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417B1 -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 - Google Patents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417B1
KR100676417B1 KR1020040065204A KR20040065204A KR100676417B1 KR 100676417 B1 KR100676417 B1 KR 100676417B1 KR 1020040065204 A KR1020040065204 A KR 1020040065204A KR 20040065204 A KR20040065204 A KR 20040065204A KR 100676417 B1 KR100676417 B1 KR 100676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frame
door frame
seating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6682A (ko
Inventor
홍애리
Original Assignee
(주)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근유 filed Critical (주)근유
Priority to KR102004006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4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합판과; 상기 고정합판에 의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며 문틀의 본체를 형성하는 가틀과; 상기 가틀의 상기 고정합판에 대항되는 면에 결합되며 문의 연부가 안착되는 판상의 안착판과; 상기 가틀의 상기 안착판이 결합되는 면의 이웃하는 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틀을 마감하는 트림과; 상기 가틀과, 상기 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상호 관통하여 결합되는 막대상의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못이나 타카를 거의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외부로 못의 머리나 타카가 노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문틀의 외관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문틀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를 간단화하여 조립작업이 간편해지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고 열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는 문틀을 제작할 수 있다.
문틀, 조립식, 가틀, 안착판, 클립

Description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A SET DOORFRAME AND CLIP THEREOF}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틀의 분해단면도,
도 4는 도 3의 문틀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도 3의 클립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틀에 문을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틀의 전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결합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3 : 벽면 110 : 고정합판
120 : 가틀 121, 123 : 클립홈
130 : 안착판 135 : 클립홈
160 : 트림 161 : 클립홈
170 : 클립 171 : 연결부
173 : 톱니부 175 : 돔부
본 발명은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 타카 자국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향상시키고, 구조를 간단화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틀은 창문이나 문을 회동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목을 이용하여 하나의 틀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통원목을 사용할 경우,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원목을 선가공하여야 하므로 가공작업이 번거롭고, 통원목을 사용함에 따라 원가가 상승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통원목 대신 톱밥을 압축한 압축목이나 자투리 각목을 사용하여 문틀을 제작하고, 대신 표면에 원목무늬의 코팅 문양지를 접착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킨 문틀이 제작되었다.
그러나, 통원목이나 자투리 각목을 사용하는 문틀 모두 중량이 많이 나가며, 문틀을 완전히 제작한 상태에서 시공을 하기 때문에 운반이나 시공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상 조그마한 하자가 발생하여 치수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문틀을 다시 제작해야 하는 불합리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중량이 적게 나가고, 시공장소에서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문틀을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문틀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문틀은, 벽면(1)에 고정되는 고임목(2)과, 고임목에 의해 벽면(1)에 고정되는 가문틀(3)과, 가문틀(3)의 좌우에 고정되는 좌측 및 우측덮개(4,5)와, 가문틀(3)에 고정되는 스토퍼(7)와, 가문틀(3)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마감판(8)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임목(2)은 가문틀(3)을 벽면(1)에 고정하기 위해 수평과 수직을 맞추는 역할을 하며, 고임목(2)에 의해 벽면(1)과 가문틀(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우레탄 폼(6)이 충진된다.
이러한 조립식 문틀을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고임목(2)을 벽면(1)에 콘크리트못(2a)으로 고정하고, 고임목(2)의 상면에 가문틀(3)을 안착시킨 다음 고임목(2)과 가문틀(3)을 관통하는 콘크리트못(3a)으로 가문틀(3)을 벽면(1)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 가문틀(3)의 양 측면에 각각 좌측 및 우측덮개(4,5)를 결합시킨다. 이 때, 좌측 및 우측덮개(4,5)의 가문틀(3)을 향한 내측면에 먼저 접착제를 도포하여 좌측 및 우측덮개(4,5)를 일차 결합시킨 다음, 못(4b,5b)을 이용하여 좌측 및 우측덮개(4,5)를 가문틀(3)에 이차 결합시킨다. 이렇게 좌측 및 우측덮개(4,5)의 결합이 완료되면, 좌측덮개(4)와 우측덮개(5)의 사이에 스토퍼(7)를 결합시킨다. 먼저, 스토퍼(7)의 하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가문틀(3)에 안착시킨 다음, 못(7a)을 이용하여 스토퍼(7)를 좌측 및 우측덮개(4,5)와 가문틀(3)에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가문틀(3)의 일측 측면에 못(8a)을 이용하여 마감판(8)을 결합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문틀은, 좌측 및 우측덮개(4,5)와, 스토퍼(7) 및 마감판(8)을 고정하기 위해, 각각의 표면에 못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표면에 피복된 문양지가 손상되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못의 머리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손상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 공개특허 제2003-62147호(이하, 선행출원)인 "조립식 문틀"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식 문틀을 제시하고 있다. 선행출원의 조립식 문틀은, 벽면(10)에 콘크리트못(21)으로 고정되는 고임목(20)과, 고임목(20)을 통해 콘크리트못(30a)으로 벽면(10)에 고정되는 가문틀(30)과, 가문틀(30)의 좌측면과 상부면 일부를 씌워주는 좌측마감판(40)과, 가문틀의 상부면 일부와 우측면 일부를 씌워주는 우측마감판(50)과, 가문틀(30)의 우측 하단에 결합되는 앙카(80)와, 가문틀(30)의 우측면과 앙카(80)를 씌워주는 우측장식판(7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문틀(30)에는 좌, 우측면에 요홈(31,3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걸림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마감판(40)은, 가문틀(30)의 좌측면을 씌워주는 좌측판체부(41)와, 좌측판체부(41)로부터 절곡되어 가문틀(30)의 상부면의 일부를 덮는 상측판체부(42)와, 상측판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단차를 가지고 돌출되어 문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좌측판체부(41)의 내측에는 가문틀(30)의 요홈(31,32)에 결합되는 돌기(4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43)의 하측면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다음 스토퍼(43)와 평행하게 절곡되어 연장된 걸림판(45)이 형성되어 있어 가문틀(30)의 걸림홈(33)에 끼워지게 되며, 스토퍼(43)와 걸림판(45) 사이에는 우측마감판(50)의 단부를 수용하는 요홈(4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앙카(80)는 상단과 하단에 요홈(81,82)이 형성된 수직앙카부(83)와, 수직앙카부(83)의 측면으로부터 절곡되며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85)를 갖는 수평앙카부(84)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조립식 문틀을 시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벽면(10)에 복수개의 고임목(20)을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콘크리트못(21)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가문틀(30)은 직사각형 형태로 조립한 다음, 가문틀(30)의 저면에 형성된 요홈(34)에 앙카(80)의 돌기(85)를 끼워넣어 결합시킴으로써,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앙카(80)를 가문틀(30)에 장착한다. 그런 다음, 앙카(80)가 장착된 가문틀(30)을 콘크리트못(30a)을 사용하여 고임목(20)에 결합시키고, 벽면(10)과 가문틀(30) 사이의 공간에는 우레탄 폼(60)을 충진하여 발포시킨다. 그리고, 가문틀(30)의 좌우측에는 각각 좌측마감판(40)과 우측마감판(50)를 결합시키고, 마지막으로 앙카(80)를 덮도록 우측장식판(70)을 결합시킨다. 이 때, 앙카(80)의 요홈(81,82)에 각각 우측장식판(70)의 돌기(71,82)를 삽입하여 우측장식판(70)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선행출원의 조립식 문틀은, 도 1의 조립식 문틀에서와는 달리 적은 수의 못을 사용하고 있으며, 못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종래의 조립식 문틀의 문제점을 다소 해결하였다. 그러나, 스토퍼(43)와 좌측마감판 (40)을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졌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목재가 아닌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제품을 선호하는 근래의 소비자의 선호에 반하는 제품을 제작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더하여 사출성형 제품이므로 열에 쉽게 변형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좌측마감판(40), 스토퍼(43), 앙카(80)를 고정하기 위해 가문틀(30)에 다수의 요홈을 형성함에 따라 가문틀(30)을 가공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이 과도하게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못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를 단순화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문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친환경적인 재질을 사용하여 조립식 문틀을 제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못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향상시킨 고품질의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친환경적인 재질을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벽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합판과; 상기 고정합판에 의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며 문틀의 본체를 형성하는 가틀과; 상기 가틀의 상기 고정합판에 대항되는 면에 결합되며 문의 연부가 안착되는 판상의 안착판과; 상기 가틀의 상기 안착판이 결합되는 면의 이웃하는 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틀을 마감하는 트림과; 상기 가틀과, 상기 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상호 관통하여 결합되는 막대상의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판은 상기 문의 연부가 안착되는 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은, 상기 문의 연부가 안착되는 안착판부와, 상기 안착판부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단차를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문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판부는 상기 스토퍼를 중심으로 상기 안착판의 가로방향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틀에는 상기 클립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틀측 클립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틀측 클립홈은, 상기 가틀의 상기 안착판이 결합되는 상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틀측 클립홈은 상기 가틀의 상기 트림이 결합되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에는 상기 가틀을 향한 면에 상기 가틀측 클립홈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클립의 수용을 위한 안착판측 클립홈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림의 상기 가틀의 측면을 향한 면에는, 상기 가틀에 형성된 클립홈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클립의 수용을 위한 트림측 클립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의 측면에는 상기 클립의 수용을 위한 안착판측 클립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트림의 상기 안착판에 접하는 면에는 상기 클립의 수용을 위한 트림측 클립홈이 상기 안착판측 클립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립은, 상기 중앙영역에 통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톱니부와, 상기 각 톱니부의 자유단부에 반원상으로 형성되는 돔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톱니는 상기 돔부를 향한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상기 연결부를 향한 경사면의 경사각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문틀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립식 문틀의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조립식 문틀(101)은, 벽면(103)에 고정되는 고정합판(110)과, 고정합판(110)의 상면에 고정되며 문틀(101)의 본체를 형성하는 가틀(120)과, 가틀(120)의 상면에 결합되어 문의 연부가 안착되는 안착판(130)과, 가틀(12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장식용 트림(160)과, 가틀(120)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마감판(180)과, 각 트림(160)과 안착판(130)을 가틀(120)에 결합시키는 클립(17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합판(110)은 가틀(120)보다 작은 폭을 갖는 합판으로 형성되며, 벽면(103)의 전영역에 걸쳐 장착되도록 길게 형성할 수도 있고, 벽면(103)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장착하도록 짧은 길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고정합판(110)은 가틀(120)이 안착되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기준이 되므로, 수평과 수직을 정확하게 맞추어 벽면(103)에 장착되어야 한다.
가틀(120)은 단면이 직사각형인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틀(120)의 안착판(130)이 결합되는 상면과, 적어도 일측면에는 클립의 결합을 위한 가틀측 클립홈(121, 1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틀(120)의 상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클립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트림(160)이 결합되는 가틀(120)의 일측면에는 하나의 클립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가틀(120)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클립홈(121,123)의 갯수는 그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가틀(120)은 앙카를 이용하여 고정합판(110)과 벽면(103)에 고정된다.
이러한 가틀(120)의 상면에 결합되는 안착판(130)은, 가틀(120)의 전영역에 걸쳐 길게 장착되도록 긴 판상으로 형성되며, 가틀(120)의 가로방향 폭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고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판(130)에는 가틀(120)을 향한 면에 가틀(120)과의 결합을 위한 클립(170)의 고정을 위한 안착판측 클립홈(135)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클립홈(135)은 가틀(120)에 형성된 클립홈(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판(130)의 클립홈(135)과, 가틀(120)의 클립홈(121)은 각각 그 깊이가 클립(170) 길이의 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착판(130)의 클립홈(135)과 가틀(120)의 클립홈(121)의 깊이가 클립(170) 길이의 1/2보다 깊은 경우에는 클립(170)이 양 클립홈(121,135)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으며, 안착판(130)의 클립홈(135)과 가틀(120)의 클립홈(121)의 깊이가 클립(170) 길이의 1/2보다 얕은 경우에는 가틀(120)과 안착판(130) 간의 사이가 벌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틀(101)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문틀(101)의 외관을 형성하는 트림(160)은, 가틀(120)에 접하는 내측면과,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면을 갖는다. 이 중, 내측면에는 클립(170)이 결합되는 트림측 클립홈(161)이 함몰형성되어 있다. 트림(160)의 장식면은 그 단면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다양한 문양이나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트림(160)이 장착되지 않는 가틀(120)의 타측면에는 사각판상의 마감판(180)이 장착되어 있으며, 마감판(180)은 가틀(120)의 길이방향을 따른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마감판(180)의 상단부는 안착판(130)과 함께 문틀의 일측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안착판(130)을 향해 비스듬히 형성된다.
한편, 가틀(120)과 트림(160)을 고정하는 클립(1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결부(171)와, 연결부(171)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톱니부(173)와, 각 톱니부(173)의 자유단부에 반원상으로 형성되는 돔부(175)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톱니부(173)는 경사면의 방향이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즉, 각 톱니부(173)는 클립(170)의 자유단부측을 향한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연결부(171)를 향한 경사면의 경사각도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일단 결합된 클립(17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클립(170)은 원목이나 목분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이렇게 클립(170)을 원목이나 목분으로 제작할 경우 체결요소까지 친환경적인 재질로 형성된 문틀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조립식 문틀(101)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벽면(103)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합판(110)을 콘크리트못을 이용하여 설치하며, 이 때, 고정합판(110)의 수평과 수직을 잘 맞추어 결합시킨다. 그리고 사각틀 형상으로 짜여진 가틀(120)을 측면으로부터 밀어넣어 고정합판(110)이 가틀(120)의 중앙영역에 위치하면, 앙카를 결합시켜 가틀(120)이 고정합판(110)과 벽면(103)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고정합판(110)에 의해 벽면(103)과 가틀(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우레탄 폼(115)을 발포시켜 충진되도록 한다.
이렇게 가틀(120)이 고정되면, 가틀(120)의 상부면에 안착판(130)을 결합시키며, 먼저 안착판(130)의 가틀(120)을 향한 면과 안착판(130)의 클립홈(135)과 가틀(120)의 클립홈(121)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안착판(130)의 클립홈(135) 또는 가틀(120)의 클립홈(121) 중 일측에 클립(170)을 수용시킨 다음, 안착판(130)을 가틀(120)을 인접시켜 클립(170)의 양단이 각각 안착판(130)의 클립홈(135)과 가틀(120)의 클립홈(121)에 수용되도록 한다.
안착판(130)의 결합이 완료되면, 가틀(120)의 측면에 트림(160)을 결합시킨다. 먼저, 트림(160)의 내측면과 클립홈(161) 및 가틀(120)의 클립홈(123)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클립(170)을 트림(160)의 클립홈(161) 또는 가틀(120)의 클립홈(123)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트림(160)을 가틀(120)에 접근시켜 클립(170)이 트림(160)의 클립홈(161)과 가틀(120)의 클립홈(123)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트림(160)을 가틀(120)에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마감판(180)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 포하여 트림(160)이 결합되지 않은 가틀(120)의 타측면에 결합시킨다.
이렇게 시공이 완료되어 문을 장착하면, 도 6의 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105)이 양측 문틀의 안착판(130)에 안착되고, 이러한 문틀을 전면에서 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는 안착판(130)이, 외측에는 트림(160)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본 조립식 문틀(101)에서는 못이나 타카를 거의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외부로 못의 머리나 타카가 노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문틀의 외관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문틀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못이나 타카 대신 클립(170)을 사용함으로써, 조립작업이 간단해지고 부품의 감소로 조립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열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는 문틀(101)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조립식 문틀(101)은, 고정합판(110), 가틀(120), 안착판(130), 트림(160), 클립(170)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각 요소의 구조도 단순하다. 이에 따라, 조립과정이 단순화되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틀(120)의 일측면에는 트림(160)을 결합시키고 타측면에는 마감판(180)을 결합시켰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틀(120)의 양측면에 트림(160)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양측의 트림(160)을 각각 클립(170)을 이용하여 가틀(120)에 결합시키게 되며, 이를 위해, 가틀(120)의 양측면에는 클립(170)의 수용을 위한 클립홈(121)이 형성되고, 양측의 트림(160)에도 각각 클립(170)의 수용을 위한 클립홈(161)이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안착판(150)을 판상으로 형성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이 안착되는 안착판부(151)와, 안착판부(151)와 소정의 단차를 두고 높게 형성된 스토퍼(153)를 갖도록 안착판(155)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안착판부(151)를 스토퍼(153)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하여 양방향에 문을 설치할 수 있는 안착판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못이나 타카를 거의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외부로 못의 머리나 타카가 노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문틀의 외관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문틀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를 간단화하여 조립작업이 간편해지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고 열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는 문틀을 제작할 수 있다.

Claims (14)

  1. 벽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합판과;
    상기 고정합판에 의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며 문틀의 본체를 형성하는 가틀과;
    상기 가틀의 상기 고정합판에 대항되는 면에 결합되며 문의 연부가 안착되는 판상의 안착판과;
    상기 가틀의 상기 안착판이 결합되는 면의 이웃하는 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틀을 마감하는 트림과;
    상기 가틀과, 상기 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상호 관통하여 결합되는 막대상의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은 상기 문의 연부가 안착되는 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은, 상기 문의 연부가 안착되는 안착판부와, 상기 안착판부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단차를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문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부는 상기 스토퍼를 중심으로 상기 안착판의 가로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틀에는 상기 클립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틀측 클립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틀측 클립홈은, 상기 가틀의 상기 안착판이 결합되는 상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틀측 클립홈은 상기 가틀의 상기 트림이 결합되는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8.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에는 상기 가틀을 향한 면에 상기 가틀측 클립홈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클립의 수용을 위한 안착판측 클립홈이 함몰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의 상기 가틀의 측면을 향한 면에는, 상기 가틀에 형성된 클립홈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클립의 수용을 위한 트림측 클립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의 측면에는 상기 클립의 수용을 위한 안착판측 클립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트림의 상기 안착판에 접하는 면에는 상기 클립의 수용을 위한 트림측 클립홈이 상기 안착판측 클립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중앙영역에 통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톱니부와, 상기 각 톱니부의 자유단부에 반원상으로 형성되는 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는 상기 돔부를 향한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상기 연결부를 향한 경 사면의 경사각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13. 삭제
  14. 삭제
KR1020040065204A 2004-08-18 2004-08-18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 KR100676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204A KR100676417B1 (ko) 2004-08-18 2004-08-18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204A KR100676417B1 (ko) 2004-08-18 2004-08-18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742U Division KR200375935Y1 (ko) 2004-08-19 2004-08-19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682A KR20060016682A (ko) 2006-02-22
KR100676417B1 true KR100676417B1 (ko) 2007-01-31

Family

ID=3712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204A KR100676417B1 (ko) 2004-08-18 2004-08-18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4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682A (ko)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417B1 (ko)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
KR200375935Y1 (ko)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
KR102120588B1 (ko) 조립식 패널
KR100676414B1 (ko)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KR100676409B1 (ko)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KR200375934Y1 (ko)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KR100928722B1 (ko) 건물외단열 시공공법
KR200272171Y1 (ko) 조립식 문틀
KR200375933Y1 (ko)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KR200211399Y1 (ko) 문틀
KR100450630B1 (ko) 조립식 문틀
KR100597856B1 (ko) 표면목재 루버 마감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0506614B1 (ko) 조립식 문틀
JP3971936B2 (ja) 外装材取付構造および外装材取付方法
KR200454937Y1 (ko) 문틀
KR101671843B1 (ko) 밀착형 판상 벽면 마감재
KR100473509B1 (ko) 조립식 문틀
KR200320169Y1 (ko) 가변형 문틀커버
KR100388547B1 (ko) 가변형 문틀
JP4706370B2 (ja) 外壁開口部用役物
KR200287494Y1 (ko) 가변형 문틀
KR100510923B1 (ko) 가변형 문틀커버
KR200143083Y1 (ko) 천정 돌림테 고정구
KR200283699Y1 (ko) 문틀의 개량 구조
KR101203961B1 (ko)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801

Effective date: 201010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