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592B1 -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발신번호표시기능,단문메세지서비스,멀티미디어메세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발신번호표시기능,단문메세지서비스,멀티미디어메세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592B1
KR100674592B1 KR1020050070496A KR20050070496A KR100674592B1 KR 100674592 B1 KR100674592 B1 KR 100674592B1 KR 1020050070496 A KR1020050070496 A KR 1020050070496A KR 20050070496 A KR20050070496 A KR 20050070496A KR 100674592 B1 KR100674592 B1 KR 100674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s
international
cid
mobile communication
m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재
Original Assignee
김원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재 filed Critical 김원재
Priority to KR102005007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59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술방식(CDMA,GSM)이나 주파수 대역(Band)을 갖는 국제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상호 간에 발신번호표시(CID)기능과 단문메세지서비스(SMS) 및 영상이나 그림 등을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등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성채널을 통하여 데이터전송이 가능한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가입자가 해외 여행 중에 이종 이동통신시스템간의 국제자동로밍 기능을 구현해 주는 국제로밍사업자망(지능망) 을 경유하여 연결되는 음성통화로를 순간적으로 이용하여 CID,SMS,MMS 등 데이터 정보를 MODEM으로 음성 변조하여 송/수신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국가별로 서로 다른 이종 이동통신시스템(CDMA망과 GSM망 등)간에 CID,SMS,MMS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 해외의 이동전화사업자와의 망간 연동시설이나 제3의 국제로밍중계사업자와의 망 접속 없이도 국제로밍사업자망과 해외에 체류중인 복합기능단말기 소지자 간에 연결되는 음성통화로를 최단기간 이용하여 CID,SMS,MMS 정보를 음성변조하여 송,수신함으로서 복합기능단말기 이용자가 해외 여행시에도 지역이나 국가 또는 해당지역의 이동통신방식 등에 구애됨이 없이 범세계적으로 CID,SMS,MMS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구축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국제로밍, 지능망, 복합기능단말기, 평생번호, CID, SMS, MMS, GSM, CDMA, SS7. 가상번호시스템, SDR, DM/DB 단말기, All-In One 단말기, MODEM통신, 음성통화로.

Description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발신번호표시기능,단문메세지서비스,멀티미디어메세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 {The System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CID,SMS,MMS Services among the subscribers which is connected different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cross the Global}
도 1은 기존의 국제로밍사업자망으로 지능망과 복합기능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간에 자동로밍 기능을 제공하는 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을 보여주는 전체적인 망 구성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주요 기능적인 부분을 발췌한 간소화된 망 구성도 이다.
도 4는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적 구성도 이다.
도 5는 국제로밍사업자망(지능망)에 설치되는 정합장치(Inter Working Facility)와 다중전화 발/착신장치(Dummy Circuit)의 기능적 구성도 이다.
도 6은 국제로밍사업자망(지능망)의 정합장치(IWF)에 실장되는 MODEM스위치의 기능적 연결도 이다.
도 7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되는 MODEM스위치의 기능적 연결도 이다.
도 8은 국내발신가입자가 복합기능단말기를 소지한 해외 착신가입자에게 CID기능이 추가된 전화 호를 처리하는 절차도 이다.
도 9는 국내발신가입자가 복합기능단말기를 소지한 해외 착신가입자에게 SMS/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절차도 이다.
도 10은 복합기능단말기를 소지한 가입자가 해외에서 국내 착신가입자에게 CID기능이 추가된 전화 호를 처리하는 절차도 이다.
도 11은 복합기능단말기를 소지한 가입자가 해외에서 국내 착신가입자에게 SMS/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절차도 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술방식(CDMA,GSM)이나 주파수 대역(Band)을 갖는 국제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상호 간에 자유롭게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신번호표시기능(CID ; Caller Identity Display)이란 이동전화나 유선전화에서 착신자가 전화 호를 수신할 경우 자신에게 결려온 발신가입자 번호를 단말기에 표시해 주는 것으로 기본적인 서비스나 부가서비스 형태로 가입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CID기능은 착신자가 자신에게 걸려온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보고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게 해 줄 뿐만 아니라 부재중에 걸려온 전화일 경우에도 발신가입자의 정보가 단말기에 저장되므로 나중에 이를 확인하여 상대 측에게 다시 걸려갈 수 있는 아주 편리한 기능이다.
또한 단문메세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 SMS)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 MMS)는 이동전화 상호 간에 또는 유/무선 전화간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갈수록 그 이용량이 최근에는 급증하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부가데이터서비스이다.
현재 이동통신사업자들은 국제 간의 교류가 급증함에 따라 해외여행이 빈번하여 가입자들이 편리하게 해외여행 중에도 이동전화를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한 국제로밍서비스 제공에 노력하고 있다
. 이러한 국제로밍서비스는 자동로밍, 반자동로밍 그리고 임대로밍 등 3가지 방법으로 제공되고 있다.
자동로밍(Automatic Roaming)이란 자신의 단말기와 번호로 해외 방문지에서도 자유롭게 발,착신이 가능한 시스템을 말하며 이는 동일한 기술방식에 동일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는 국가의 이동통신사업자 간에 상호 로밍협약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가입자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자신의 단말기를 자동로밍 협정이 체결된 국가에서 자신의 번호로 착.발신이 가능해 지나 로밍요금이 비싼 것과 자동로밍 대상국가나 지역이 다양한 기술방식(Mode)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Band) 때문에 크게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자동로밍(Semiautomatic Roaming)이란 국가간에 사용주파수 대역이 다르거나 기술방식이 달라 상호 연동시스템을 구축하여 방문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단말기에 SIM카드 등을 삽입하여 자신의 번호로 발,착신이 가능하도록 한 시스템으로 자동로밍보다는 다소 불편하고 로밍대상 지역이 그다지 넓지 않다는 점이다.
임대로밍(Rental Roaming)이란 이동통신방식이 상이하여 자신의 번호나 단말기를 방문국가에서 사용할 수는 없어 해외로 출국하기 전에 방문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현지 단말기를 임차(Rental)하여 현지번호로 방문국가에서 통화하는 시스템을 말하며 가입자 입장에서는 단말기 임대 등 절차가 까다로우나 자동로밍 등에 비하여 로밍가능 지역이 전세계로 확대되고 로밍요금이 다소 저렴한 점이 장점이다.
한편 국내의 기간통신사업자들은 국제통신연합(ITU)이 권고하는 공통선 신호망(Signaling System No.7 ;SS7)기술로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Inteligent Network ;IN)을 구축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중에 있다. 이들 지능망으로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들은 가상번호(Virtual Number)를 이용하는 것으로 무료전화서비스(080), 전국대표번호서비스,전화투표 서비스와 평생번호서비스 등 그 응용범위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 특히 0502(KT) 또는 0505(Dacom) 등으로 시작되는 번호체계인 평생번호서비스는 가입자에게 가상의 루팅이 가능한 번호를 제공하고 이 번호로 걸려오는 모든 전화를 가입자가 원하는 유선전화번호나 이동전화번호 또는 해외에 소재한 현지번호로까지 해외 착신전환하여 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출원자는 급증하는 국제로밍서비스 수요에 따라 지능망 기술과 임대로밍을 접목하여 서로 다른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상호 간의 자유롭게 자동로밍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을 출원번호 10-2005-0056135(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간의 국제자동로밍 기능을 구현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으로 기 출원한 바 있다.
기 출원된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간의 국제자동로밍 기능을 구현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는 지능망(Intelligent Network)기술을 적용하여 “국제로밍사업자망”을 구축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복합기능단말기를 소지한 국내 이용자가 국제로밍사업자망에 인터넷으로 직접 접속하거나 콜센터 상담원을 통해 온라인으로 방문국에서 사용할 현지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SIM,USIM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자신의 복합기능단말기에 내장된 스마트카드(SIM,USIM)에 저장하고 이를 휴대하여 해외 여행 중에 자신의 복합단말기로 현지에서 사용 가능한 SIM,USIM정보를 선택하여 단말기를 부팅하면 자신의 국내 이동전화번호로 걸려온 착신 호가 해외 현지번호로 착신전환하여 수신할 수 있으므로 마치 자동로밍처럼 자유롭게 착신할 수 있다. 귀국 후에는 다운로드 받은 현지 이동전화용 SIM,USIM정보도 인터넷이나 콜센터 상담원을 통해 온라인으로 국제로밍사업자망에 반납하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서로 다른 이종 이동통신시스템간에도 아주 저렴하고 편리하게 자동로밍서비스와 같은 국제자동로밍 기능을 전세계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간의 국제자동로밍 기능을 구현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는 국내의 이동통신망과 국제통신망 사이에 접속되는 국제로밍사업자망은 국제로밍사업자가 국가별,지역별 해외 이동통신사업자들로부터 장기 임차한 현지 이동전화번호에 대한 스마트카드정보(SIM,USIM)를 전자파일 형태로 저장,관리하는 ‘국제로밍정보DB’와 국내 이용자의 가입/인증과 국내 가입자의 이동전화 호를 해외로 착신전환하기 위하여 평생번호나 가상번호를 부여/회수하여 관리하는 것과 이들 해외 착신정보를 자동으로 생성,저장,삭제,관리하는 ‘가입자정보DB’, 이들 이용자들이 사용한 요금을 산출하고 해외 이동통신사업자 간의 요금 정산을 위한 “과금정보DB”, 다양한 음성안내 메시지를 저장 관리하는 음성안내정보DB, 이동통신 단말기로 인터넷에 표준 프로토콜로 접속하기 위한 “WAP G/W & Server” (WAP Gate Way and Server), 그리고 인터넷 접속에 거부감을 주는 기성세대 이용자들에게 콜센터 상담원을 통해 전화상담으로 신청과 반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콜센터 서버"와 "상담원석"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간의 국제자동로밍 기능을 구현하는 시스템에는 국제로밍사업자가 해외의 여러 이동통신사업자들과 접촉하여 현지에서 사용 가능한 다량의 이동전화번호를 계약하고 이들 번호에 필요한 SIM,USIM정보를 스마트카드 Chip이 아니고 전자파일로 수령하여 이를 국제로밍정보DB에 저장,관리하는 단계, 서로 다른 이동통신 기술방식(GSM,CDMA)이나 주파수대역(Band)에서 사용가능한 All-in One 형태의 복합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이용자가 국제로밍사업자에게
국제로밍서비스를 신청하고 국제로밍사업자망에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접속하고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가입절차를 거친 이용자가 해외로 출국 시에 복합이동통신단말기로 국제로밍사업자망에 직접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방문국에서 사용할 현지 이동전화번호의 SIM,USIM 정보를 선택하여 이를 전자파일로 내려 받아 자신의 복합단말기의 스마트카드(SIM,USIM) 카드에 저장하고 해외 착신전환을 신청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국제로밍 사용신청 단계, 상기 이용자가 출국 시에 복합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국제로밍정보와 해외 착신전환정보를 확인하면서 복합단말기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방문국 도착 후에 복합단말기에 내장된 스마트카드(SIM,USIM) 정보를 탐색,현지용 SIM,USIM정보만 활성화하고 나머지 정보를 비활성화하여 복합단말기를 현지에서 사용 가능한 복합단말기로 부팅하여 발.착신이 가능하게 하는 복합단말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방문지 체류 중에 자신의 국내이동전화로 걸려온 착신 호를 현지 이동통신번호로 해외착신전환하여 자동로밍처럼 방문국 현지에서 수신하는 해외 착신전환서비스 이용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방문국에서 귀국하거나 더 이상 국제로밍서비스가 필요 없을 경우 국제로밍시스템에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복합단말기의 스마트카드에 저장되었던 현지 이동전화용SIM,USIM정보를 반납하고 착신전환정보를 해제하는 국제로밍서비스 사용 후 반납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들 중 인터넷 이용에 거부감을 가진 기성세대를 위하여 전화접속으로 국제로밍사업자망의 콜센터 서버를 경유, 상담원석에 접속,구두로 상담하고 그 결과를 SMS 메세지로 송/수신하면서 신청과 반납을 가능하게 하는 콜센터 상담원을 통한 신청/반납하는 단계, 국제로밍사업자는 이용자가 사용한 국제로밍서비스 사용요금을 수합,과금하고 해외 이동통신사업자들과 주기적으로 정산,처리하여 주는 단계 등으로 구성되면서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간의 국제자동로밍 기능을 훌륭하게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간의 국제자동로밍 기능을 구현하는 시스템에서도 이종 국제 이동통신시스템 간의 가입자 상호 간에는 CID,SMS,MMS 기능이 구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반자동로밍이나 임대로밍에서 이들 기능을 제공하기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 국내 일부 이동통신회사에서 제공하는 국제 간의 자동로밍서비스조차도 극히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CID,SMS,MMS 제공이 안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더구나 국내의 이동통신 가입자가 해외에 거주하는 친지들에게 국제 이동전화를 걸 경우에는 거의 CID,SMS,MMS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주된 이유로는 국가마다 이동통신망이나 국제통신망에 사용하는 통신프로토콜과 데이터 표현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국가간에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방식(Mode)이 상이하거나 주파수 대역(Band)이 상이한 경우에도 데이터 정보의 전송이 어렵다. 특히 국제 간에 여러 사업자 망이 상호 접속될 경우 반드시 거쳐야 하는 양 국가간의 국제통신사업자 망에서 상호 간의 협정 부재나 사업자 간의 비협조로 이들 CID,SMS,MMS 등의 데이터 정보가 강제로 차단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다양한 방법들이 검토되고 적용되고 있다.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표준화하는 것이다. 그러면 모든 국제통신망사업자나 이동통신망 사업자들이 표준화된 프로토콜로 상호 간에 접속되어 신호나 정보 전송에 있어 네트워크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는 다양한 방식의 통신장비를 생산하는 업체나 국가마다 고유방식을 고집하므로 현실성이 거의 없다.
그 대안으로 사용되는 CID,SMS,MMS 데이터정보 전송방법이 이들 이동통신 사업자들 간에 서로 다른 프로토콜이나 전송방식들을 정합하여 주는 정합장치(IWF ; Inter Working Facility)를 별도로 설치하고 이를 통해 별도의 국제정산사업자 망을 경유하여 상대국의 이동통신사업자로 전송하게 하는 것이다. 이 방식 역시 이동통신사업자들의 입장에서는 프로토콜 변환이나 별도의 회선구축에 따른 비용에 이용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통합적인 전세계 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어려움이 크다.
또 다른 CID,SMS,MMS 데이터정보 전송방법으로는 국제 간의 정보전송채널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이 최근에 개발되어 일부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이동통신사업자의 CID,SMS,MMS 정보를 자국의 CID,SMS,MMS 중계사업자가 수신하여 이를 TCP/IP 인터넷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상대국의 CID,SMS,MMS 중계사업자에게 전송하면 상대국 CID,SMS,MMS 중계사업자는 이를 수신하여 다시금 상대국의 이동통신 사업자가 원하는 형태로 CID,SMS,MMS 정보를 변환하여 송출하고, 이동통신 사업자 망이 해당 가입자에게 CID,SMS,MMS 정보를 전송해주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 또한 전 세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전세계에 산재한 모든 국가의 CID,SMS,MMS 중계사업자들과 협정을 체결하여야 하는 등 불편함과 이에 따른 중계수수료 등 추가 비용이 커서 실효성에 의문이 많다. 특히 CID정보의 경우 실시간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서비스 취지에 부합하지 않다는 점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해외여행객들이 이동전화를 사용함에 있어 국내,외를 막론하고 자유롭게 CID,SMS,MM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나 요즘과 같이 전세계가 단일화되고 국제 간 교류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수시로 국내,외를 여행해야 하는 현대인들은 이동전화의 자동로밍 서비스는 필수적이며 여기에 자유로운 형태의 CID,SMS,MMS 서비스까지 함께 제공되길 강력히 희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개인들이 소지하고 해외체류중인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와 국제로밍사업자망(지능망) 간에 접속되는 음성 통화로 간에 MODEM을 삽입하여 CID,SMS,MMS 등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해외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사업자들이나 국제통신사업자들과의 제휴나 정합장치를 통한 중계기능 없이도 국제로밍사업자의 자발적 의지로 해외여행중인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 이용자들에게 범세계적인 국제 간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음성채널을 통하여 데이터전송이 가능한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가입자가 해외 여행 중에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간의 국제자동로밍 기능을 구현해 주는 해외 착신전환 기능을 가진 국제로밍사업자망(지능망)에 정합장치(IWF)와 다중전화 발착신장치(Dummy Circuit)를 추가하고 이를 경유하여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연결되는 국제 간의 음성통화로를 호출신호 송출시나 통화 중에 순간적으로 이용하여 CID,SMS,MMS 등 데이터 정보를 MODEM으로 음성 변조하여 상호 간에 발신/착신하도록 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에는 해외 여행 중에 음성채널을 통하여 데이터전송이 가능하도록 음성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CODEC과 송/수화기 사이에 CID,SMS,MMS 등 데이터를 음성 변조하여 송수신하는 MODEM스위치가 삽입되고,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가 착신 호 수신 시에 음성변조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호출신호를 수신 시 일정 조건하에서는 자동으로 즉시 응답하는 기능인 자동응답기능(Soft Hook-Off), 발/착신 시에 이들 호가 MODEM변조된 데이터정보의 송수신 여부를 파악하고 제어하는 기능, 그리고 자동응답 후 복합단말기가 CID정보만을 수신할 경우에는 CID신호 수신 시에도 가입자에게는 호출신호를 계속하여 들려줄 수 있는 방법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제로밍사업자망(지능망)에 추가된 정합장치(IWF)에는 각각의 CID,SMS,MMS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DB, 이들 CID,SMS,MMS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 그리고 음성통화로를 구성하는 장치로서 Dummy Circuit이 자동응답시 그 신호를 포착하여 동작하는 MODEM스위치, 다중화장비(MUX/DEMUX), D/A Converter, A/D Converter 등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제로밍사업자망(지능망)에 추가되는 다중전화 발/착신장치(Dummy Circuit)에는 대표번호를 가진 다수의 전화회선으로 종단되어 지능망의 명령에 따라 순차적으로 국내/외 호를 발/착신하는 기능과 Dummy Circuit 에 착신 시 자동응답하여 이를 정합장치(IWF)에 전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의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내,외 이동통신 발신가입자와 착신 가입자 간의 발신과정과 착신과정이 수행되는 방법으로는;
a)국내발신가입자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해외 착신 가입자에게 CID기능이 추가된 전화 호를 처리하는 방법;
b)국내발신가입자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해외 착신 가입자에게 SMS,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c)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가입자가 해외에서 국내 착신 가입자에게 CID기능이 추가된 전화 호를 처리하는 방법;
d)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가입자가 해외에서 국내 착신 가입자에게 SMS,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등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기존의 국제로밍사업자망으로 지능망과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자동로밍 기능을 제공하는 망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지능망(20)이 없다면 일반적인 국제 간에 구성되는 통신망의 접속 형태를 보여준다. 이동통신망(10)과 유선전화망(30)이 국제통신망(40)에 의해 국제간 전송로(해저케이블 또는 위성)를 거쳐 상대국 측 국제통신망(50)을 경유해 상대국 이동통신망(60)으로 접속되는 형태이다. 이들 국내외 통신망은 주로 SS7(Signaling System No.7)신호망에 의해 접속되고 있다. “SS7” 신호망은 국제통신연합(ITU)이 권고하는 기술표준에 의거하여 음성을 전송하는 회선교환형태의 통화로 망과 신호 및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패킷데이터 망이 분리되어 운영되는 시스템으로 효율적이고 다양한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전세계의 모든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SS7 신호망을 적절히 활용하여 다양한 부가가치가 있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네트워크를 지능망(Intelligent Network ;IN 또는 Advanced IN ;AIN)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지능망은 SS7 신호망을 근간으로 중심부에 서비스제어부(Service Control Part ; SCP, 21), 서비스 교환부(Service Switching Part ; SSP, 22), 그리고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DB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1에서는 지능망 기술로 구성되는 국제로밍사업자망(20)을 국내 이동통신망(10)과 유선전화망(30) 등 국내망 사업자와 국제통신망(40)사업자 사이에 구성하여 국제 간에 이종의 이동통신시스템 간에 자동로밍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제로밍사업자망(20)에는 일반적인 지능망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장치 이외에 아래와 같은 4종류의 DB와 WAP Gate Way & Server를 포함하고 있다. 즉 국내 이용자의 가입/인증과 국내 착신 호를 해외로 전환하는 관련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가입자정보DB(24), 국제로밍사업자가 국가별,지역별 해외 이동통신사업자들로부터 장기 임차한 현지 이동전화번호에 대한 스마트카드정보(SIM,USIM)를 전자파일 형태로 저장,관리하는 국제로밍정보DB(25) 그리고 이들 이용자들이 사용한 요금을 산출하고 해외 이동통신사업자 간의 요금 정산을 위한 과금정보DB(26), 이용자들이 국제로밍사업자망(20)에 접속되었을 경우 수행절차나 방법 등에 관한 메시지를 음성 녹음하여 이를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음성안내정보DB (23), 기존의 인터넷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 가능한 표준 프로토콜로 처리해 주는 WAP Gate Way & Server(27), 그리고 인터넷 이용에 거부감을 가진 기성세대 이용자를 위하여 전화접속으로 국제로밍사업자망의 상담원과 통화하면서 국제로밍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콜센터 서버(28)와 상담원석(29) 등이 추가되는 구조이다.
도 1은 기능적으로 크게 복합단말기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국제로밍사업자망(20)에 접속하여 국제로밍정보를 신청/반납하는 과정과 이용자가 해외 체류시 국내 착신 호를 방문국의 현지 이동전화로 해외 착신전환이 이루어지는 과정 등 두 기능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이용자가 인터넷으로 국제로밍사업자망에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가 복합단말기(11)로 국제로밍사업자망(20)의 주소인 WAP기반의 URL (예로 www.roamingok.com)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면 BSC(12)와 MSC(13)를 거쳐 이동전화망(10)은 인터넷 접속장치인 IWF(Inter Working Function;14)로 루팅하고 이동통신용 표준 인터넷 접속프로토콜 장비인 WAP G/W(WAP Gate Way;15)로 연결되어 인터넷(70)에 접속된다. 국제로밍사업자망(20)은 인터넷 접속 창구인 WAP G/W & Server(27)를 거쳐 프로토콜 변환을 거쳐 SCP(21)에 접속되면 가입자 인증 절차를 거쳐 원하는 DB(23,24,25,26)들에 각각 접속되어 관련 정보를 상호 시스템들 간에 Up/Down Load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대국의 이동전화망(60)에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해외 착신전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선전화망(30)에 있는 가입자(31)나 또 다른 이동전화망에 있는 이동전화 가입자가 복합단말기 이용자(11)를 호출하면 이를 이동전화망(10)으로 루팅하고 이동전화망에서는 해당 가입자에게 연결한다. 그러나 이용자(11)가 국내 착신전환이 되어 있다면 국제로밍사업자망(20)으로 SS7 신호링크인 STP(Signal Transfer Point ;16)를 경유하여 국제로밍사업자망(20)의 신호종단장치인 SP(Signal Point ;22)로 루팅정보를 보낸다. SP는 이를 SCP(Signal Control Part ;21)로 루팅하면 SCP는 가입자정보DB(24)를 검색하여 해외의 현지 이동통신망으로 루팅하게 된다. 이때 루팅정보는 SS7신호 방식으로 국제통신망(42)을 거쳐 해저케이블(54)이나 위성(43)을 타고 상대국 국제통신망(52)을 경유하여 상대국 이동전화망(60)의 STP(66)을 거쳐 MSC(63)에 연결되면 상대국 이동전화망은 해당 가입자(11)를 호출하고 가입자가 응답하면 음성전화 채널이 유선전화망의 LE(32), Toll(34), 이동전화망의 MSC(13)를 거쳐 국제로밍사업자망(20)의 SSP(22)로 접속되고 국제통신망의 ISC(41, 50)을 거쳐 상대국의 MSC(63)을 경유하여 BSC(62)에서 가입자에게 통화로가 구성되면서 통화하게 된다.
이런 국제로밍사업자망(20)은 이동통신사업자나 유선전화사업자 또는 국제통신사업자가 구축하여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정 통신사업자들도 별도로 구축하여 운영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을 보여주는 전체적인 망 구성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위해 도 1의 국제로밍사업자망(~20)에 정합장치(~A20)와 Dummy Circuit(~A30)이 추가되는 형태로 구축되는 국제로밍사업자망을 보여준다. 따라서 도 2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하여 기능적으로 추가된 부분을 발췌하여 주요 기능적 망 구성도인 도 3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주요 기능적인 부분을 발췌한 간소화된 망 구성도 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이동통신망 상호 간이나 유선통신망 간에 CID,SMS,MMS 정보들은 음성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 아니고 SS 7 망을 경유하는 신호채널이나 제어채널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1)에서 발신한 CID,SMS,MMS 등 데이터 정보들은 BSC(~12)를 경유하여 MSC(~13)에서 SS7 망인 STP(~16)를 거쳐 지능망(~20)의 SP(~22)를 통해 SCP(~21)로 전달된다. SCP(~21)에서는 가입자정보DB(~24)를 검색하여 착신자에 대한 최종 루팅정보를 찾아내어 착신자 측으로 루팅명령을 내린다. 그러나 루팅정보는 주로 국제통신망(~40, ~50)을 경유하여 해외의 이동통신망으로 루팅될 때까지 유효하며 이 경우 루팅정보 이외에는 상대측 이동통신시스템(~60)까지 전달되지 못하고 차단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SCP(~21)는 최종 착신지가 해외로 착신전환되는 호일 경우에 CID,SMS,MMS 등 데이터 정보들은 최종 착신측 시스템까지 전송되지 못하고 유실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국제로밍사업자망의 SSP(~22)와 국제통신망(~40) 사이에 정합장치(IWF:~A20)를, SSP(~22)에 Dummy Circuit (~A30)을 각각 추가하였다. 따라서 CID,SMS,MMS 등 데이터 정보들을 포함하는 호 접속일 경우에는 SCP(~21)는 추가된 IWF(~A20)와 Dummy Circuit(~A30)을 통하여 해외에 체류중인 복합기능단말기(~61)까지 정상적인 전화 호 루팅접속을 하라고 재루팅하게 된다. 이때 재루팅으로 Dummy Circuit(~A30)-SSP(~22)-IWF(~A20)-ISC(~41)-ISC(~51)-MSC(~63)-BSC(~62)를 거쳐 최종 수신자의 복합기능단말기(~61)까지 음성통화로가 구성하게 한다. 음성통화로가 Dummy Circuit(~A30)에서 IWF(~A20)을 거쳐 복합기능단말기(~61)까지 확보되면 착신측 복합단말기(~61)에는 호출신호가 울리게 된다. 이때 호출신호가 울리게 되면 복합기능단말기(~61)는 즉시 자동응답(Soft Hook-Off)을 하게 되며 이 자동응답 신호에 따라 IWF(~A20)와 복합기능단말기(~61)에 각각 내장된 MODEM스위치가 데이터전송모드로 작동하여 CID,SMS,MMS 등 데이터 정보들을 음성변조하여 가능한 짧은 시간에 송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CID,SMS,MMS 등 데이터 정보들을 수신완료 하였거나 일정시간이 지나도록 착신자가 응답(Hard Hook-Off)하지 않으면 연결된 통화로는 강제 종료하게 되며 착신자가 응답(Hard Hook-Off)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양단에 있는 MODEM스위치를 복구하여 음성통화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MODEM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로에 데이타를 전송하는 방법은 일반화된 기술로 본 발명에서는 그 동작원리를 생략한다. 또한 각각의 MODEM스위치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은 도 6에서 도 7에서 설명한다. 이러한 기술을 적용 함으로서 이종 국제 간의 시스템 접속시 해외사업자들과의 제휴 없이도 손쉽게 CID,SMS,MMS 등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를 가능한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적 구성도 이다.
일반적으로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란 서로 다른 이동통신방식이나 주파수 대역을 하나의 단말기로 수용하는 형태를 말하며 보통 Dual Band, Dual Mode 단말기라고도 한다. 또한 모든 이동통신 주파수대역이나 기술방식을 수용할 수 있는 단말기가 SDR(Software Defined Radio)기술로 개발되고 있으며 통상 All-in One 단말기라 부른다. 최근의 모든 이동전화 단말기는 디지털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로 통신망에서 음성통화로라 하더라도 이 음성 통화로에는 CODEC(~A82)에 의해 음성신호가 부호화/복호화 된 디지털 신호가 흐르게 된다. 이동통신용 CODEC(~A82)은 사람의 음성 중 300Hz~3400Hz 대역만을 추출하여 이 음성신호를 이동통신 기술방식에 따라 최소 8Kbps에서 19.2Kbps 까지 부호화하여 전송하게 되고 국제 간의 전송로에서는 최대 64Kbps까지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신호에 변조하여 실릴 수 있는 최대 데이터정보의 전송량은 8Kbps이다. 그러므로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에서 CID,SMS,MMS 등 데이터 정보들을 음성 변조하여 송/수신하기 위하여는 MODEM스위치(~A81)가 CODEC(~A82)과 송/수화기(~A83) 사이에 설치되어 Processor (~88)의 제어로 작동되어야 한다. 특히 복합기능단말기는 RTOS(~89)와 Processor(~88)에 의해 호출신호를 수령하자마자 즉시 자동응답상태(Soft Hook-Off)로 동작하여 MODEM스위치(~A81)는 데이터 전송모드로 동작되고 착신자가 응답시(Hard Hook-Off)시에는 MODEM스위치(~A81)를 통화로 상태로 강제 복구시켜야 한다. 또한 복합단말기가 CID정보만을 수신할 경우에는 CID신호 수신 시에도 가입자에게는 호출신호를 계속하여 들려줄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말하는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란 상기에서 설명한 복수대역 또는 복수의 기술방식을 수용하는 기존의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에 음성통화 채널을 통해 자동응답 상태에서 데이터 통신을 가능토록 동작하는 MODEM스위치(~A81)를 내장하면서 MODEM스위치를 통해 음성통화로로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의미한다.
도 5는 국제로밍사업자망(지능망)에 설치되는 정합장치(Inter Working Facility)와 다중전화 발/착신장치(Dummy Circuit)의 기능적 구성도 이다.
지능망에 설치되는 정합장치(IWF ; ~A20)는 SSP(~22)와 ISC(~41) 사이에 음성통화로를 연결하기 위해 접속되며, CID,SMS,MMS 등의 데이터 정보를 해외에 체류중인 가입자와 송수신하기 위해 SCP(~21)와도 접속된다. 따라서 정합장치(~A20)의 내부 구조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는 장치들로 조합된다. 우선 SCP(~21)와 통신하면서 CID,SMS,MMS 등의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CID,SMS,MMS 서버(~A21), 이들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 과정에서 저장하거나 특정기호나 문자 등의 디지털 코드 표현방식 차이를 상호 변환해 줄 수 있는 기능을 가진 DB들로 각각 CID-DB(~A22), SMS-DB(~A23), MMS-DB(~A24)가 있다. 또한 음성통화로를 연결하는 SSP(~22)와 ISC(~41) 양측에서 다중화된 디지털 PCM 신호를 채널 단위로 분리/다중화하는 기능을 가진 MUX/DEMUX(~A25, ~A29), 그리고 채널단위로 분리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상호 변환해 주는 D/A Converter(~A26), A/D Converter(~A28),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CID,SMS,MMS 등의 데이터 정보를 MODEM을 통해 음성 변조하여 음성통화로를 통해 전송하면서 음성채널과 데이터 전송 채널을 자동응답신호(Soft Hook-Off)에 의해 단속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MODEM스위치(~A27)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SSP(~22)에 접속되어 전화회선의 종단장치 역할을 수행하는 다중전화 발/착신장치(~A30)는 국내/국제 호를 발신/착신할 수 있는 다수의 번호로 구성되어 이를 대표번호 체계로 접속된다. 따라서 대표번호로 걸려온 착신 호는 통화 중 유무에 따라 차 순위 번호로 자동 접속되는 기능이 있으며 동 시스템이 발신할 경우에는 최하위 번호 군부터 순차로 상위번호를 점유하면서 발신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다중전화 발/착신장치는 착신되는 호를 자동응답(Soft Hook-Off)하고 자동응답신호를 IWF(~A20)로 전송하여 MODEM스위치(~A27)를 동작하게 한다.
도 6은 국제로밍사업자망(지능망)의 정합장치(IWF)에 실장 되는 MODEM스위치의 기능적 연결도 이다.
MODEM스위치는 MODEM과 단속 스위치로 구성된다. MODEM은 데이터 정보를 음성변조하여 송수신하는 가장 일반화된 변복조장치로서 데이터 측 단자는 CID,SMS,MMS 서버(~A21) 측에 접속되고 음성측 단자는 내부 스위치인 D단자에 연결된다. 또 다른 접점인 V단자는 복구시 상시 접속되는 단자로 D/A converter(~A26)에 접속되어 있으며 단속을 행하는 S단자는 A/D Converter (~A28)에 접속된다. 이 스위치는 Dummy Circuit(~A30)의 자동응답(Soft Hook-Off)신호나 상대국가에 체류중인 가입자의 복합단말기(~61)에서 자동응답신호(Soft Hook-Off)를 받으면 복합단말기의 MODEM스위치와 동기 되어 동시에 동작하여 S 접점을 D 접점으로 연결하며 MODEM에서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A/D Converter(~A28)을 경유하여 음성통화로를 거쳐 해외 가입자의 복합단말기(~61)와 대향 하여 CID,SMS,MMS 등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러다가 Dummy Circuit측에서 통화로 강제복구 할 경우나 단말기 측에서 가입자가 응답(Hard Hook-Off)시에는 D접점에서 V접점으로 복구하여 발/착신자간에 음성통화로를 연결하여 준다.
도 7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되는 MODEM스위치의 기능적 연결도 이다.
이 경우에도 MODEM스위치는 MODEM과 단속 스위치로 구성된다. MODEM의 데이터측 단자는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의 DBB(Digital Base Band ; ~87)에 접속되며 음성측 단자는 내부 스위치인 D단자에 연결된다. 또 다른 접점인 V단자는 복구시 상시 접속되는 단자로 송수화기(~A83)에 접속되어 있으며 단속을 행하는 S단자는 CODEC의 음성입력단자(~A82)에 접속된다. 이 스위치도 복합단말기가 호출신호를 수신하고 자동응답(Soft Hook-Off)할 경우나 Dummy Circuit (~A30)의 자동응답신호(Soft Hook-Off)를 받으면 동작하여 S 접점을 D 접점으로 연결하며 MODEM에서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CODEC(~A82)을 경유하여 복합단말기를 통해 정합장치의 MODEM스위치와 대향하여 CID,SMS,MMS 등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다가 복합단말기 가입자가 실제로 응답(Hard Hook-Off) 하거나 통화로 강제복구 명령을 수신할 경우에 D접점에서 V접점으로 복구하여 발/착신자 간에 음성통화로를 연결하여 준다.
도 8은 국내발신가입자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해외 착신 가입자에게 CID기능이 추가된 전화 호를 처리하는 절차도 이다.
해외에 체류중인 가입자의 복합이동통신단말기(~61)로 국내가입자(~11)의 CID를 전송하는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가입자가 국제로밍사업자망(~20)으로 착신전환된 호(~101)를 발생하면 국제로밍사업자망은 수신된 호가 해외로 착신전환되는 호 인지를 판단(~102)하여 만약 국내의 다른 번호로 착신전환되는 호라면 해당번호로 루팅명령(~103)을 내리게 된다. 그러나 해외 착신전환 가입자일 경우에는 이 가입자가 해외CID서비스이용자인지를 가입자정보DB(~24)를 통해 확인(~104)하여 CID서비스이용자일 경우 국제로밍사업자망은 루팅정보를 IWF의 Dummy Circuit로 착신 전환하여 수신하고(~105), 해외CID서비스 이용자가 아닐 경우에는 정상적인 루팅명령을 내린다(~106). IWF의 Dummy Circuit로 착신 전환되어 수신하는 해외 CID이용자의 호는(~105) 우선 SS7을 통해 전송되는 CID only정보를 수신하여 CID-DB에 저장하고 자동응답(Soft Hook-Off)하여 MODEM스위치를 작동하여 발신자 측과의 통화로를 차단하고 국제호 발신절차를 수행하면서 발신자 측에 연결중 이라는 안내방송을 송출한다(~108). 국제호 발신절차(~107)는 유휴 Dummy Circuit회선을 점유하여 가입자정보DB에 저장된 해외 착신가입자의 루팅정보를 추출하여 자동다이얼링을 시작하면서 정상적인 국제호 루팅절차를 수행하게 된다(~106). 국제호 루팅과정에서 해외에 체류중인 가입자의 응답가능 여부(~109)를 확인하여 착신자가 응답불가 상태이면 이를 발신자에게 통화중이나 무응답 등의 응답불가 안내메세지를 보내어(~110) 발신자가 호를 종료하게 하고, 응답가능상태라면 착신자의 복합단말기에 호출신호가 울리게 된다(~111). 그러면 복합단말기는 우선 걸려온 착신호에서 현지CID정보가 있으면 이는 방문국의 현지 통화로 간주하여 CID정보를 수신하여(~112) 표시창에 나타내게 된다(~122). 그러나 현지CID정보가 없을 경우에 복합단말기는 국내 호로 여겨 Soft Hook-Off라는 자동응답(~113)을 하면서 MODEM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착신가입자가 응답할 경우에는 실제적으로 발신가입자와 착신가입자 간에 통화로가 연결되게 된다(~114). 이때 IWF는 즉시 이를 감지하여 내장된 MODEM스위치를 작동하여 착신가입자 측으로 음성변조된 CID정보를 송출하고(~116) 발신가입자에게는 연결 중 메시지를 송출하고(~117) 과금 처리한다(~119). 한편 음성변조된 데이터정보를 수신한 복합단말기는 수신한 정보가 CID only메세지일 경우에는 착신단말기에서 호출신호를 생성, 재송출하여 호출중임을 가입자에게 알려준다(~121). 또한 MODEM스위치를 통해 최초 2-3초간 수신되는 데이타신호가 없을 경우(No Data)에도 복합단말기는 MODEM스위치를 복구하여 통화로를 연결하고 착신자에게 계속 호출신호(~121)를 보내게 된다. 수신된 정보가 CID only가 아닐 경우에는 착신측 단말기에는 수신된 데이터정보가 표시되고(~122), 가입자가 이를 보고 응답(Hard Hook-Off)하게 되면(~123) 복합단말기는 즉시 MODEM스위치를 복구시키고 IWF측으로 응답신호를 음 성변조하여 전송하게 된다(~125). 그러면 IWF도 착신가입자의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즉시 MODEM스위치를 복구시켜(~126) 발신측(~129)과 착신측(~130) 간에는 국제통화로가 구성되어 정상통화를 하게 된다(~127). 통화종료 절차로는 발신자가 먼저 종료할 경우(~132)와 착신자가 먼저 종료할 경우(~130)로 구분된다. 그러나 IWF에서는 착신가입자에게 정상적으로 CID only정보를 보내고 일정시간 동안 기다렸음에도 착신가입자가 응답(Hard Hook-Off)하지 않을 경우(~132)에는 착신가입자를 무응답으로 간주하여 국제통화로를 강제복구하는 명령을 수행하고(~133) 발신자 측에는 무응답 신호를 송출하면서(~134) 연결되었던 국제간의 통화로는 강제로 종료된다(~135).
도 9는 국내발신가입자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해외 착신가입자에게 SMS,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절차도 이다.
국내 가입자(~11)가 해외에 체류중인 가입자의 복합이동통신단말기(~61)에 SMS,MMS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가입자(~11)가 국제사업자망으로 착신 전환된 가입자에게 SMS,MMS메시지를 전송(~201)하면 국제로밍사업자망은 가입자정보DB(~24)에서 착신자의 해외 착신전환 상태(~202)를 확인하여 만약 국내 다른 번호로 착신전환된 경우에는 해당 번호로 루팅하여(~203) 처리한다. 그러나 해외로 착신전환되는 호라면 수신가입자가 해외SMS,MMS메시지 서비스 이용자인지를 가입자정보DB(~24)를 통해 확인하여(~204) 서비스 이용자가 아닐 경우 착신자의 국내번호로 전송한다. 그러나 해외SMS,MMS서비스 이용자라면 SMS,MMS 메시지를 수신하여 IWF의 SMS-DB와 MMS-DB에 각각 저장한다(~205). 그런 다음에 IWF의 CID,SMS,MMS서버(~A21)는 해외 착신가입자에게 국제호 발신절차를 수행한다(~206). 국제호 발신절차로는 우선 Dummy Circuit에서 유휴회선을 점유하여 가입자정보DB로부터 확보한 해외 착신전환가입자의 해외현지 루팅정보를 추출하여 발신호를 생성시킨다. 생성된 발신호가 착신가입자로의 국제 루팅절차를 거쳐(~207) 착신가입자의 응답가능상태를 확인하여(~208), 착신가입자가 통화중이나 무응답 또는 결번 등일 경우(~209)에는 통화연결을 종료하고(~210) 재시도 절차(~206)를 거친다. 그러나 착신자가 응답가능 상태일 경우에는 착신단말기에 호출신호가 울리며(~211) 현지 CID를 수신하게 된다(~212). 만약 현지 CID가 수신되는 호라면 이는 현지에서 발신되는 정상호로 간주하여 단말기에 발신측 CID를 표시하여 일반적인 정상통화를 하게 하고(~213) 종료된다. 그러나 현지CID수신이 없다면 복합단말기는 즉시 자동응답(Soft Hook-Off)하면서 MODEM스위치를 작동시키며(~214) 복합단말기와 Dummy Circuit (~217)간에 국제 통화로가 형성되어(~215) IWF측에 있는 MODEM스위치도 착신측 자동응답신호에 따라 작동하여(~216) 각각의 DB에 저장되었던 CID,SMS,MMS메시지를 음성 변조하여 통화로를 경유하여(~218) 전송되면 이를 착신단말기가 수신하게 된다. 이때 수신되는 메시지 중에 CID only메시지가 수신되었다면(~220) 이는 전화 연결 호로 간주하여 도 8의 “가”항으로 연결되어 착신측 가입자를 계속 호출해야 하므로 호출신호를 생성, 재전송하는 과정(~121)을 거친다. 그러나 만약 SMS,MMS메시지의 수신을 완료하면(~221) 수신완료 메시지(Ack)를 음성 변조하여 IWF측으로 보내고 수신된 SMS,MMS 메시지를 단말기 표시창에 나타내면서(~222) 종료하게 된다. 한편 국제호를 발생한 IWF측에서는 모든 SMS,MMS메시지를 수신완료 하였다는 Ack메시지를 수신하면(~223) Dummy Circuit과 착신단말기 간에 연결된 국제통화로를 즉시 강제 종료하게 되고(~224) 국제 간의 음성통화로는 복구되게 되고(~225) 모든 절차를 종료한다.
도 10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가입자가 해외에서 국내착신 가입자에게 CID기능이 추가된 전화 호를 처리하는 절차도 이다.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가입자(~61)가 해외 여행 중에 자신의 한국 내 CID 정보나 해외 현지의 이동통신 CID 정보를 한국에 거주하는 이동통신 가입자나 유선전화 가입자 등 착신자에게 제공하면서 통화하는 절차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외에 여행중인 가입자가 복합단말기(~61)로 발신호를 생성하면(~301) 복합단말기는 이 전화 호가 CID이용자인지와 한국(국내)착신 호 여부를 확인(~302)한다. 만약 한국착신호가 아니라면 정상적인 현지 호처리 절차(~303)에 따라 처리한다. 그러나 한국착신 호라면 복합단말기는 우선 한국 내 착신가입자의 루팅정보와 발신가입자가 국내 착신자에게 전송할 선호하는 CID 번호를 단말기에 저장하게 한다(~304). 여기서 발신가입자는 이미 해외여행에 앞서 해외여행 중에 한국으로 전화할 경우 자신의 국내 이동통신번호나 방문국의 현지 이동전화 번호 중 어느 것을 한국의 착신가입자에게 알려줄 것인가를 결정하여 이를 복합단말기에 내장하고 있게 된다. 복합단말기는 선호 CID번호를 저장하고 나서 국제로밍사업자망의 Dummy Circuit의 대표번호로 자동발신을 수행한다(~305). 자동발신에는 현지에서의 국제망 식별번호를 선두로 하고 국가코드(82)에 Dummy대표번호 순으로 조합하여(~305) 국제호 루팅절차를 수행한다(~306). 그러면 이 호는 국제로밍사업자망의 유휴 Dummy Circuit 중 하나에 접속될 것이며(~307) 해당 회선이 호출신호를 수신하게 되면(~308) Dummy Circuit 이 자동응답(Soft Hook-Off) 되어 MODEM스위치가 작동하면서(~309) 해외발신자와 Dummy Circuit간에는 국제통화로가 연결된다(~310). Dummy Circuit이 응답했다는 신호를 접수한 복합단말기는 즉시 MODEM스위치를 동작하여 Dummy Circuit측으로 저장되었던 CID정보를 음성 변조하여 송출함과 동시에 가입자에게는 호출 중이라는 안내정보를 보낸다(~312). 음성변조된 CID정보와 국내 착신자 루팅정보는 음성통화로를 통하여(~313) IWF의 MODEM스위치를 경유하여 수신하고(~314)나면 즉시 또 다른 Dummy Circuit중에서 유휴회선을 점유하여 국내호 발신절차를 수행한다(~315). 국내호 발신절차는 최종 국내착신자에게 루팅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316). 만약 국내 착신가입자의 응답가능상태(~317)를 거쳐, 최종 착신자가 통화중이거나 무응답,결번 등의 사유일 경우(~318) IWF는 이 정보를 음성 변조하여 국제 통화로를 경유하여(~319) 발신가입자에게 송출하고 이를 수신한 발신측의 복합단말기는 이 사실을 발신자에게 알려주고(~320) 발신자는 이를 듣고 통화를 종료하게 되면서(~321) 이를 통해 개설되었던 국제 음성통화로는 복구하게 된다(~322). 그러나 착신자가 응답가능 상태라면 착신자 단말기에는 CID번호가 표시되면서 호출신호가 울리게 되고(~323), 호출신호가 일정시간 동안 울림에도 착신 가입자가 지정시간 내에 응답하지 않는다면(~324) 무응답(~325)으로 처리하여 발신측 가입자에게 음성변조하여 이를 통보하는 절차를 거쳐 (~319) 발신자로 하여금 통화를 종료하게 만든다. 그러나 착신자가 응답 하였다면(~316) 응답신호를 검출하고(~327) 착신자와 Dummy Circuit간에 국내 통화로를 접속하고(~328) 동작중인 MODEM스위치를 복구시키며(~329) 동시에 착신자 응답신호를 발신자 측에 음성변조로 전송하고(~330) 과금 처리한다(~331). 복합단말기는 착신자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즉시 MODEM스위치를 복구시키고(~332)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국내 및 국제 통화로가 모두 접속되어(~333)국내 착신자와(~334) 해외 발신자(~335)는 비로서 통화를 시작하게 된다. 통화 종료 이후에 복구되는 절차로 착신자의 통화종료로(~336) 국내구간 통화로가 복구되고, 발신자의 통화종료로(~337) 국제구간 통화로가 복구되어 모든 호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된다(~338).
도 11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가입자가 해외에서 국내착신 가입자에게 SMS,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절차도 이다.
복합단말기를 소지한 가입자(~61)가 해외 여행 중에 한국의 이동통신 가입자(~11)나 유선전화 가입자에게 SMS,MMS 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외에 여행중인 가입자가 복합단말기(~61)로 SMS,MMS 메시지를 작성하여 발신하면 (~401) 복합단말기는 이 발신 호가 한국(국내) 착신 호인지를 확인(~402)한다. 만약 국내 착신 호가 아니라면 방문국 현지에서 처리하는 메시지 전송이라 간주하여 현지 이동통신사의 일반적인 SMS,MMS 처리 절차(~403)에 따라 처리한다. 그러나 수신자가 국내가입자라면 우선 국내착신자 루팅정보와 SMS,MMS메시지를 저장하고(~404) 국내의 Dummy Circuit대표번호로 자동발신 절차를 수행한다(~405). 복합단말기가 국내 자동발신하는 루팅절차에는 국제망 식별번호를 최우선으로 하여 국가코드(82)와 Dummy Circuit 대표번호가 순차적으로 자동 추출되어 수행하게 된다(~406). 국제호 접속이 이루어지면 국제로밍사업자망의 유휴 Dummy Circuit에 접속되고(~407) 호출신호음을 수신하게 되면(~408) Dummy Circuit은 자동으로 응답하여 MODEM스위치를 작동하게 된다(~409). 착신측의 응답신호를 수신한 복합단말기는(~410) MODEM스위치를 작동시키고 발신자와 Dummy Circuit착신자 간에 국제통화로가 연결되어(~411) 최종 국내착신가입자 루팅정보와 SMS,MMS메시지를 추출하여 음성변조(~412)후 순차적으로 국제 통화로를 경유하여 전송한다(~413). 국제로밍사업자망의 IWF에서는 보내지는 정보를 수신하여 관련 DB에 저장하고 발신 측에 메시지수신완료확인(Ack)
정보를 송출하게 되며(~414), 발신측 복합단말기에서는 Ack신호를 수신완료 후(~415) 즉시 국제통화로의 연결해제 명령을 수행하면서(~416) Dummy Circuit과(~417) 연결된 국제통화로가 복구된다(~418). 한편 발신자로부터 SMS,MMS메시지를 수신한 국제로밍사업자망의 IWF는 국내 착신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호 처리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CID,SMS,MMS서버에서는 국내 착신자에게 SMS,MMS 전송을 위한 루팅절차를 수행하고 착신측에 저장된 SMS,MMS 메시지를 송출한다(~419). 그러면 SMS,MMS메시지는 기존 국내의 SMS,MMS루팅 절차에 따라(~420) 착신가입자의 응답여부를 확인(~421)하고 착신자가 응답불가 상태이면 재호출 단계(~422)를 거쳐 재호출 가정을 수행한다(~419). 그러나 만약 착신가입자가 응답하면 성공적으로 메시지가 송출된 것이 되어(~423) 과금하게 되고(~424) 착신가입자의 단말기에는 수신된 SMS,MMS 메시지가 표시되게 되면서(~425) 모든 처리 절차도가 종료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 업계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이러한 다양함과 변경은 다음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 내에서 고려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서로 다른 기술방식(CDMA,GSM)이나 주파수 대역(Band)을 갖는 국제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의 가입자 간에 CID 정보전송은 물론 SMS나 다양한 형태의 MMS 정보를 자유롭게 송/수신하는 것이다. 또한 갈수록 국가간에 해외여행이 빈번해지고 SMS나 MMS메시지를 이용하는 가입자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서는 해외의 그 어떤 국제망 사업자나 이동통신사업자와의 상호 제휴나 연동시설 없이도 자유롭게 해외여행자가 자신의 SMS 또는 MMS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해외여행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사업자 간에 문자메세지나 복합메세지 등의 표현방식 차이에서 오는 비 표준화 때문에 이종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 문제로 SMS,MMS메시지의 국제 간 전송에 많은 장애가 많았으나 이번에 발명되는 시스템을 활용할 경우 이들 사업자들 간의 프로토콜이나 표현방식의 차이에서 오는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서로 다른 정보표현방식 간의 상이함을 본 발명시스템을 통해 중계하면서까지 해외여행중인 고객의 욕구를 맞추어 줄 수 있어 그 응용 범위가 매우 넓다는 점이 커다란 효과이다.

Claims (10)

  1.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합기능 이동통신 단말기와 국제로밍사업자망(지능망) 간에 연결되는 국제 간의 음성통화로를 이용하여 CID,SMS,MMS 등 데이터 정보를 상호 간에 MODEM으로 음성 변조하여 순간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a)다중모드/다중대역 이동통신단말기능을 수행하면서 해외 체류시에 음성채널을 통하여 데이터전송이 가능하도록 CODEC과 송/수화기 사이에 MODEM스위치를 내장하는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
    b)공통선 신호망 기술과 가상번호체계를 이용하는 지능망(국제로밍사업자망)을 구성하는 장치로 해외 체류 복합이동통신 단말기와 국제로밍기능을 수행하는 SSP, SP, SCP, 국제로밍DB, 가입자정보 DB, 과금정보 DB;
    c)상기의 지능망(국제로밍사업자망)을 구성하는 장치로 해외에 체류중인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되는 국제음성통화로로 CID/SMS/MMS 등 데이터 정보를 MODEM스위치로 음성변조하여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정합장치(IWF);
    d)상기의 지능망(국제로밍사업자망)을 구성하는 장치로 전화 호의 발,착신 기능을 갖춘 다수의 회선으로 구성되는 다중전화 발,착신장치(Dummy Circuit);
    등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 1항 a)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되는 MODEM스위치는 CODEC과 송/수화기 사이에 위치하면서 MODEM과 스위치로 구성되며;
    MODEM은 데이터 정보를 음성 변조하여 음성통화로로 송,수신하는 장치로 데이터 입력 측은 단말기의 데이터 회로에 접속되고 음성변조신호 출력 측은 스위치에 접속되고;
    스위치는 CODEC, MODEM출력 측과 송,수화기 측에 각각 접속되어 자동응답기능(Soft hook-off)이 동작 중일 때에만 정합장치(IWF)의 MODEM스위치와 동기화되어 동작하면서 MODEM에서 음성변조된 CID,SMS,MMS 등 데이터 정보를 CODEC을 통하여 순간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송,수화기 측에 접속하면서 단말기 가입자의 음성신호를 CODEC으로 전송하게 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 1항 c)에 있어서,
    상기 국제로밍사업자망(지능망)의 정합장치(IWF)는,
    SSP와 국제통신망 사이에 위치하면서 해외체류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와 국제로밍사업자망 간에 CID,SMS,MMS 정보를 국제음성통화로를 통하여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국제로밍사업자망의 SCP와 접속하면서 CID,SMS,MMS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CID/SMS/MMS 서버와, 이들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SMS-DB, MMS-DB, CID-DB;
    SSP와 ISC 양단의 음성통화에 각각 위치하면서 다중화된 통화회선을 분리,통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MUX/DEMUX;
    MUX/DEMUX 에서 분리된 개개의 음성통화로에 각각 접속하면서 디지틀-아날로그-디지틀 으로의 변환과정을 각각 수행하는D/A Converter와 A/D Converter;
    그리고 D/A Converter와 A/D Converter 사이에 위치하면서 CID/SMS/MMS 서버와 접속하여 가입자의 복합기능 단말기가 자동응답기능(Soft Hook-off)이 동작중일 경우에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의 MODEM스위치와 동기화하여 CID,SMS,MMS정보를 MODEM으로 음성변조하여 국제음성통화로를 통하여 순간적으로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MODEM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 1항 d)에 있어서,
    상기 국제로밍사업자망(지능망)의 다중전화발/착신장치(Dummy Circuit)에는,
    대표번호를 가진 발,착신할 수 있는 다수의 전화회선으로 종단되어 지능망의 명령에 따라 순차적으로 국내,외 호를 발,착신하는 기능;
    Dummy Circuit 에 착신되는 호에 대하여는 자동응답하여 이를 정합장치(IWF)에 전달하는 기능;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5.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내,외 이동통신 발신가입자와 착신 가입자 간의 발신과정과 착신과정이 수행되는 방법으로는;
    a)국내발신가입자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해외 착신 가입자에게 CID기능이 추가된 전화 호를 처리하는 방법;
    b)국내발신가입자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해외 착신 가입자에게 SMS,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c)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가입자가 해외에서 국내 착신 가입자에게 CID기능이 추가된 전화 호를 처리하는 방법;
    d)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가입자가 해외에서 국내 착신 가입자에게 SMS,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5항 a)에 있어서,
    국내발신가입자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해외 착신가입자에게 CID기능이 추가된 전화 호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발신가입자 호가 해외로 착신전환되는 호일 경우에는 국제로밍사업자망이 해외 착신호를 1차로 정합장치(IWF)의 Dummy Circuit으로 착신전환하여 최종 착신자 루팅정보와 관련 CID정보를 수신하여 CID/SMS/MMS서버를 경유, 이를 통합하여 CID-DB에 저장하는 과정;
    국제로밍사업자망은 수신된 최종 착신자 루팅정보를 근거로 유휴 Dummy Circuit을 점유하여 해외 착신자에게 국제호 발신절차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과정;
    해외 체류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가 Dummy Curcuit에서 발신되는 착신호를 수신하면 즉시 내장된 자동응답기능( Soft Hook-off)기능을 작동하여 IWF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에 각각 내장된 MODEM스위치를 동기화 동작하게 하여 음성변조된 CID정보를 연결된 음성통화로로 상호 간에 송,수신하는 과정;
    해외체류 착신가입자가 호출신호음에 따라 응답시에는 IWF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의 MODEM스위치를 복구하여 국제통화로를 구성하여 정상적인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과정;
    만약 해외체류 착신가입자가 호출신호음에 따라 일정시간 응답하지 않을 경우에는 국제로밍사업자망은 강제적으로 MODEM스위치를 복구하게 하여 연결된 국제통화로를 복구하고 발신호 처리를 종료하는 과정;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5항 b)에 있어서,
    국내발신가입자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해외 착신 가입자에게 SMS,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발신가입자 호가 해외로 착신전환되는 SMS,MMS메세지일 경우에는 국제로밍사업자망이 정합장치(IWF)의 Dummy Circuit으로 착신전환으로 수신하여 최종 착신자 루팅정보와 관련 SMS,MMS 정보를 CID/SMS/MMS서버를 경유, SMS-DB, MMS-DB에 각각 저장하는 과정;
    국제로밍사업자망은 수신된 최종 착신자 루팅정보를 근거로 최종 해외 착신자에게는 Dummy Circuit을 점유하여 해당 DB에 저장된 SMS,MMS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국제호 발신절차를 수행하는 과정;
    해외 체류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가 모국에서 발신되는 착신호를 수신하면 내장된 자동응답기능( Soft Hook-off)기능을 작동하여 IWF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MODEM스위치를 통해 순간적으로 접속하여 해당 SMS,MMS 정보를 음성변조로 상호 간에 송,수신하는 과정;
    해외체류 착신 복합기능 이동통신가입자로부터 해당 SMS,MMS메세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수신완료확인메세지(ACK)를 수신하면 국제로밍사업자망은 즉시 국제호 연결을 해지하여 국제통화로를 강제로 복구하여 주는 과정;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5항 c)에 있어서,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가입자가 해외에서 국내 착신 가입자에게 CID기능이 추가된 전화 호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해외체류 가입자가 한국의 착신자에게 국내 이동통신번호나 방문국의 현지 이동통신 번호 중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CID번호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는 과정;
    해외체류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 가입자가 국내로 착신되는 국제호를 생성시에는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는 국내 착신호의 루팅정보를 시스템에 저장하고, 사전에 지정한 국제로밍사업자망의 국내 Dummy Circuit 대표번호로 자동발신 호를 생성, 접속하는 과정;
    국제로밍사업자망의 IWF에서는 Dummy Circuit으로 접속된 해외발신호를 자동응답(Soft Hook-Off)기능으로 수신하여 양단에 설치된 MODEM스위치를 동작하여 통화로를 통하여 음성변조된 선호하는 CID정보와 국내 착신가입자 루팅정보를 수신,이를 CID/SMS/MMS서버를 경유하여 CID-DB에 통합하여 저장하는 과정;
    국제로밍사업자망에서는 해외 발신가입자와 국제통화로 연결을 유지하면서 수신된 착신가입자 루팅정보를 이용하여 즉시 국내 착신 가입자에게 Dummy Circuit으로 정상적인 국내 전화호 발신절차를 수행하여 CID-DB에 저장된 발신자의 CID정보를 국내 착신자에게 전송해 주는 과정;
    국내 착신자가 응답시에는 즉시 IWF와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자 응답신호를 송출하여 MODEM스위치를 복구하게 하고 국내 착신자와 해외체류 복합기능 이동통신가입자 간에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Dummy Circuit을 경유하는 음성통화로를 접속하고 과금하는 과정;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5항 d)에 있어서,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가입자가 해외에서 국내 착신 가입자에게 SMS,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해외체류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 가입자가 국내 착신가입자에게 SMS,MMS메세지를 전송하면, 복합기능 이동통신단말기는 국내 착신호의 루팅정보를 시스템에 저장하고, 사전에 지정한 국제로밍사업자망의 국내 Dummy Circuit 대표번호로 자동발신 호를 생성, 접속하는 과정;
    국제로밍사업자망의 IWF에서는 Dummy Circuit으로 접속된 해외발신호를 자동응답(Soft Hook-Off)기능으로 수신하여 양단에 설치된 MODEM스위치를 동작하여 통화로를 통하여 음성변조된 SMS,MMS 정보와 국내 착신가입자 루팅정보를 수신,이를 CID/SMS/MMS서버를 경유하여 SMS-DB, MMS-DB에 각각 저장하는 과정;
    국제로밍사업자망에서는 해외발신자로부터 SMS,MMS 메세지를 수신완료하면 해외발신가입자에게 메세지수신완료신호(Ack)를 송출하여 국제통화로의 연결을 해제하게 하면서, 수신된 착신가입자 루팅정보를 이용하여 해외발신가입자가 전송한 SMS,MMS 메세지를 SMS-DB, MMS-DB에서 추출하여 즉시 국내 착신 가입자에게 전송해 주면서 과금하는 과정;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국제로밍사업자망과 IWF, Dummy Circuit 등은 지능망 기술기반의 가상번호시스템으로 별도로 구성하거나 또는 이동통신망의 일부 또는 국제통신망의 일부로 상기의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CID,SMS,M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050070496A 2005-08-02 2005-08-02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발신번호표시기능,단문메세지서비스,멀티미디어메세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674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496A KR100674592B1 (ko) 2005-08-02 2005-08-02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발신번호표시기능,단문메세지서비스,멀티미디어메세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496A KR100674592B1 (ko) 2005-08-02 2005-08-02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발신번호표시기능,단문메세지서비스,멀티미디어메세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4592B1 true KR100674592B1 (ko) 2007-01-25

Family

ID=3801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496A KR100674592B1 (ko) 2005-08-02 2005-08-02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발신번호표시기능,단문메세지서비스,멀티미디어메세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052B1 (ko) 2007-02-01 2007-12-04 조현준 에스엠에스 콜백 서버를 이용한 국제 로밍 시스템 및 방법
KR100974501B1 (ko) 2008-11-11 2010-08-10 주식회사 케이티 국제 문자메시지 착신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052B1 (ko) 2007-02-01 2007-12-04 조현준 에스엠에스 콜백 서버를 이용한 국제 로밍 시스템 및 방법
KR100974501B1 (ko) 2008-11-11 2010-08-10 주식회사 케이티 국제 문자메시지 착신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0461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 callback/callback reminder feature
AU68891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all setup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ing signaling aided redialing
CN100461949C (zh) 一种呼叫处理方法、终端设备及通信系统
CN101146266B (zh) 为用户增加特殊用途号码的方法及系统
NO328560B1 (no) Automatisk frakobling i ringetilstand for anrop fra bruker som ikke har kreditt
WO1998054882A1 (en) User controlled call setup through manual switchboard
EP103222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asi mobile telephone service
CN102197700B (zh) 通信系统和方法
KR100680662B1 (ko) 해외 로밍 자동 착신전환 시스템 및 해외 로밍 방법
KR100674592B1 (ko) 국제 간의 이종 이동통신시스템 가입자 상호 간에 발신번호표시기능,단문메세지서비스,멀티미디어메세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
CN101626558B (zh) 一种移动手机免打扰系统
JP3144762B2 (ja) 電気通信接続の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469609B1 (ko) 유무선 연동 불완료 호 발신정보 제공 서비스 장치 및 방법
EP2311278B1 (en) Call rou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2003003922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착신 전환 방법
US20070133775A1 (en) Method for reducing the cost of handling incoming/outgoing phone calls
KR100456826B1 (ko) 방문국 가입 휴대전화의 렌탈형 국제 이동통신 로밍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US7746996B1 (en) Telephone hold feature
KR20000019457A (ko) 분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호 제어 방법
KR100559467B1 (ko) 이동통신망의 지능망을 이용한 착신단말기 상태정보제공방법
KR100586898B1 (ko) 호 전환 기능을 이용한 자동 임대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74335B1 (ko) 지능망에서 통화자간 자동연결 방법
KR100856999B1 (ko)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JPH11317812A (ja) 少なくとも一つの固定無線電話端末に接続された電話交換機に接続された複数のユ―ザ端末の中から被呼端末を識別する装置
KR100704956B1 (ko) 분실 이동 단말기 회수 및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