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862B1 -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862B1
KR100675862B1 KR1020040099504A KR20040099504A KR100675862B1 KR 100675862 B1 KR100675862 B1 KR 100675862B1 KR 1020040099504 A KR1020040099504 A KR 1020040099504A KR 20040099504 A KR20040099504 A KR 20040099504A KR 100675862 B1 KR100675862 B1 KR 100675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at
locking
li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437A (ko
Inventor
전영세
Original Assignee
전영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세 filed Critical 전영세
Priority to KR1020040099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862B1/ko
Priority to EP05746144A priority patent/EP1802819A4/en
Priority to CN2005800165484A priority patent/CN1957146B/zh
Priority to PCT/KR2005/001638 priority patent/WO2006033515A1/en
Priority to AU2005285716A priority patent/AU2005285716B2/en
Priority to JP2007532229A priority patent/JP4384226B2/ja
Priority to US11/575,518 priority patent/US7886374B2/en
Publication of KR20060060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레버에 의해 동작되며, 분뇨배출관을 개폐하는 분뇨배출피스톤과 수조를 개폐하는 플랩밸브와 연결된 제 1작동유닛; 수조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플로트의 승강동작에 따라 연동되면서 플로트가 상부 포지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제 1작동유닛과 연계되고, 급수밸브에 설치된 플로트가 하부 포지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제 1작동유닛과 이격되는 제 2작동유닛;으로 이루어진 작동 메카니즘을 갖는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의 내부에 플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수단이 설치되되, 이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플로트의 상부에 설치홈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며, 내면에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한 쌍의 걸림판; 상기 걸림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은 상기 링크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는 링크 고정구; 상기 걸림판과 링크 고정구 사이에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되, 내면에 상기 링크 고정구와 탄력 접촉된 탄성편이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홈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조작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링크 고정구와 결합되는 높이조절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 수위조절, 배관

Description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 {A flushing po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수단의 결합단면도로서, 플로트의 위치를 내리기 위한 조작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수단의 결합단면도로서, 플로트의 위치를 내린 상태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수단의 결합단면도로서, 플로트의 위치를 올리기 위한 조작상태도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수단의 결합단면도로서, 플로트의 위치를 내린 상태도
도 5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예 1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예 2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예 3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높낮이 조절수단 31 : 플로트
32 : 걸림판 33 : 링크 고정구
34 : 높이조절판 50 : 튜브
60a,60b,60c,60d : 연결관
본 발명은 2004년 9월 20일자로 특허출원된 제2004-75132호의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를 일부 개선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량 조절구조와, 급수밸브와 분뇨배출관을 튜브로서 연결한 것과, 분뇨배출관을 배후로 배관되게 한 것을 포함하는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선출원된 특허 제2004-75132호의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는 동일기능을 갖는 이전의 양변기에 비해 분뇨배출피스톤과 플랩밸브의 개폐동작이 정확하므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킨 장점이 있는 반면,
수조내의 물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장치가 없다는 점과, 분뇨배출관과 분뇨탱크를 연결하는 사이폰관 형상의 연결관에 고이는 잔수가 충분치 않아 냄새역류 차단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는 점과, 양변기의 배관구성에 대한 다양성 제시가 미비했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지적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또는 미비점을 해결 및 보완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게 3가지로 제시된다.
첫 째, 수조내의 물수위를 사용자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수위조절장치를 설치한 것에 특징을 갖는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둘 째, 연결관에 잔수를 보충하는 구성을 구축하므로써 냄새역류차단기능이 확실하게 발휘될 수 있게 한 것에 특징을 갖는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세 째, 분뇨배출관을 배관함에 있어서 바닥면으로 혹은 배후벽체로 연결하는 다양한 형태의 배관구성을 제시한 것에 특징을 갖는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① 조작레버에 의해 동작되며, 분뇨배출관을 개폐하는 분뇨배출피스톤과 수조를 개폐하는 플랩밸브와 연결된 제 1작동유닛; 수조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플로트의 승강동작에 따라 연동되면서 플로트가 상부 포지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제 1작동유닛과 연계되고, 급수밸브에 설치된 플로트가 하부 포지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제 1작동유닛과 이격되는 제 2작동유닛;으로 이루어진 작동 메카니즘을 갖는 자연 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의 내부에 플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수단이 설치되되, 이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플로트의 상부에 설치홈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며, 내면에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한 쌍의 걸림판; 상기 걸림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은 상기 링크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는 링크 고정구; 상기 걸림판과 링크 고정구 사이에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되, 내면에 상기 링크 고정구와 탄력 접촉된 탄성편이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홈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조작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링크 고정구와 결합되는 높이조절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이다.
② 수조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유닛하우징, 상기 유닛하우징의 일측에 시소점을 기준으로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되 수조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와 수조의 내부에 위치하는 작동부로 이루어진 조작레버, 상기 작동부 상에 안착된 상태이면서 유닛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술될 제 2작동유닛을 향하는 단부측에 가동래칫을 가지며 하단부와 일단부에는 분뇨배출관을 개폐하는 분뇨배출피스톤과 수조를 개폐하는 플랩밸브가 와이어로서 각각 연결되되 각 와이어가 정수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승강판으로 구성된 제 1작동유닛과; 급수밸브에 설치된 플로트에 링크로서 연결되어 조작레버의 조작시 상기 가동래칫과 치합되고 수조내의 물이 적정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플로트의 하강과 함께 가동래칫으로부터 이격되는 고정래칫으로 구성된 제 2작동유닛;을 구비하는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의 내부에 플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장치가 설치되되, 이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기 플로트의 상부에 설치홈이 형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며, 내면에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한 쌍의 걸림판; 상기 걸림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은 상기 링크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는 링크 고정구; 상기 걸림판과 링크 고정구 사이에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되, 내면에 상기 링크 고정구와 탄력 접촉된 탄성편이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홈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조작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링크 고정구와 결합되는 높이조절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이다.
③ 급수밸브와 분뇨배출관의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바이패스 홀을 형성하고, 양쪽 바이패스 홀 사이를 튜브에 의해 연결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이다.
④ 변기와 분뇨배출관을 연결하는 구배관의 출구측 내주면 상측이 유선형으로 확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이다.
⑤ 상기 분뇨배출관에 연결되는 연결관은, 배후벽체에 미리 타설되는 유선형의 제 1관과, 이 제 1관과 분뇨배출관 사이를 연결하는 유선형의 제 2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 1, 2관을 연결했을 때의 전체형상이 사이폰관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의 정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수단의 결합단면도로서, 플로트의 위치를 내리기 위한 조작상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수단의 결합단면도로서, 플로트의 위치를 내린 상태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수단의 결합단면도로서, 플로트의 위치를 올리기 위한 조작상태도이고,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수단의 결합단면도로서, 플로트의 위치를 내린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예 1이며,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예 2이고,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예 3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우선,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설명하기 앞서서 기 출원된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의 작동 메카니즘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의 작동 메카니즘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수조(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유닛하우징(11)과; 상기 유닛하우징의 일측에 시소점(sp)을 기준으로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되 수조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12a)와 수조의 내부에 위치하는 작동부(12b)로 이루어진 조작레버(12)와; 상기 작 동부 상에 안착된 상태이면서 유닛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a)을 따라 승강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술될 제 2작동유닛(20)을 향하는 단부측에 가동래칫(13a)을 가지며 하단부와 일단부에 분뇨배출피스톤(40)과 플랩밸브(1a)가 와이어(w)로서 각각 연결되되 각 와이어(w)가 정수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승강판(13)으로 구성된 제 1작동유닛(10)과; 급수밸브(2)에 설치된 플로트(31)에 링크(21)로서 연결되어 조작레버(12)의 조작시 상기 가동래칫(13a)과 치합되고 수조내의 물이 적정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플로트의 하강과 함께 가동래칫(13a)으로부터 이격되는 고정래칫(22)으로 구성된 제 2작동유닛(2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더하여 도 3 및 도 4a 내지 4d에서와 같이 상기 플로트(31)의 내부에 플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수단(3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플로트(31)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31a)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며, 내면에 다수의 걸림홈(32a)이 형성된 한 쌍의 걸림판(3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판(32)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은 상기 링크(21)의 하단과 힌지결합되는 링크 고정구(33)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링크 고정구(33)와 링크(21)와의 결합구조는 링크 고정구(33)의 상부 양면에 결합돌기(33a)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결합돌기에 링크(21)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공(21a)이 헐겁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판(32)과 링크 고정구(33) 사이에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되, 내면에 상기 링크 고정구의 가이드면(33b)에 탄력 접촉되는 탄성편(34a)이 형 성되고, 외면에 상기 걸림홈(32a)에 걸리는 걸림돌기(34b)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홈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조작손잡이(34c)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링크 고정구(33)와 결합되는 한쌍의 높이조절판(34)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링크 고정구(33)와 높이조절판(34)의 결합구조는, 링크 고정구(33)의 하부에 결합공(33c)을 형성하고, 이 결합공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높이조절판(34)의 하부를 삽입시켜 결합된다.
상기한 구조의 높이조절수단(30)을 조작할 때는 도 4a 또는 4c에서와 같이 양쪽 높이조절판(34)의 조작손잡이(34c)를 링크 고정구(33)를 향하도록 누름 가압하게 되면 각 높이조절판의 안쪽면에 형성된 탄성편(34a)이 압축되면서 각 높이조절판(34)의 외면에 형성된 걸림돌기(34b)가 걸림홈(32a)으로부터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도 4b 또는 4d에서와 같이 높이조절수단(30)을 원하는 위치까지 올리거나 또는 내린 후 조작손잡이(34c)에 가하고 있던 누름력을 제거하면 탄성편(34a)의 복귀력에 의해 각 높이조절판이 걸림판(32)의 내면측으로 밀접되면서 높이조절판의 걸림돌기가 걸림판의 걸림홈으로 끼워지게 되어 높이조절판과 걸림판이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판(34)과 링크 고정구(33)는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높이조절판의 높이조절시 링크 고정구도 함께 이동된다.
이렇게 높이조절판(34) 및 링크 고정구(33)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플로트(31)의 위치가 변경되는데, 높이조절판(34) 및 링크 고정구(33)를 도 4a 및 4b에서와 같이 위쪽으로 변위시키면 상대적으로 플로트(31)의 최고위치는 내려갈 것이고, 반대로 도 4c 및 4d에서와 같이 높이조절판(34) 및 링크 고정구(33)를 아래쪽 으로 변위시키면 상대적으로 플로트(31)의 최고위치는 올라가게 되므로 플로트의 스트로크(stroke) 범위를 줄이거나 또는 늘릴 수 있는 것이다.
플로트(31)의 스트로크 범위를 줄이게 되면 플로트의 최고위치가 낮아지게 되므로 수조(1)내의 물공급량이 적어지고, 반대로 플로트(31)의 스트로크 범위를 늘리면 플로트의 상승범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수조(1)내의 물공급량은 많아지게 된다. 이때, 급수밸브(2)의 작동관계는 공지기술에 해당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급수밸브(2)와 분뇨배출관(4)의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바이패스 홀(2a,4a)을 형성하고, 양쪽 바이패스 홀 사이를 튜브(50)에 의해 연결하였다. 따라서, 급수밸브를 통해 급수되는 물중에 일부의 물이 튜브(50)를 통해 분뇨배출관(4)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물은 분뇨배출피스톤(40)의 내부를 통해서 분뇨배출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사이폰형상의 연결관(60a)에 충수되어 연결관의 잔수로서 채워지므로써 분뇨탱크로 부터 역류되어 올라오는 악취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는 도 1에서와 같이 변기(5)와 분뇨배출관(4)을 연결하는 구배관(70)의 출구측(71) 내주면 상측을 유선형으로 확관된 확관부(72)를 두었다. 이는 분뇨가 구배관(70)으로부터 배출될 때 정체됨이 없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배출되게 하기 위한 구조 개선이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는 분뇨탱크의 위치에 따라 바닥 배관 또는 벽 배관 등을 적용할 수 있는데, 바닥 배관은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분뇨출구(6)가 변기(5)의 중앙부위에 위치할 때는 도 2에서와 같이 사이폰관 형상의 연결관(60a)을 사용하고, 분뇨출구(6)가 분뇨배출관(4)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6a에서와 같이 직립형 연결관(60b)을 사용한다.
반면, 벽 배관의 경우에는 도 6b에서와 같이 엘보관 형상의 연결관(60c)을 사용하거나 또는 도 6c에서와 같이 배후벽체(7)에 산형(山形)의 제 1관(61)을 미리 타설하여 놓고, 분뇨배출관(4)과 제 1관(61)을 대략 알파벳 유(U)자 형상의 제 2관(62)을 커플링(63)에 의해 연결하되, 제 1, 2관을 연결했을 때의 전체형상이 사이폰 형상의 연결관(60d)이 되도록 하였다. 이 경우는 벽 배관시에도 사이폰관의 형태를 취하므로써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분뇨의 배출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 째, 수조내의 물수위를 사용자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둘 째, 연결관에 잔수를 보충하는 구성을 구축하므로써 냄새역류차단기능이 확실하게 발휘될 수 있으며,
세 째, 분뇨배출관을 배관함에 있어서 바닥면으로 혹은 배후벽체로 연결하는 다양한 형태의 배관구성을 제시하므로써 배관의 호환성을 보다 높인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조작레버에 의해 동작되며, 분뇨배출관을 개폐하는 분뇨배출피스톤과 수조를 개폐하는 플랩밸브와 연결된 제 1작동유닛; 수조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플로트의 승강동작에 따라 연동되면서 플로트가 상부 포지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제 1작동유닛과 연계되고, 급수밸브에 설치된 플로트가 하부 포지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제 1작동유닛과 이격되는 제 2작동유닛;으로 이루어진 작동 메카니즘을 갖는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의 내부에 플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수단이 설치되되, 이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플로트의 상부에 설치홈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며, 내면에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한 쌍의 걸림판;
    상기 걸림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은 상기 링크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는 링크 고정구;
    상기 걸림판과 링크 고정구 사이에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되, 내면에 상기 링크 고정구와 탄력 접촉된 탄성편이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홈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조작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링크 고정구와 결합되는 높이조절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
  2. (정정)
    수조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유닛하우징, 상기 유닛하우징의 일측에 시소점을 기준으로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되 수조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와 수조의 내부에 위치하는 작동부로 이루어진 조작레버, 상기 작동부 상에 안착된 상태이면서 유닛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술될 제 2작동유닛을 향하는 단부측에 가동래칫을 가지며 하단부와 일단부에는 분뇨배출관을 개폐하는 분뇨배출피스톤과 수조를 개폐하는 플랩밸브가 와이어로서 각각 연결되되 각 와이어가 정수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승강판으로 구성된 제 1작동유닛과; 급수밸브에 설치된 플로트에 링크로서 연결되어 조작레버의 조작시 상기 가동래칫과 치합되고 수조내의 물이 적정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플로트의 하강과 함께 가동래칫으로부터 이격되는 고정래칫으로 구성된 제 2작동유닛;을 구비하는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의 내부에 플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장치가 설치되되, 이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기 플로트의 상부에 설치홈이 형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며, 내면에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한 쌍의 걸림판;
    상기 걸림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은 상기 링크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는 링크 고정구;
    상기 걸림판과 링크 고정구 사이에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되, 내면에 상기 링크 고정구와 탄력 접촉된 탄성편이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홈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조작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링크 고정구와 결합되는 높이조절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와 분뇨배출관의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바이패스 홀을 형성하고, 양쪽 바이패스 홀 사이를 튜브에 의해 연결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변기와 분뇨배출관을 연결하는 구배관의 출구측 내주면 상측이 유선형으로 확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배출관에 연결되는 연결관은,
    배후벽체에 미리 타설되는 유선형의 제 1관과, 이 제 1관과 분뇨배출관 사이를 연결하는 유선형의 제 2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 1, 2관을 연결했을 때의 전체형상이 사이폰관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배출 및 절수식 양변기.
KR1020040099504A 2004-09-20 2004-11-30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 KR100675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504A KR100675862B1 (ko) 2004-11-30 2004-11-30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
EP05746144A EP1802819A4 (en) 2004-09-20 2005-06-01 PASSIVE DISCHARGE WC AND WATER SAVINGS
CN2005800165484A CN1957146B (zh) 2004-09-20 2005-06-01 被动排放并且节水的抽水马桶
PCT/KR2005/001638 WO2006033515A1 (en) 2004-09-20 2005-06-01 Passively discharging and water-saving toilet bowl
AU2005285716A AU2005285716B2 (en) 2004-09-20 2005-06-01 Passively discharging and water-saving toilet bowl
JP2007532229A JP4384226B2 (ja) 2004-09-20 2005-06-01 自然排出式節水型便器
US11/575,518 US7886374B2 (en) 2004-09-20 2005-06-01 Passively discharging and water-saving toilet bow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504A KR100675862B1 (ko) 2004-11-30 2004-11-30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437A KR20060060437A (ko) 2006-06-05
KR100675862B1 true KR100675862B1 (ko) 2007-01-29

Family

ID=3715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504A KR100675862B1 (ko) 2004-09-20 2004-11-30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8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981B1 (ko) * 2004-09-20 2005-03-23 전영세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의 작동 메카니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981B1 (ko) * 2004-09-20 2005-03-23 전영세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의 작동 메카니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437A (ko) 2006-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2801B2 (en) Two-staged toiled tank bowl control system
EP2321476B1 (en) Cistern draining apparatus with movable siphon
US20100287692A1 (en) Water conserving toilet
US7526819B2 (en) Dual flush system for toilet
KR100675862B1 (ko)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
KR100425419B1 (ko) 가변식 사이폰 관을 구비한 절수형 수세식 변기
US8667619B2 (en) Water saving flapper valve weight apparatus
US9151028B2 (en) Flushing valve
US8424124B2 (en) Seat operated toilet with movable water storage tank
KR100530575B1 (ko) 절수형 양변기
US5191662A (en) Flush limiting mechanism
US20100043131A1 (en) Diverter Valve with Minimum Bias Forces
CN215888469U (zh) 一种用于马桶的水箱冲洗装置
KR100648068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0253416B1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KR100664910B1 (ko) 양변기
CN217053635U (zh) 一种水箱冲洗装置
KR200251220Y1 (ko)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CN2455792Y (zh) 液压一档可调水箱配件
KR20040018830A (ko)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JP3068297U (ja) 水洗トイレ用排水量調整装置
CN2443064Y (zh) 一种坐便器水箱的排水装置
CA1045307A (en) Toilet-bowl flush system and devices therefor
KR200335647Y1 (ko) 가변식 사이폰 관을 구비한 절수형 수세식변기
KR200293848Y1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