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573B1 -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573B1
KR100673573B1 KR1020050000531A KR20050000531A KR100673573B1 KR 100673573 B1 KR100673573 B1 KR 100673573B1 KR 1020050000531 A KR1020050000531 A KR 1020050000531A KR 20050000531 A KR20050000531 A KR 20050000531A KR 100673573 B1 KR100673573 B1 KR 100673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rame
distance
digital signal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263A (ko
Inventor
유기령
이광호
김행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시아 디바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시아 디바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시아 디바이스
Priority to KR102005000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57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거리 정보 포함 여부에 관계없이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은 (a) 현재 프레임에서 현재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미리 구축된 거리 정보 테이블에서, 현재 프레임 정보와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거리 정보 테이블에서 동일한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거리 정보를 추출하고, 기준 거리 정보에 상응하는 기준 거리만큼 진행하여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고,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현재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한 이후 비트부터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정보, 비트 레이트, 샘플링 주파수, 더미 슬롯

Description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슬롯에 따른 데이터 구조의 차이를 비교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행 거리 데이터를 저장하기위한 테이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거리 정보 포함 여부에 관계없이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프레임은 각 프레임의 시작비트를 식별하기 위한 동기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할 때, 상기 동기 정보를 가진 프레임은 프레임의 길이를 식별하기 위한 거리 정보가 포함된 경우와 프레임의 거리 정보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로 구별할 수 있다.
거리 정보를 포함한 경우, 상기 거리 정보를 계산하여, 다음 프레임을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계산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거리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하드웨어적으로 비트 정보를 일일이 추출하여 동기 정보를 검색하여야 하므로, 계산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신측에서 거리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 및 포함하지 아니한 프레임에 대하여 모두 디코딩을 수행하기 위하여, 두 가지 경우에 대한 디코딩 알고리즘을 각각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상기 프레임에 따라 상이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통일된 하나의 방법으로 상이한 프레임을 효율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는 종래 기술은 존재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거리 정보 포함 여부에 관계없이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측에서 거리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 및 포함하지 아니한 프레임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경우에 대한 디코딩 알고리즘을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고, 통일한 하나의 방법으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으며, 그 외의 다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을 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은 (a) 현재 프레임에서 현재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미리 구축된 거리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현재 프레임 정보와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거리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동일한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거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기준 거리 정보에 상응하는 기준 거리만큼 진행하여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현재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한 이후 비트부터 상기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프레임에서 추출한 프레임 정보 및 상기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거리 정보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거리 정보는 미리 설정된 테스트 파일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며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거리는 상기 이전 프레임의 동기 정보와 상기 현재 프레임의 동기 정보 간의 거리에서 1개의 슬롯에 해당하는 길이를 차감한 거리를 지칭한다. 상기 프레임은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 정보부; 할당 정보, 스케일 인자 및 샘플 데이터 중 적어도 상기 샘플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부;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정보는 비트레이트 정보, 샘플링 주파수 정보, 레이어 정보, 엠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를 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미리 설정된 패턴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여 현재 프레임을 인식하기 위한 동기 정보 인식부; 상기 현재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진행하는 디코딩부; 상기 현재 프레임에서 추출한 현재 프레임 정보와 미리 저장된 이전 프레임 정보를 비교하는 프레임 정보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거리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동일한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거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기준 거리 정보에 상응하는 기준 거리만큼 진행하여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현재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한 이후 비트부터 상기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는 동기 정보 검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서 추출한 프레임 정보 및 상기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거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미리 설정된 테스트 파일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며 상기 기준 거리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거리는 상기 이전 프레임의 동기 정보와 상기 현재 프레임의 동기 정보 간의 거리에서 1개의 슬롯에 해당하는 길이를 차감한 거리를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정보는 비트레이트 정보, 샘플링 주파수 정보, 레이어 정보, 엠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의 데이터 구조를 나 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일련의 복수개의 프레임(1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은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 정보부(111), 할당 정보, 스케일 인자 및 샘플 데이터 중 적어도 상기 샘플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부(113)를 포함하며,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부(115) 또는 더미 슬롯(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할당 정보, 스케일 인자는 상기 데이터가 서브 대역 신호의 양자화된 샘플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려주며, 상기 양자화된 샘플을 디코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부가 정보부(115)는 스테레오 채널, 멀티 채널 등의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부가 정보부(115)는 다시 할당 정보, 스케일 인자 및 샘플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거리 정보를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으며,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라도 비트 레이트에 따라 프레임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예를 들면, 더미 슬롯(117)을 포함한 경우) 등 프레임의 길이가 일정하지 아니하다. 본 발명은 거리 정보를 추출하지 아니하고도, 프레임의 포함된 동기 정보(예를 들면, 싱크워드)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시작을 인식하고, 효율적으로 데이터 정보부(113)에 포함된 샘플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할 때, 미리 설정된 공식을 이용하여 슬롯의 개수를 추출하고, 더미 슬롯을 추가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더미 슬롯을 추가한 경우, 패딩 비트에 표시를 함으로써 프레임의 길이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슬롯의 수, N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5000355844-pat00001
여기서, 프레임의 동기 정보와 동기 정보 간의 거리는 N 또는 N+1 슬롯이다. 상기 N이 정수가 아닌 경우, 이 후의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에 명목상의 슬롯, 즉 더미 슬롯을 추가하여, 슬롯의 수를 N+1이 되도록 구성하여 비트 레이트를 맞출 수 있다.
프레임에 포함되는 샘플수가 12인 경우, 하기 수학식2에 의하여 N을 산출하고,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는 샘플수가 144인 경우, 하기 수학식3에 의하여 N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5000355844-pat00002
Figure 112005000355844-pat00003
본 발명은 이러한 계산 절차 및 패딩 비트를 이용하지 아니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더미 슬롯을 포함하지 아니한 경우(예를 들면, 패딩 비트가 '0'인 경우)를 정규 프레임이라 지칭하고, 더미 슬롯을 포함하여 슬롯이 하나 더 추가된 경우(예를 들면, 패딩 비트가 '1'인 경우)를 확장 프레임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패딩 비트의 정보를 추출하여 프레임의 거리 정보를 인식하지 아니하고, 미리 설정된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인식하되, 소정의 프레임 정보(예를 들면, 비트 레이트 정보, 샘플링 주파수 정보, 레이저 정보, 엠펙 정보 등)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동기 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된다.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슬롯에 따른 데이터 구조의 차이를 비교한 도면이다.
먼저, 현재 프레임이 최초 프레임이거나 또는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현재 프레임의 미리 설정된 부분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면서, 현재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동기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미리 설정된 규격에 대응하여 현재 프레임에 대한 디코딩을 진행한 후, 상기 디코딩을 진행한 이후 데이터(예를 들면, 부가 정보부)부터 동기 정보를 검색하여 다음 프레임을 인식한다. 여기서, 다음 프레임이 검출되면 유효성을 확인한 후, 현재 프레임의 프레임 정보와 상기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거리 정보를 테이블에 저장한다. 여기서, 패딩 비트 정보를 이용하지 아니하고, 동기 정보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 길이에서 1개의 슬롯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차감한 거리 정보(이하, 기준 거리 정보라 칭함)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전 프레임 정보와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거리 정보를 저장하고, 재생이 될수록 각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거리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축적이 되면서, 효율적인 재생이 이루어진다.
그 외의 경우는 이전에 디코딩을 수행한 프레임의 정보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동기 정보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즉, 프레임의 동기 정보 간의 거리, 프레임 길이에 대한 정보 등을 지칭하는 기준 거리 정보를 디코딩을 수행하면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기준 거리 정보를 테이블을 구축한다. 이 후,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탐색되면 상기 구축된 테이블을 사용하여 프레임 거리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현재 프레임의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패딩 비트의 값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동기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하, 현재 프레임의 프레임 정보와 동일한 이전 프레임의 프레임 정보가 있는 경우의 진행 거리, 즉 기준 거리를 이용하여 동기 정보를 인식하는 개념을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b를 참조하여 현재 프레임이 더미 슬롯을 포함하고 있는 확장 프레임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현재 프레임의 프레임 정보와 동일한 이전 프레임의 프레임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이전 프레임의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거리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거리 정보는 이전 프레임의 동기 정보와 상기 현재 프레임의 동기 정보 간의 거리에서 1개의 슬롯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차감한 길이를 지칭하며, 이전의 탐색의 결과로 프레임 길이를 저장한 테이블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현재 프레임은 더미 슬롯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준 거리에 서 더미 슬롯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진행한 후, 동기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도 1c를 참조하여 현재 프레임이 더미 슬롯을 포함하지 않는 정규 프레임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더미 슬롯을 포함하지 아니하는 경우, 기준 거리만큼 진행하면, 즉시 동기 정보를 검색하여, 다음 프레임을 인식할 수 있다. 동기 정보가 발견되면, 디코딩을 일부 진행하여 유효성을 확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준 거리는 프레임 정보의 함수로서,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즉, 기준 거리는 비트레이트 정보, 샘플링 주파수(44.1/32/48khz), 레이어 정보(layer1/layer2/layer3), mpeg정보(mpeg1/mpeg2/mpeg2.5)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5000355844-pat00004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리 설정된 패턴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여 현재 프레임의 시작을 인식하면, 단계 S210에서, 현재 프레임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면서, 단계 S220에서, 현재 프레임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S230에서 상기 현재 프레임의 프레임 정보와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거리 정보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거리 정보 테이블에 기준 거리 정보가 존재하면, 단계 S240으로 진행하고, 존재하지 아니하면, 단계 S260으로 진행한다.
단계 S240에서는 프레임 길이를 저장한 표에서 획득한 기준 거리만큼, 현재 프레임의 시작 비트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 비트부터 계산하여 진행한 후, 단계 S250에서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기 시작하고, 동기 정보가 발견되면, 단계 S2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260에서는 디코딩한 이후부터, 동기 신호를 탐색하고 검증을 거친 후, 단계 S270에서는 상기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거리를 기준 거리 테이블에 저장하고, 단계 S210으로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미리 설정된 테스트 파일을 통과시키면서, 상기 기준 거리 테이블을 구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파일은 각 프레임 정보에 따른 기준 거리를 산출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파일로서, 상기 파일에 대한 디코딩을 하면서, 각 프레임 정보에 따른 기준 거리 테이블을 구축하고, 실제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는 경우는 상기 기준 거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효율적으로 디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테스트 파일은 시스템 레벨에서 모든 비트레이트, 샘플링 주파수, 레이어 정보, mpeg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부만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300)는 동기 정보 인식부(310), 디코딩부(320), 프레임 정보 비교부(330), 동기 정보 검색부(340) 및 프레임 정보 저장부(350)를 포함한다.
동기 정보 인식부(310)는 현재 프레임의 시작을 인식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코딩부(320)는 데이터 정보부에 포함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규격에 따라 디코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레임 정보 비교부(330)는 상기 현재 프레임에서 추출한 현재 프레임 정보와 미리 저장된 이전 프레임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동기 정보 검색부(34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진행하여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동기 정보 검색부(340)는 상기 현재 프레임 정보가 상기 이전 프레임 정보와 동일하면, 미리 설정된 기준 비트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진행하여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 정보가 상기 이전 프레임 정보와 상이하면, 디코딩한 이후부터 상기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저장부(350)는 상기 프레임에서 추출한 프레임 정보 및 상기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여, 이전 프레임의 동기 정보와 현재 프레임의 동기 정보 간의 거리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행 거리 데이터를 저장하기위한 테이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현재 프레임 정보가 상기 이전 프레임 정보와 동일하면, 상기 기준 비트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만큼 진행하여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 정보가 상기 이전 프레임 정보와 상이하면, 디코딩한 이후부터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출한다.
이러한 단계를 반복하면서, 프레임에 대응하는 동기 정보 간의 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도 4와 같은 거리 정보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고, 이 후에는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거리 정보 포함 여부에 관계없이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측에서 프레임 거리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 및 포함하지 아니한 프레임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경우에 대한 디코딩 알고리즘을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여, 통일한 하나의 방법으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a) 현재 프레임에서 현재 프레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미리 구축된 거리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현재 프레임 정보와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거리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동일한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거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기준 거리 정보에 상응하는 기준 거리만큼 진행하여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현재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한 이후 비트부터 상기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프레임에서 추출한 프레임 정보 및 상기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거리 정보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거리 정보는 미리 설정된 테스트 파일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며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거리는 상기 이전 프레임의 동기 정보와 상기 현재 프레임의 동기 정보 간의 거리에서 1개의 슬롯에 해당하는 길이를 차감한 거리를 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 정보부;
    할당 정보, 스케일 인자 및 샘플 데이터 중 적어도 상기 샘플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부;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정보는 비트레이트 정보, 샘플링 주파수 정보, 레이어 정보, 엠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7.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패턴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여 현재 프레임을 인식하기 위한 동기 정보 인식부;
    상기 현재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진행하는 디코딩부;
    상기 현재 프레임에서 추출한 현재 프레임 정보와 미리 저장된 이전 프레임 정보를 비교하는 프레임 정보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거리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동일한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거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기준 거리 정보에 상응하는 기준 거리만큼 진행하여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동일한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현재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한 이후 비트부터 상기 다음 프레임의 동기 정보를 검색하는 동기 정보 검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서 추출한 프레임 정보 및 상기 프레임 정보에 대응하는 거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미리 설정된 테스트 파일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며 상기 기준 거리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거리는 상기 이전 프레임의 동기 정보와 상기 현재 프레임의 동기 정보간의 거리에서 1개의 슬롯에 해당하는 길이를 차감한 거리를 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정보는 비트레이트 정보, 샘플링 주파수 정보, 레이어 정보, 엠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KR1020050000531A 2005-01-04 2005-01-04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673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531A KR100673573B1 (ko) 2005-01-04 2005-01-04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531A KR100673573B1 (ko) 2005-01-04 2005-01-04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263A KR20060080263A (ko) 2006-07-10
KR100673573B1 true KR100673573B1 (ko) 2007-01-24

Family

ID=3717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531A KR100673573B1 (ko) 2005-01-04 2005-01-04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5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704A (ko) * 1995-10-25 1997-05-30 김광호 프레임 동기신호 검출장치
KR19990053237A (ko) * 1997-12-23 1999-07-15 정선종 동기 보호 정보를 순회시킨 프레임 동기 장치
KR20040017854A (ko) * 2001-08-06 2004-02-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수신기에서의 프레임 동기를 향상시키는 프레임 구조
KR20040097247A (ko) * 2002-03-28 2004-11-17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동기 데이터 검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704A (ko) * 1995-10-25 1997-05-30 김광호 프레임 동기신호 검출장치
KR19990053237A (ko) * 1997-12-23 1999-07-15 정선종 동기 보호 정보를 순회시킨 프레임 동기 장치
KR20040017854A (ko) * 2001-08-06 2004-02-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수신기에서의 프레임 동기를 향상시키는 프레임 구조
KR20040097247A (ko) * 2002-03-28 2004-11-17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동기 데이터 검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263A (ko) 200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0269B2 (ja) 無音検出
US8492633B2 (en) Musical fingerprinting
US8586847B2 (en) Musical fingerprinting based on onset intervals
KR100661040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제공 매체
KR101863097B1 (ko) 키워드 인식 장치 및 방법
JP2006506659A (ja) フィンガープリントのサーチおよびその改良
KR101854469B1 (ko) 오디오 컨텐츠의 비트레이트 판단장치 및 방법
US93367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peech/non-speech section
KR100673573B1 (ko)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4860140B2 (ja) 圧縮されたオーディオビットストリームでシンクワードを探す方法及び回路、並びに前記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530704A (ja) 分散音声認識プロセスにおけるエラーの軽減方法および装置
US7386082B2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searching the syncword of a next frame in an encoded digital signal
CN109524026B (zh) 提示音的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US20140139739A1 (en) Sound processing method, sound processing system, video processing method, video processing system, sound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same
US9514768B2 (en) Audio reproducing method, audio reproducing apparatus therefor,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2234470B1 (ko) 광고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09558509B (zh) 一种广播音频中广告检索的方法和装置
JP2010074823A (ja) 録画編集装置
JP2012185195A (ja) オーディオデータ特徴抽出方法、オーディオデータ照合方法、オーディオデータ特徴抽出プログラム、オーディオデータ照合プログラム、オーディオデータ特徴抽出装置、オーディオデータ照合装置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照合システム
KR101002731B1 (ko) 오디오 데이터의 특징 벡터 추출방법과 그 방법이 기록된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데이터의 매칭 방법
JP2010164809A (ja) デコード装置および音声符号化方式推定方法
US11212572B2 (en) Content determination device, content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060490B1 (ko) 가변 비트레이트의 파일의 평균 비트레이트 계산 방법 및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KR101377668B1 (ko) 적응적 양자화 및 역양자화 방법 및 장치
KR101608849B1 (ko) 방송 콘텐츠의 음원 검색을 위한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