless access networks to throttle traffic during congestion
KR101464417B1 (ko) 비상 세션을 위한 구축 원인을 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73151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urgent alert messages to sets of mobile terminals located in cells of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related radio network controller
KR100979436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방송 채널에 대한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RU2006140727A (ru) Управление радиоресурсами средства связи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системы связи
US848317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EP1219122A4 (en) DOMAIN SELECTION SYSTEM AND METHOD
KR20040097242A (ko)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개시된 콘텐츠의 특정 무선접속망을 통한 전송 가능 방법 및 장치
US7583969B2 (en) Method of communication
GB2439373A (en) A Method for Network Edge Device Selection
KR100834457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 가입 방법및 시스템
WO2017201725A1 (zh) 一种小区切换方法,终端以及核心网设备
CN116114277A (zh) 无线通信方法和设备
CN107211274B (zh) 一种设备关联方法以及相关设备
US20120033583A1 (en) Policy-Based Network and Service Domain Selection for Legacy Non-IP Telecommunication Services Over Heterogeneous Networks
US9391890B2 (en) Network-initiated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data communication using IP with a wireless terminal
KR100677320B1 (ko) 듀얼모드 이동단말기를 통한 서비스의 호환 방법
WO2019158483A1 (en) Interconnections between the core networks
KR20080000868A (ko) 방송 정보 전송 시스템, 장치 및 처리 방법과 이를수신하는 단말 장치
US20170238242A1 (en) Providing access to a GPRS network
JP391797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データ通信サービスを支援する方法
EP1754388A1 (en) Cell update message indicating whether user data or control data is transmitted uplink, and respective procedures for handling these two types of data
CN113747604A (zh) 一种通信方法、装置以及系统
US202101856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