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651B1 -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651B1
KR100673651B1 KR1020010008468A KR20010008468A KR100673651B1 KR 100673651 B1 KR100673651 B1 KR 100673651B1 KR 1020010008468 A KR1020010008468 A KR 1020010008468A KR 20010008468 A KR20010008468 A KR 20010008468A KR 100673651 B1 KR100673651 B1 KR 100673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data
str
contro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200A (ko
Inventor
노다타쿠로
타케나카요시아키
타카쿠요시유키
이노우에히라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3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5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with control bus for exchanging commands between un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ower Sour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소정의 통신포맷에 따라 버스를 거쳐서 제어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서 제어장치와 다른 제조회사를 포함한 복수의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원의 연동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들 중 어느 하나가 제어장치에 의해 입력으로서 그 제조회사와 상관없이 선택되고, 제어장치하고만 링크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이 전자기기의 전원은 제어장치와 연동으로 온/오프된다.

Description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Controll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AV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STR의 프론트패널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STR대응CD기의 프론트패널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STR대응MD기의 프론트패널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STR의 내부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STR대응CD기의 내부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STR대응MD기의 내부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대응하는 IEEE1394의 레이어 스택모델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IEEE1394에 사용되는 케이블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a는 IEEE1394에서의 DATA신호의 신호전송형태를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도 10b는 IEEE1394에서의 STROBE신호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0c는 IEEE1394에서의 CLOCK신호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1은 IEEE1394에서의 버스접속규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a는 버스리셋 형성시에 버스리셋통지가 어떻게 송신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천이도(transition diagram)이다.
도 12b는 친자(親子)관계가 버스리셋 후에 기기들 사이에서 어떻게 정의되는지를 나타낸 천이도이다.
도 12c는 기기들의 노드 ID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나타낸 천이도이다.
도 13은 IEEE1394포맷에서의 사이클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a는 비동기통신 상에서의 기본 트랜젝션룰을 나타낸 천이도이다.
도 14b는 전송된 트랜젝션요구의 내용을 리스트화한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a는 IEEE1394버스를 위한 버스어드레스레지스터에서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b는 IEEE1394버스를 식별하기 위한 버스 ID에서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c는 IEEE1394버스배열에 연결된 기기들에게 할당된 노드 ID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d는 IEEE1394버스를 위한 레지스터공간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e는 IEEE1394버스를 위한 레지스터어드레스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은 CIP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7은 플러그에 의해 결정된 전형적인 접속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8a는 출력플러그 제어레지스터(oPCR[n])에서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8b는 입력플러그 제어레지스터(iPCR[n])에서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9는 명령(command)/응답(response) 레지스터에 메시지가 기입될 때 수행되는 처리천이도이다.
도 20은 비동기패킷에서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1은 c 타입(type)/응답(response)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22a는 서브유닛 타입(subunit type)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22b는 서브유닛 타입(subunit type)이 VCR일 경우 이용되는 동작코드에서의 커멘드들의 테이블이다.
도 23은 비동기플러그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24a는 플러그어드레스공간의 위치와 접속된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b는 플러그어드레스공간의 위치에 관한 노드오프셋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c는 플러그어드레스공간의 위치와 관련한 플러그데이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a는 플러그어드레스에서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b는 플러그어드레스에서의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c는 어드레스오프셋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26a는 생산자(producer) 측 상의 플러그어드레스에서의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6b는 소비자(consumer) 측 상의 플러그어드레스에서의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은 생산자 및 소비자 사이의 커멘드 트랜젝션의 천이도이다.
도 28은 노드분류처리를 구성하는 단계들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9는 모델결정처리를 구성하는 단계들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0은 전원오프연동동작의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들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1은 전원오프연동동작의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들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2는 전원오프연동동작의 부분을 구성하는 또 다른 단계들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3은 전원온연동동작의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들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4는 POWER CONTROL 커멘드의 전형적인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STR대응 MD기 30. STR대응 CD기
60. STR 120,130,150. 전원키
49,25. IEEE1394인터페이스 75,47,24. 표시부
127,156,140. 표시키(display key)
본 발명은 소정의 통신포맷에 따라 버스를 거쳐서 제어장치에 연결되고, 제어장치와 같은 제조회사(vendor)에 의해 제조되는 전자기기와, 이와 비슷하게 제어장치에 연결되고 제어장치와 다른 제조회사로부터의 전자기기에 대한 동기화된 전원온/오프의 제어(전원온/오프 연동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1394 데이터인터페이스가 디지털데이터인터페이스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IEEE1394데이터인터페이스는 데이터전송률에 있어서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보다 빠르며, 등시(isochronous) 통신이 가능하여, 소정 크기의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이 때문에, IEEE1394데이터인터페이스는 실시간으로 AV(audio/video)데이터와 같은 스트림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이점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을 배경으로서, IEEE1394와 같은 데이터인터페이스 규범에 따라 데이터버스를 거처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와 각종의 데이터AV장치들을 서로 연결하는 AV시스템들이 제안되어 왔다.
종래의 AV시스템들은 아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동기화된 방식(연동방식)으 로 그들의 컴퍼넌트장치들의 스위치(전원)를 온/오프한다.
오디오컴퍼넌트시스템으로 널리 알려진 통상의 AV시스템들은 여러 컴퍼넌트들(예를 들어 음악소스기록/재생장치, 증폭기 등)을 하나의 통합적인 오디오기기로 결합함으로써 구성된다. 그러한 오디오컴퍼넌트시스템의 주전원이 켜지거나 꺼지면, 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컴퍼넌트들은 소위 제어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로컬내부버스를 사용하여 동기적으로 켜지거나 꺼지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엠프(증폭기) 등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는 동기(연동) 타입의 전원콘센트에 대하여 다른 AV기기의 전원을 접속하여 둔 시스템컴퍼넌트도 오랜전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설치에 의해, 각 기기 사이의 전원의 온/오프가 엠프와 동기(연동)하도록 된다.
IEEE1394와 같은 데이터인터페이스규범에 의하면, 원리적으로 제조회사가 다름에 상관없이 장치들이 IEEE1394인터페이스기능을 가지고만 있다면 그 장치들 사이에서 상호통신이 가능하다. 즉, IEEE1394데이터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컴퍼넌트장치들은 각각 시스템의 데이터버스에 연결되어 있는 독립적인 장치로서 간주된다.
이 장치들 각각은 상업용 AC전원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즉, 시스템이 구축될 때, 이 컴퍼넌트장치들은 동기적으로 제어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호접속방식으로 전원온/오프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IEEE1394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컴퍼넌트장치들이 분리된 방들에 설치될 경우, 이 장치들은 동기제어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온/오프할 수 없게 된다.
전형적인 오디오컴퍼넌트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같은 제조회사로 제조된 특정 모델들이나 같은 시리즈의 장치들을 상호접속하는 IEEE1394데이터인터페이스 상에서 AV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컴퍼넌트장치들은 일반적으로 공통의 데이터버스 상에 있는 독립적인 장치로서 간주되며, 따라서, 전원이 동기적으로 온/오프되지 않을 것이다. 조작의 용이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보면, 그러한 AV시스템에 있어서 그 컴퍼넌트들의 전원을 상호접속(interconnected) 방식으로 온/오프하는 것은 분명히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련기술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관점에 의하면, 소정의 통신포맷에 따라 버스를 거쳐서 제어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와 다른 제조회사를 포함한 복수의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원의 연동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가 전원오프연동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조작부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부가 수행되면,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된 상기 전자기기들 중 어느 것이 상기 제어장치 이외의 어느 전자기기와 링크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제 1결정부와;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된 것으로 상기 제 1결정부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 이외의 어느 전자기기와도 링크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전자기기 각각의 전원을 연동(동기)하여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소정의 통신포맷에 따라 버스를 거쳐서 제어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와 다른 제조회사를 포함한 복수의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원의 연동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가 전원온연동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조작부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부가 수행되면,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된 상기 전자기기들 중 어느 것이 상기 제어장치와 링크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제 1결정부와;
상기 제 1결정부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와 링크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전자기기 각각의 전원을 연동하여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들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다음과 같은 순서로 설명한다.
1. AV시스템
1-1. 전체구성
1-2. STR(프론트패널)
1-3. CD기(프론트패널)
1-4. MD기(프론트패널)
1-5. STR(내부구조)
1-6. CD기(내부구조)
1-7. MD기(내부구조)
2. IEEE1394에 의한 본 실시예의 데이터통신
2-1. 개요
2-2. 스택모델
2-3. 신호전송형태
2-4. 장치들간의 버스접속
2-5. 패킷
2-6. 트랜젝션규칙(transaction rule)
2-7. 어드레싱(addressing)
2-8. CIP(common isochronous packet)
2-9. 접속관리(connection management)
2-10. FCP에서의 커멘드(command) 및 응답(response)
2-11. AV/C 커멘드패킷
2-12. 플러그(plug)
2-13. 비동기 접속(asynchronous connection) 송신순서
3. 노드분류처리
4. 동기화된 전원온/오프 제어(전원온/오프 연동제어)
4-1. 파워컨트롤 커멘드(POWER CONTROL command)
4-2. 동기화된 전원오프동작
4-3. 동기화된 전원온동작
1. AV시스템
1-1.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전자기기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는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IEEE1394인터페이스데이터버스를 거처 상호접속되는 복수의 AV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도 1에서, 본 실시예의 AV시스템은 STR(stereo tuner receiver)(60)과, 두 개의 STR호환가능(STR대응) CD기(30)와, 하나의 STR호환가능 MD기(1)와, 구성된 컴퍼넌트들과 제조회사(소위 "메이커"로 칭함)가 같은 장치(100)와, 제조회사가 다른 장치(110)로 구성된다.
STR(60)은 도 1의 AV시스템의 기능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튜너기능, 외부소스입력선택기능, 및 증폭기(엠프)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STR(60)은 스테레오채널에 대응하는 좌측 및 우측 채널스피커(SP(L),SP(R))에 접속된다.
이후에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STR(60)은 내장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신호, 아날로그오디오신호, 외부적으로 IEEE1394버스(116)를 거처 입력된 복수의 오디오소스들 등의 여러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한다. 최종적으로, 선택된 입력은 스피커(SP(L),SP(R))를 통해 오디오출력으로서 출력된다.
도 1은 STR(60)을 조작하기 위한 리모트컨트롤러(RM)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리모트컨트롤러(RM)에 의해 전송된 조작커멘드신호는 STR(60)로 하여금 커멘드신호에 지시된 것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1은 STR(60)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리모트컨트롤러(RM)만을 나타내었지만, 다른 구성컴퍼넌트들도 적합한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STR호환가능 CD기(30)와 STR호환가능 MD기(1)는 그 장치들이 STR(60)에 접속될 경우 매우 편하다는 것이 입증된 다양한 시스템기능들을 제공한다. 이들 장치들은 예를 들어 STR(60)과 같은 제조회사로부터 제조된 것일 수 있다.
STR호환가능 CD기(30)들은 각각 탑재된 CD를 재생하는 CD(compact disc) 재생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것들은 출력을 위해 IEEE1394버스(116)를 거처 CD로부터 재생된 오디오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STR호환가능 MD기(1)는 MD(mini disc: 상표)로 알려진 기록가능 광자기디스크에 대한 오디오데이터의 기입(writing) 및 독출(reading)이 가능한 MD기록기 및 재생기이다. MD기(1)는 IEEE1394버스(116)를 거처 송신된 오디오데이터를 수신하면, 이 데이터를 MD에 기입하며, MD로부터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면 출력을 위해 이 데이터를 IEEE1394버스(116)를 통해 전송한다.
STR(60), STR호환가능 CD기(30), STR호환가능 MD기(1)에 의한 시스템동작예에 대해 아래에 기술한다.
STR호환가능 CD기(30)에 의해 CD로부터 재생된 오디오데이터가 STR호환가능 MD기(1)에 전송되면, MD기(1)는 더빙동작으로 알려져 있는 MD로의 오디오데이터의 기록을 할 수 있다. 만약 STR호환가능 CD기(30)에 의해 CD로부터 재생된 오디오데이터 또는 STR호환가능 MD기(1)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STR(60)로 보내지면, STR(60)은 스피커(SP(L),SP(R))를 통해 모니터오디오신호로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상세히 기술하지 않았지만, STR호환가능 CD기(30)와 STR호환가능 MD기(1)는 STR(60)이 중심적인 기능으로 수행되는 예를 들어 오디오컴퍼넌트시스템에 특정한(specific)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STR호환가능 CD기(30)로부터 STR호환가능 MD기(1)로 오디오데이터가 더빙되는 경우, 이 장치들은 동기화된 더빙모드나 2배속 더빙모드 등의 여러 모드들 중 하나의 모드로 용이하게 동작된다. 동기화된 더빙모드에서, CD로부터의 데이터재생의 시작 및 종료는 MD로의 데이터기록의 시작 및 종료와 동기화된다.
장치("기기"로도 표기함)(100)는 IEEE1394인터페이스와 호환가능한 통신기능을 갖는 디지털AV장치이며, STR(60), STR호환가능CD기(30), STR호환가능 MD기와 같은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것이다. 장치(100)는 CD재생기, MD기록기/재생기, 디지털VTR 등의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장치(100)는 STR호환가능 CD기(30) 및 MD기(1)와 달리 STR(60)을 중심으로 한 시스템컴퍼넌트기능이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장치(100)는 그 시스템내에서 교환되는 제조회사 의존 커멘드를 사용하여 STR호환가능 MD기(1)와, STR호환가능 CD기(30)와, STR(60)과 같은 제조회사에 의해 지정된 특정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TR(60)이 장치(100)로부터 오디오소스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수동으로 조작되면, 수신된 데이터는 오디오신호로서 모니터될 수 있다. STR호환가능 MD기(1)가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경우, 그렇게 선택된 데이터는 MD에 기록될 수 있다. 이것은 제조회사가 다른 장치(110)에 똑같이 적용될 수 있고 이것에 대해서는 아래에 설명한다.
장치(110)는 IEEE1394인터페이스와 호환가능한 통신기능을 갖는 다른 디지털 AV장치로서, STR호환가능 MD기(1)와, STR호환가능 CD기(30)와, STR(60)과 제조회사가 다르다. 장치(110)도 CD재생기, MD기록기/재생기, 디지털 VTR 등의 기기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장치(110)는 원리적으로 STR(60)의 제조회사에 의해 지정될 수 있는 제조회사 의존 커멘드에 대응(responding)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도 1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이렇게 구성된 AV장치들 각각은 상업용 AC전원으로부터 전력을 끌어내기 위한 전원플러그를 가지고 있거나, 그 장치가 배터리구동형일 경우에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렇게 구성된 장치들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는다.
1-2. STR(프론트패널)
이어서, 도 1의 시스템에서의 주요역할을 하는 STR(60)의 프론트패널에서의 키(key), 컨트롤(control)에 대해 기술한다. STR(60)과 결합된 오디오컴퍼넌트시스템을 구성하는 MD기(1)와 STR호환가능 CD기(30)의 프론트패널들에 대해서는 이 후에 기술하도록 한다.
도 2는 STR(60)의 프론트패널을 나타낸 것이다. 이 프론트패널 바닥의 좌측코너에는 전원키(120)가 있다. 이 전원키(120)를 조작하여 STR(60)의 전원을 켜거나 끈다. 전원오프상태는 대기전원(standby power supply)이 동작 중에 있는 소위 대기상태와 동등한 것이다. 즉, 전원오프상태는 상업용 AC전원(또는 배터리)이 오프된 상태와는 다른 것이다. 이것은 STR호환가능 CD기(30) 및 MD기(1)에 대해서 똑같이 적용되며, 이것에 대해서는 이후에 기술한다.
여기에서는 상세히 기술하지 않았지만, STR(60)은 시스템을 수면상태로 되게 하는 수면모드(sleep mode)의 형태의 절전기능을 가지고 있다.
헤드폰잭(27j)은 전원키(120)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표시장치(75)는 프론트패널의 대략 중간에 위치한다. 표시장치(75)는 주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FL튜브표시기(75A)로 구성된다. 표시부(75A)는 한 라인에 14문자까지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75A)의 둘레에는 도면에 표시하지 않았지만 세그먼트들로 소정의 내용들을 표시하는 표시부(75B)가 배치된다.
표시장치(75)의 왼쪽에는 표시키(127)가 위치한다. 조광키(dimmer key)(128)는 표시키(127)의 왼쪽에 위치한다.
표시키(127)는 표시장치(75) 상에 표시된 내용들을 변경하기 위해 이용된다. 조광키는 실제로 프론트패널에 부착할 수 있는 장식용 LED 뿐만 아니라 표시장치(75)의 휘도를 조정하기 위해 조작되는 것이다.
FL튜브표시기(75A)의 오른 쪽에는 조그다이얼(125)이 배치된다. 조그다이 얼(125) 위에는, 밴드키(band key)(121), 튜너모드키(122), 조그선택키(123), 엔터키(124)가 위치한다.
밴드키(121)와 튜너모드키(122)는 STR(60)의 튜너기능과 접속하여 이용된다. 즉, 밴드키(121)와 튜너모드키는 수신된 밴드들과 튜너모드들 각각을 전환(switching)하는데 이용된다.
조그선택키(123)는 메뉴아이템들을 선택하기 위해 조작된다. 엔터키(124)는 결정(finalizing) 조작을 하기 위해 이용된다.
조그다이얼(125)은 적절한 조작수순에 따라 다른 키들과 같이 이용된다. 특정키들과 함께 조그다이얼(125)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그선택키(123)가 눌려질 때마다, FL튜브표시기(75A)상의 표시가 "FUNCTION"→"SOUND"→"SETUP"으로 번갈아가며 변경된다. FL튜브표시기(75A) 상에 "FUNCTION"이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다이얼(125)을 회전시킴으로써 STR(60)이 모니터오디오출력으로서 수신 및 출력한 오디오소스를 교대로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FL튜브표시기(75A)는 조그다이얼(125)의 회전조작에 의해 현재 선택된 입력소스의 명칭을 표시한다. 이 조작에 의해 소정의 순서로 튜너오디오출력과, 아날로그입력과, 또한 그 출력이 IEEE1394버스를 거처 입력될 수 있는 다른 소스(즉, 장치)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밴드키(121), 튜너모드키(122), 조그선택키(123), 엔터키(124)에는 각각 그 배면측에 현재의 동작상태에 따라 점등, 점멸하는 장식용 LED가 설치되어 있다.
볼륨조그다이얼(126)은 STR(60)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신호의 레벨, 예를 들어, 스피커(SP(L), SP(R))에 의해 출력되는 소리의 볼륨을 조정하기 위해 조작되는 다이얼키이다.
1-3. CD기(프론트패널)
도 3은 STR 호환가능 CD기(30)의 프론트패널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STR(60)과 함께, CD기(30)도 프론트패널의 바닥의 왼쪽 코너에 위치한 전원키(150)를 가지고 있다. 전원키(150)는 CD기(30)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를 위해 이용되며, 이때, 전원오프상태는 대기상태와 동등한 것이다.
디스크로딩/언로딩부(disc loading and unloading unit)(159)는 STR호환가능 CD기(30)의 프론트패널의 상단 중앙부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디스크로딩/언로딩부(159) 내에 장착된 CD는 디스크로딩/언로딩부(159)의 오른쪽에 위치한 이젝트키(151)를 조작함으로써 꺼낼 수 있다.
전면패널 상의 디스크로딩/언로딩부(159) 아래에는 하나의 라인에 14문자까지 표시하는 FL튜브표시기(47A)와 세그먼트표시기(47B)로 구성되어 있는 표시부(47)가 있다. FL튜브표시기(47A)는 장착된 CD상에 현재 재생되는 트랙의 트랙번호,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재생상태정보 및 CD의 서브코드부에 삽입될 수 있는 CD텍스트데이터 등의 정보를 문자로 표시한다. 세그먼트표시기(47B)는 재생모드의 타입 등의 다른 정보를 표시한다.
FL튜브표시기(47A) 상에 표시된 내용들은 표시장치(47)의 왼쪽에 위치한 표시키(156)의 조작에 의해 전환(switch)된다. 표시의 휘도 또는 밝기는 조광키(157)를 조작하여 조정된다.
프론트패널의 오른쪽에는 재생/멈춤키(152), 정지키(153), AMS 빨리감기/되감기키(154,155) 등의 CD재생에 관련된 키들이 배치된다.
1-4. MD기(프론트패널)
도 4는 STR호환가능 MD기(1)의 프론트패널을 나타낸 것이다. STR(60)처럼, MD기(1)도 프론트패널의 바닥 오른쪽 코너에 전원키(130)를 가지고 있다.
디스크로딩/언로딩부(145)는 프론트패널의 상단중앙부에 위치한다. MD는 디스크로딩/언로딩부(145)에 대해서 장착(loading) 및 탈착(unloading)된다. 이 경우, 디스크로딩/언로딩부(145)에 장착된 MD는 디스크로딩/언로딩부(145)의 오른쪽에 위치한 이젝트키(131)를 조작하여 꺼내어진다.
프론트패널 상의 디스크로딩/언로딩부(145)의 아래에는 또한, 하나의 라인에 14문자까지 표시하는 FL튜브표시기(24A)와, 세그먼트표시기(24B)로 구성된 표시부(24)가 배치된다. FL튜브표시기(24A)는 MD에 대해서 현재 기록 및 재생되는 트랙번호, 기록 또는 재생시간을 포함한 기록 및 재생상태, 또한 이 MD의 디스크타이틀 및 트랙명칭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CD기처럼, 세그먼트표시기(24B)는 또한, 재생모드의 형태 및 다른 정보를 표시한다.
ST호환가능 MD기(1)의 FL튜브표시기(24A) 상에 표시된 내용들은 표시키(140)의 조작에 의해 절환된다. 표시되는 밝기는 조광키(141)의 조작에 의해 조정된 다.
재생/멈춤키(132), 정지키(133), AMS 빨리감기/되감기키(134,135), 기록키(136), 고속더빙키(137), 동기화된 기록키(138) 등의 기록 및 재생과 관련된 키들은 프론트패널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입력선택키(139)는 기록소스의 입력을 선택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입력선택키(139)를 조작하면, FL튜브표시기(24A)가 현재 선택된 기록소스의 명칭을 표시하게 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STR호환가능 MD기(1), STR호환가능 CD기(30), STR(60)의 프론트패널은 각각 표시부(75, 47, 24)를 가지고 있다. 즉, 이 장치들을 하나의 오디오시스템을 구성하는 컴퍼넌트부분들로 간주하면, 이 시스템은 통합된 표시부를 가지고 있지 않다. 이것은 IEEE1394인터페이스를 거처 상호접속된 모든 장치들이 본질적으로 독립적인 실체라는 것을 반영한다.
1-5. STR(내부구조)
STR(60), STR호환가능 CD기(30) 및 STR호환가능 MD기(1)의 내부구조들에 대해서 아래에 기술한다.
도 5는 STR(60)의 내부구조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STR(60)은 IEEE1394버스(116)를 거처 송신된 오디오신호, 그 자신의 내장튜너로부터의 오디오신호, 아날로그입력단자(78)를 거처 입력된 외부 아날로그오디오신호등의 3 오디오신호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IEEE1394인터페이스(61)는 IEEE1394버스(116)를 거처 외부장치와의 데이터교환을 위해 제공된다. 이 인터페이스에 의해 STR(60)은 외부와 AV데이터 및 다양한 커멘드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IEEE1394인터페이스(61)는 동작하면 IEEE1394버스(116)를 통해 수신된 패킷들을 복호(decode)하며, 복호된 패킷들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다. 추출된 데이터는 출력전에 내부데이터통신에 따른 포맷으로 변환된다.
IEEE1394버스(116)를 통해 다른 AD장치로부터 오디오데이터가 전송되어 온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IEEE1394인터페이스(61)는 입력된 오디오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들의 패킷들을 복호한다. 복호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복호처리기(63)에 전송되기 전에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라고 하는 디지털오디오데이터인터페이스로 변환된다.
복호처리기(63)는 예를 들어 IEC958포맷에 따라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복호처리를 수행한다. 이렇게 처리된 데이터는 디지털필터(64)로 출력된다.
디지털필터(64)는 주로 예를 들면 입력된 오디오데이터로부터 지터(jitter)를 제거하는 필터기능을 가지고 있다. 복호처리기(63)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데이터송신원(元)장치에 특정한 샘플링주파수를 갖는다. 디지털필터(64)는 그러한 오디오데이터의 샘플링주파수를 출력전에 44.1kHz의 샘플링주파수로 변환한다.
44.1kHz의 샘플링주파수를 갖는 신호포맷으로 변환된 오디오데이터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65)에 입력된다.
데이터소스가 44.1kHz의 샘플링주파수를 갖는 신호포맷으로 오디오데이터를 이미 전송한 경우에는, 오디오데이터는 복호처리기(63)와 디지털필터(64)를 거치지 않고 IEEE1394인터페이스(61)로부터 DSP(65)로 직접 전송될 수 있다.
DSP(65)는 이퀄라이저상에서 설정될 수 있는 등화처리(equalizing process)를 포함한 오디오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그러한 신호처리가 수행된 오디오데이터는 A/D 및 D/A변환부(66)의 디지털필터(69)로 출력된다.
A/D 및 D/A변환부(66)는 오디오신호의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변환 및 디지털에서 아날로그로의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블록이다. 변환부(66)의 디지털필터(69)에 입력된 오디오데이터는 D/A변환부(68)로 전송되어 전압펄스열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 후에, 이 신호는 I-DAC변환부(81)에 입력된다.
I-DAC변환부(81)는 입력전압펄스열을 전류로 변환한다. 도 5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다른 별개의 블록에 의해 기준레벨(reference level)이 제공된다. 이 기준레벨을 조정하면 출력전류를 원하는 대로 변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광기반(rheostat-based) 조정이 40dB 이하의 레벨범위에서 가능하다.
증폭기(82)는 I-DAC변환부(81)의 출력을 증폭하며, 이 증폭된 출력을 스피커출력단자(83)로 송신한다. 스피커(SP(L),SP(R))는 스피커출력단자(83)에 접속되면 스테레오 오디오신호출력을 제공한다.
튜너부(77)는 STR(60)에 내장된다. 안테나(76)에 의해 수신된 방송 라디오파에는 튜너부(77)에 의해 튜닝(동조) 및 복호처리가 수행된다. 아날로그오디오신호 등의 튜너부(77)의 출력은 셀렉터(선택기)(79)에 전송된다.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입력단자(78)를 거쳐서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는 셀렉터(79)에도 입력된다.
셀렉터(79)는 예를 들어 시스템제어부(70)의 제어 하에서 튜너부(77)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입력단자(78)를 입력소스로서 선택한다. 이렇게 선택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는 A/D 및 D/A변환부(66) 내의 A/D변환부(67)에 제공된다. A/D변환기(67)는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데이터를 디지털오디오데이터로 변환한다.
A/D변환기(67)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오디오데이터가 모니터오디오출력으로서 출력되는 경우,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D/A변환기(68)에서 I-DAC변환기(81)로, 거기에서 증폭기(82)로의 처리를 거쳐서 스피커(SP(L),SP(R))로 출력되게 된다.
A/D변환기(67)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오디오데이터는 IEEE1394버스(116)를 거쳐서 예를 들어 기록되기 위해 다른 AV장치로 전송되는 경우, 이 데이터는 부호처리기(encoding processor)(80)로 출력된다.
부호처리기(80)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IEC958과 같은 디지털오디오데이터의 포맷으로 부호화처리를 한다. 이렇게 처리된 데이터는 IEEE1394인터페이스(61)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RAM(62)을 이용하여, IEEE1394인터페이스(61)는 IEEE1394와 호환가능한 포맷으로의 변환을 위해 데이터에 대한 패킷화(packetization)를 포함한 다양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렇게 변환된 데이터는 IEEE1394버스(116)를 거처 대상(목적)이 되는 장치로 출력된다.
시스템제어기(7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71), RAM(72)를 포함한다. 이 제어기(70)는 STR(60)에 대한 다양한 동작의 제어를 한 다.
데이터는 수신부(73) 및 조작부(74)로부터 시스템제어기(70)에 입력된다. 수신부(73)는 예를 들어 리모트컨트롤러(RM)로부터 무선커맨트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커멘드신호는 시스템제어기(70)에 전송된다.
조작부(74)는 예를 들어 프론트패널에 제공된 다양한 키들과 컨트롤들로 구성된다. 조작부(74)를 조작하면, 이 조작부(74)는 이 조작에 따라 시스템제어기(70)에 출력되는 조작데이터를 생성한다.
시스템제어기(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된 조작데이터 및 커멘드신호에 따라 필요한 조작을 제공하는 다양한 제어처리를 수행한다.
시스템제어기(70)는 표시부(75)로 하여금 수신된 커멘드신호, 조작데이터, 현재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를 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75)는 예를 들어 FL튜브표시기 및 세그먼트표시기를 포함한다.
1-6. CD기(내부구조)
STR호환가능CD기(30)의 내부구조예에 대하여 도 6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읽기(독출)전용디스크매체CD(91)는 프론트패널의 디스크로딩/언로딩부(159)에 탑재된다. 이렇게 탑재된 CD(91)는 재생위치로 설정된다.
CD재생동작을 위해서, 재생위치에 장착된 CD(91)는 일정한 선속력(constant linear velocity: CLV)으로 스핀들모터(31)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광학헤드(32)는 CD(91) 상의 피트(pit)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내고 이 독출된 데이터를 RF증폭기(35)에 전송한다. 이 광학헤드(32)에서, 광렌즈(32a)는 2축구조(33)에 의해 지지되며, 트래킹 및 포커싱 방향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하다. 광학헤드(32)는 슬레드구조(34)에 의해 CD(91)를 거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RF증폭기(35)는 포커스오류신호 및 트래킹오류신호 뿐만아니라 재생된 RF신호를 생성한다. 오류신호는 서보회로(36)로 전송된다.
포커스오류신호 및 트래킹오류신호가 주어지면, 서보회로(36)는 동작 중의 2축구조(33)와 슬레드구조(34)에 대한 제어를 위한 슬레드구동신호, 트래킹구동신호, 포커스구동신호를 포함한 다양한 구동신호들을 생성한다. 즉, 포커스서보제어 및 트래킹서보제어가 수행된다.
RF증폭기(35)에 의해 이진포맷으로 생성된 재생 RF신호는 또한 타이밍생성기(42)로도 보내진다. 타이밍생성기(42)는 재생 RF신호의 파형 타이밍에 기초하여 타이밍신호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타이밍신호를 CLV프로세서(43)로 전송한다. 입력타이밍신호가 주어지면, CLV프로세서(43)는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이것을 스핀들모터(31)에 전송하여, 스핀들모터(31)가 필요한 CLV레벨로 회전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CD(91)를 CLV로 회전구동하기 위한 스핀들 서보제어가 실행된다.
재생된 RF신호는 EFM/CIRC복호기(디코더)(37)로 제공된다. EFM/CIRC복호기(37)는 우선 입력된 재생 RF신호를 이진포맷으로 바꾸어 EFM(eight fourteen modulation) 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복호기(37)에 의해 예를 들어 EFM신호에 대한 EFM변조 및 CIRC(cross interleave reed solomon coding) 디코딩이 수행되어 CD(91)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16비트로 양자화되고 44.1kHz의 주파수로 샘플된 오디오데이터로 복호화(디코딩)한다.
또한, 복호기(37)는 서브코드와 같은 제어데이터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서브코드데이터부는 서브코드처리기(44)에 제공되어 필요한 데이터가 추출된다. 특히, CD의 리드인(lead-in)영역에 서브-Q데이터로서 기록되어 있는 TOC(table of contents) 데이터가 추출된다. 서브코드데이터와 TOC데이터는 다양한 제어를 위하여 시스템제어기(50)에 전송된다. 시스템제어기(50)는 이 CD기에 특정한 각종 동작을 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처리를 수행한다.
RF증폭기(35)에 의해 이진포맷으로 생성된 재생 RF신호는 또한 PLL(phase lock loop)로 제공된다. RF신호가 주어지면, PLL회로(39)는 입력된 EFM신호의 채널비트와 동기화된 클럭신호를 출력한다. 표준속도에서, 클럭주파수는 4.3218MHz이다. 이 클럭신호는 예를 들어 EFM/CIRC복호기(37)의 하류(downstream)측에 있는 신호처리회로에서 이용된다.
EFM/CIRC복호기(37)로부터의 오디오데이터는 D/A변환기(38)와 IEEE1394인터페이스(49)로 분기된다.
D/A변환부(38)에 입력된 오디오데이터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된다. 변환 후의 신호는 증폭기(40)를 통하여 외부의 아날로그 오디오출력단자(41)로 출력된다.
복호기(37)로부터 IEEE1394인터페이스(49)에 입력된 오디오데이터는 IEEE1394포맷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된다. 변환 후의 데이터는 IEEE1394버스(116)를 거쳐서 전송된다.
IEEE1394인터페이스(49)는 외부에서 제공된 커멘드 등의 데이터도 수신한다. 시스템제어기(50)는 예를 들어 수신된 커멘드에 대응하는 관련처리를 수행한다.
CD(91)로부터의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디스크로부터 관리정보(즉, TOC)를 추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추출된 관리정보에 의해, 시스템제어기(50)는 재생동작에 대한 제어를 위한 트랙의 주소들 및 CD(91) 상의 트랙번호를 찾아낸다. CD(91)가 탑재되면, 시스템제어기(50)에 의해 TOC정보가 디스크의 최내측 영역(리드인영역(lead in region: 도입영역))으로부터 추출된다. 이렇게 읽혀진 TOC는 예를 들어 워크램(work RAM)에 저장되어, 이어지는 CD(91)의 재생동작 중에 이 정보가 참조될 수 있게 한다.
시스템제어기(50)는 CPU, 내부인터페이스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서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그램롬(51)은 STR호환가능 CD기(30)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용하고 있다. 워크램(29)은 시스템제어기(11)가 다양한 처리들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들을 보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처럼, CD관련규범들에 따라 CD의 서브코드에 텍스트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타이틀과 트랙명칭들이 CD 상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STR호환가능 CD기(30)는 이러한 특징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CD의 텍스트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다. 즉, CD기(30)는 CD서브코드 내의 텍스트데이터에 기초하여 문자를 표시부(47)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CD텍스트복호기(45) 및 CD텍스트메모리(46)를 이용한 STR호환가능 CD기(30)에 의해 수행된다.
서브코드처리기(44)에 의해 얻어진 서브코드데이터는 예를 들어 CD텍스트복호기(45)에도 입력된다. 만약 입력서브코드데이터가 그 안에 삽입되어 있는 CD텍스트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발견되면, CD텍스트복호기(45)가 이 데이터를 복호하여 텍스트데이터를 얻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텍스트데이터는 시스템제어기(50)의 제어 하에, CD텍스트메모리(46)에 저장된다.
그 후, 시스템제어기(50)는 필요할 경우 CD텍스트메모리(46)로부터 텍스트데이터를 읽어내고, 표시부(47)의 FL튜브표시기로 하여금 문자로 추출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한다.
조작부(48)는 예를 들어 프론트패널에 제공된 키들과 컨트롤들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조작부(48)에는 예를 들어 적외선 리모트커맨더를 이용하는 리모트제어기능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표시부(47)는 CD(91)가 재생될 때 필요한 표시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47)는 총 재생시간 및 경과된 재생/기록시간 등의 시간정보와; 트랙번호, 디스크명칭 및 트랙명칭 등의 명칭정보와; 조작상태와; 조작모드 등을 시스템제어기(50)의 제어하에 표시한다. 표시부(47)는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FL튜브 표시기 및 세그먼트표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7. MD기(내부구조)
도 7은 MD기록기/재생기의 역할을 하는 STR호환가능 MD기(1)의 내부구조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오디오데이터가 기입되고 독출되는 광자기디스크(Mini Disc)(90)는 스핀들모터(2)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디스크(90) 상에서의 기록 또는 재생동작을 위하여, 광학헤드(3)는 레이저빔을 디스크표면에 방출한다.
기록동작을 위해서, 이 광학헤드(3)는 고레벨의 레이저를 출력하여 기록트랙을 퀴리(Curie)온도까지 가열하며, 재생동작을 위해서, 이 광학헤드(3)는 상대적으로 저레벨인 레이저를 출력하여 자기커효과(magnetic Kerr effect)에 의해 반사된 빛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한다.
광학헤드(3)는 레이저출력수단으로서의 레이저다이오드와, 편광빔스플리터 및 대물렌즈를 포함한 광블록과, 반사된 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를 이용하여 그 기능을 수행한다. 대물렌즈(3a)는 디스크표면에 대한 반경방향으로 또한 디스크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재배치하도록 이동하는 2축구조(4)에 의해 지지된다.
자기헤드(6a)는 디스크(90)를 가로질러 광학헤드(3)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자기헤드(6a)가 동작하면, 자기헤드(6a)는 제공된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자기장을 광자기디스크(90)에 인가한다.
광학헤드(3) 전체와 자기헤드는 슬레드구조(5)에 의해 디스크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재생동작에 의해, 광학헤드(3)에 의해 디스크(90)로부터 추출된 정보는 RF증폭기(7)에 제공된다. 차례로, RF증폭기(7)는 제공된 정보를 처리하여 그것으로부터 재생 RF신호와, 트래킹오류신호(TE)와, 포커스오류신호(FE)와, 그루브정보(GFM), 즉 광자기디스크(90) 상의 프리그루브(pregroove)에 기록되어 있는 절대위치정보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재생 RF신호는 EFM/ACIRC 부호기/복호기(8)에 전송된다. 트래킹오류신호(TE)와 포커스오류신호(FE)는 서보회로(9)에 제공된다. 그루브정보(GFM)는 어드레스복호기(10)에 전송된다.
서보회로(9)는 트래킹오류신호(TE)와 포커스오류신호(FE)를 수신하면, 스핀들모터(2)로부터 검출된 회전속도정보 뿐만아니라 시스템제어기(11)(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의 트랙점프커멘드 및 억세스커멘드에 따라서 다양한 서보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서보구동신호는 포커싱 및 트래킹제어를 위한 2축구조(4) 및 슬레드구조(5)를 제어하고 또한 일정한 선속력으로 스핀들모터(2)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어드레스복호기(10)는 제공된 그루브정보(GFM)를 복호하여 거기에서 어드레스정보를 추출한다. 이 어드레스정보는 다양한 정보를 제어하기 위하여 시스템제어기(11)로 보내진다.
재생된 RF신호에 대해서는 EFM/ACIRC부호기/복호기(8)에 의해 EFM복조 및 ACIRC(advanced cross interleave reed solomon coding)으로서의 디코딩(복호화)처 리가 수행된다. 이 처리 중에, 어드레스 및 서브코드데이터가 추출되어 시스템제어기(11)에 제공된다.
EFM/ACIRC부호기/복호기(8)에 의한 EFM복조 및 ACIRC의 디코딩처리등이 수행된 오디오데이터는 메모리제어기(12)의 제어 하에 버퍼메모리(13)에 일시적으로 기입된다. 광학헤드(3)에 의한 디스크(90)로부터의 데이터추출 및 광학헤드(3)로부터 버퍼메모리(13)로의 재생된 데이터의 전송은 1.41Mbit의 속도로, 통상적으로 간헐적으로 수행된다.
버퍼메모리(13)에 기입된 데이터는 오디오압축부호기/복호기(14)로의 0.3Mbit/sec의 전송을 위한 적절한 타이밍으로 추출된다. 부호기/복호기(14)는 압축포맷으로 수신된 데이터에 대하여 디코딩 및 그와 관련한 다른 재생신호처리를 수행하여 44.1KHz로 샘플링되고 16비트로 양자화된 디지털오디오신호를 생성한다.
이 디지털오디오신호는 D/A변환기(15)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다. 이 아날로그신호는 라인출력단자(17)를 통하여 외부기기로 아날로그오디오신호(Aout)로서 출력되기 전에, 레벨 및 임피던스조정을 위하여 출력처리부(16)로 전송된다. 이 아날로그오디오신호는 접속될 수 있는 헤드폰에 대한 헤드폰출력(HPout)으로서 헤드폰출력단자(27)로도 제공된다.
오디오압축부호기/복호기(14)에 의한 디코딩에 이어서 이 디지털오디오신호는 디지털인터페이스(22)로 전송되어 디지털출력단자(21)를 통하여 외부기기에 디지털오디오신호(Dout)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이 신호는 광케이블을 거처 외부기기에 출력될 수도 있다.
광자기디스크(90)에 기입하기 위한 라인입력단자(18)에 전송된 아날로그오디오신호(Ain)는 우선 A/D변환기(19)에 의해 디지털오디오데이터로 변환된다. 이 디지털오디오데이터는 오디오데이터 압축엔코딩을 위하여 오디오압축부호기/복호기(14)로 제공된다.
만약, 디지털오디오데이터(Din)가 디지털입력단자(20)를 통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면, 디지털인터페이스(22)는 제공된 데이터로부터 제어코드를 추출한다. 이 오디오데이터는 오디오데이터압축엔코딩을 위하여 오디오압축부호기/복호기(14)에 제공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물론 마이크입력단자도 입력신호와 마찬가지로 마이크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부호기/복호기(14)에 의해 기록데이터로 압축된 데이터는 메모리제어기(12)에 의해 버퍼메모리(13)에 일시적 축적방식으로 기입된다. 이 데이터는 이어서 소정량의 데이터 단위마다 버퍼메모리(13)로부터 추출되고, ACIRC엔코딩 및 EFM 등의 엔코딩처리를 위해 EFM/ACIRC부호기/복호기(8)에 전송된다. EFM/ACIRC부호기/복호기(8)에 의한 엔코딩 동작 후에, 이 데이터는 자기헤드구동회로(6)에 제공된다.
자기헤드구동회로(6)는 자기헤드(6a)에 엔코딩(부호화)된 기록데이터에 따라 자기헤드구동신호를 제공한다. 특히, 자기헤드구동회로(6)는 자기헤드(6a)에 의해 광자기디스크(90)로 N 또는 S장을 인가하도록 한다. 이때, 시스템제어기(11)는 광학헤드(3)에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기록레벨의 레이저빔을 출력하도록 한다.
조작부(23)는 예를 들어 프론트패널에 제공된 키들과 컨트롤들로 이루어진다. 조작부(23)에 행해진 조작에 의해 출력된 조작정보는 시스템제어기(11)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이 시스템제어기(11)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MD를 취급하기 위한 기록 및 재생장치는 트랙(프로그램)분할, 트랙연결(track concatenation), 트랙소거, 트랙명칭입력, 및 디스크명칭입력 등의 프로그램편집조작을 할 수 있다. 이들 조작은 상대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리모트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커멘드신호를 편집을 위해 수신하는 방식으로 적절히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치에 의해, 리모트컨트롤러에 대한 간단한 키조작으로 다양한 프로그램편집조작이 수행될 수 있다.
표시부(24)는 시스템제어기(11)에 의해 표시동작이 제어된다. 시스템제어기(11)는 데이터표시를 위해 이 데이터를 전송하여 표시부(24) 내의 표시드라이버에 전송된다. 이 데이터가 주어지면, 표시드라이버는 이 데이터에 따라 표시구동 중에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표시부(24)를 구동하여 숫자, 문자 및 기호들을 표시하도록 한다.
표시부(24)는 트랙번호, 기록 또는 재생시간, 및 편집상태 뿐만아니라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해 현재 탑재된 디스크의 구동모드상태를 나타낸다.
디스크(90)는 주요데이터로서 제공된 프로그램과 관련되어 관리되도록 트랙명칭 등의 문자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문자정보로서 입력된 문자는 표시부(24)에 표시되며, 또한 디스크로부터 출력된 문자정보도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90)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음악 등의 데이터와 독립적인 데이터파일로서의 보조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보조데이터로서의 데이터파일은 문자 및 정지화상 등의 정보로 이루어진다. 이들 문자 및 정지화상들은 표시부(24)로 출력 및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는, 보조데이터로 이루어진 정지화상 및 문자들을 표시부(24)에 표시하기 위해 구성된 JPEG복호기(26)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보조데이터로서의 데이터파일을 구성하는 정지화상데이터는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표준에 따른 압축파일포맷으로 기록된다. JPEG복호기(26)는 예를 들어 디스크(90)로부터 추출되어 버퍼메모리(13)에 축적기록된 정지화상데이터파일을 메모리제어기(12)를 통해 받아들인다. 이렇게 수신된 파일은 표시부(24)에 출력되기 전에 JPEG표준에 따라 신장(압축해제)된다. 이에 따라, 표시부(24)가 보조데이터로 구성된 정지화상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표시부(24)는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FL튜브표시기 및 세그먼트표시기를 포함한다.
시스템제어기(11)는 CPU 및 내부인터페이스로 구성된 마이크로컴퓨터이다. 이 마이크로컴퓨터는 상술한 다양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프로그램롬(28)은 이 기록 및 재생장치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워크램(29)은 필요할 경우 시스템제어기(11)가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들을 수행한다.
디스크(90)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및 재생을 위해서는, 그곳으로부터 관리정보, 즉, P-TOC(pre-mastered TOC(table of contents)) 및 U-TOC(user TOC)를 추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리정보가 주어지면, 시스템제어기(11)는 데이터가 기록 및 추출되는 디스크(90) 상에 그러한 영역의 주소를 정의한다. 이 관리정보는 버퍼메모리(13)에 보관된다.
디스크(90)가 탑재되면, 시스템제어기(11)는 해당 정보가 기록된 디스크 상에 반경방향의 최내측 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여 관리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정보는 디스크(90) 상의 프로그램에 대한 기록, 재생, 또는 편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참조될 수 있도록 버퍼(13)메모리에 위치하게 된다.
U-TOC는 프로그램데이터기록 및 다양한 편집처리에 따라서 갱신된다. 타임데이터가 기록 또는 편집될 때마다, 시스템제어기(11)는 버퍼메모리(13) 내의 U-TOC정보를 갱신한다. 갱신동작은 디스크(90) 상의 U-TOC영역의 갱신에 의해 적절한 타이밍에서 병행되도록 되어 있다.
디스크(90)는 프로그램과 별개인 보조데이터파일을 수용한다. AUX-TOC는 이들 보조데이터파일들을 관리하기 위해 디스크(90) 상에 형성된다.
U-TOC가 추출되면, 시스템제어기는 AUX-TOC를 독출하고, 이것을 버퍼메모리(13)에 위치시킨다. 보조데이터의 관리상태는 버퍼메모리(13) 내의 AUX-TOC를 이후에 찾아내어 참조할 수 있다.
시스템제어기(11)는 필요할 때 적절한 타이밍에서 또는 AUX-TOC의 추출과 동시에 보조데이터파일들을 읽어낸다. 추출된 파일들은 버퍼메모리(13)에 배치된 다. 보조데이터파일들은 이어서 AUX-TOC에 따라 적절한 타이밍으로 출력되고 표시부(24) 상에 또는 IEEE1394인터페이스(25)를 통하여 외부기기 상에 문자 및 화상의 형식으로 표시된다.
IEEE1394인터페이스(25)는 오디오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의 MD기록기/재생기가 IEEE1394버스(116) 및 IEEE1394인터페이스(25)를 통하여 전송된 오디오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디스크(90) 상에 수신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송된 오디오데이터가 예를 들어 44.1KHz의 주파수로 샘플링되고 16비트로 양자화되면, 이 데이터는 시스템제어기(11)를 통하여 오디오압축부호기/복호기(14)로 데이터압축을 위해 전송된다.
만약 전송된 오디오데이터가 이 MD기록기/재생기의 압축포맷에 따라 압축된 오디오데이터인 것으로 판명되면, 이 데이터는 시스템제어기(11)에 의해 메모리제어기(12)로 전송된다. 물론, 커멘드들도 IEEE1394인터페이스(25)를 통하여 전송 및 수신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스템제어기(11)는 예를 들어 수신된 커멘드에 따라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2. IEEE1394에 의한 본 실시예의 데이터통신
2-1. 개요
IEEE1394에 따라 본 실시예의 데이터통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설명을 아래에 기술한다.
IEEE1394는 시리얼데이터통신규범 중의 하나가 된다. IEEE1394에서는, 주기적인 통신을 위한 등시(isochronous) 통신방법과, 주기와 관계없는 비동기통신을 위한 비동기 통신방법의 두 가지 데이터통신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등시통신방법은 데이터송수신에 이용되며, 반면에 비동기 통신방법은 다양한 제어커멘드를 교환하기 위해 이용된다. 하나의 케이블은 데이터 및 커멘드가 두 통신방법에 의해 송수신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IEEE1394규격에 의한 본 실시예의 통신의 수행에 대해 아래에 기술한다.
2-2. 스택모델
도 8은 본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IEEE1394의 스택모델을 나타낸다. IEEE1394포맷은 비동기포맷(400)과 등시포맷(500)의 두 형태가 있다.
링크레이어(Link Layer)(302) 아래에 있는 물리레이어(Physical layer)(301)라고 하는 최저레이어는 비동기포맷(400)과 등시포맷(500) 모두에 대해서 공통인 것이다. 물리레이어(301)는 하드웨어적인 신호전송을 취급한다. 링크레이어(302)는 예를 들어 주어진 장치에 대해 규정된 내부버스로 IEEE1394버스를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물리레이어(301), 링크레이어(302)와 아래에 기술할 트랜젝션레이어(Transaction layer)(401)는 이벤트/제어/구성(event/control/configuration) 라인에 의해 시리얼버스에 링크된다. AV케이블/커넥터(304)는 AV데이터전송을 위해 필요한 물리적 커넥터 및 케이블들을 나타낸다.
비동기포맷(400)을 위해, 트랜젝션레이어(401)는 링크레이어(302)의 상층에 설정된다. 트랜젝션레이어(401)는 IEEE1394의 데이터전송프로토콜을 정의한다. 기본 비동기트랜젝션으로서, 트랜젝션레이어(401)는 후술하는 락트랜젝션(lock transaction), 독출트랜젝션(read transaction) 및 기입트랜젝션(write transaction)을 규정한다.
트랜젝션레이어(401) 상층에는 FCP(function control protocol)(402)가 규정된다. FCP(402)는 AV/C커멘드(AV/C 디지털인터페이스커멘드 세트)(403)로 정의되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AV장치에 대한 공통의 제어를 수행한다.
트랜젝션레이어(401) 위에는 접속관리처리(connection management procedures)(405)에 의해 플러그(후술하는 IEEE1394에 의한 논리장치접속(logical device connections))를 설정하기 위한 플러그제어레지스터(404)가 위치한다.
등시포맷(500)에서, CIP(common isochronous packet)(501)는 링크레이어(302)의 위에 위치한다. CIP헤더포맷(501)의 관리에 의해, SD(standard density)-DVCR(digital video camera recorder) 실시간 전송(502), HD(high density)-DVCR 실시간전송(503), SDL(standard density long)-DVCR 실시간전송(504), MPEG2(moving picture coding experts group 2)-TS(transport stream) 실시간 전송(505), 및 오디오 및 음악 실시간 전송(506) 등의 전송프로토콜들로 규정된다.
SD-DVCR실시간 전송(502), HD-DVCR 실시간전송(503), SDL-DVCR 실시간전송(504)은 디지털 VTR(video tape recorder)에 대응하는 데이터전송프로토콜이다.
SD-DVCR 실시간전송(502)에 의해 취급되는 데이터는 SD-DVCR기록포맷(508)에 따라 얻어진 데이터시퀀스(SD-DVCR data sequence(507))이다.
HD-DVCR실시간전송(503)에 의해 취급되는 데이터는 HD-DVCR기록포맷(510)에 따라 얻어진 데이터시퀀스(SD-DVCR data sequence(509))이다.
SDL-DVCR 실시간전송(504)에 의해 취급되는 데이터는 SDL-DVCR기록포맷(512)에 따라 얻어진 데이터시퀀스(SD-DVCR data sequence(511))이다.
MPEG2-TS 실시간 전송(505)은 예를 들어 위성을 통한 디지털방송을 위한 튜너에 대응하는 전송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에 의해 취급되는 데이터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기록포맷(514) 또는 ATV(analog television)기록포맷(515)에 따라 얻어진 데이터시퀀스(MPEG2-TS data sequence(513))이다.
오디오 및 음악 실시간 전송(506)은 본 실시예의 MD시스템을 포함한 디지털 오디오기기 전 범위에 대응하는 전송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에 의해 취급되는 데이터는 오디오 및 음악 기록포맷(517)에 따라 얻어진 데이터시퀀스(audio and music data sequence)이다.
2-3. 신호전송형태
도 9는 IEEE1394버스에서 실제로 이용되는 케이블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 다.
도 9에서, 커넥터(600A, 600B)는 케이블(601)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1에서 6까지의 번호로 표시한 핀(pin)들은 커넥터(600A,600B)에 부착된 핀단자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커넥터(600A,600B)의 핀단자 중에서, 핀번호 1은 전원(VP)에, 핀번호 2는 접지(VG), 핀번호 3은 TPB1에, 핀번호 4는 TPB2에, 핀번호 5는 TPA1에, 핀번호 6은 TPA2에 해당한다.
이 핀들은 다음과 같이 커넥터(600A,600B)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핀번호 1(VP)은 핀번호 1(VP)에;
핀번호 2(VG)는 핀번호 2(VG)에;
핀번호 3(TPB1)은 핀번호 5(TPA1)에;
핀번호 4(TPB2)는 핀번호 6(TPA2)에;
핀번호 5(TPA1)는 핀번호 3(TPB1)에;
핀번호 6(TPA2)은 핀번호 4(TPB2)에 각각 연결된다.
상술한 핀접속쌍들 중에서, 두 개의 트위스트된 라인쌍, 즉,
핀번호 3(TPB1) 및 핀번호 5(TPA1)와,
핀번호 4(TPB2) 및 핀번호 6(TPA2)은
차동으로 신호를 상호 전송하는 신호선(601A)을 형성한다. 또한 다른 두 개의 트위스트된 라인쌍, 즉,
핀번호 5(TPA1) 및 핀번호 3(TPB1)과,
핀번호 6(TPA2) 및 핀번호 4(TPB2)는
차동으로 신호를 상호 전송하는 신호선(601A)을 형성한다.
두 신호선(601A,601B)을 거처 송신되는 신호는 도 10a에 나타낸 데이터신호(Data)와, 도 10b에 나타낸 스트로브신호(Strobe)이다.
도 10a의 데이터신호는 신호선(601A,601B) 중 하나를 이용한다. 이 데이터신호는 TPB1과 TPB2를 통하여 출력되고 TPA1과 TPA2로 입력된다.
도 10b의 스트로브신호는 데이터신호와, 이 데이터신호와 동기화된 전송클럭에 대한 소정의 논리연산을 수행하여 얻어진다. 이 때문에, 스트로브신호는 실제의 전송클럭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진다. 스트로브신호는 데이터신호전송을 위해 이용되고 있지 않는 신호선(601A,601B) 중 하나를 이용한다. 신호선을 통해 전파된 후에, 이 스트로브신호는 TPA1 및 TPA2를 통하여 출력되고 TPB1 및 TPB2로 입력된다.
도 10a의 데이터신호와 도 10b의 스트로브신호가 IEEE1394에 따라 장치에 입력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이 장치는 입력된 데이터신호 및 스트로브신호에 대한 적절한 논리연산을 수행하여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클럭(Clock)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전송클럭은 필요한 입력데이터신호처리를 위해 이용된다.
그러한 하드웨어식의 데이터전송형태를 이용하여, IEEE1394포맷은 구성된 장치(기기)들 사이의 케이블을 통한 고속주기의 전송클럭을 전송할 필요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신호전송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6핀배치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IEEE1394포맷은 전원(VP)과 접지(VG)를 생략하여 두 개의 트위스트된 라인쌍을 이루는 4핀배열, 즉, 신호선(601A,601B)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MD기록기/재생기(1)는 예를 들어 그러한 4핀케이블배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좀더 단순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2-4. 장치들 사이의 버스접속
도 11은 장치들이 IEEE1394버스를 이용하여 일례로 어떻게 상호접속되는지에 대한 것을 나타낸다. 도 11에는, IEEE1394버스를 통하여 상호통신을 위해 접속되어 있는 4개의 장치(A-E)가 있다.
IEEE 1394 인터페이스는 도 11의 장치(A,B,C)들이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시리얼접속되는 것으로써 데이지-체인(daisy-chain) 접속으로 알려져 있는 접속을 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에 의하면, 장치(A)가 장치(B, D, E)들과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도 11의 경우와 같이, 장치가 복수의 장치들과 병렬로 접속되게 하는 소위 브랜치 접속(branch connection)을 가능하게 한다.
이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브랜치접속 및 데이지체인접속에 의해 구성된 장치들을 모두 63대까지 접속할 수 있다. 데이지체인접속 단독으로는 16장치(16 pop)까지 구성할 수 있다.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에서 필요하게 되는 터미네이터(terminator)는 IEEE1394인터페이스에서는 필요하지 않는다.
IEEE1394인터페이스에 의하면, 그러한 데이터체인접속 또는 브랜치접속에 의해 접속된 장치들이 서로 통신을 할 수 있다. 도 11의 구성에서, 장치들(A,B,C,D,E)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장치들이 IEEE1394버스에 의해 연결된 시스템(이하, IEEE1394시스템이라 칭함) 내에서는, 구성된 장치들 각각에 사실상 노드-ID(node-ID)가 할당된다. 노드ID할당처리는 도 12a,12b,12c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접속형태의 IEEE1394시스템에서, 케이블이 연결 또는 연결이 되지 않거나,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거나, 자발적으로 발생된 처리가 PHY(physical layer protocol)에 의해 발생되거나 하면 버스리셋이 생성된다. 그러한 경우에, 버스리셋통지가 IEEE1394버스를 통하여 모든 장치(A,B,C,D,E)로 전송된다.
이 버스리셋통지의 결과,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child-notify)하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장치(기기)의 단자 사이에 친자(親子)관계가 정의된다. 즉, 구성된 장치들의 트리구조가 IEEE1394시스템내에 구축된다. 이렇게 구축된 트리구조에 의해, 트랙의 루트(root)를 구성하는 장치가 정의된다. 이 루트는 단자가 모두 "children"(Ch)으로 정의된 장치이다. 도 12b의 형태에서, 장치(B)는 루트로 정의된다. 즉, 루트로서 장치(B)에 연결된 장치의 단자는 "parent"(P)로서 정의된다.
트리구조와 그 루트가 상술한 바와 같이 IEEE1394시스템에서 정의되면, 각 장치는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자신의 노드-ID의 선언으로서 셀프-ID패킷을 출력한다. 이 루트는 이 노드-ID에 대하여 순차 승인(grant)을 행함으로써, IEEE1394시스템내에서의 각 장치의 어드레스, 즉 노드-ID가 결정된다.
2-5. 패킷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IEEE1394포맷에 의해 등시사이클(nominal cycle)의 주기를 반복함으로써 송신을 행한다. 각 등시사이클은 100MHz의 주파수대역에서 125μsec동안 지속되는 것으로 규정된다. 또한 등시사이클은 125μsec 이외의 다른 지속기간을 가질 수 있다. 전송중에, 데이터는 각 등시사이클에서 패킷으로 변환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등시사이클의 선두에는, 사이클의 시작을 나타내는 사이클개시패킷이 위치한다. 사이클마스터(cycle master)로서 정의되는 IEEE1394시스템 내의 특정한 1장치에 의해 그 발생타이밍이 지정된다. 이 사이클개시패킷의 생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각 사이클개시패킷 다음에는 우선적으로 등시패킷이 배치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시패킷은 각각 채널에 해당하며 시분할방식(등시 서브액션(isochronous subaction))으로 전송된다. 등시서브액션에서, 패킷들은 등시갭들(예를 들어 각각 0.05μsec 지속함)이라고 하는 간격으로 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IEEE1394시스템에 의하면, 등시데이터가 멀티(다중)채널방식으로 하나의 전송라인을 거처 송수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MD기록기/재생기와 호환가능한 압축된 오디오데이터(이하 ATRAC 라고 칭함)가 등시방식으로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만약 ATRAC데이터에 대해서 1.4Mbps의 1배속전송이 되면, 시계열적인 연속성(즉, 실시간 특성)은 125μsec 등시사이클마다 적어도 20바이트정도의 등시패킷들 내에서 ATRAC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보장된다.
예를 들어, ATRAC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장치는 IEEE1394시스템 내의 IRM(isochronous resource manager)로 하여금 ATRAC데이터의 실시간전송을 확실히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등시패킷사이즈를 부여하도록 요청한다. 이것에 응답하여, IRM은 현재의 데이터전송상태를 감시하여 패킷사이즈에 대한 허가 또는 부허가를 부여한다. 허가가 부여되면, 그 ATRAC데이터는 특정채널을 통해 등시패킷으로 전송된다. 이 수순은 IEEE1394인터페이스에서의 대역예약이라 하는 것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등시사이클밴드내에 있어서 등시서브액션을 위해 이용되지 않는 주파수범위는 비동기서브액션, 즉, 비동기 패킷전송을 위해 이용된다.
도 13은 두 비동기패킷(A,B)이 전송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비동기패킷 다음에는 ACK(acknowledge)신호, 소위 그 사이에 위치한 애크갭(ack gap)(0.05μsec)이라고 하는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다. ACK신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어떠한 비동기데이터가 비동기트랜젝션 도중에 수신된 것을 송신측(즉, 제어기)에게 알리는 하드웨어방식의 수신측(즉, 타겟)에 의해 출력된다.
10μsec길이의 서브액션갭이라고 하는 간격은 비동기패킷과 ACK신호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전송단위 각각의 전과 후에 위치한다.
등시패킷으로 ATRAC데이터를 전송하고, 또한 비동기패킷으로 ATRAC데이터를 수용하는 보조데이터파일들을 전송하도록 배열이 이루어지면, 분명히 자발적인 방식으로 ATRAC데이터 및 보조데이터파일들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2-6. 트랜젝션규칙(transaction rule)
도 14는 비동기 통신의 기본적인 통신규칙(트랜젝션규칙)을 나타내고 있는 처리천이도이다. 통신규칙은 FCP에 의해 규정된다.
도 1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단계(S11)에서 요청자(송신측)는 응답자(수신측)에게 리퀘스트(request)를 보낸다. 리퀘스트를 수신하면(단계 S12), 응답자는 요청자에게 수신확인신호를 회신한다(단계 S13).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요청자는 리퀘스트가 응답자에게 수신되었음을 인지한다(단계 S14).
그 후, 응답자는 요청자의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다(단계 S15). 응답을 수신하면(단계 S16), 요청자는 응답자에게 응답확인신호를 회신한다(단계 S17). 응답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응답자는 응답이 요청자에 의해 수신되었음을 인지한다.
도 14a에서 송신된 리퀘스트는 도 14b의 표의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리퀘스트, 독출 리퀘스트, 락(lock) 리퀘스트의 3가지가 있다.
기록 리퀘스트는 데이터의 기록동작을 지정하는 커멘드(명령)이다. 독출 리퀘스트는 데이터 독출동작을 지정하는 명령이다. 락 리퀘스트는 이하에서 상술하지는 않지만 스왑(swap), 비교(compare), 마스크(mask)를 위한 명령이다.
기록 리퀘스트는 비동기 패킷(AV/C command packet)의 커멘드(오퍼랜드)의 데이터 크기에 의해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첫 번째 유형의 기록 리퀘스트는 비동기 패킷의 헤더크기에 의해서만 커멘드를 송신하는 기록 리퀘스트(데이터 쿼드렛)이다. 다른 두 유형은 (데이터 블록: 데이터 길이=4바이트)의 기록 리퀘스트와 (데이터 블록: 데이터 길이≠4바이트)의 기록 리퀘스트이다. 후자의 두 유형은 비동기 패킷의 헤더를 커멘드 송신용 데이터 블록으로 보충한다. 두 유형의 기록 리퀘스트의 차이점은 데이터 블록에 있는 오퍼랜드의 데이터크기가 하나는 4바이트이고 다른 유형은 4바이트 이외의 크기라는 점이다.
기록 리퀘스트와 동일하게, 독출 리퀘스트는 비동기 패킷의 오퍼랜드(operand)의 데이터 크기에 의해 독출 리퀘스트(데이터 쿼드렛), 독출 리퀘스트(데이터 블록: 데이터 길이=4바이트), 독출리퀘스트(데이터 블록: 데이터 길이≠4바이트)의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응답은 도 14b의 표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다. 3종류의 기록 리퀘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기록 응답 또는 무응답(no response)이 정의된다.
독출 응답(데이터 퀴드렛)은 독출 리퀘스트(데이터 퀴드렛)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정의되고, 독출 응답(데이터 블록)은 독출 리퀘스트(데이터 블록: 데이터 길이=4바이트) 또는 독출 리퀘스트(데이터 블록: 데이터 길이≠4바이트)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락 응답은 락 리퀘스트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2-7. 어드레싱
도 15a-15e는 IEEE1394 버스의 어드레싱 구조를 나타낸다. 도 15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64비트 버스 어드레스 레지스터(어드레스 공간)가 IEEE1394 형식으로 제공된다.
레지스터의 상위 10비트는 IEEE1394버스를 식별하는 버스 ID를 나타낸다. 도 1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에 1023개의 버스 ID로서 #0-#1022의 버스 ID를 설정할 수 있다. 버스 #1022는 로컬버스로 정의된다.
도 15a에서 버스 어드레스에 연속하는 6비트의 영역은 버스 ID에 의해 식별된 IEEE1394에 접속된 장치의 노드 ID를 나타낸다. 도 15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63개의 노드 ID로서 #0-#62의 노드 ID를 식별할 수 있다.
버스 ID와 노드 ID로 구성된 16비트의 영역은 후술할 AV/C 커멘드 패킷의 헤더에서의 destination ID에 해당한다. IEEE1394시스템에서, 특정 버스에 접속된 각 장치는 버스 ID와 노드 ID에 의해 식별된다.
도 15a의 노드 ID에 연속하는 20비트 영역은 레지스터 공간으로 되어 있다. 레지스터 공간 다음에 28비트 레지스터 어드레스가 연속한다.
레지스터 공간은 도 15d에서 나타낸 레지스터를 표시하는 값[F FF FFh]을 갖는다. 이 레지스터의 내용은 도 15e에서와 같이 정의된다. 레지스터 어드레스는 도 15e에서 나타낸 레지스터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간단히 설명하면 어드레싱은 다음과 같다. 도 15e의 레지스터에서 어드레스 512[0 00 02 00h]로부터 개시한 직렬버스 레지스터를 참조하여 등시 사이클시 간과 공백채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어드레스 1024[0 00 04 00h]에서 개시되는 구성 롬(configuration ROM)에는 노드 고유 ID(node unique ID)와 서브유닛 ID(subunit ID) 등의 노드 관련 정보를 수용하고 있다. 장치가 실제로 IEEE 1394 버스에 접속된 경우, 노드 고유 ID(node unique ID)와 서브유닛 ID(subunit ID)는 이 ID에 의해 식별된 장치의 접속관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노드 고유 ID(node unique ID)는 각 장치에 고유한 8바이트 장치정보이다. 장치가 동일한 모델이라 하더라도 두 개의 장치가 동일한 노드 고유 ID(node unique ID)를 함께 가지지 않는다.
서브유닛 ID(subunit ID)는 노드로서 주어진 장치의 제조업자를 표시하는 벤더명(vender name)(module_vender_ID)과 그 노드의 모델명(model_ID)을 표시하는 모델명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노드 고유 ID(node unique ID)는 8비트로 각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의 정보이다. 동일한 모델이라도 두 개의 장치가 동일한 노드 고유 ID(node unique ID)를 함께 가지지 않는다. 한 편, 벤더명(vender name)은 주어진 노드의 제조업자를 식별하는 정보이고 모델명은 그 노드의 모델을 식별하는 정보이다. 이것은 복수의 장치가 동일한 벤더명(vender name)과 모델명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성 롬(configuration ROM)의 내용을 참조하여 당해 장치의 노드 고유 ID(node unique ID)를 식별할 수 있다. 참조시 서브유닛 ID(subuint ID)는 노드의 제조회사(vender)와 모델을 식별할 수 있다. 노드 고유 ID(node unique ID)는 벤더명(vender name)과 모델명(model name)이 임의적인 경우 필수적이다. 벤더명(vender name)과 모델명(model name)은 모든 장치에 반드시 설정될 필요는 없다.
2-8 CIP
도 16은 CIP(common isochronous packet)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것은 도 13에 나타낸 등시패킷(isochronous packet)의 데이터 구조이다. IEEE1394 호환 통신에서, 상기와 같이 ATRAC 데이터(본 실시예의 MD 리코더/플레이어에 의해 기록 재생되는 음성데이터의 한 유형)가 등시방식으로 송수신된다. 즉, 실시간 특성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데이터량이 등시 사이클마다 순차 송신되는 등시 패킷에 의해 운반된다.
CIP의 선두 32비트(쿼드렛)는 1394 패킷헤더로 되어 있다. 이 패킷헤더에서, 상위 16비트 영역은 태그를 표시하는 2비트영역에 연속하는 데이터길이(data_length)를 나타낸다. 태그는 채널을 나타내는 6비트 영역에 연속된다. 채널영역은 "tcode"를 나타내는 4비트에 연속하고, "tcode"는 4비트의 "sy"코드에 연속한다. 1394 패킷헤더에 연속하는 쿼드렛 영역은 header_CRC를 포함한다.
header_CRC에 연속하는 두 쿼드렛 영역은 CIP 헤더로 되어 있다. CIP 헤더의 상위 쿼드렛에서, 2비트가 "0"으로 채워져 있다. "00" 비트 다음의 6비트 영역은 SID(송신노드번호)를 나타내고, SID에는 8비트 영역의 DBS(데이터블록크기, 즉 패킷화 데이터의 증가)가 연속한다. DBS영역에는 FN(2비트)과 QPC(3비트)가 연속한다. FN영역은 패킷화 세그먼트의 수를 나타내고, QPC영역은 세그먼트에 추가된 쿼드렛의 수를 나타낸다.
QPC영역에는 SPH(1비트)영역이 연속되는데, SPH는 소스패킷에서의 헤더의 플래그를 나타낸다. DBC영역은 누락된 패킷을 검출하는 카운터의 값을 포함한다.
CIP헤더의 하위 쿼드렛의 상위 2비트는 "1"과 "0"으로 되어 있다. "00"비트에는 FMT(6비트)와 FDF(24비트)영역이 연속한다. FMT영역은 신호형식(형식의 값에 의해 CIP에서의 데이터유형을 식별한다)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MPEG 스트림 데이터, 오디오 스트림 데이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V) 등의 데이터형식은 FMT영역에 의해 식별된다. FMT영역에 주어진 데이터형식은 도 8에서 나타낸 CIP헤더형식(CIP header format)(401)의 관리하에 SD-DVCR 실시간 송신(Realtime Transmission)(502), HD-DVCR 실시간 송신(503), SDL-DVCR 실시간 송신(504), MPEG2-TS 실시간 송신(505) 또는 오디오뮤직 실시간 송신(506) 등의 프로토콜에 대응한다.
FDF영역은 형식에 의존하는 필드로서, FMT영역에 의해 분류된 데이터형식의 세분화한 카테고리를 나타낸다. 음성데이터는 선형 음성데이터 또는 MIDI 데이터로서 세분화되어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ATRAC데이터는 우선 FMT영역에서 오디오 스트림 데이터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것으로 표시된다. FDF영역에 설정된 소정의 값에 의해 오디오 스트림 데이터는 ATRAC 데이터인 것으로 표시된다.
FMT영역이 MPEG데이터를 나타내면, FDF영역은 등시제어정보인 TSF(time shift flag)를 저장한다. FMT영역이 DVCR(digital video camera) 데이터를 나타내면, FDF영역은 도 16 아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의된다. 이 FDF영역은 초당 필드의 개수를 나타내는 상위 50/60영역(1비트)을 갖고, FDF영역에는 비디오형식이 SD 또는 HD인지를 나타내는 STYPE영역(5비트)이 연속한다. STYPE 영역에는 프레임 동기용 타임 스탬프를 제공하는 SYT영역이 연속한다.
CIP에 연속하여, FMT영역과 FDF영역에 의해 표시된 데이터가 "n"데이터의 시퀀스에 저장된다. 데이터가 FMT영역과 FDF영역에 의해 ATRAC데이터로 나타나면, 데이터 블록은 ATRAC 데이터를 포함한다. 데이터 블록은 data_CRT 영역에 의해 종료된다.
2-9 접속관리
IEE 1394 형식에서, "플러그(plug)"라고 하는 논리 접속은 IEEE 1394 버스에 의해 접속된 장치간의 접속관계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7은 플러그(plug)에 의해 정의된 접속관계의 전형적인 설정을 나타낸다. 여기에는 VTR1, VTR2, 셋탑박스(STB; 디지털 위성방송 튜너), 모니터, 디지털카메라가 IEEE1394 버스를 통해 모두 접속되어 있다.
플러그 기반 IEEE 1394 접속에는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접속과 방송 접속(broadcast connection)의 두 가지가 있다.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접속은 송수신 장치 간의 관계를 특정한다. 데이터 송신은 송신장치에서 수신장치로 특정 채널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방송 접속은 송신장치에 사용할 채널과 수신장치의 특정을 요구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장치는 송신장치를 식별하는 것 없이 송신 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필요한 경우 소정의 처리를 수행한다.
도 17의 경우는 두 개의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접속상태를 나타낸다. STB가 데이터를 전송하고 VTR1이 채널 1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와, 디지털 카메라가 데이터를 전송하고 VTR2가 채널 2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7에서는 방송을 통해 디지털 카메라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접속상태를 나타낸다. 방송 데이터가 모니터에 의해 수신되어, 모니터가 소정의 응답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접속(플러그)은 각 장치의 어드레스 공간에 포함된 PCR(plug control register)에 의해 확립된다.
도 18a는 출력용 PCR(oPCR[n])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18b는 입력용 PCR(iPCR[n])의 구조를 나타낸다. 레지스터 oPCR[n], iPCR[n]은 각각 32비트의 크기를 갖는다.
도 18a의 레지스터 oPCR에서, 상위 1비트(on-line)에 설정된 "1"은 플러그가 온라인 상태에 있고 등시 데이터송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 비트의 "1"(방송 접속 카운터)은 방송 접속송신을 나타낸다. 6비트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접속 카운터" 필드("방송 접속 카운터" 비트에 연속)는 상기 플러그와 링크된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접속 수를 나타낸다. MSB에 관련된 11∼6 비트에 걸쳐 있는 "채널 수(channel number)"는 데이터가 송신되는 채널의 수를 나타낸다.
도 18b의 레지스터 iPCR에서, 상위 1비트(on-line)에 설정된 "1"은 상기 플러그가 온라인 상태에 있고 등시 데이터수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 비트의 "1"(방송 접속 카운터)은 방송 접속수신을 나타낸다. 6비트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접속 카운터" 필드("방송 접속 카운터" 비트에 연속)는 상기 플러그와 링크된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접속 수를 나타낸다. MSB에 관련된 11∼6 비트에 걸쳐 있는 "채널 수(channel number)"는 데이터가 수신되는 채널의 수를 나타낸다.
도 18a의 레지스터 oPCR과 도 18b의 레지스터 iPCR에서 방송 접속 카운터는 방송 접속 송수신의 경우 방송 접속에 의해 링크된 노드의 수를 포함한다.
도 18a의 레지스터 oPCR과 도 18b의 레지스터 iPCR에서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접속 카운터는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접속 송수신의 경우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접속에 의해 링크된 노드의 수를 저장한다.
방송접속이 레지스터 oPCR[n]에서 설정되면, 출력측은 접속된 전자장치와 관계없이 데이터를 전송한다.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접속이 레지스터 iPCR[n]에서 설정되면, 출력측은 접속된 전자장치와 상호 관계를 확립하여 이 장치가 다른 장치와 링크되게 한다.
2-10. FCP에서의 커멘드와 응답
비동기방식에 의한 데이터의 송신은 도 18에서 도시한 FCP에 의해 규정된다. 이하, FCP에 의하여 규정된 통신을 설명한다.
FCP에서는 비동기방식에 의한 기입트렌젝션(write transaction)(도 14b)이 사용된다. 보조데이터는 본 실시예에서 FCP 비동기방식의 기입트렌젝션(write transaction)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FCP를 지원하는 각 장치는 커멘드/응답(command/response)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기입트렌젝션(write transaction)은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멘드/응답 레지스터에 메시지를 기록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19의 처리천이도에서는, 단계(S21)에서 제어기가 트랜젝션 요구(transaction request)를 발생시키고, 커멘드 송신용 타겟(target)에 기입요구패킷(write request packet)을 전송한다. 단계(S22)에서, 타겟은 기입요구패킷(write request packet)을 수신하고 데이터를 커멘드/응답 레지스터에 기록한다. 타겟은 단계(S23)에서 제어기에 수신확인(acknowledgement)을 회신하고 제어기는 단계(S24)에서 수신확인(acknowledgement)을 수신한다. 지금까지 단계는 커멘드 송신처리를 구성하고 있다.
커멘드에 대한 처리에서, 타겟은 기입요구패킷(write request packet)을 전송한다(단계 S25). 기입요구패킷(write request packet)를 수신하면, 제어기는 데이터를 커멘드/응답 레지스터에 기록한다(단계 S26). 기입요구패킷(write request packet)이 수신되면서, 제어기는 수신확인(acknowledgement)을 타겟에 전송한다(단계 S27). 수신확인(acknowledgement)을 수신함으로써 타겟은 기입요구패킷(write request packet)이 제어기에 의해 수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단계 S28).
즉, FCP에 의한 데이터 전송(통신)은 제어기에서 타겟으로 커멘드를 전송하는 처리와 타겟에서 제어기로 응답을 전송하는 처리의 두 가지 처리에 의거한다.
2-11. AV/C 커맨드패킷
도 8에 이미 나타낸 바와 같이, FCP에 의해 다양한 AV장치가 AV/C커멘드를 이용한 비동기방식에 의해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3종류의 트랜젝션, 즉, 기입(write), 독출(read), 락(lock)은 도 14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동기통신을 위해 규정되어 있다. 실제로, 기입요구/응답패킷은 다른 트랜젝션에 따라 이용된다. FCP를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기입트랜젝션이 이용된다.
도 20은 기입요구패킷(Write Request Packet)(비동기패킷(데이터블록을 위한 기입요구(write request for data block))의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는 AV/C커멘드패킷으로서 기입요구패킷을 이용한다.
기입요구패킷에서의 상위 5쿼들렛(제 1-5쿼들렛)은 패킷헤더를 구성한다. 패킷헤더의 제 1쿼들렛에서의 상위 16비트영역은 destination_ID, 즉, 데이터전송처(data transfer destination)의 역할을 하는 노드의 ID이다. destination_ID영역 다음에는 패킷번호를 나타내는 6비트의 "tl"(transact label)영역이 배치된다. 이 6비트영역 다음에는 해당패킷이 초기에 전송된 패킷인지 또는 재전송된 패킷인지를 나타내는 2비트 "rt"(retry code)가 배치된다. "rt"영역 다음에는 커멘드코드를 나타내는 4비트 "tcode"(transaction code)영역이 배치된다. "tcode"영역 다음에는 패킷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pri"(priority)영역이 배치된다.
패킷헤더의 제 2쿼들렛에서의 상위 16비트영역은 source_ID, 즉, 데이터전송원(data transfer source)의 역할을 하는 노드의 ID를 나타낸다.
제 2쿼들렛에서의 하위 16비트와 제 3쿼들렛 전체의 총48비트는 한쪽의 커멘드레지스터(command register)(FCP_COMMAND register)와, 다른 한쪽의 응답레지스터(response register)(FCP_RESPONSE register)의 두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destination_offset를 나타낸다.
destination_ID와 destination_offset은 IEEE1394포맷에서 규정된 64비트어드레스공간에 해당한다.
제 4쿼들렛에서의 상위 16비트영역은 data_length를 포함한다. 이 영역은 후술하는 데이터필드(datafield)의 데이터크기를 나타낸다(도 20에서 굵은 선에 의해 감싼 영역). data_length 영역 다음에는 tcode를 확장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영역으로서 16비트의 extended_tcode 영역이 배치된다.
제 5쿼들렛을 구성하는 32비트영역은 header_CRC를 나타낸다. 이 영역은 패킷헤더를 체크섬(checksum)하는 CRC계산치를 포함한다.
데이터블록의 배치는 패킷헤더 다음에 오는 제 6쿼들렛에서 시작한다. 데이터필드는 데이터블록의 시작점에 형성된다.
제 6쿼들렛의 헤드를 차지하는 데이터필드를 형성하는 상위 4비트는 CTS(command and transaction)를 기술한다. CTS영역은 해당 기입요구패킷(write request packet)을 위한 커멘드세트의 ID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낸 "0000"의 CTS값은 AV/C커멘드로서 데이터필드의 내용(content)을 정의한다. 즉, 기입요구패킷은 AV/C커멘드패킷으로서 확인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 FCP가 AV/C커멘드를 사용하기 위해, 이 CTS에는 [0000]이 기술되게 된다.
CTS 다음의 4비트영역에는 "ctype"(command type, 즉, 커멘드의 기능분류), 또는 커멘드에 따른 처리결과(예를 들면, 응답(response))를 나타내는 응답(response)이 기술된다.
도 21에, 상기 커멘드 형태(ctype) 및 응답(response)의 정의내용을 나타낸다. 값 [0000]-[0111]은 "ctype"(커멘드)로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특히, 값 [0000]은 CONTROL, [0001]은 STATUS, [0010]은 INQUIRY, [0011]은 NOTIFY로 정의된다. 값 [0100]-[0111]은 현재 정의를 유보한다.
CONTROL은 외부에서 기능들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커멘드이고; STATUS는 외부로부터 상태를 문의하기 위한 커멘드이며; INQUIRY는 제어커멘드의 서포트(support)의 유무를 외부로부터 문의하는 커멘드; NOTIFY는 상태의 변화를 외부에 알리는 것을 요구하는 커멘드이다.
값 [1000]-[1111]은 응답(response)으로 사용하기 위해 정의된다. 특히, 값 [1000]은 NOT IMPLEMENTED로; [1001]은 ACCEPTED로; [1010]은 REJECTED로; [1101]은 IN TRANSITION으로; [1100]은 IMPLEMENTED/STABLE로; [1101]은 CHANGED로; [1110]은 reserved로; [1111]은 INTERIM으로 각각 정의된다.
상술한 응답(response)들은 커멘드형에 의존하여 선택적으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4응답(response)(NOT IMPLEMENTE, ACCEPTED, REJECTED, INTERIM)들 중 하나는 Responder(응답자)의 상태에 의존하여 선택적으로 이용된다.
도 20에서, c 타입(type)/응답(response)영역 다음에는 서브유닛 타입(subunit-type)을 포함하는 5비트 영역이 배치된다. 서브유닛 타입(subunit-type)은 커멘드 전송처 또는 응답(response) 전송원의 역할을 하는 서브유닛(subunit)을 나타낸다. IEEE 1394 포맷에서, 각 기기(장치)는 유닛(unit)으로 부르고, 이 유닛 내의 기능적 유닛은 서브유닛(subunit)으로 부른다. 예를 들어, 유닛으로서 전형적인 VTR은 지상 및 위성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와 비디오카세트기록기/재생기의 두 서브유닛(subunit)을 포함한다.
서브유닛 타입(subunit type)은 예를 들어 도 2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의된다. 특히, 값 [00000]은 모니터로 정의되며, 값 [00001]-[00010]은 reserved로 정의된다. 값 [00011]은 디스크기록기/재생기로 정의되며, [00100]은 VCR로, [00101]은 튜너로, [00111]은 카메라로, [01000]-[11110]은 reserved로 정의된다. 값 [11111]은 서브유닛(subunit)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이용되기 위한 유닛으로 정의된다.
도 20에서, 서브유닛(subunit type) 다음의 3비트 영역은 동일종류의 서브유닛(subunit)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에, 각 서브유닛(subunit)을 특정하기 위한 id(Node_ID)가 격납된다.
상기 id(Node_ID)에 이어지는 8비트의 영역에는, 연산부호(opcode)가 격납되고, 이어지는 8비트 영역에는 operand(피연산자)가 차례로 격납된다. 연산부호(opcode)는 연산코드(operation code)를 나타낸다. 피연산자(operand)는 연산부호(opcode)가 필요로 하는 정보(parameter)를 포함한다. 연산부호(opcode)는 해당 서브유닛(subunit)에 특정한 연산부호(opcode) 리스트테이블에 각 서브유닛(subunit)을 위해 정의된다. 예를 들어, 서브유닛(subunit)이 VCR일 경우, PLAY(playback) 및 RECORD(recording) 등의 다양한 커멘드가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유닛(subunit)을 위해 정의된다. 피연산자(operand)는 각 연산부호(opcode)를 위해 정의된다.
도 20의 제 6쿼들렛을 구성하는 32비트영역이 필수 데이터필드로 된다. 필요하다면, 피연산자(operand)를 이 데이터필드 뒤에 추가할 수 있다(Additional operands로 나타냄).
이 데이터필드(datafield) 다음에는 data_CRC영역이 이어진다. 필요할 경우 패딩(padding)을 data_CRC영역 전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2-12. 플러그
IEEE1394포맷에서 플러그에 대한 일반정보를 기술한다. 도 18a, 18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는 IEEE1394포맷에 따라 기기들 사이의 논리적 접속(logical connection)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비동기 통신에서 유효하게 되는 커멘드 등의 데이터(request)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산자(producer)로부터 소비자(consumer)로 전송된다. 생산자(producer)는 IEEE1394인터페이스에 따라 송신기로서 역할을 하는 기기를 나타내는 것이고, 소비자(consumer)는 수신기로서 역할을 하는 기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소비자는 생산자에 의해 기입된 데이터를 수용하는 도 23에 사선으로 나타낸 세그먼트버퍼를 가지고 있다.
IEEE1394시스템에서, 생산자 및 소비자로서의 특정기기를 가리키는 정보(connection management information으로 칭한다)는 도 23에 망선(braided line)으로 나타낸 소정의 플러그어드레스위치에 격납되어 있다. 세그먼트버퍼는 플러그어드레스 다음에 위치한다.
소비자가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는 세그먼트버퍼어드레스의 범위(recordable data quantity)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비자측에서 관리되는 리미트카운트레지스터에 의해 규정된다.
도 24a, 24b, 24c는 비동기통신을 위한 플러그어드레스공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64비트플러그어드레스공간은 도 2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16(64K)노드로 분할되어, 도 24b에서 나타낸 노드 각각의 어드레스공간에서 플러그가 발견된다. 각 플러그는 도 24c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세그먼트버퍼와 망선으로 나타낸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이 레지스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신측(producer) 및 수신측(consumer) 사이에서의 데이터교환을 위해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송신된 데이터크기 및 수신가능한 데이터크기)를 수용한다. 세그먼트버퍼는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송신된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영역이다. 최소세그먼트버퍼크기는 예를 들어 64바이트로 규정된다.
도 25a는 도 24c에 나타낸 것과 내용이 같은 전형적인 플러그어드레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어드레스의 선두에는 레지스터가 위치하며, 그 다음에는 세그먼트버퍼가 이어진다.
도 2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지스터의 내부구조의 선두에는 32비트의 생산자카운트레지스터(producer count register)가 위치하며, 그 다음에는 각각 32비트인 리미트카운트레지스터 [1]-[14]가 위치한다. 즉, 하나의 생산자카운트레지스터와 14의 리미트카운트레지스터(limit count register)들이 그 레지스터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용되지 않는 영역이 리미트카운트레지스터 [14] 뒤에 오게 된다.
도 25a 및 25b에 나타낸 플러그구조는 도 25c의 오프셋어드레스(offset address)에 의해 지정된다. 오프셋어드레스 0은 소비자포트(consumer port(producer count register))를 지정하며, 오프셋어드레스 4,8,12-56,60은 생산자포트 [1]-[14]를 지정한다. 오프셋어드레스 64는 세그먼트버퍼를 지정한다.
도 26a 및 26b는 생산자 및 소비자 양자를 위한 플러그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한 플러그구조에서는, 생산자카운트레지스터로의 기입, 리미트카운트레지스터로의 기입, 및 세그먼트버퍼로의 기입을 후술하는 송수신수단에 따라 행하여, 비동기통신을 실현한다. 기입동작은 상술한 기입트랜젝션(write transaction) 분류로 처리된다.
생산자는 소비자의 생산자카운트레지스터(producer count register)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구체적으로, 생산자는 자신의 어드레스에 있는 생산자카운트레지스터에 생산자측의 데이터전송에 관한 정보를 기입한다. 이어서, 이 생산자카운트레지스터의 내용을 소비자의 생산자카운트레지스터에 기입한다.
생산자카운트레지스터는 하나의 기입동작에서 생산자에 의해 소비자의 세그먼트버퍼에 기입된 데이터의 크기를 수용한다. 즉, 생산자카운트레지스터에 데이터를 기입한 생산자는 소비자세그먼트버퍼에 기입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통지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 응답하여, 소비자는 생산자의 리미트카운트레지스터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구체적으로, 소비자는 우선 그 세그먼트버퍼의 크기를 생산자에 대응하여 지정된 리미트카운터레지스터(1-14)(register [n])에 기입한다. 리미트카운트레지스터 [n]의 내용은 이어서 생산자의 리미트카운트레지스터 [n]에 기입된다.
그 리미트카운트레지스터 [n]에 기입된 데이터에 따라, 생산자는 예를 들어 그 자신의 세그먼트버퍼에 하나의 기입동작으로 기입된 데이터를 크기를 결정한다. 세그먼트버퍼의 내용은 차례로 소비자의 세그먼트버퍼에 기입된다. 소비자세그먼트버퍼에 대한 기입동작은 비동기통신의 데이터전송을 구성한다.
2-13. 비동기접속송신수순(asynchronous connection transmission procedure)
도 26에 의해 설명한 플러그(producer-consumer) 사이의 구조를 전제로서, 비동기접속에 의해 송수신하는 기본수순에 대하여 도 27의 처리천이도(process transition diagram)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7에 나타낸 송수신은 비동기통신을 위한 FCP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으로 AV/C커멘드(write request packet)이용하여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취급되는 보조데이터는 IEEE1394시스템 내에서의 처리에 의해 송수신된다. 도 26a 및 26b에 나타낸 처리는 비동기접속에 의한 통신동작만을 나타내며, 보조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에 대응하는 통신처리는 이후에 기술하도록 한다.
실제의 비동기접속설정에서, 커멘드 송신에 따라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인(acknowledge)의 송수신이 실행된다. 도 27의 설정은 단순화할 목적으로 승인교환을 나타내지 않았다.
IEEE1394인터페이스에서, 플러그 사이의 접속관계로서, 상술한 생산자-소비자의 관계 이외에, 제어기-타겟(controller-target)으로서 규정되는 관계가 존재한다. IEEE1394시스템에서, 생산자-소비자관계가 규정된 기기는 제어기-타겟관계 가 규정된 기기와 일치할 수도 있고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생산자로서 지정된 기기 이외에 제어기기능을 제공하는데 규정된 기기가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생산자-소비자관계는 제어기-타겟관계와 일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7의 송신수순에서의 단계(S101)에서, 생산자는 접속요구(connect request)를 생산자에게 전송한다. 이 접속요구는 그들 사이의 접속을 위하여 생산자에 의해 소비자에게 송신된 커멘드이다. 이 커멘드는 소비자에게 생산자의 레지스터어드레스를 알려준다.
접속요구는 단계(S102)에서 소비자에 의해 수신되고, 거기에서, 소비자는 생산자측 상의 레지스터의 어드레스를 인지한다. 단계(S103)에서, 소비자는 생산자에게 접속허가를 전송한다. 단계(S104)에서 생산자에 의해 접속허가가 수신되는 것으로, 이하의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해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 접속(connection)이 확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이 확립되면, 단계(S105)에서 소비자는 리미트카운트레지스터(이하, 리미트카운트라고 약칭함) 기입요구를 생산자에게 송신한다. 단계(S106)에서 리미트카운트기입요구를 수신한 후에, 생산자는 단계(S107)에서 리미트카운트기입허가를 소비자에게 송신한다. 단계(S108)에서, 소비자는 리미트카운트기입허가를 수신한다. 리미트카운트기입요구/기입허가의 일련의 처리에 의해, 이후에서의 세그먼트버퍼에의 데이터기입크기(세그먼트버퍼용량)가 결정된다.
단계(S109)에서, 생산자(producer)는 세그먼트버퍼기입요구(segment buffer write request)를 소비자(consumer)에게 전송한다. 세그먼트버퍼기입요구는 단 계(S110)에서 소비자에 의해 수신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단계(S111)에서 생산자에게 세그먼트버퍼기입허가를 전송한다. 생산자는 단계(S112)에서 세그먼트버퍼기입허가를 수신한다.
단계(S109)에서 단계(S112)까지를 수행하여 생산자의 세그먼트버퍼로부터 소비자의 세그먼트버퍼로의 데이터기입의 단일 프로세스를 완료한다.
단계(S109)부터 단계(S112)까지에서, 데이터는 도 13에 나타낸 단일 비동기 패킷의 전송에 의해 기입된다. 비동기패킷으로 전송된 데이터크기가 리미트카운트레지스터(limit count register)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크기보다 작고, 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이 단일 비동기패킷을 사용하여 완료되지 않으면, 세그먼트버퍼용량이 채워질때까지 단계(S109)부터 단계(S119)까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세그먼트버퍼로의 기입동작이 단계(S109-S112)에서 완료되면, 단계(S113)가 수행되어 소비자가 생산자카운트레지스터(이후 생산자카운트라고 약칭함) 기입요구를 소비자에게 전송한다. 소비자는 단계(S114)에서 생산자카운트기입요구를 수신하고, 그 생산자카운트레지스터에 대한 기입동작을 수행한다. 단계(S115)에서, 소비자는 생산자카운트기입허가를 생산자에게 전송한다. 생산자는 단계(S116)에서 생산자카운트기입허가를 수신한다.
상술한 처리에 의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세그먼트버퍼에 단계(S109-S112)에서 전송된 데이터크기가 소비자에게 통지된다.
단계(S117)에서, 단계(S113-S116)로 이루어진 생산자카운트기입처리의 뒤에 이어지는 리미트카운트기입동작을 수행하는 처리가 시작된다. 특히, 단계(S117- S1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미트카운트기입요구는 소비자로부터 생산자에게 전송된다. 이에 따라, 생산자는 리미트카운트기입허가를 소비자에게 전송한다.
상술한 단계(S109-S120)는 비동기접속(asynchronous connection)에서의 데이터전송을 위한 한 세트의 처리를 이룬다. 만약,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세그먼트버퍼크기보다 클 경우, 또한 데이터의 전송이 1회의 단계(S109-S120)에서 완료되지 않는다면, 단계(S109-S120)를 데이터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한다.
데이터전송이 완료되면, 단계(S121)에서의 생산자는 비접속(disconnect) 요구를 소비자에게 전송한다. 소비자는 단계(S122)에서 비접속요구를 수신하며, 비접속허가를 전송한다. 소비자는 단계(S124)에서 비접속허가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비동기접속에 의한 데이터송수신이 완료된다.
3. 노드분류처리(node classification proces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STR(60)은 CD기(CD기)(30) 및 MD기(MD기)(1) 등의 다른 STR대응기기(STR호환가능 기기)와 결합되면 오디오컴퍼넌트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구성에서, STR(60) 또는 STR대응기기는 현재 IEEE1394버스와 접속된 노드들을 검출하고, 이들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제조회사와 모델에 의해 그룹으로 분류한다. IEEE1394버스상의 모든 노드는 이러한 방식으로 분류된다. 후술하는 STR(60)의 전원상태에 따른 다른 기기에 대한 온/오프 연동(동기)제어를 행할 때도, 제어되는 각 기기는 노드분류처리의 결과에 따라 제어되지 않는 기기들 과 구별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수행되는 노드분류처리에 대해서 아래에 기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노드들은 아래와 같이 8그룹으로 분류된다. 노드그룹들은 설명의 편의상 번호 1(#1)부터 번호 8(#8)까지로 나타낸다.
번호 1그룹: STR대응CD기
번호 2그룹: STR대응MD기
번호 3그룹: 동일 제조회사CD기
번호 4그룹: 동일 제조회사MD기
번호 5그룹: 타사 제조회사CD기, MD기
번호 6그룹: CD기, MD기 이외의 동일제조회사기기(서브유닛을 복수개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번호 7그룹: CD기, MD기 이외의 다른 제조회사기기에서, 서브유닛이 디스크, 튜너, VCR 중 어느 것)
번호 8그룹: 그 외의 것들
현 상황으로서, 상술한 분류는 동일 제조회사기기로서 CD기와 MD기만 서브유닛이 디스크장치(정확히는 디스크기록기/재생기)로 되어 있는 STR(60)에 연결되어 있다는 전제조건에 기초한 것이다. 즉, DVD 등의 다른 디스크미디어에 대응하는 기기는 전제조건에서 제외대상이 된다. 따라서, STR(60)과 같은 제조회사의 기기들은 번호 1,2,3,4,6 그룹 중 어느 것으로 분류된다.
노드분류처리는 IEEE1394버스상에서의 노드관리에 변경이 있게 되는 버스리셋발생시에 대응하여 STR(60)이 실행하게 된다. 도 28,29의 플로우차트는 노드분류처리를 이루게 하는 단계들을 나타낸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8,29에서의 단계는 STR(60)의 시스템제어기(7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하고, 제어기는 IEEE1394인터페이스(61)와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한다.
노드분류처리는 도 28의 단계(S201)에서 시작된다. 단계(S201)에서, IEEE1394버스상의 버스리셋의 생성을 기다린다. 버스리셋이 검출되면, 단계(S202)와 그 이후의 단계들에 대한 처리가 수행된다.
단계(S202)에서, 노드ID는 "0"으로 설정된다. 단계(S203)에서, 값 "0"은 변수 모델이 식별된 타겟으로 현재 선택된 노드(이후, 현재노드로 약칭함)의 노드ID에 대응하는 "i"(i≥0)로 설정된다. 또한, 단계(S203)에서, 값 "n"은 IEEE1394버스에 달려 있는 이 노드 이외의 노드의 번호로서 설정된다. 즉, 단계(S202,S203)에서, 노드분류처리 개시시에 대응하는 초기화처리가 실행된다.
단계(S204)에서, 현재의 변수 "i"가 이 노드 이외의 노드의 번호 "n"보다 작은지에 대한 체크가 이루어진다. 즉, IEEE1394버스상의 이 노드 이외의 모든 노드가 노드분류처리를 완료했는지 여부가 결정되며, 이것에 대해서는 지금부터 설명하겠다. 만약, 변수 "i"가 번호 "n"보다 작은 것으로 판명되면, 단계(S205)로 이동한다.
단계(S205)에서, 현재 변수 "i"에 의해 주어진 노드 ID가 카운트된다. 예를 들어, 단계(S205)로 처음 이동하면, 노드 ID는 "0"으로 카운트되고, "0"의 노드 ID를 갖는 노드에 대해 모델결정이 이루어진다.
단계(S206)에서, 단계(S205)에서의 현재 노드로서 선택된 노드의 노드 고유(unique) ID가 결정된다. 그 노드의 구성롬(configuration ROM)(도 15e)을 참조하면 노드고유ID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제어기(70)는 그 노드의 어드레스에 억세스하여 구성롬의 내용을 추출한다.
단계(S207)에서, 같은 노드고유ID를 갖는 노드(기기)는 버스리셋 이전에 노드테이블세트로부터 검출된다. 노드테이블은 IEEE1394버스상의 노드로서 기기의 분류의 결과를 포함하는 테이블이다. 새로운 내용을 갖는 버스테이블은 버스리셋이 생성될 때마다 생성된다.
단계(S208)에서, 단계(S207)의 처리결과로서 같은 노드 고유 ID를 갖는 기기가 검출되었는지 여부가 체크된다. 만약 긍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면, 단계(S209)로 이동한다.
단계(S209)에서, 노드고유ID를 갖는 새로 검출된 노드에 대한 정보가 버스리셋 전의 노드테이블로부터 추출된다. 추출된 정보는 새로이 생성된 노드테이블로 설정된다. 즉, 버스리셋 전에 IEEE1394버스상에 이미 있는 노드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모델결정을 행하지 않고, 이전의 노드테이블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를 그대로 유용하게 된다.
단계(S210)에서, 변수 "i"는 1씩 증가한다. 단계(S210) 다음에는 단계(S204)가 수행된다. 변수 "i"를 증가하는 처리는 노드 ID번호의 상승수순에 따라 모델이 결정된 현재의 노드를 변경하는 처리가 된다.
만약 단계(S208)에서 기기가 검출되지 않으면, 즉 체크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단계(S211)로 이동하여, 모델판정처리가 수행된다. 이 처리는 노드분류를 하기 위한 판단재료가 되는 모델을 판정하기 위한 처리다. 모델판정처리에 의한 결과가 나오면, 각 기기는 상술한 8그룹 중 하나로 분류된다.
도 29는 단계(S211)의 모델판정결과를 이루게 하는 상세한 단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29의 단계(S301)에서, 구성롬의 내용이 체크된다. 단계(S302)에서, 구성롬 내의 서브유닛 ID로 격납되는 model_ID가 검출된다.
노드모델식별을 위해 검출된 model_ID에 의해, 이 노드가 STR대응기종인지 여부에 대한 체크가 단계(S303)에서 이루어진다. 만약 단계(S303)에서의 체크결과가 긍정적이면, 단계(S304)로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주어진 model_ID로 최소한 해당 기기가 STR대응기기인지 여부와, CD기, MD기 또는 STR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s304)에서, STR대응기기가 CD기 또는 MD기이지 여부가 체크된다. 만약 해당기기가 CD기인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S305)로 이동하여, 현재노드가 번호 1그룹으로 분류된다.
만약 해당기기가 MD기인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S306)로 이동하여 현재노드가 번호 2그룹으로 분류된다. 단계(S305) 또는 단계(S306)가 끝나면 다시 도 28의 단계(S212)로 이동한다.
단계(S303)에서의 체크결과가 부정적이면, 단계(S307)로 이동한다. 단계(S307)는 구성 롬으로부터 노드 서브유닛 ID로서의 모듈_제조회사_ID(module_vender_ID)를 검출하기 위해 수행된다. 제조회사(도면에서 "메이커"로 표기함) 식별을 위해 검출된 모듈_제조회사_ID(module_vender_ID)에 의해, 단계(S308)에서 현재노드가 STR(60)과 제조회사가 같은지 여부가 체크된다. 만약 현재노드가 같은 제조회사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S310)로 이동한다. 단계(S308)에서 현재노드가 같은 제조회사인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S309)로 이동하여 동일 제조회사 플래그(same-vender flag) "f"가 "1"로 설정된다. 이어서 단계(S309)로 이동한다. 만약 동일제조회사플래그 "f"가 "0"인 것으로 판정되면, 현재노드가 제조회사가 다른 것임을 의미하며; 플래그가 "1"이면 이 노드의 제조회사가 같음을 의미한다.
단계(S310)에서, SUBUNIT_INFO 커멘드(STATUS)가 현재노드로 전송된다. SUBUNIT_INFO 커멘드는 AV/C커멘드에서 서브유닛 타입(subunit_type0이 무엇인지를 통지하기 위해 규정되어 있는 커멘드이다. 전송된 SUBUNIT_INFO 커멘드(STATUS)가 수신되면, 현재 노드가 응답을 한다. 응답(responce)의 내용은 서브유닛 타입(subunit_type)에 대한 식별을 위해 체크된다.
서브유닛(subunit_type)식별의 결과가 주어지면, 단계(S311)에서 현재 노드가 "disc"(디스크기록기/재생기)의 서브유닛 타입(subunit_type)을 갖는지 여부와, 단지 하나의 서브유닛 타입(subunit_type)을 갖는지 여부가 체크된다. 단계(S311)에서의 체크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단계(S312)와 그 이후의 처리가 수행된다.
단계(S312)에서, 서브유닛 식별자 서술자(subunit identifier descriptor)를 요구하는 내용의 descriptor_access커멘드(OPEN DESCRIPTOR커멘드, READ DESCRIPTOR커멘드)를 현재 노드에 송신한다. 이 커멘드를 수신하면, 현재노드로부터 반송되는 RESPONSE의 내용으로부터, 현재노드의 media_type을 식별하는 것이 행해진다.
Descriptor_Access커멘드로서의 OPEN DESCRIPTOR커멘드 및 READ DESCRIPTOR커멘드는 AV/C커멘드 중 하나이고, 이 커멘드는 그 노드의 Descriptor의 내용을 독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 서브유닛 식별자 서술자(Subunit Identifier Descriptor)는 AV/C프로토콜에 적합한 형식에 의해, 그 노드가 대응하는 디스크미디어에 대한 관리정보(TOC)가 기술된다. 이 데이터구조 내의 소정위치에 대응하여 media_type의 정보가 격납된다. media_type은 Subunit_type=Disc로 된 경우에, 그 디스크의 모델을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 media_type에 CD인지 MD인지가 또한 다른 모델의 디스크미디어인지가 표시된다.
이 Descriptor_Access커멘드가 송신되면, 송신측의 노드에서는, RESPONSE로서, 그 노드가 유지되고 있는 서브유닛 식별자 서술자(Subunit Identifier Descriptor)의 일부, 혹은 전체를 격납하고 송신한다. 그리고 단계(S312)에서의 READ DESCRIPTOR커멘드 송신 후의 처리로서는, 현재 노드로부터 송신되는 RESPONCE를 수신하고, 이 RESPONCE로서의 서브유닛 식별자 서술자(Subunit Identifier Descriptor) 내에 기술되는 media_type의 내용을 식별한 것이다.
단계(S313)에서는, 식별한 media_type의 내용이 어떠한 것인지에 대하여 식별을 행한다. 그리고, media_type=CD로 판별되면 단계(S314)로 진행한다. 또, media_type=MD인 것으로 판별되면 단계(S317)로 진행하고, media_type이 CD, MD 이외인 것으로 판별하면 단계(S319)로 진행한다.
단계(S314)에서, 동일 제조회사플래그 f=1인지 여부에 대하여 판별된다. f=1인 경우에는, 기종의 모델(종별)로서는, STR(60)과 동일한 제조회사인 CD기인 것으로 판정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단계(S315)로 진행하여, 분류번호 3(번호 3그룹)으로 분류된다. 단계(S314)에서 f=1이 아닌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다른 제조회사의 CD기인 것으로 종별판별(모델판별)을 행한다. 이 경우 단계(S316)로 진행하여 분류번호 5로 분류된다.
단계(S317)에서, 동일 제조회사플래그 f=1인지 여부에 대하여 판별을 행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동일 제조회사의 MD기인 것으로 종별판정을 행하고, 단계(S318)에 의해 분류번호 4로 분류한다. 반면에, 단계(S317)에서 부정적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다른 제조회사인 MD기인 것으로 종별판정한 것으로 되고, 단계(S316)에 의해 분류번호 5로 분류된다.
단계(S319)에서, 동일 제조회사플래그 f=1인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별하게 되며, 먼저 부정적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단계(S320)로 진행하여 분류번호 7로 분류한다. 결국, 이 경우에는, 상기 노드는 디스크 타입 장치로 판정되고(Subunit_type=Disc), 서브유닛(Subunit)이 분류번호 7의 디스크(disc), 튜너(Tuner), VCR인 다른 제조회사의 CD기, MD기 이외의 기기로 판정된다.
한편, 단계(S319)에서 플래그 "f"가 "1"인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S322)로 진행하여, 노드가 CD기 또는 MD기 이외의 제조회사가 동일한 디스크형 기기(subunit_type=disc)로서 번호 6그룹으로 분류된다.
단계(S311)에서 체크결과가 부정적이면, 단계(S321)로 진행한다. 단계(S311)에서의 부정적인 체크결과는 현재노드가 디스크기기(subunit_type) 이외인 것이며 하나의 subunit_type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거나, 현재노드가 복수의 subunit_type인 것을 나타낸다. 복수의 subunit_type을 갖는 노드가 예를 들어 CD재생기, MD기록기/재생기 및 튜너 등의 출력소스 중 적어도 두 개를 통합한 하이브리드기기이다.
단계(S321)에서, 같은 제조회사플래그 "f"가 "1"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단계(S321)에서의 체크결과가 긍정적이면, 이것은 노드가 CD 또는 MD기 이외의 기기이며, 제조회사가 같은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단계(S321) 다음에 단계(S322)로 진행한다.
단계(S321)의 체크결과가 부정적이면, 단계(S323)로 진행한다. 단계(S323)에서, 노드의 subunit_type이 "(튜너)tuner" 또는 "VCR"인지 여부에 대한 체크가 이루어진다. 즉, 현재노드가 그 서브유닛으로서 튜너 또는 VCR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단계(S323)의 체크결과가 긍정이면 단계(S324)로 진행하여, 노드가 제조회사가 다른 VCR 또는 튜너만으로 구성된 기기인 것으로 판정된다. 즉, 현재 노드가 제조회사가 다르고 그 서브유닛이 디스크기기, 튜너 및 VCR 중 하나인 CD기 또는 MD기가 아닌 기기로서 번호 7그룹으로 분류된다.
만약 단계(S323)의 체크결과가 부정적이면, 분류번호 1-7그룹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종별판정을 행하고, 단계(S325)로 진행하여 분류번호 8그룹으로 분류된다.
단계(S315, S316, S318, S320, S322, S324, S325)의 각 분류처리를 실행한 후에, 도 28의 단계(S212)로 진행한다.
도 28의 단계(S212)에서, 단계(S315, S316, S318, S320, S322, S324, S325)의 각 처리에 의해 분류된 결과를 포함하여 형성한 현재의 노드에 대한 노드정보를 이번의 버스리셋에 대응하여 작성되는 노드테이블에 설정한다. 단계(S213)에서, 변수 "i"는 1씩 증가하며; 동일제조회사 플래그 "f"가 "1"인 것으로 발견되면, 단계(S204)로 진행하기 전에 플래그가 "0"으로 리셋된다.
단계(S204)에서의 체크결과가 부정적일 때까지 단계(S205-S213)를 반복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IEEE1394버스에서의 노드 각각은 최근리셋 다음에 분류되며, 노드정보는 노드테이블에 새로이 설정된다.
전 노드에 대한 노드분류가 완료하여 단계(S204)에서의 부정적 결과가 얻어지면, 단계(S214)로 진행한다. 단계(S214)에서, 지금까지 수행된 단계들에 의해 준비된 노드테이블은 예를 들어 RAM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노드테이블 내에 보유된 노드분류의 결과를 참조하여 시스템동작이 적절하게 수행되게 된다. 노드분류결과는 전원 온/오프 연동제어를 수행하는데도 이용되며, 이것에 대해서는 아래에 기술한다.
4. 전원 온/오프연동
4-1. 전원제어커맨드(POWER CONTROL command)
본 실시예의 STR(60)은 자신의 전원상태에 따라서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다른 기기에 대하여 실행하는 원격제어 중 하나로서, 자신의 전원상태에 따라, 다른 기기의 전원상태를 제어한다. 즉, STR(60)의 전원의 온/오프의 전환에 따라, 다른 기기가 연동하여 온/오프 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그러한 전원 온/오프 연동제어는 IEEE 1394 버스를 통하여 기기들 사이에서 커맨드를 교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원오프연동제어와, 전원온연동제어 중 하나로 전원상태제어를 수행한다.
전원오프연동제어는 STR(60)가 오프되었을 때 다른 기기의 전원의 오프시키는 것(즉, 대기상태로 되는 것)을 포함한다. 역으로, 전원온연동은 STR(60)의 전원이 켜지면 다른 기기의 전원을 켜는 것을 포함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 기기에 대한 전원 온/오프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온/오프제어는 AV/C커멘드 중 하나인 전원제어커맨드(POWER CONTROL command)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도 34는 전원제어커맨드(POWER CONTROL command)의 전형적인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은 도 20의 기입요구패킷(AV/C커멘드패킷)의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에서 이미 설명한 것에 대해서는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제어커맨드(POWER CONTROL command)는 그것의 4비트 CTS영역과 4비트 ctype 영역 각각을 '0'h로 채움으로써 그 자신을 AV/C 제어커맨드(CONTROL command)로서 식별한다. 8비트 연산부호(opcode)영역은 전원커맨드(POWER command)의 표시로서 그 안에 설정된 'B2'h를 갖는다. 이들 설정들은 이 AV/C 커맨드 패킷이 전원제어커맨드인 것을 나타낸다.
연산부호(opcode)의 다음의 8비트 피연산자(operand) [0] 영역에는 제어하에 있는 전원상태를 나타내는 power_state 값이 채워진다. power_state 값은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70'h 혹은 '60'h이다. 값 '70'h는 전원온상태를 나타내고 '60'h는 전원오프상태를 나타낸다. 즉, 피연산자(operand) [0] 영역에 '70'h가 설정된 전원제어커맨드는 전원인가를 요구하며, 피연산자(operand) [0] 영역에 '60h가 설정된 전원제어커맨드는 전원제거를 지시한다.
4-2. 전원오프연동(synchronized power-off operation)
전원오프동작이 수행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STR(60)에 의한 전원오프연동제어에 적용가능한 기기들은 다음과 같은 조건들 중 하나를 만족해야 한다.
1) 기기는 STR(60) 이외의 다른 기기와 포인트-투-포인트접속이 없는 입력원으로서 STR(60)에 의해 선택된 CD기 또는 MD기이어야 한다.
2) 기기는 STR(60) 이외의 다른 기기와 포인트-투-포인트접속이 없는 STR 대응 CD기이어야 한다.
3) 기기는 STR(60) 이외의 다른 기기와 포인트-투-포인트접속이 없는 STR 대응 MD이어야 한다.
4) 기기는 STR(60)과 같은 제조회사인 정지(stop)상태에 있는 CD기로서, STR(60) 이외의 다른 기기와 포인트-투-포인트접속이 없는 CD기어야 한다.
5) 기기는 STR(60)과 같은 제조회사인 정지(stop)상태에 있는 MD기로서, STR(60) 이외의 다른 기기와 포인트-투-포인트접속이 없는 MD기어야 한다.
즉, STR(60)은 기본적으로 STR대응기기를 포함한 동일제조회사의 CD기, MD기에 대해서, 또한 IEEE 1394 버스를 거쳐서 현재 입력된 소스로서 해당 기기가 현재 선택되면 그 제조회사에 관계없이 CD기 또는 MD기에 대해서 전원 오프 연동을 하도록 한다. 제어되는 동일제조회사의 CD 또는 MD기는 STR(60)과 다른 어느 기기와도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이 없다. STR(60) 이외의 어느 기기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이 없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전원 오프 연동 제어에 대한 조건으로서 포함된다. 그 이유는 STR(60) 이외의 기기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된 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조작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에 있다. 예를 들어, CD기 및 MD기가 그들의 입력플러그 사이에 설정된 포인트-투-포인트 링크에 의해 상호접속되면, 이것은 사용자지정 더빙(user-designated dubbing)이 CD기로부터 MD기로 행해지고 있을 가능성을 의미한다. 이 경우, 그 기기의 전원을 연동하여 오프시키는 것은 분명히 부적절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STR(60)이 STR(60) 이외의 어느 기기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이 설정된 전자기기(CD 또는 MD기)의 전원을 일방적으로 오프시키도록 조작되면, 이러한 조치는 전원이 꺼진 해당 전자기기에 접근할 수 있는 다른 기기에 역효과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STR(60)과 STR 대응 CD기(30)는 하나의 방에서 IEEE 1394 케이블에 의해 상호접속되고, 다른 방에 설치된 MD기는 현재 CD기(30)와 더빙관계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STR 대응 CD기의 레지스터(oPCR[n]) 안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카운터는 "2"로 설정된다. STR(60)와 STR대응 CD기(30)를 연동하여 오프시키도록 STR(60)의 연동전원 오프키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다른 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MD기의 전원을 무심결에 오프시키게 되며, 이것은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불편을 끼치게 된다.
도 30-32는 전원오프연동조작을 위한 STR(6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단계들이다. 이 단계들은 필요할 경우 IEEE1394인터페이스(61)와 통신하는 시스템제어기(70)에 의해 수행된다.
도 30의 단계(S401)에서, 시스템제어기(70)는 STR(60) 자신의 전원온상태로부터 전원오프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지시를 받았는지를 체크한다. 구체적으로, 프론트패널 상의 전원키가 조작되거나 적절한 조작정보가 리모트컨트롤러의 전원키에 대한 조작결과로서 주어지게 되면, 단계(S402)로 이동한다.
단계(S402)에서, 전원오프연동설정이 온이 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체크가 이루어진다. STR(60)은 사용자가 전원오프 및 전원온 연동제어를 ON(유효) 또는 OFF(무효)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오프연동설정이 오프이면, 즉, 단계(S402)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이 처리가 종료된다. 전원오프 연동설정이 온으로 판정되면, 단계(S403)로 진행한다.
단계(S403 ~ S406)에서는 상기 조건 ①에 적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어하도록 한다. 단계(403)에 있어서, 입력소스로서 STR(60)에 의해 현재 선택된 장치가 IEEE1394버스(즉, IEEE1394버스)에 부착되는지에 대해서 검색이 이루어진다. 단계(S403)에서 검색결과가 부정적이면, 즉 선택된 장치가 내부 튜너 또는 아날로그 입력으로 판명되면, 단계(S406 ~ S404)는 스킵(skip)되고 단계(S407)에 도달한다. 단계(S403)에서 검색결과가 긍정적이면, 단계(S404)으로 도달한다.
단계(S404)에 있어서, 입력소스로서 선택된 장치가 CD기 또는 MD기인지에 대해서 검색이 이루어진다. 단계(S404)에서의 판단은 현재 선택된 장치에 관한 서브유닛 식별자 서술자(subunit identifier descriptor)로부터 검색한 media_type을 검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단계(S404)에 있어서 선택된 장치가 CD기도 MD기도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S407)로 도달된다. 선택된 장치가 CD기 또는 MD기로 판정되면, 단계(S404)은 단계(S405)로 진행한다.
단계(S405)에 있어서, 입력소스로서 STR(60)에 의해 현재 선택된 CD 또는 MD기가 STR(60)이외의 장치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을 갖는지에 대해서 검색이 이루어진다. IEEE1394버스를 통해서 그 CD기의 레지스터 oPCR을 참조해서 검색이 이루어진다. 즉, 레지스터 oPCR내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 카운터(point - to - point connection counter)의 값은 STR(60)이외 다른 장치와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의 부재에 대해서 검색한다. 해당 장치가 입력소스로서 STR(60)에 의해 선택되기 때문에, 그 장치는 STR(60)과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을 갖기 때문에 적어도 "1"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 카운터를 갖는다. 카운터 값이 "2"이상이면, 이 장치는 장치 또는 STR(60)이외의 장치와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입력소스로서 STR(60)에 의해 현재 선택된 장치가 MD기이면, 재생 데이터출력에 관한 레지스터 iPCR뿐만 아니라 기록용 데이터입력에 관한 레지스터 iPCR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각각의 레지스터내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 카운터의 값이 STR(60)이외의 다른 장치와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의 부재에 대해서 검색된다.
단계(S405)에 있어서 인터레스트의 장치가 STR(60)이외의 장치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407)에 도달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단계(S403 ~ S405)는 상기 조건 ①을 따르는 어떤 장치가 존재하는지에 대해서 확인한다. 이러한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S407)에 도달한다. STR(60)이외의 다른 장치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의 부재가 단계(S405)에서 부인되면, 그것은 조건 ①을 충족시키는 장치가 있는 것을 가리킨다. 그 경우에, 단계(S406)로 도달해서 전원-오프 명령이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그 전원_상태 값(power_state value)으로서 설정된 '60'h를 갖는 전원 제어 명령(POWER CONTROL COMMAND)은 입력소스로서 현재 선택된 CD 또는 MD기로 전송된다.
계속해서 단계(S407 ~ S411)는 상기 조건 ②에 적용할 수 있는 어떤 장치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전원 - 오프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 실행된다. 단계(S407)에 있어서, 적합한 순서로 IEEE 1394 버스에 접속된 장치의 구성 ROMs을 참조해서 IEEE 1394 버스 상의 STR-대응 CD기에 대한 검색을 행한다. 단계(S408)에 있어서, 구성 ROMs내의 subunit_IDs으로서 유지된 model_IDs를 참조해서 STR-대응 CD기가 존재하는지에 대해서 검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CD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도 31의 단계(S412)에 도달한다. 즉 적용할 수 있는 CD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S409)에 도달된다.
단계(S409)에 있어서, 포인트-투-포인트 접속 검색이 수행된다. 이 검색 에는 포인트-투-포인트 상태에 대한 IEE1394버스상의 적어도 하나의 STR-대응 CD기를 검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검사는 각각의 STR-대응 CD기의 레지스터 oPCR에 억세스하고 포인트-투-포인트 접속 카운터를 참조해서 실행된다.
단계(S409)에서의 검색에 따라서, STR(60)이외의 어떤 다른 장치와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이 없는 어떤 STR-대응 CD기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서 스텝(S410)에서 다른 검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STR-대응 CD기가 단계(S401)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즉 IEEE1394버스의 모든 STR-대응 CD기가 STR(60)이외의 장치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을 갖는 것으로 판정되면, 그것은 상기 조건 ②를 충족시키는 장치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경우에, 도 31의 단계(S412)로 도달한다. 반면에, 단계(S410)에서의 검색결과가 긍정적이면, 단계(S411)로 이르고 STR(60)이외의 다른 장치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이 없는 STR-대응 CD기에 연속적으로 전원-오프 커멘드가 전송된다.
단계(S411)은 도 31에서의 단계(S412)와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S412 ~ S416)에서는 상기 조건 ③을 따르도록 판정되는 장치에 대해서 전원-오프 커멘드 전송을 실행하도록 처리된다.
단계(S412)에 있어서, IEEE1394버스의 어떤 STR-대응 MD기에 대해서 검색이 이루어진다. 단계(S412)의 검색에 따르면, 어떤 STR-대응 MD기가 버스상에 존재하는지에 대해서 판정하도록 단계(S413)에 검색이 이루어진다. 세밀한 장치의 구성 ROMs의 subunit_IDs로서 유지된 model_IDs를 참조해서 검색이 실행된다. 단계(S413)에서의 검색결과가 부정적이면, 단계(S417)로 도달된다. 즉, 단계(S413)에서의 검색결과가 긍정적이면, 단계(S414)로 도달된다.
단계(S414)에 있어서, IEEE1394버스 상의 STR-대응 MD기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 상태에 대해서 검색된다. 검색될 타겟 장치가 MD기이기 때문에, 레지스터 oPCR 뿐만 아니라 각 장치에 관한 레지스터 iPCR를 참조할 필요는 없다.
단계(S414)에서의 검색에 따르면, STR(60)이외의 다른 장치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이 없는 어떤 STR-대응 MD기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도록 다른 검색이 단계(S415)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치가 단계(S415)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즉, IEEE1394버스 상의 모든 STR - 대응 MD기가 STR(60)이외의 장치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을 갖는 것을 판정되면, 상기 조건 ③을 충족시키는 장치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경우에, 단계(S417)로 이르고, 단계(S415)에서 검색결과가 긍정적이면, 단계(S415)는 단계(S416)로 이르고 전원-오프 커멘드는 STR(60)이외의 다른 장치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이 없는 STR-대응 장치로 전송된다.
이어서 단계(S417 ~ S422)는 상기 조건 ④을 따르는 것으로 판정된 장치에 전원-오프 커멘드 전송을 실행하도록 수행된다. 단계(S417)에 있어서, STR(60)과 동일한 제조회사(vender)로부터 어떤 CD기에 대한 IEEE 1394 버스에 대해서 검색이 이루어진다. 단계(S417)에서의 검색에 따르면, 단계(S418)에 있어서 그러한 CD기가 버스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검색이 이루어진다. 검색이 세밀한 장치의 구성 ROMs에서 subunit_IDs로서 유지된 model_IDs을 참조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그 모듈_제조회사_IDs(module_vender_IDs)를 참조해서 실행된다.
단계(S418)에서 검색결과가 부정적이면, 도 32의 단계(S423)로 이른다. 단계(S418)에서 검색결과가 긍정적이면, 단계(S419)로 이르게 된다. 단계(S419)에서 있어서, IEEE1394버스 상의 동일한 제조회사로부터의 모든 CD기는 포인트-투-포인트 상태에 대해서 검색한다.
포인트-투-포인트 검색을 실행하여 STR(60)이외의 장치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이 없는 동일한 제조회사로부터의 어떤 CD기를 확인한다. 단계(S420)에 있어서, STR(60)이외의 어떤 장치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이 없는 동일한 제조회사로부터 모든 CD기에 대한 상태 검색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태 검색은 어떤 다른 장치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이 없는 동일한 제조회사로부터 CD기 중 하나가 정지상태인지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AV/C프로토콜하에서, AV/C디스크 서브유닛 규격은 각 노드가 노드의 서브유닛에 대한 동적인 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노드의 현재 조작상태를 기술하는 상태 서술자를 포함하는 것을 규정한다. 상태 서술자의 소정의 데이터 구조는 해당 서브유닛의 현재 동작_모드(operation_mode)를 기술하는 동작_모드(operation_mode) 영역을 포함하는 동작_모드_인포_블록(operating_mode_info_block)을 갖는다. 그 서브유닛이 정지상태가 되면, 포함된 동작_모드(operation_mode) 영역은 정지상태를 나타내는 소정의 값('c5'h)으로 채워진다.
단계(S420)에 있어서, 상태 서술자를 요구하는 서술자_억세스 명령(descriptor_access command)은 동일한 제조회사 및 어떤 다른 장치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이 없는 모든 CD기에 발행된다. 그 응답으로, 각각의 이들 장치의 상태 서술자가 검색되어 동작_모드(operation_mode) 영역의 내용이 식별된다.
단계(S421)에 있어서 각 장치로부터 동작_모드(operation_mode) 내용의 식별에 따라서, 동일한 제조회사 및 어떤 다른 장치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이 없는 CD 장치 중에서 어떤 정지된 장치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도록 검색이 이루어진다. 단계(S421)에 있어서 검색 결과가 부정적이면, 도 32의 단계(S423)에 도달한다. 단계(S421)에 있어서 검색결과가 긍정적이면, 단계(S422)에 도달하고 정지상태로 되도록 판정되는 동일한 제조회사로부터의 CD기에 전원-오프 명령이 전송된다.
이후에 도 32의 단계(S433 ~ S428)에 의해 상기 조건 ⑤을 따르도록 판정된 장치에 전원-오프 명령 전송을 행하도록 한다. 단계(S423)에 있어서, STR(60)과 동일한 제조회사로부터 어떤 MD기에 대해서 IEEE1394버스 상에서 검색이 행해지고, 이러한 MD기가 버스에 존재하는지에 대해서 판정하도록 단계(S424)에서 검색이 이루어진다.
단계(S424)에서 검색결과가 부정적이면, 적용 가능한 MD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고 이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S424)에 있어서 검색결과가 긍정적이면, 단계(S425)로 이르러 동일한 제조회사로부터 모든 MD기가 포인트-투-포인트 상태에 대해서 검색된다. 또한, 이 경우에, 포인트-투-포인트 접속 검색은 레지스터 oPCR 뿐만 아니라 세밀한 각각의 장치에 관해서 레지스터 iPCR를 참조해서 실행된다. 단계(S426)에 있어서, 어떤 다른 장치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이 없는 동일한 제조회사로부터 모든 MD기에 대해서 상태 검색이 이루어진다.
단계(S427)에 있어서 상태 검색으로 각각의 장치로부터 얻은 모니터_상태_인포_블록(monitor_status_info_block)내의 동작 모드(operation_mode) 및 모니터 비트 내용에 의거하여, 어떤 다른 장치와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이 없는 동일한 제조회사의 MD기 중에서 어떤 정지 장치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도록 검색이 이루어진다. 단계(S427)에서 검색결과가 부정적이면, 이 처리 과정은 종료된다. 단계(S427)에 서 검색결과가 긍정적이면, 단계(S428)에 도달하고 정지상태로 되도록 판정된 동일한 제조회사의 MD기로 전원-오프 명령이 전송된다.
상술한 단계들이 처리된 후에, 상기 조건 ① ~ ⑤중 어느 하나를 따르는 IEEE1394버스 상의 장치에 전원-오프 명령이 전송된다. 전원-오프 명령을 받은 각 장치는 그 자신의 전원을 턴온 하기 위한 내부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내부 시스템 제어기로서 구동하는 회로에 의해 그 처리가 실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STR(60)이 스위치 오프될 때, 다른 장치는 동시에 턴오프 된다.
4-3, 동기 전원-온 동작(전원-온 연동동작)
이제는 동기 전원-온 동작이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STR(60)에 의해 동기 전원-온 제어에 적용할 수 있는 장치는 다음 조건 중 하나를 충족시켜야 한다.
① 이 장치는 입력소스로서 STR(60)에 의해 현재 선택된 CD기 또는 MD기가 되어야 한다.
② 이 장치는 STR-대응 CD기어야 한다.
③ 이 장치는 STR-대응 MD기어야 한다.
즉, STR(60)은 원칙적으로는 CD 및 MD기에 대해서만 그 동기 전원-온 제어를 실행한다. 어떤 장치가 입력소스로서 현재 선택되면, 그 장치는 어떠한 제조회사의 것일 수도 있다. 입력소스로서 STR(60)에 의해 어떤 장치가 선택되지 않는 것에 대해서, 동기 전원-온 제어하에 놓이도록 요망되면 그 장치는 STR-대응 CD기 또는 MD 장치가 되어야 한다.
도 33은 그 동기 전원-온 동작에 대해서 STR(60)에 의해 실행된 단계의 플로우차트이다. 이 단계들로 구성된 처리는 시스템 제어기(70) 에 의해 실행된다.
도 33의 단계(S501)에 있어서, 전원-오프 상태(대기 상태)에서 전원-온 상태로 전이를 일으키는 조건을 기다린다. 적용 가능한 조건이 검출되면, 단계(S502)로 이른다. 단계(S502)에 있어서, 동기 전원-온 설정이 온되는지에 대해서 검색이 이루어진다. 단계(S502)에서 검색결과가 부정적이면, 그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S502)에서 검색결과가 긍정적이면, 단계(S503) 및 그 다음 단계로 이르러 실행된다.
단계(S503 ~ S505)에 의해 상기 조건 ②에 따르도록 판정되는 어떤 STR-대응 CD기에 대해서 전원-온 명령 전송이 실행되도록 한다. 단계(S503)에 있어서, 어떤 STR-대응 CD기에 대해서 IEEE1394버스 상의 검색이 이루어진다. 단계(S503)에서의 검색에 따라서, 이러한 CD기가 버스 상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도록 단계(S504)에서 검색이 이루어진다. 단계(S504)에서 검색결과가 부정적이면, 단계(S506)로 이른다. 단계(S504)에서 검색결과가 긍정적이면, 단계(S505)로 이르러 전원-온 명령이 STR-대응 CD기로 전송된다. 전원-온 커멘드는 그 전원_상태 영역(power_state region)에 설정된 값 '70'h를 갖춘 도 34에 나타낸 전원 제어 명령이다.
다음 단계(S506 ~ S508)는 상기 조건 ③을 따르도록 판정된 어떤 STR-대응 MD기에 대해서 전원-온 명령 전송을 실행하게 된다. 단계(S506)에 있어서, 어떤 STR-대응 MD기에 대한 IEEE 1394 버스 상의 검색이 이루어진다. 단계(S506)에서의 검색에 이어서, IEEE 1394 버스 상에 이러한 MD기기가 존재하는지 판정하기 위한 검사가 단계(S507)에서 이루어진다. 단계(S507)에서의 검사결과가 부정적이면, 단계(S509)에 도달한다. 단계(S507)에서 검사결과가 긍정적이면, 단계(S508)에 도달하여 전원-온 명령이 검출된 STR-대응 MD기에 전송된다.
단계(S509 ~ S513)는 조건 ①을 따르도록 판정된 어떤 장치 즉, 입력소스로서 STR에 의해 현재 선택된 어떤 CD 또는 MD기에 대해서 전원-온 명령 전송을 행하도록 한다. 실행되는 경우에, 입력소스로서 STR에 의해 이미 선택된 CD 또는 MD기에 대해서 전원-온 명령(커멘드)의 전송을 완료할 가능성이 있다. 그 경우에, 단계(S509) 및 그 다음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S509)에 있어서, IEEE1394버스 상의 모든 장치는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상태에 대해서 검색된다. 단계(S509)에서 검색결과가 주어지고, STR(60)과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을 가지는 어떤 CD기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서 다른 검색이 단계(S510)에서 이루어진다. STR(60)과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이 CD기인지 아닌지는 세밀한 장치의 media_type을 참조해서 식별된다.
STR(60)과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을 가지는 CD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단 계(S510)에서 판정하면, 단계(S512)로 이른다. 단계(S510)에서 STR(60)과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을 가지는 어떤 CD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S511)로 이른다. 단계(S511)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것으로서 간주되는 CD기로 전원-온 명령이 전송된다.
단계(S512)에 있어서, STR(60)과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을 가지는 어떤 MD기가 존재하는지에 대해서 검색이 이루어진다. 단계(S512)에서의 검색결과가 긍정적이면, 단계(S513)로 이르러 전원-온 명령이 해당 MD기로 전송된다. 단계(S512)에서의 검색결과가 부정적이면, 이 처리과정은 종료된다.
상술한 단계가 실행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조건 ① ~ ③중 어느 하나를 따르는 장치에 전원-온 명령이 전송된다. 전원-오프 상태로 되면, 전원 -온 명령을 수신하는 각각의 장치는 그 전원을 턴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STR(60)이 스위치 온될 때, 다른 장치가 동시에 턴온 된다.
상기 기술된 노드 분류처리, 동기 전원-오프 동작 및 동기 전원-온 동작은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단계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그 대신에, IEEE1394버스에 부착된 장치가 최종적으로 분류되고 그 분류 결과가 새롭게 생성된 노드 테이블에 반영되는 한 노드 분류처리는 다른 단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각각의 조건을 따르는 장치가 식별되고 전원 제어 명령이 이들 장치에 전송되는 한 상기 기술된 이들 이외의 단계를 이용해서 전원-온 및 전원-오프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스위치 온 또는 오프 될 장치를 판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조건은 실제 시스템의 사용 편의를 고려해서 판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장치에 대해서 전원-온/오프 제어를 실행하는 STR(60) 상에 상기 실시예의 시스템이 집중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적합한 장치가 다른 장치에 대해서 전원-온/오프 제어를 실행하는 역할을 가정하는 다양한 시스템 구성일 수 있다. IEEE1394이외의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시스템이 IEEE 1394 등의 적합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전자장치(전자기기)로 구성되면, 시스템의 중심으로 작용하는 STR(즉, 제 1전자장치)은 어떤 소정의 상태에 따라서 다르게 구성된 장치에 대해서 그 전원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원-온/오프 제어를 실행한다. IEEE 1394 인터페이스가 있으면, AV/C 명령 규정에 의해 규정된 전원제어커맨드(POWER CONTROL command)를 전송함으로써 이러한 제어가 실행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서, 구성을 이루는 각각의 장치가 데이터 버스 상의 독립적인 실체로서 인정된다. 주어진 구성 장치가 다른 장치와 연동하여 기능하는 전원 콘센트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에도, 그 장치는 시스템의 제어로 다른 장치와 동시에 턴온 및 오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서로 접속된 구성 장치를 구축해서 구성한 AV시스템 등의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진의와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이루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된 것 이외의 그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IEEE 1394 등의 소정의 데이터인터페이스에 의해 전자기기를 접속하여 시스템을 구축한 경우에, 예를 들면 시스템의 중심이 되는 STR(제 1전자기기)이 자신의 전원상태에 따라서, 소정의 조건에 적합한 다른 시스템의 기기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상태를 연동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는, 예를 들면 IEEE 1394 인터페이스이라면, AV/C 커맨드로 규정된 전원제어커맨드(POWER CONTROL command)를 송신함으로써 제어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예를 들면, 시스템에서의 각 기기가 각각 데이터버스 상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또, 연동기기를 가지는 전원콘센트 등과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서도, 시스템으로서의 전원온/오프의 연동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디지털데이터인터페이스에 의해 상호접속하여 구축되는 AV시스템 등의 사용상의 편리, 편리성이 향상되게 된다.

Claims (11)

  1. 소정의 통신포맷에 따라 버스를 통하여 제어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조회사와 다른 제조회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동기화된(synchronized) 전원공급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동기화된 전원오프제어를 실행하도록 하는 조작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수단이 조작되면,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된 상기 전자기기들 중 어느 것이 상기 제어장치 이외의 어느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제 1 결정수단과;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되고 상기 제 1 결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 이외의 어느 전자기기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전자기기 각각의 전원을 연동하여(synchronously) 오프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수단이 조작되면,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되지 않은 상기 전자기기 중 어느 것이 상기 제어장치와 같은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되었는지를 결정하는 제 2결정수단과;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되지 않은 상기 전자기기 중 어느 것이 상기 제 2결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와 같은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판정되면, 해당 전자기기가 상기 제어장치 이외의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제 3결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3결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 이외의 어떠한 전자기기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을 연동하여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수단이 조작되면,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되지 않은 상기 전자기기 중 어느 것이 상기 제어장치와 같은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되었는지를 결정하는 제 2결정수단과;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되지 않은 상기 전자기기 중 어느 것이 상기 제 2결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와 같은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판정되면, 해당 전자기기가 상기 제어장치 이외의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제 3결정수단과;
    상기 제 3결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 이외의 어느 전자기기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상기 전자기기가 정지상태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제 4결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4결정수단에 의해 정지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을 연동하여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포맷에 따른 상기 버스가 IEEE 1394 표준을 따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5. 소정의 통신포맷에 따라 버스를 통하여 제어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조회사와 다른 제조회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동기화된 전원공급제어가 가능한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동기화된 전원 온 제어를 실행하도록 하는 조작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수단이 조작되면,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된 상기 전자기기들 중 어느 것이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제 1 결정수단과;
    상기 제 1 결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전자기기 각각의 전원을 연동하여 온 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포맷에 따른 상기 버스가 IEEE 1394 표준을 따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7. 소정의 통신포맷에 따라 버스를 통하여 제어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조회사와 다른 제조회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동기화된 전원공급제어를 제어장치가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전원오프연동키(synchronized power-off key)가 조작되면,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된 상기 전자기기들 중 어느 것이 상기 제어장치 이외의 어느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제 1 결정단계와;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된 것으로 상기 제 1 결정단계에서 상기 제어장치 이외의 어느 전자기기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전자기기 각각의 전원을 연동하여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원오프연동키가 조작되면,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되지 않은 상기 전자기기 중 어느 것이 상기 제어장치와 같은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되었는지를 결정하는 제 2결정단계와;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되지 않은 상기 전자기기 중 어느 것이 상기 제 2결정단계에서 상기 제어장치와 같은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판정되면, 해당 전자기기가 상기 제어장치 이외의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제 3결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3결정단계에서 상기 제어장치 이외의 어떠한 전자기기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을 연동하여 오프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원오프연동키가 조작되면,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되지 않은 상기 전자기기 중 어느 것이 상기 제어장치와 같은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되었는지를 결정하는 제 2결정단계와;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되지 않은 상기 전자기기 중 어느 것이 상기 제 2결정단계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와 같은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판정되면, 해당 전자기기가 상기 제어장치 이외의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제 3결정단계와;
    상기 제 3결정단계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 이외의 어느 전자기기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상기 전자기기가 정지상태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제 4결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4결정단계에 의해 정지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을 연동하여 오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포맷에 따른 상기 버스가 IEEE 1394 표준을 따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1. 소정의 통신포맷에 따라 버스를 통하여 제어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조회사와 다른 제조회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동기화된 전원공급제어를 제어장치가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전원온연동키가 조작되면, 입력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된 상기 전자기기들 중 어느 것이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제 1 결정단계와;
    상기 제 1 결정단계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전자기기 각각의 전원을 연동하여 온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방법.
KR1020010008468A 2000-02-22 2001-02-20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673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0513 2000-02-22
JP2000050513A JP4449141B2 (ja) 2000-02-22 2000-02-22 電源制御装置、電源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200A KR20010083200A (ko) 2001-08-31
KR100673651B1 true KR100673651B1 (ko) 2007-01-23

Family

ID=1857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468A KR100673651B1 (ko) 2000-02-22 2001-02-20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89208B2 (ko)
EP (2) EP2395671B1 (ko)
JP (1) JP4449141B2 (ko)
KR (1) KR100673651B1 (ko)
CN (1) CN100409360C (ko)
HK (1) HK1043649B (ko)
ID (1) ID29335A (ko)
TW (1) TW5071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0772B2 (en) 2000-12-15 2004-07-06 Qualcomm, Inc. Generating and implementing a communication protocol and interface for high data rate signal transfer
CN100440822C (zh) * 2001-03-26 2008-12-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源控制装置
US8812706B1 (en) 2001-09-06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mismatched delays in signals of a mobile display interface (MDDI) system
JP2003087293A (ja) * 2001-09-11 2003-03-20 Hitachi Ltd ネットワーク装置、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装置の制御方法
US6985979B2 (en) * 2001-12-17 2006-01-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 bus controlling method, bus controll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030145143A1 (en) * 2002-01-31 2003-07-31 Adelman Lonnie W. Communicable coupling systems for electronic appliances
DE60217729T2 (de) * 2002-04-10 2007-11-15 Lg Electronics Inc. Verfahren zum erkennen eines elektronischen geräts in einem mehrfachsteuersystem
JP3730599B2 (ja) * 2002-06-27 2006-01-05 株式会社東芝 サーバ装置および状態制御方法
US7013204B1 (en) * 2002-09-17 2006-03-14 Ricoh Company Ltd. Approach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network devices
US7209805B2 (en) * 2002-09-17 2007-04-24 Ricoh Company Ltd. Approach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network devices
US6748299B1 (en) 2002-09-17 2004-06-08 Ricoh Company, Ltd. Approach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buildings
JP3093974U (ja) * 2002-11-12 2003-05-23 船井電機株式会社 複合av装置
US20040120698A1 (en) * 2002-12-20 2004-06-2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transferring DV metadata to DVD-video data
KR20040056406A (ko) * 2002-12-23 200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복합 기기에서 동작 모드 전환 장치 및방법
US7383344B2 (en) * 2003-02-14 2008-06-03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encoder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the live presentation of video multiplexed with images
ATE517500T1 (de) 2003-06-02 2011-08-15 Qualcomm Inc Erzeugung und umsetzung eines signalprotokolls und schnittstelle für höhere datenraten
RU2006107561A (ru) 2003-08-13 2007-09-2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US) Сигнальный интерфейс для высоких скоросте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CN101764804A (zh) 2003-09-10 2010-06-30 高通股份有限公司 高数据速率接口
CA2542649A1 (en) 2003-10-15 2005-04-28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WO2005043862A1 (en) 2003-10-29 2005-05-12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WO2005048562A1 (en) 2003-11-12 2005-05-26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with improved link control
EP1690404A1 (en) 2003-11-25 2006-08-16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with improved link synchronization
KR100906319B1 (ko) 2003-12-08 2009-07-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링크 동기화를 갖는 고 데이터 레이트 인터페이스
JP4484204B2 (ja) * 2004-03-09 2010-06-16 株式会社ティラド 排熱回収用熱交換器
US8669988B2 (en) 2004-03-10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JP4519903B2 (ja) 2004-03-17 2010-08-04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速データレート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方法
CA2560744C (en) 2004-03-24 2012-12-04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MXPA06014097A (es) 2004-06-04 2007-03-07 Qualcomm Inc Metodo y aparato de interfaz de datos de alta velocidad.
US8650304B2 (en) 2004-06-04 2014-02-11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a pre skew and post skew calibration data rate in a mobile display digital interface (MDDI) communication system
US7249269B1 (en) * 2004-09-10 2007-07-24 Ricoh Company, Ltd. Method of pre-activating network devices based upon previous usage data
US8667363B2 (en) 2004-11-24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cyclic redundancy checks
US8873584B2 (en) 2004-11-24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Digital data interface device
US8539119B2 (en) 2004-11-24 2013-09-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messages having a digital data interface device message format
US8692838B2 (en) 2004-11-24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updating a buffer
US8699330B2 (en) 2004-11-24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data transmission rate control
US7813449B2 (en) * 2005-07-14 2010-10-12 Radio Shack, Corporation Remotely controlled antenna and method
JP2007110430A (ja) * 2005-10-13 2007-04-26 Sharp Corp 音声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7522373B2 (en) * 2005-10-27 2009-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urst communications via a bus bar and bus bar relay for an automated data storage library
US8730069B2 (en) 2005-11-23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Double data rate serial encoder
US8692839B2 (en) 2005-11-23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updating a buffer
KR100790058B1 (ko) * 2005-12-1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취침 예약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취침 예약 방법
JP4873978B2 (ja) * 2006-03-31 2012-0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供給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これらで構成された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8005138A (ja) * 2006-06-21 2008-01-10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及び信号処理システム
SG175602A1 (en) * 2006-07-05 2011-11-28 Catalyst Biosciences Inc Protease screening methods and proteases identified thereby
US9319741B2 (en) 2006-09-07 2016-04-19 Rateze Remote Mgmt Llc Finding devices in an entertainment system
US9233301B2 (en) 2006-09-07 2016-01-12 Rateze Remote Mgmt Llc Control of data presentation from multiple sources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8935733B2 (en) * 2006-09-07 2015-01-13 Porto Vinci Ltd. Limited Liability Company Data presentation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8607281B2 (en) 2006-09-07 2013-12-10 Porto Vinci Ltd. Limited Liability Company Control of data presentation in multiple zones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9386269B2 (en) 2006-09-07 2016-07-05 Rateze Remote Mgmt Llc Presentation of data on multiple display devices using a wireless hub
TWM318295U (en) * 2007-01-30 2007-09-01 Hsin-Yuan Kuo Sound quality adjustment earphone
WO2010068915A2 (en) 2008-12-11 2010-06-17 Synerchip Co., Ltd. Power delivery over digital interaction interface for video and audio (diiva)
US8193665B2 (en) 2009-01-23 2012-06-05 Potter Electric Signal Company, Llc Multi-protocol fire-alarm strobe synchronization
US8121958B2 (en) 2009-06-08 2012-02-21 Ricoh Company, Ltd. Approach for determining alternative printing device arrangements
WO2013005328A1 (ja) * 2011-07-07 2013-01-10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
CN104460611B (zh) * 2014-11-18 2017-11-21 启辰电子(苏州)有限公司 一种分布式储物柜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2448A (en) * 1985-07-10 1990-05-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Word processing system having small-sized and large-sized displays for simultaneous display and automatic power shut-off circuit
US5193208A (en) * 1990-05-14 1993-03-09 Sony Corporat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5309352A (en) * 1990-05-18 1994-05-03 Tektronix, In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termination in systems of programmable devices
US5862335A (en) * 1993-04-01 1999-01-19 Intel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file transfers and logical connections in a computer network
US5787246A (en) * 1994-05-27 1998-07-2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configuring devices for a computer system
US6149464A (en) * 1995-01-17 2000-1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for detecting cable attachment
EP0756276B1 (en) * 1995-07-28 2001-09-19 Sony Corporation Consume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JP3601205B2 (ja) * 1996-08-26 2004-12-15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動作モード制御方法
EP0841776A1 (en) * 1996-11-12 1998-05-13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s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6029092A (en) * 1996-11-21 2000-02-22 Intellinet,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dular control and for managing energy consumption
JPH11145993A (ja) * 1997-11-06 1999-05-28 Canon Inc 通信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JP3862400B2 (ja) * 1998-02-18 200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
JP4124873B2 (ja) * 1997-12-17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力制御システム
TW421927B (en) * 1998-01-30 2001-02-11 Sanyo Electric Co Central system for managing machines, central managing device for use in such system or terminals for use in the machines to be managed
JP3563256B2 (ja) * 1998-02-13 2004-09-08 富士通株式会社 省電力機能の遠隔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記憶媒体
JP4219436B2 (ja) * 1998-02-17 2009-02-04 富士通株式会社 チューナ装置
JPH11275780A (ja) * 1998-03-25 1999-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省電力システム
US6269104B1 (en) * 1998-04-21 2001-07-31 Hewlett- Packard Company Link control state machine for controlling a media access controller, a serial physical layer device and a media independent interface physical layer device
US6240077B1 (en) * 1998-07-09 2001-05-29 Golden Gate Tele Systems Inc. Dynamic wireless multiplexing — switching hub for providing two-way communications with subscriber units
JP4454058B2 (ja) * 1999-01-20 2010-04-21 アビリット株式会社 空き遊技機の報知システム
US6570881B1 (en) * 1999-01-21 2003-05-27 3Com Corporation High-speed trunk cluster reliable load sharing system using temporary port down
CN100440822C (zh) * 2001-03-26 2008-12-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源控制装置
US20030075983A1 (en) * 2001-05-03 2003-04-24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of input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36148A (ja) 2001-08-31
EP2395671B1 (en) 2013-04-03
EP2395671A1 (en) 2011-12-14
ID29335A (id) 2001-08-23
HK1043649B (zh) 2009-03-20
KR20010083200A (ko) 2001-08-31
JP4449141B2 (ja) 2010-04-14
EP1128562B1 (en) 2012-05-09
HK1043649A1 (en) 2002-09-20
CN1323036A (zh) 2001-11-21
US6789208B2 (en) 2004-09-07
EP1128562A2 (en) 2001-08-29
US20010018749A1 (en) 2001-08-30
TW507195B (en) 2002-10-21
CN100409360C (zh) 2008-08-06
EP1128562A3 (en)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651B1 (ko)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674169B1 (ko) 전자기기 시스템, 제어기기와 동기화된 전원 제어방법
US7130945B2 (en) Controlling method for transmitting reserve commands from a controller to target devices
EP1014364B1 (en) Reception method over a chain of interconnected AV apparatus
KR100882522B1 (ko) 전자기기 시스템, 제어기기 및 제어방법
EP1061708A2 (en) An external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an external device control method
EP1061520A2 (en) Editing system,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JP2002033751A (ja) 電子機器、電子機器管理方法
JP2001236772A (ja) 電子機器システム、電子機器
JP2001250370A (ja) 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JP2000209617A (ja) 通信動作検査方法及び通信動作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