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706B1 -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706B1
KR100673706B1 KR1020050040208A KR20050040208A KR100673706B1 KR 100673706 B1 KR100673706 B1 KR 100673706B1 KR 1020050040208 A KR1020050040208 A KR 1020050040208A KR 20050040208 A KR20050040208 A KR 20050040208A KR 100673706 B1 KR100673706 B1 KR 10067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ironmental
refrigerator
state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716A (ko
Inventor
신종민
배순철
김용태
이수원
심재성
김은정
박은영
권영철
손구영
윤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706B1/ko
Publication of KR2006011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0Od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4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refrigerator or freez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장고 내외에 설치된 감지수단으로부터의 환경상태에 따른 환경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은 냉장고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어 환경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환경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환경상태와 기준환경정보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른 환경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냉장고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환경정보 제공시스템{ENVIRONMENT INFORMATION SUPPLY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표시부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의 환경정보 제공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냉장고 200: 인터넷
300: 신고서버
본 발명은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장고 내외에 설치된 감지수단으로부터의 환경상태에 따른 환경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냉장고에 관한 정보의 제공 및 냉장고 제어를 위해 LCD 패 널과 같은 표시부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표시부를 통하여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냉장실의 고내 온도, 냉동실의 고내 온도, 디스펜서의 서비스 상태(물, 조각 얼음 등)를 숫자, 문자 또는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고내 온도 및 디스펜서의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예를 들면, 버튼 등)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표시부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표시부는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각얼음, 물, 조각얼음)와, 냉동실의 설정온도, 냉장실의 설정온도를 표시하고, 하단에 소정의 입력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냉장고 내외부의 환경상태를 감지하거나, 그 감지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된 냉장고 내부 및/또는 외부에 환경상태를 감지하도록 하고, 그 환경상태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의 환경상태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이 환경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 내의 마이콤이 환경상태의 개선방안을 실행하도록 하여 신속한 환경개선을 수행하는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의 환경상태를 판단하여, 위험 상황일 때 소정의 신고센터로 보고하는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은 냉장고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어 환경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환경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환경상태와 기준환경정보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른 환경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냉장고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냉장고는 상기 환경상태와 기준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기준환경상태와 환경상태를 판독하여, 이들의 비교결과인 환경정보에 따라 정상 상태 또는 위험 상태로 판단하여 그에 따른 메시지를 상기 표시수단에 추가적으로 표시하는 마이콤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은 가스, 온도, 습도, 냄새, 먼지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환경상태의 개선방안을 포함하는 환경개선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환경개선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환경정보에 대응하는 환경개선방안을 검색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통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이콤이 상기 개선방안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외부의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마이콤은 상기 위험 상태의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외부의 신고서버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은 댁 또는 건물(1) 내의 냉장고(100)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환경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SM1 내지 SM4)과, 감지수단(SM1 내지 SM4)으로부터 환경상태를 획득하고, 이 획득된 환경상태와 기저장된 기준환경상태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인 환경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소정의 경우에 위험 상태를 신고서버(300)에 알리는 냉장고(100)와, 냉장고(100)와 신고서버(30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넷(200)과, 냉장고(100)로부터 인터넷(200)을 통하여 위험 상태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대응 조치를 수행하는 신고서버(300)로 이루어진다.
자세하게는, 이 감지수단(SM1 내지 SM4)은 댁(1) 내에 설치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0) 내부에 설치되거나, 냉장고(100)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감지수단(SM1 내지 SM4)은 댁(1) 내 및/또는 냉장고(100) 내부의 환경상태를 감지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환경상태는 가스, 온도, 습도, 냄새, 먼지 등에 관한 정보 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히 감지수단(SM1 내지 SM4)은 가스의 감지를 위해서 가스렌지(미도시) 주변에 설치되어 가스의 양을 감지하거나, 냄새를 감지하기 위해 냉장고(100) 내부 및/또는 싱크대 및/또는 가스렌지 및/또는 전열기 주변에 설치되어 냄새의 종류 및/또는 정도를 감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스 감지는 LNG 가스 또는 LPG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것이고, 온도 감지는 댁 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고, 냄새 감지는 냉장고(100) 내부의 냄새 감지 및/또는 연기의 감지를 위한 것이고, 먼지 감지는 댁(1) 내의 공기 청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 등이다. 이 환경상태는 각각이 소정의 수치로 감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냉장고(100)는 감지수단(SM1 내지 SM4)으로부터 수신된 환경상태의 각 수치와, 기저장된 기준환경상태의 각 수치를 비교하여, 환경상태가 기준환경상태의 범위 내(즉, 정상 상태)에 있는지 아니면 범위를 벗어나 있는지(즉, 위험 상태)를 나타내는 비교결과인 환경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는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댁(1) 내 및/또는 냉장고(100) 내의 환경상태 및/또는 환경정보를 인지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냉장고(100)는 이 환경정보로부터 환경상태 중에서 치명적인 위험을 지닌 요소(예를 들면, 온도 감지, 댁내의 냄새 감지 등)의 경우, 이 위험 상태를 인터넷(200)을 통하여 신고서버(300)에 보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인터넷(200)은 예를 들면,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와 같은 광대역 네트워크 및/또는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모든 구성요소(예를 들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서버 등)를 포함하는 총괄적인 개념으로 인식되어야 한 다.
다음으로, 신고서버(300)는 소방 시스템과 연동되는 서버 또는 소방 시스템의 서버이거나, 경찰 시스템 또는 경비 시스템과 연동되는 서버 또는 경찰 시스템의 서버 또는 경비 시스템의 서버 등으로, 위험상태에 대한 보고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대응조치를 취한다. 여기서, 대응조치는 소방차 및/또는 구급차의 출동, 경찰관의 출동 등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은 댁(1) 내에 설치되되, 냉장고(100)의 외부에 설치된 감지수단(SM1 내지 SM3)과, 냉장고(100)의 내부에 설치된 감지수단(SM4)과 냉장고(100)를 포함한다
또한, 냉장고(100)는 사용자로부터의 환경정보 제공서비스의 선택 등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10)과, 환경상태와 비교되는 기준환경상태와, 환경개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20)과, 인터넷(2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30)과, 사용자에게 환경상태 및/또는 환경정보 및/또는 환경개선방안을 표시하는 표시수단(40)과,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감지수단(SM1 내지 SM4)으로부터 감지된 환경상태를 수신하여, 이를 기준환경상태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인 환경정보 및/또는 환경개선방안을 판단하여 표시수단(40)에 표시하는 마이콤(50)으로 이루어진다. 이 냉장고(100)는 냉동 냉장 제어 동작 등을 수행하는 메인 마이콤(미도시)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메인 마이콤과 마이콤(50) 간에는 통신선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또는, 냉장고(100)는 마이콤(50)을 통 하여 냉동 냉장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전원공급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각 구성요소에 요구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자세하게는, 입력수단(10)은 댁(1) 내의 및 냉장고(100) 내부의 환경상태에 대한 감지 및 이 감지된 수치에 대한 판단인 환경정보에 제공 서비스를 사용자가 선택한 때, 이를 마이콤(50)에 그 선택여부를 송신한다. 또한, 입력수단(10)은 저장수단(20)에 저장된 기준환경상태를 사용자의 임의 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기준환경상태의 각 수치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여 마이콤(50)으로 송신한다.
다음으로, 저장수단(20)은 환경상태의 각 수치에 대한 기준치인 기준환경상태를 저장한다. 이 기준환경상태는 환경상태와 동일하게 가스, 온도, 습도, 냄새, 먼지 등에 대한 기준치를 포함하며, 이 기준치들은 환경부 또는 환경단체 또는 국제환경기구 등의 권장치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기준환경상태는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더 강화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수단(20)은 환경정보에 대응하여 환경상태의 개선방안을 포함하는 환경개선정보를 포함한다. 이 환경개선정보는 환경정보에 포함된 위험 상태의 경우, 가스, 온도, 습도, 냄새, 먼지 등의 수치를 감소시키는 방법인 개선방안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이 개선방안은 예를 들면, 가스의 경우, 댁(1) 내의 환기 방법이, 온도의 경우, 보일러의 온도 재설정 또는 환기 방법이, 습도의 경우, 보일러의 가동 또는 환기 방법이, 냄새의 경우, 냉장고(100) 내부의 환기 및 청소 또는 댁내의 환기 방법이, 먼지의 경우, 댁내의 환기 방법 또는 공기청정기의 가동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 환경개선정보는 정상 상태의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댁 (1) 내 또는 냉장고(100) 내의 환경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상술된 환경개선정보가 사용된다.
또한, 저장수단(20)은 상술된 환경정보 제공 서비스의 선택과, 기준환경상태의 변경 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통신수단(30)은 냉장고(100)의 마이콤(50)과 인터넷(200)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유무선 모뎀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냉장고(100)에 내장 또는 외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이콤(50)은 감지수단(SM1 내지 SM4)으로부터의 환경상태의 각 수치와 입력수단(10)으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51)와, 수신된 환경상태와 기저장된 기준환경상태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인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추가적으로 이 환경정보에 따라 기저장된 환경개선방안 중에서 적절한 환경개선방안을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52)와, 생성된 환경정보 및/또는 환경개선방안을 표시수단(40)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53)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며, 저장수단(20)으로부터 기준환경상태 및/또는 환경개선정보를 판독하고, 데이터 수신부(51)로부터 각 수치를 수신하여, 이들을 데이터 처리부(52)로 하여금 환경정보 및/또는 환경개선방안을 생성하도록 하고, 이 환경정보 및/또는 환경개선방안을 데이터 송신부(53)에 송신하는 데이터 제어부(54)로 이루어진다. 이 마이콤(50)의 구체적인 동작 수행은 하기의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4는 도 2의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의 환경정보 제공 순서도이다.
자세하게는, 단계(S41)에서, 감지수단(SM1 내지 SM4)은 각 소자의 특성에 따 른 환경상태의 수치를 감지하여 데이터 수신부(51)로 송신하고, 데이터 제어부(54)는 데이터 수신부(51)로부터 감지된 환경상태를 수신한다. 이때, 데이터 제어부(54)는 입력수단(10)으로부터의 사용자에 의한 환경정보 제공 서비스의 선택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선택되었으면 단계(S41)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 수신부(51)가 수신을 거부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S42)에서, 데이터 제어부(54)는 저장수단(20)으로부터 기준환경상태를 판독하여, 감지된 환경상태와 함께 데이터 처리부(52)로 송신한다. 이에 데이터 처리부(52)는 감지된 환경상태와 기준환경상태를 비교하여, 이 감지된 환경상태가 기준환경상태의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속하면 단계(S4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44)로 진행한다.
단계(S43)에서, 데이터 처리부(52)는 정상 상태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데이터 제어부(54)로 송신하고, 데이터 제어부(54)는 데이터 송신부(53)로 감지된 환경상태 및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환경정보를 송신하여 표시수단(40)에 표시되도록 한다.
단계(S44)에서, 데이터 처리부(52)는 위험 상태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데이터 제어부(54)로 송신하고, 데이터 제어부(54)는 데이터 송신부(53)로 감지된 환경상태 및 위험 상태를 나타내는 환경정보를 송신하여 표시수단(40)에 표시되도록 한다.
단계(S45)에서, 데이터 제어부(54)는 저장수단(20)으로부터 환경개선정보를 판독하여, 데이터 처리부(52)로 송신한다. 이에 데이터 처리부(52)는 환경개선정보 에 기생성된 환경정보에 대응하는 환경개선방안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만약 있으면 단계(S46)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종료된다.
단계(S46)에서, 데이터 처리부(52)는 대응하는 환경개선방안을 검색하여 데이터 제어부(54)로 송신한다. 이에 데이터 제어부(54)는 데이터 송신부(53)로 환경개선방안을 송신하여 표시수단(40)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술된 순서도에서, 데이터 제어부(54)는 저장수단(20)으로부터 환경정보 제공 서비스의 선택 또는 기준환경상태의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판독하여, 데이터 송신부(53)로 송신하여 표시수단(40)에 표시하고, 입력수단(10)으로부터의 선택 여부 입력 및 변경된 수치를 데이터 수신부(51)로부터 수신하여 저장수단(20)에 저장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제어부(54)는 단계(S44) 또는 단계(S46)에서 위험 상태를 포함하는 환경정보의 경우, 그 위험상태가 사용자의 행동에 의해 제어될 수 없을 정도의 위험의 경우(예를 들면, 가스의 감지 수치가 화재의 위험이 있을 정도인 경우, 실내 온도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등), 통신수단(30)을 통하여 위험상태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인터넷(200)을 통하여 신고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댁(1) 내의 전기 기기(예를 들면, 가스 조절 밸브, 보일러 컨트롤러, 창문 개폐 컨트롤러 등)가 소정의 홈 네트워크로 구성되고, 냉장고(100)가 이 홈 네트워크에서 마스터 디바이스의 기능을 수행할 때(이때, 홈 네트워크 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수단이 냉장고(100)에 추가적으로 구비됨)는, 데이터 제 어부(54)가 각 전기 기기로 환경개선방안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예를 들면, 가스의 폐쇄, 보일러의 동작 또는 동작 중지, 창문의 개방 등)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환경개선방안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된 냉장고 내부 및/또는 외부에 환경상태를 감지하도록 하고, 그 환경상태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항시 환경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의 환경상태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이 환경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댁내 및/또는 냉장고 내의 환경을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 내의 마이콤이 환경상태의 개선방안을 실행하도록 하여 신속한 환경개선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의 환경상태를 판단하여, 위험 상황일 때 소정의 신고센터로 보고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냉장고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어 환경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환경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환경상태와 기준환경정보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인 환경정보에 대응하는 환경개선방안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냉장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환경상태 및 기준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기준환경상태와 환경상태를 판독하여, 이들의 비교결과인 환경정보에 따라 정상 상태 또는 위험 상태로 판단하여 그에 따른 메시지를 상기 표시수단에 추가적으로 표시하는 마이콤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가스, 온도, 습도, 냄새, 먼지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환경상태와, 기준환경정보 및 환경개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환경개선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환경정보에 대응하는 환경개선방안을 검색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통하여 표시하는 마이콤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환경개선방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외부의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7. 냉장고 내부 및 외부의 환경상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상태와 기준환경정보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인 환경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정보에 대응하는 환경개선방안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환경정보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방법은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정상 상태 또는 위험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와, 그에 따른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환경정보 제공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방법은 상기 냉장고가 상기 환경개선방안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환경정보 제공방법.
KR1020050040208A 2005-05-13 2005-05-13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KR10067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08A KR100673706B1 (ko) 2005-05-13 2005-05-13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08A KR100673706B1 (ko) 2005-05-13 2005-05-13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716A KR20060117716A (ko) 2006-11-17
KR100673706B1 true KR100673706B1 (ko) 2007-01-24

Family

ID=3770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208A KR100673706B1 (ko) 2005-05-13 2005-05-13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7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649B1 (ko) 2012-02-27 2013-05-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식 기반의 스마트 냉장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7213367A1 (ko) * 2016-06-09 2017-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황인식에 기반하여 신선도를 관리하는 냉장고, 서버, 포터블 장치 및 신선도를 관리하는 방법
US11768031B1 (en) 2022-08-02 2023-09-2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and methods for responding to ambient humidity level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649B1 (ko) 2012-02-27 2013-05-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식 기반의 스마트 냉장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7213367A1 (ko) * 2016-06-09 2017-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황인식에 기반하여 신선도를 관리하는 냉장고, 서버, 포터블 장치 및 신선도를 관리하는 방법
US10989463B2 (en) 2016-06-09 2021-04-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ontrolling freshness on basis of context awarenes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reshness
US11768031B1 (en) 2022-08-02 2023-09-2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and methods for responding to ambient humidity lev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716A (ko) 200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99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ter leak detection
US11391510B2 (en) Device of detecting abnormal state and method of detecting thereof
CN111126632B (zh) 一种家电故障预测方法、预测装置、冰箱及存储介质
US75799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sources and ventilating systems during high carbon monoxide conditions
US73424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ome awareness
US11790747B2 (en) Building health analysis and management system
KR101843639B1 (ko) 상황인식에 기반하여 신선도를 관리하는 냉장고, 서버, 포터블 장치 및 신선도를 관리하는 방법
US72656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low battery warnings for smoke detectors and the like
KR100683313B1 (ko) 홈 서버에서의 진동 또는 소음 경고방법
JP7078437B2 (ja) 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機器システム
US20160004231A1 (en) Method of managing electrical device, managing system, electrical device, operation terminal, and program
TW201516641A (zh) 消耗電力輸出裝置
KR100673706B1 (ko)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JP4887670B2 (ja) 通信システム
JP2006079311A (ja) 情報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6905869B2 (ja) 家電機器システム、家電機器の診断方法、及び端末機器
JP2009139105A (ja) 家庭用地震判定装置及び家電機器システム
JP201317501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2019145005A (ja) 警報システムおよび集中監視システム
KR101852633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806059A1 (en) Carbon monoxide detection system
CN100552332C (zh) 环境信息提供系统
KR102211602B1 (ko) 상관 계수 기반 센서 및 구동기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1319011U (zh) 一种家居智能控制系统
US20230231757A1 (en) Actuating an iot device on a fluid tank or gas usage device remote monitoring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