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143B1 - 등시성 스트림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등시성 스트림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143B1
KR100677143B1 KR1020040082567A KR20040082567A KR100677143B1 KR 100677143 B1 KR100677143 B1 KR 100677143B1 KR 1020040082567 A KR1020040082567 A KR 1020040082567A KR 20040082567 A KR20040082567 A KR 20040082567A KR 100677143 B1 KR100677143 B1 KR 100677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chronous
isochronous stream
stream
iee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445A (ko
Inventor
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2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143B1/ko
Priority to US11/155,594 priority patent/US20060083232A1/en
Priority to CNA2005100931860A priority patent/CN1761258A/zh
Priority to DE602005004475T priority patent/DE602005004475T2/de
Priority to EP05255587A priority patent/EP1648127B1/en
Publication of KR20060033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58Isochrono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97Interconnection with oth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23Interconnection of computers and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08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different services, e.g. a differentiated services [DiffServ] type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8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specially adapted for link layer protocols, e.g.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ynchronous optical network [SONET] or point-to-point protocol [PP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Internet Protocol) over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에서의 등시성(isochronous) 스트림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등시성 스트림 수신 방법은 소정의 직렬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요청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소정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소정의 직렬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IP over IEEE 1394가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등시성 스트림 전송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sochronous stream}
도 1은 종래의 IP over IEEE 1394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성 스트림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IEEE 1394 규격에 따른 사이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성 스트림 패킷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등시성 스트림 패킷의 포맷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등시성 스트림 패킷 모듈의 패킷 관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성 스트림 송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87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76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등시성(isochronous) 스트림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IP(Internet Protocol) over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에서의 등시성 스트림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 1394는 기존의 어떤 규격보다 빠른 전송 속도를 지원하기 때문에 비디오 캠코더 등 대용량,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IEEE 1394는 실시간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지원하기 때문에 홈 디지털 기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확장성 및 고속 전송 능력으로 인하여 홈 네트워크의 백본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가전 기기의 디지털화에 따라 IT(Information Technology) 기기와 가전 기기의 호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데, 댁내의 하이브리드(hybrid)한 네트워크에서 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은 매우 효율적인 통신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는 RFC 2734에서 IP over IEEE 1394라는 프로토콜을 제안하였으며, 이것은 QOS(Quality Of Service) 보장 등과 같은 IP 서비스를 이용하는 IEEE 1394를 정의한다.
도 1은 종래의 IP over IEEE 1394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IP over IEEE 1394 프로토콜 스택은 응용 계층(11), TCP/IP 계층(12), 및 IEEE 1394 계층(13)으로 구성된다.
응용 계층(11)은 IP over IEEE 1394 응용(application)을 포함한다.
TCP/IP 계층(12)은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121)를 포함하며,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121)는 비동기 블록 쓰기 모듈(1211) 및 비동기 스트림 모듈(1212)을 포함한다.
IEEE 1394 계층(23)은 물리 계층(131), 링크 계층(132), 트랜잭션 계층(133), 및 버스 관리 계층(134)을 포함한다.
종래의 IEEE 1394가 비동기(asynchronous) 스트림 전송 및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모두 지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IP over IEEE 1394는 비동기 블록 쓰기 또는 비동기 스트림 패킷 전송만을 지원하고 있다. 즉, 종래의 IEEE 1394는 IP 기반이 아닌, 시분할 기반의 등시성 스트림 패킷 전송만을 정의하고 있고, 종래의 IP over IEEE 1394는 비동기 블록 쓰기 또는 비동기 스트림 패킷 전송만을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패킷 등과 같이 QOS 보장 및 실시간 전송이 요구되는 패킷들을 QOS를 보장받으면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IP over IEEE 1394가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들 및 장치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된 방법들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등시성 스트림 수신 방법은 소정의 직렬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소정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직렬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등시성 스트림 수신 장치는 소정의 직렬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부; 및 상기 요청부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소정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직렬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등시성 스트림 수신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등시성 스트림 전송 방법은 소정의 직렬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등시성 스트림의 전송을 위한 등시성 자원을 확보하는 단계; 및 상기 등시성 자원 확보의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직렬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등시성 스트림 전송 장치는 소정의 직렬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등시성 스트림의 전송을 위한 등시성 자원을 확보하는 등시성 자원 확보부; 및 상기 등시성 자원 확보부에서의 확보의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직렬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등시성 스트림 전송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등시성 스트림 송수신 방법은 소정의 직렬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등시성 스트림의 전송을 위한 등시성 자원을 확보하는 단계; 상기 등시성 자원 확보의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직렬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등시성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등시성 스트림 송수신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성 스트림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노드 A(2)에 탑재된 등시성 스트림 수신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은 응용 계층(21), TCP/IP 계층(22), 및 IEEE 1394 계층(23)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를 실제로 구현할 때, 도 2에 도시된 계층들 이외에 다른 계층을 더 포함하거나, 일부 계층은 다른 계층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세션(session) 계층을 더 포함하거나, TCP 계층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계층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실제로 구현할 때,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이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TCP/IP 계층(22, 32)은 IPv4 over IEEE 1394 규격에 해당하는 RFC 2734에 제시된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IEEE 1394 계층(23, 33)은 IEEE 1394 규격에 제시된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용 계층(21)은 등시성 스트림 전송 요청부(211), 등시성 스트림 준비부(212), 및 등시성 스트림 수신부(213)를 포함한다.
등시성 스트림 전송 요청부(211)는 응용 계층에서 비동기 블록 쓰기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비동기 블록 쓰기(asynchronous block write)로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노드 B(3)로 요청한다.
IEEE 1394 규격은 비동기 블록 쓰기, 비동기 스트림(asynchronous stream), 등시성 스트림(isochronous stream) 등 여러 가지 전송 방식들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IP 데이터그램(IP datagram)과 ARP 요청/응답(Address Resolution Protocol request/response), MCAP 광고/요청(Multicast Channel Allocation Protocol advertisement/solicitation) 등과 같은 커맨드들은 비동기 블록 쓰기 방식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등시성 스트림 전송 요청부(211)도 비동기 블록 쓰기로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노드 B(3)로 요청한다.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부(212)는 노드 B(3)로부터 등시성 스트림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에 포함된 채널 및 대역폭을 참조하여 등시성 스트림 수신을 준비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부(212)는 응용 계층에서 IOCTL(Input Output Control)을 호출함으로써 등시성 스트림 수신을 준비한다. IOCTL은 리눅스(Linux) 커맨드의 일종으로써 하부 계층들의 파라미터들을 조작하는 함수이다. 즉,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부(212)는 IOCTL를 호출함으로써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와 관련된 IEEE 1394 계층의 레지스터들의 값의 설정을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 수신을 준비한다. 또한,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부(212)는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가 완료되면 응용 계층에서 비동기 블록 쓰기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비동기 블록 쓰기로 IEEE 1394 버스(4)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노드 B(3)로 통지한다.
등시성 스트림 수신부(213)는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부(212)에서의 통지를 수신한 노드 B(3)로부터 IP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IEEE 1394 버스(4)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을 수신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등시성 스트림 수신부(213)는 IP가 제공하는 최적의 경로를 통한 패킷 라우팅 등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받으면서 IEEE 1394 버스(4)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 림을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이하 실시예들에서의 등시성 스트림의 대표적인 예로써 실시간 전송이 요구되는 동영상 컨텐츠 스트림을 들 수 있다.
TCP/IP 계층(22)은 등시성 스트림 추출부(221) 및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222)를 포함한다.
등시성 스트림 추출부(221)는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222)의 등시성 스트림 패킷 모듈(2213)로부터 출력된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로부터 등시성 스트림을 추출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등시성 스트림 추출부(221)는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의 헤더를 제거하고,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의 페이로드에 기록된 데이터를 취합함으로써 등시성 스트림을 생성한다.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222)는 비동기 블록 쓰기 모듈(2211), 비동기 스트림 패킷 모듈(2212), 및 등시성 스트림 패킷 모듈(2213)을 포함한다.
비동기 블록 쓰기 모듈(2211)은 IP를 기반으로 하는 비동기 블록 쓰기를 지원하고, 비동기 스트림 패킷 모듈(2212)은 IP를 기반으로 하는 비동기 스트림 패킷 송수신을 지원하고, 등시성 스트림 패킷 모듈(2213)은 IP를 기반으로 하는 등시성 스트림 패킷 송수신을 지원한다.
IEEE 1394 계층(23)은 물리 계층(231), 링크 계층(232), 트랜잭션 계층(233), 및 버스 관리 계층(234)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물리 계층(231), 링크 계층(232), 트랜잭션 계층(233), 및 버스 관리 계층(234)은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해당한다.
물리 계층(231)은 IEEE 1394 계층(23)과 IEEE 1394 버스를 물리적, 전기적으 로 연결한다.
링크 계층(232)은 두 가지 전송 모드, 즉 비동기 전송 모드와 등시성 전송 모드의 패킷들을 송수신하기 위하여 두 개의 송신용 큐와 하나의 수신용 큐를 가지고 있다. 두 개의 송신용 큐는 비동기용 큐와 등시성용 큐로 구분되며, 쓰기에 사용되고, 수신용 큐는 읽기에 사용된다. 또한, 링크 계층(232)은 원활한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사이클을 제어한다.
도 3은 IEEE 1394 규격에 따른 사이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버스 관리 계층(234)의 사이클 마스터(Cycle Master)는 125 usec마다 사이클 시작 패킷(Cycle Start packet)을 전송하고, IEEE 1394 버스(4)를 통하여 이 사이클 시작 패킷을 수신한 노드들은 이 사이클 시작 패킷을 기준으로 사이클을 동기시킨다. 사이클 시작 패킷이 전송되고 난 후, 일정 시간 동안 등시성 전송 모드의 패킷들이 전송되고, 그 후 남아있는 시간 동안 비동기 전송 모드의 패킷들이 채널 중재를 통하여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성 스트림 패킷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등시성 스트림 패킷은 등시성 헤더(IH, Isochronous Header)(51), CIP 헤더(52), TCP/IP 헤더(53), 및 데이터 필드(54)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등시성 스트림 패킷은 125 usec마다 사이클 시작 패킷이 전송된 이후에 전송된다.
데이터 필드는 4 개의 24 바이트 패킷들로 구성된다. 2 개의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된, 총 8 개의 24 바이트 패킷들을 취합하면 타임 스탬프(TS, Time Stamp)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TSP, Transport Stream Packet)으로 구성된 MPEG 2 패킷을 얻을 수 있다. MPEG 2는 대표적인 동영상 압축 규격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등시성 스트림 패킷의 포맷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등시성 스트림 패킷의 등시성 헤더(51)는 데이터 길이 필드(511), 태그 필드(512), 채널 필드(513), tCode(transaction code) 필드(514), SY(synchronization) 필드(515), 및 헤더_CRC(Cyclic Redundancy Check)(516)로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 필드(54) 뒤에는 데이터_CRC 필드(517)가 부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링크 계층(232)은 등시성 패킷 검출부(2321)를 포함한다.
등시성 스트림 패킷 검출부(2321)는 등시성 헤더(51)의 태그 필드(512)의 값을 참조하여 물리 계층(231)으로부터 입력된 패킷들 중에서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을 검출한다.
태그 필드(512)의 값 00은 기존의 IEEE 1394a에 따른 등시성 전송 모드 또는 비동기 전송 모드의 패킷임을 나타내고, 태그 필드(512)의 값 01은 IEC 61883 CIP 헤더임을 나타내고, 태그 필드(512)의 값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IP over IEEE 1394임을 나타내고, 태그 필드 값 11은 기존의 IEEE 1394a에 따른 일반 비동기 스트림 패킷(GASP, General Asynchronous Stream Packet)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등시성 헤더(51)의 태그 필드(512)의 보류 값(reserved value) 10을 이용함으로써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이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222)의 등시성 스트림 패킷 모듈(2213)로 입력되도록 한다.
트랜잭션 계층(233)은 특정 주소를 가진 노드에 대한 읽기 및 쓰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링크 계층(232)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트랜잭션 계층(233)은 특정 주소를 가진 노드에 대한 읽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읽기 트랜잭션을 발행(issue)하고, 특정 주소를 가진 노드에 대한 쓰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쓰기 트랜잭션을 발행하고, 특정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락(lock) 트랜잭션을 발행한다.
버스 관리 계층(234)은 트랜잭션 계층(233), 링크 계층(232), 및 물리 계층(231)을 제어함으로써 IEEE 1394 버스(4)를 관리한다. 특히, 버스 관리 계층(234)은 한정된 채널 자원, 대역폭 자원 등을 관리하는 등시성 자원 관리자(IRM, Isochronous Resource Manager) 및 버스 타이밍을 조정하는 사이클 마스터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노드 B(3)에 탑재된 등시성 스트림 전송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은 응용 계층(31), TCP/IP 계층(32), 및 IEEE 1394 계층(33)으로 구성된다.
응용 계층(31)은 등시성 자원 확보부(311), 등시성 스트림 전송 응답부(312), 및 등시성 스트림 전송부(313)로 구성된다.
등시성 자원 확보부(311)는 응용 계층(31)에서 비동기 블록 쓰기로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등시성 스트림의 전송 을 위한 등시성 자원을 확보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등시성 자원 확보부(311)는 응용 계층(31)에서 IOCTL를 호출함으로써, 등시성 스트림의 컨텐트 타입 및 최대 패킷 사이즈를 IP 계층(32)의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1)로 통지한다. 등시성 스트림의 컨텐트 타입 및 최대 패킷 사이즈는 노드 B(3)가 전송하고자 하는 등시성 스트림에 적합한 채널 및 대역폭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후, 등시성 자원 확보부(311)는 상기 통지에 대한 응답, 즉 IOCTL 호출에 대한 귀환 값(return value)으로써 등시성 자원에 해당하는 채널 및 대역폭을 통지받는다. 본 실시예 및 이하 실시예들에서 최대 패킷 사이즈는 데이터 레이트를 의미한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등시성 스트림 전송 응답부(312)는 응용 계층(31)에서 비동기 블록 쓰기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비동기 블록 쓰기로 IEEE 1394 버스(4)를 통하여 등시성 자원 확보부(311)에서의 등시성 자원 확보의 결과인 채널 및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노드 A(2)로 전송한다.
등시성 스트림 전송부(313)는 등시성 스트림 전송 응답부(312)에서 전송된 응답을 수신한 노드 A(2)로부터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통지받으면, 응용 계층(31)에서 등시성 스트림 전송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등시성 자원 확보부(311)에서의 확보의 결과에 기초하여 IP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IEEE 1394 버스(4)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을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등시성 스트림 전송부(313)는 IP가 제공하는 최적의 경로를 통한 패킷 라우팅 등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QOS를 보장받으면서 IEEE 1394 버스(4)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이 전 송될 수 있도록 한다.
TCP/IP 계층(32)은 등시성 스트림 추출부(321) 및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를 포함한다.
등시성 스트림 패킷 생성부(321)는 응용 계층(31)의 등시성 스트림 전송부(313)에서의 등시성 스트림 전송 함수 호출에 따라 TCP/IP 계층(32)에서 등시성 스트림으로부터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을 생성한다. 특히, 등시성 스트림 패킷 생성부(321)는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에서 등시성 스트림 패킷과 다른 일반 패킷이 별개의 큐들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등시성 스트림 패킷이 IPv4 패킷이면, IPv4 헤더의 TOS(Type Of Service) 필드의 소정의 값을 기록하고, 등시성 스트림 패킷이 IPv6 패킷이면, IPv6 헤더의 트래픽 클래스(Traffic Class) 필드에 소정의 값을 기록한다. IPv4 헤더의 TOS 필드 또는 IPv6 헤더의 트래픽 클래스 필드에 구체적으로 어떤 값이 기록되는 지에 관해서는 도 6을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등시성 스트림 패킷 모듈의 패킷 관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IPv4 헤더의 TOS 필드 또는 IPv6 헤더의 트래픽 클래스 필드는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 필드(531) 및 현재 미사용(CU, Currently Unused) 필드(532)로 구성된다.
등시성 스트림 패킷 생성부(321)는 응용 계층(31)으로부터 출력된 패킷이 일반 패킷이면, 현재 미사용 필드(532)에 일반 패킷임을 나타내는 값인 00을 기록하 고, 응용 계층(31)으로부터 출력된 패킷이 등시성 스트림 패킷이면, 현재 미사용 필드(532)에 등시성 스트림 패킷임을 나타내는 값인 01을 기록한다.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는 비동기 블록 쓰기 모듈(3211), 비동기 스트림 패킷 모듈(3212), 및 등시성 스트림 패킷 모듈(2213)을 포함한다.
비동기 블록 쓰기 모듈(3211)은 상기된 비동기 블록 쓰기 모듈(2211)에 대응하고, 비동기 스트림 패킷 모듈(3212)은 상기된 비동기 스트림 패킷 모듈(2212)에 대응하고, 등시성 스트림 패킷 모듈(3213)은 상기된 등시성 스트림 패킷 모듈(2213)에 대응한다.
다만,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는 응용 계층(31)에서의 IOCTL 호출을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의 컨텐트 타입 및 최대 패킷 사이즈를 통지받고, 트랜잭션 계층(333)의 등시성 자원 관리자에게 등시성 스트림의 컨텐트 타입 및 최대 패킷 사이즈를 통지한다. 이 후,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는 등시성 자원 관리자로부터 채널 및 대역폭을 할당받은 경우에는 할당받은 채널 및 대역폭을 응용 계층(31)에 통지하고, 채널 및 대역폭을 할당받지 못한 경우에는 응용 계층(31)에 등시성 스트림 전송이 불가능함을 통지한다.
또한,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는 할당받은 채널 및 대역폭을 노드 B(3)의 oPCR(output Plug Control Register), oMPR(output Master Plug Register)에 등록하고, 노드 A(2)의 iPCR(input Plug Control Register), 및 iMPR(input Master Plug Register)에 비동기 락 트랜잭션을 통하여 등록함으로써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등시성 채널을 생성한다. oPCR, oMPR, iPCR, 및 iMPR은 등시성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IEEE 1394 규격 상의 레지스터들이다.
또한,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는 등시성 스트림 패킷 생성부(321)에서 생성된 등시성 스트림 패킷이 IPv4 패킷이면, IPv4 헤더의 TOS 필드의 값을 참조하여 등시성 스트림 패킷이 IPv6 패킷이면, IPv6 헤더의 트래픽 클래스 필드의 값을 참조하여 등시성 스트림 패킷과 다른 일반 패킷을 별개의 큐들로 관리하고, 이 관리를 기반으로 등시성 스트림 패킷을 전송한다.
도 6을 참조하면,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의 등시성 스트림 패킷 모듈(3213)은 패킷 분류기(61), 일반 패킷 큐(62), 및 등시성 스트림 패킷 큐(63)를 포함한다.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는 IPv4 헤더의 TOS 필드 또는 IPv6 헤더의 트래픽 클래스 필드의 현재 미사용 필드(532)의 값이 00이면, 일반 패킷을 일반 패킷 큐(62)에 저장하고, 현재 미사용 필드(532)의 값이 01이면, 등시성 스트림 패킷을 등시성 스트림 패킷 큐(63)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일반 패킷 큐(62) 및 등시성 스트림 패킷 큐(63)에 저장된 패킷들은 노드 A(2) 및 노드 B(3)가 위치한 통신 환경에 가장 적합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따라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IEEE 1394 전송 큐(64)에 저장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5 usec마다 사이클 시작 패킷을 수신한 후,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은 등시성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고, 그 이후에 비동기 스트림 패킷들, 비동기 블록 쓰기 패킷들은 채널 중재를 통하여 전송된다.
IEEE 1394 계층(33)은 물리 계층(331), 링크 계층(332), 트랜잭션 계층(333), 및 버스 관리 계층(334)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트랜잭션 계층(333), 링크 계층(332), 물리 계층(331), 및 버스 관리 계층(334)은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해당한다.
물리 계층(331)은 상기된 물리 계층(231)에 대응하고, 링크 계층(332)은 상기된 링크 계층(232)에 대응하고, 트랜잭션 계층(333)은 상기된 트랜잭션 계층(233)에 대응하고, 버스 관리 계층(334)은 상기된 버스 관리 계층(234)에 대응한다.
다만, 링크 계층(332)은 링크 계층(232)의 등시성 스트림 패킷 검출부(2321) 대신에 등시성 스트림 패킷 표시부(3321)를 포함한다.
등시성 스트림 패킷 표시부(32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시성 스트림 패킷이 다른 일반 패킷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등시성 헤더(51)의 태그 필드(512)에 등시성 스트림 패킷임을 나타내는 값인 10을 기록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성 스트림 송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등시성 스트림 송수신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등시성 스트림 송수신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노드 A(2)에 탑재된 등시성 스트림 수신 장치 및 노드 B(3)에 탑재된 등시성 스트림 전송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노드 A(2)에 탑재된 등시성 스트림 수신 장치 및 노드 B(3)에 탑재 된 등시성 스트림 전송 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등시성 스트림 송수신 방법에도 적용된다.
71 단계에서 노드 A(2)의 등시성 스트림 전송 요청부(211)는 응용 계층(21)에서 비동기 블록 쓰기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비동기 블록 쓰기로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노드 B(3)로 요청한다.
81 단계에서 노드 B(3)의 등시성 자원 확보부(311)는 응용 계층(31)에서 비동기 블록 쓰기로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의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82 단계에서 노드 B(3)의 등시성 자원 확보부(311)는 81 단계에서 수신된 요청에 따라 등시성 스트림의 전송을 위한 등시성 자원을 확보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82 단계에서 노드 B(3)는 응용 계층(31)에서 IOCTL를 호출함으로써, 등시성 스트림의 컨텐트 타입 및 최대 패킷 사이즈를 IP 계층(32)의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1)로 통지한다.
83 단계에서 노드 B(3)의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는 응용 계층(31)에서의 IOCTL 호출을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의 컨텐트 타입 및 최대 패킷 사이즈를 통지받고, 트랜잭션 계층(333)의 등시성 자원 관리자에게 등시성 스트림의 컨텐트 타입 및 최대 패킷 사이즈를 통지하고, 등시성 자원 관리자로부터 채널 및 대역폭을 할당받는다.
84 단계에서 노드 B(3)의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는 83 단계에서 채널 및 대역폭을 할당받은 경우, 할당받은 채널 및 대역폭을 노드 B(3) 의 oPCR, oMPR에 등록하고, 노드 A(2)의 iPCR, 및 iMPR에 비동기 락 트랜잭션을 통하여 등록함으로써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등시성 채널을 생성하고, 할당받은 채널 및 대역폭을 응용 계층(31)에 통지한다.
85 단계에서 노드 B(3)의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는 83 단계에서 채널 및 대역폭을 할당받지 못한 경우, 응용 계층(31)에 등시성 스트림 전송이 불가능함을 통지한다.
86 단계에서 노드 B(3)의 등시성 스트림 전송 응답부(312)는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로부터 84 단계에서 통지된 채널 및 대역폭을 통지받으면, 응용 계층(31)에서 비동기 블록 쓰기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비동기 블록 쓰기로 IEEE 1394 버스(4)를 통하여 이 채널 및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노드 A(2)로 전송하고,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로부터 85 단계에서 통지된 등시성 스트림 전송 불가능을 통지받으면, 응용 계층(31)에서 비동기 블록 쓰기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비동기 블록 쓰기로 IEEE 1394 버스(4)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 전송 불가능을 나타내는 응답을 노드 A(2)로 전송한다.
72 단계에서 노드 A(2)의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부(212)는 노드 B(3)로부터 등시성 스트림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73 단계에서 노드 A(2)의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부(213)는 72 단계에서 수신된 응답이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위한 채널 및 대역폭을 포함하면, 등시성 스트림 전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 응답이 등시성 스트림 전송 불가능을 나타내면, 등시성 스트림 전송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74 단계에서 노드 A(2)의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부(213)는 73 단계에서 등시성 스트림 전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 응답에 포함된 채널 및 대역폭을 참조하여 응용 계층에서 IOCTL를 호출함으로써 등시성 스트림 수신을 준비한다.
75 단계에서 노드 A(2)의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부(213)는 73 단계에서 등시성 스트림 전송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등시성 스트림 전송 요청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76 단계에서 노드 A(2)의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부(213)는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가 완료되면 응용 계층에서 비동기 블록 쓰기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비동기 블록 쓰기로 IEEE 1394 버스(4)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노드 B(3)로 통지한다.
87 단계에서 노드 B(3)의 등시성 스트림 전송부(313)는 76 단계에서 통지된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 완료를 수신하면, 응용 계층(31)에서 등시성 스트림 전송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등시성 자원 확보부(311)에서의 등시성 자원 확보의 결과에 기초하여 IP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IEEE 1394 버스(4)를 통하여 노드 A(2)로 등시성 스트림을 전송한다.
77 단계에서 노드 A(3)의 등시성 스트림 수신부(213)는 등시성 스트림 수신 준비부(212)에서의 통지를 수신한 노드 B(3)로부터 IP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IEEE 1394 버스(4)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을 수신한다.
이상, 71 단계로부터 77 단계까지의 흐름은 등시성 스트림 수신 방법에 해당하고, 81 단계로부터 87 단계까지의 흐름은 등시성 스트림 전송 방법에 해당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87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87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871 단계에서 노드 B(3)의 등시성 스트림 전송부(313)는 응용 계층(31)에서 TCP/IP 계층(32)으로 등시성 스트림을 출력한다.
872 단계에서 노드 B(3)의 등시성 스트림 패킷 생성부(321)는 871 단계에서 출력된 등시성 스트림으로부터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을 생성한다. 특히, 872 단계에서 노드 B(3)의 등시성 스트림 패킷 생성부(321)는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에서 등시성 스트림 패킷과 다른 일반 패킷이 별개의 큐들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등시성 스트림 패킷이 IPv4 패킷이면, IPv4 헤더의 TOS 필드의 소정의 값을 기록하고, 등시성 스트림 패킷이 IPv6 패킷이면, IPv6 헤더의 트래픽 클래스 필드에 소정의 값을 기록한다.
873 단계에서 노드 B(3)의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는 872 단계에서 생성된 등시성 스트림 패킷이 IPv4 패킷이면, IPv4 헤더의 TOS 필드의 값을 참조하여 등시성 스트림 패킷이 IPv6 패킷이면, IPv6 헤더의 트래픽 클래스 필드의 값을 참조하여 등시성 스트림 패킷과 다른 일반 패킷을 별개의 큐들로 관리하고, 이 관리를 기반으로 등시성 스트림 패킷을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873 단계에서 노드 B(3)의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322)는 IPv4 헤더의 TOS 필드 또는 IPv6 헤더의 트래픽 클래스 필드의 현재 미사용 필드(532)의 값이 00이면, 일반 패킷을 일반 패킷 큐(62)에 저장하고, 현재 미사용 필드(532)의 값이 01이면, 등시성 스트림 패킷을 등시성 스트림 패킷 큐(63)에 저장한다.
874 단계에서 노드 B(3)의 IEEE 1394 계층(33)은 873 단계에서 일반 패킷 큐(62) 및 등시성 스트림 패킷 큐(63)에 저장된 패킷들을 노드 A(2) 및 노드 B(3)가 위치한 통신 환경에 가장 적합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따라 IEEE 1394 전송 큐(64)에 저장한다.
874 단계에서 노드 B(3)의 IEEE 1394 계층(33)은 874 단계에서 IEEE 1394 전송 큐(64)에 저장된 순서대로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을 전송한다. 이때, IEEE 1394 계층(33)의 등시성 스트림 패킷 표시부(321)는 등시성 스트림 패킷이 다른 일반 패킷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등시성 헤더(51)의 태그 필드(512)에 등시성 스트림 패킷임을 나타내는 값인 10을 기록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76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76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761 단계에서 노드 A(2)의 등시성 스트림 패킷 검출부(2321)는 등시성 헤더(51)의 태그 필드(512)의 값을 참조하여 물리 계층(231)으로부터 입력된 패킷들 중에서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을 IP over IEEE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222)의 등시성 스트림 패킷 모듈(2213)로 출력한다.
762 단계에서 노드 A(2)의 등시성 스트림 추출부(221)는 761 단계에서 출력된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을 입력받은 등시성 스트림 패킷 모듈(2213)로부터 출력된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로부터 등시성 스트림을 추출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762 단계에서 노드 A(2)의 등시성 스트림 추출부(221)는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의 헤더를 제거하고,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의 페이로드에 기록된 데이터를 취합함으로써 등시성 스트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등시성 스트림을 응용 계층(21)의 등시성 스트림 수신부(213)로 출력한다.
763 단계에서 노드 A(2)의 등시성 스트림 수신부(213)는 762 단계에서 출력된 등시성 스트림을 입력받는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 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IP over IEEE 1394가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IP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등시성 스트림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즉, 최적의 경로로 QOS를 보장받으면서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IEEE 1394 버스를 통한 IT 기기들 및 가전 기기들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시간 전송, 예를 들면 VoIP(Voice over IP), 화상 통신, 스트리밍 서비스 등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현재 IEEE 802.9 위원회에서 추진 중인 규격인 시분할 방식의 등시성 이더넷이 지원될 때 IP over IEEE 1394 기반의 등시성 스트림 전송은 필수가 될 것이며, 여기에 본 발명의 가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응용에서 등시성 스트림 전송과 비동기 스트림 전송이 모두 지원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을 별도의 큐로 관리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a)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b)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IP(Internet Protocol)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시성 스트림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응용 계층에서 비동기 블록 쓰기로 상기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시성 스트림 수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에 포함된 채널 및 대역폭을 참조하여 상기 등시성 스트림 수신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가 완료되면 비동기 블록 쓰기로 상기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시성 스트림 수신 방법.
  4. 삭제
  5. 제 4 항에 있어서,
    IEEE 1394 계층에서 상기 등시성 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된 등시성 스트림 패킷의 헤더의 태그(tag) 필드의 값을 참조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된 패킷들 중에서 상기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시성 스트림 수신 방법.
  6.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부; 및
    상기 요청부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IP(Internet Protocol)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시성 스트림 수신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5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a)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등시성 스트림의 전송을 위한 등시성 자원을 확보하는 단계; 및
    (b) 상기 등시성 자원 확보의 결과에 기초하여 IP(Internet Protocol)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시성 스트림 전송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응용 계층에서 비동기 블록 쓰기로 상기 등시성 자원 확보의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상기 요청을 한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시성 스트림 전송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응용 계층에서 소정의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상기 등시성 자원에 해당하는 상기 등시성 스트림의 컨텐트 타입 및 최대 패킷 사이즈를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레벨의 계층으로 통지하고, 상기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등시성 자원에 해당하는 채널 및 대역폭을 통지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시성 스트림 전송 방법.
  11. 삭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응용 계층에서 소정의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상기 등시성 스트림을 전송하고,
    상기 소정의 함수 호출에 따라 IP 계층에서 상기 등시성 스트림으로부터 등시성 스트림 패킷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시성 스트림 전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IP 계층에서 상기 생성된 등시성 스트림 패킷의 IPv4 헤더의 TOS(Type Of Service) 필드 또는 IPv6 헤더의 트래픽 클래스(Traffic Class) 필드의 값을 참조 하여 상기 등시성 스트림 패킷과 상기 등시성 스트림 패킷 이외의 일반 패킷을 별개의 큐들로 관리하고, 상기 관리를 기반으로 상기 등시성 스트림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시성 스트림 전송 방법.
  14.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등시성 스트림의 전송을 위한 등시성 자원을 확보하는 등시성 자원 확보부; 및
    상기 등시성 자원 확보부에서의 확보의 결과에 기초하여 IP(Internet Protocol)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시성 스트림 전송 장치.
  15. 제 8 항 내지 제10 항 또는 제 12 항 내지 제 13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6. (a)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등시성 스트림의 전송을 위한 등시성 자원을 확보하는 단계;
    (c) 상기 등시성 자원 확보의 결과에 기초하여 IP(Internet Protocol)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등시성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송된 등시성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시성 스트림 송수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응용 계층에서 비동기 블록 쓰기로 상기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시성 스트림 송수신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응용 계층에서 비동기 블록 쓰기로 상기 등시성 자원 확보의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상기 요청을 한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전송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등시성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시성 스트림 송수신 방법.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82567A 2004-10-15 2004-10-15 등시성 스트림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677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567A KR100677143B1 (ko) 2004-10-15 2004-10-15 등시성 스트림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155,594 US20060083232A1 (en) 2004-10-15 2005-06-20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sochronous stream
CNA2005100931860A CN1761258A (zh) 2004-10-15 2005-08-19 用于发送同步流的方法和设备
DE602005004475T DE602005004475T2 (de) 2004-10-15 2005-09-13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isochronen Datenströmen
EP05255587A EP1648127B1 (en) 2004-10-15 2005-09-13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sochronous str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567A KR100677143B1 (ko) 2004-10-15 2004-10-15 등시성 스트림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445A KR20060033445A (ko) 2006-04-19
KR100677143B1 true KR100677143B1 (ko) 2007-02-02

Family

ID=3516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567A KR100677143B1 (ko) 2004-10-15 2004-10-15 등시성 스트림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83232A1 (ko)
EP (1) EP1648127B1 (ko)
KR (1) KR100677143B1 (ko)
CN (1) CN1761258A (ko)
DE (1) DE60200500447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1861A1 (de) * 2008-10-16 2010-04-22 Deutsche Thomson Oh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ehrport-MAC-Brücke mit abschaltbaren Ports abhängig von einem isochronen Datenstrom an einem Port oder Port-Paar in Ethernet-LANs
US9003466B2 (en) 2010-04-22 201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sochronous data stream management in high speed audio/video networks
US8973074B2 (en) 2010-04-22 201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sochronous communication in audio/video networks
US20120151537A1 (en) * 2010-12-14 201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synchronous and isochronous data transmission in a high speed video network
US20120281704A1 (en) 2011-05-02 2012-11-08 Butterworth Ashley I Methods and apparatus for isochronous data delivery within a network
CN102739391B (zh) * 2012-06-13 2015-04-08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异步通信实现同步命令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1520A (en) * 1996-02-02 1999-11-23 Sony Corporati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managing and automating data transfer operations between applications over a bus structure
JP3442593B2 (ja) * 1996-11-20 2003-09-02 株式会社東芝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US6219697B1 (en) * 1997-05-02 2001-04-17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internet protocol over a high-speed serial bus
ES2546173T3 (es) * 1998-03-13 2015-09-21 Canon Kabushiki Kaisha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el procesamiento de la información
KR100316650B1 (ko) * 1998-08-29 2002-01-12 윤종용 상위 계층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위 프로토콜과 ieee 1394버스 정합 방법
US6717947B1 (en) * 1998-12-03 2004-04-06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sochronous data transfer with retry capability
US7505455B1 (en) * 1999-03-19 2009-03-17 F5 Networks, Inc. Optimizations for tunneling between a bus and a network
US6445711B1 (en) * 1999-04-23 2002-09-03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d sending an asynchronous control mechanism packet used to control bridge devices within a network of IEEE STD 1394 serial buses
US6892243B1 (en) * 1999-12-21 2005-05-10 Intel Corporation Prioritizing data transfers over data buses
US6725311B1 (en) * 2000-09-14 2004-04-2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nection-oriented network over a serial bus
US6820150B1 (en) * 2001-04-11 2004-11-1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ality-of-service delivery facilities over a b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83232A1 (en) 2006-04-20
DE602005004475D1 (de) 2008-03-13
EP1648127B1 (en) 2008-01-23
EP1648127A1 (en) 2006-04-19
CN1761258A (zh) 2006-04-19
KR20060033445A (ko) 2006-04-19
DE602005004475T2 (de)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289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콘텐츠 우회 아키텍처 내에서 세션 캡슐화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09787992B (zh) 一种通过视联网访问专网的方法和装置
US20010048662A1 (en) Packet data transfer method and packet data transfer apparatus
CN108737768B (zh) 一种基于监控系统的监控方法和监控装置
CN110198345B (zh) 一种数据请求方法、系统及装置和存储介质
KR102107514B1 (ko) 방송 시스템에서 동적 큐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080134262A1 (en) DEPI interface device for M-CMTS cable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8632559B (zh) 一种视频数据处理方法及装置
EP16481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sochronous stream
CN112511988B (zh) 报文转发方法、设备、系统、网络设备和存储介质
KR101217628B1 (ko) 전력선 통신 네트워크 상의 패킷 집합 방법 및 장치
CN110475131B (zh) 一种终端连接方法、服务器和终端
CN110474721A (zh) 视频数据传输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601681B2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ービス品質の提供方法、中間ノード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01168915A (ja) Ipパケット転送装置
JP4751561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を通した等時性データの伝送方法
CN110336710B (zh) 一种终端的测试方法、系统及装置和存储介质
CN108881148B (zh) 一种数据获取方法和装置
JP3519628B2 (ja) 中継装置
CN110545214A (zh) 一种基于视联网的时延检测方法和交换机
CN110677315A (zh) 一种状态监控的方法和系统
CN109889380A (zh) 一种数据包的发送速率处理方法和系统
WO2019047837A1 (zh) 一种带宽调度方法及装置
CN110224853B (zh) 控制系统
KR101515853B1 (ko) Most 디바이스와 tcp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