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450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450B1
KR100673450B1 KR1020040095315A KR20040095315A KR100673450B1 KR 100673450 B1 KR100673450 B1 KR 100673450B1 KR 1020040095315 A KR1020040095315 A KR 1020040095315A KR 20040095315 A KR20040095315 A KR 20040095315A KR 100673450 B1 KR100673450 B1 KR 100673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nitoring
call stat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6056A (ko
Inventor
강영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450B1/ko
Priority to CNA2005100730522A priority patent/CN1777326A/zh
Publication of KR20060056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450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감시대상으로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시작/통화완료에 대한 통화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니터링 결과가 전송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확인이 용이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분별한 사용을 규제하고, 범죄수사와 같은 특수목적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모니터링, 휴대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Monitoring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상태 모니터링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모니터링서버 20a, 20b: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어부 12: 데이터베이스
13: 통화상태 메세지 생성부 14: 통신모듈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에게 통화상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많은 종류의 휴대 전화 단말기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많은 종류의 휴대 전화 단말기들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기능이 내장되어있다.
종래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다양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출력부를 외부에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적으로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로의 신호 흐름을 제어함으로서 음성 통화 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발신/수신에 따른 기록을 일정량만큼 저장하여 일정 기간동안의 통화 상태를 사용자 본인이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는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로부터 사용내역을 조회/통보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및 기록을 확인하고자 할때, 예를 들면 부모가 자녀의 통화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통화 기록을 확인하는 방법 이외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내역이 저장 보관되는 이동통신 업체의 서버 데이터베이스에서만 확인이 가능하므로 일반 사용자는 타 사용자의 통화기록 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특히, 상기와 같이 자녀의 무분별한 통화를 제한하기 위해 부모가 통화기록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수사관이 특정 목적을 위해 통화기록을 확인해야하는 경우 이를 위해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기록을 조회해야하며 그 신청 절차가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기록을 확인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통화기록을 확인할 수 있더라도 지속적인 통화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대상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를 시도하거나 통화가 완료된 경우 이를 알리는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서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한 대 이상의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감시대상으로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시작/통화완료를 포함하는 통화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니터링 결과를 전송하는 모니터링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하고,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를 등록하는 제 1단계와, 상기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시작/통화완료에 따른 통화상태를 감지하여 통화상태에 관한 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성 및 동작방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상태 모니터링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이동통신 단말기(20b)의 통화상태를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a)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a)에 의해 등록된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20b)의 통화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모니터링을 신청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a)로 상대방의 통화상태를 메세지로 전송하는 모니터링서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통화상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를 시도 또는 완료하거나 인터넷 망과 같은 네트워크 망에 접속 또는 접속 해제하는 경우를 통칭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a)는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를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10)에 신청하고,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상기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20b)의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서버(10)에 등록하여, 상기 모니터링서버(10)로부터 상기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20b)의 통화상태를 메세지로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a)는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a, 20b)는 타 사용자에 의해 본인의 통화상태가 모니터링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통화상태 모니터링을 거부하여 타 사용자에게 본인의 통화상태를 알리지 않도록 상기 모니터링서버(10)에 모니터링 거부신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a,20b)가 모니터링 거부 신청시, 가족 또는 친구 등과 같은 특정 사용자에 의한 모니터링은 가능하도록 선택적으로 신청인 거부신청이 가능하다.
상기 모니터링서버(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a)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20b)를 감시대상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20b)의 통화 상태를 감지한다.
이러한, 상기 모니터링서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대상 리스트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2)와, 상기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를 감지하여 통화상태/통화기록에 대한 메세지를 생성하는 통화상태 메 세지 생성부(13)와, 상기 모니터링서버(10)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서버(10)는 상기 통화상태 메세지 생성부(13)에 의해 생성된 메세지를 상기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모듈(14)은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1)로 전송함으로서 상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통신모듈(14)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시도, 통화 완료 등과 같은 통화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감시대상 리스트에 존재하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가 가변되는 때마다 가변된 통화상태를 알리기 위한 메세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상태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도록 신청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모니터링 거부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하고, 상기 거부 리스트에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모니터링 하고자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모니터링이 거부되었음을 알리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2)는 상기 모니터링 서비스 신청 단말기에 의해 등록된 상기 감시대상 리스트와, 상기 모니터링 거부리스트를 저장/관리하며, 감지된 상기 모니터링 감시대상 리스트의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12)는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이외에도 단말기 고유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이동가입자 식별번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또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는 CDMA, GSM 등의 단말기의 통신방식 혹은 IPV6 방식 지원여부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2)에 등록되는 데이터가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각 통신방식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그에 따라 지원되는 데이터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통화상태 메세지 생성부(13)는 상기 제어부(11)로부터 감지된 결과에 따라 통화상태 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14)를 통해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통화상태 메세지 생성부(13)에 의해 생성되는 통화상태 메세지는 문자, 음성,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생성되며, 이를 수신받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가능 형태 또는 사용자에 따라 설정되기도 하며, 상기 수신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그 형태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통화상태 메세지 생성부(13)는 해당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시도 또는 통화가 완료되는 경우에 따라 각각의 메세지를 생성하며, 통화에 따른 수신처, 날짜, 시간, 통화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한다.
또한, 상기 통화상태 메세지 생성부(13)는 상기 제어부(11)로부터 해당 단말기가 모니터링 거부된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대방에 의해 거부되어 모니터링 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상태/통화기록을 원하는 사용자는 통화상태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하고, 통화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를 모니터링서버에 등록한다. (S1, S2)
이때, 이동통신 서비스 사용자는 본인의 통화상태/통화기록을 타인이 모니터링 할 수 없도록 거부하는 모니터링 거부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거부 신청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일부 통화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서비스 신청자를 관리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모니터링 하고자하는 감시 대상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바탕으로 감시대상 리스트를 생성한다. (S3)
또한, 사용자가 모니터링 거부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에는 모니터링 거부 신청을 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에 따라 모니터링 거부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감시대상 리스트와 별도로 관리되도록 한다.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시도 및 통화완료 등과 같은 통화상태를 감지하며, 이에 앞서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가 모니터링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S4)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경우,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를 시도하거나, 통화가 완료되는 것을 감지한다. (S5)
감지 결과에 따라 해당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 및 통화 기록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S6)
다음,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통화상태, 통화시간, 통화날짜, 수신처에 대한 정보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메세지를 생성하여,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S7)
한편,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모니터링 거부 리스트에 존재하는 경우 그 정보를 상기 감시대상 리스트에서 삭제하고, 상대방에 의해 거부되어 모니터링 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생성하여,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메세지를 전송한다. (S8)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는 상기 모니터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메세지를 통해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의 통화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S9)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대하여,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하여 통화상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서,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확인이 용이하고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패턴을 파악할 수 있어, 자녀 또는 일부 사용자의 무분별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규제할 수 있고, 범죄수사와 같은 특수목적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한 대 이상의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감시대상으로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시작/통화완료를 포함하는 통화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니터링 결과를 전송하는 모니터링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와, 상기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대상 등록 리스트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통화상태에 관한 메세지를 생성하는 통화상태 메세지 생성부와;
    상기 통화상태에 관한 메세지가 상기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된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원방식에 따라 전화번호, 단말기 고유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이동가입자 식별번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또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상태 메세지 생성부는 문자, 음성,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메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니터링 거부 신청을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감시대상 등록 리스트에서 삭제 또는 제외되도록 제어신호를 발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6. 이동통신 단말기가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하고,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를 등록하는 제 1단계와;
    상기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시작/통화완료에 따른 통화상태를 감지하여 통화상태에 관한 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하고,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상기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입력하여 모니터링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목록을 생성하는 제 3과정과;
    생성된 모니터링 목록에 따라 상기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통화를 시도하거나, 통화가 완료된 경우 이를 감지하는 제 4과정과;
    상기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를 기록하고, 통화상태에 과한 메세지를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과정은 모니터링 대상으로 등록된 상기 감시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통화상태 모니터링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모니터링이 거부되어 있는 경우 그에 따른 안내 메세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통화상태가 모니터링되지 않도록 모니터링 거부 신청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거부 신청시 선택에 따라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통화 상태 모니터링이 일부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040095315A 2004-11-19 2004-11-19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KR100673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315A KR100673450B1 (ko) 2004-11-19 2004-11-19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CNA2005100730522A CN1777326A (zh) 2004-11-19 2005-05-27 移动通信终端通话状态监控系统及其工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315A KR100673450B1 (ko) 2004-11-19 2004-11-19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056A KR20060056056A (ko) 2006-05-24
KR100673450B1 true KR100673450B1 (ko) 2007-01-24

Family

ID=3676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315A KR100673450B1 (ko) 2004-11-19 2004-11-19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3450B1 (ko)
CN (1) CN17773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19184B (zh) * 2008-02-02 2013-06-1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监控主机的方法、监控装置及主机
WO2009097781A1 (zh) * 2008-02-02 2009-08-13 Yulong Computer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Shenzhen) Co., Ltd. 监控主机的方法、监控装置及主机
CN101662782B (zh) * 2008-08-28 2013-06-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通话记录监控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056A (ko) 2006-05-24
CN1777326A (zh)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01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elephone status
US7486785B2 (en) Method for customer recognition and management
US81224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mission management
US8275104B2 (e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dynamic replacement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service
US200600208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uthentication attempts
US20110135073A1 (en) Methods to improve fraud detection on conference calling systems by detection of conference moderator password utilization from a non-authorized device
KR20150122637A (ko)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및 보안 분야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의 활용 및 응용
JP2013005205A (ja) 悪質電話防止装置、悪質電話防止システム
EP2426907A1 (en) Illegal call detection apparatus, illegal call detection method, and illegal call detection program
US200902753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mobile data devices
US20130143530A1 (en) Dynamic Transmission of Personal Data to Only Trusted Entities
US201702869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online payment
CN101772919A (zh) 在以用户为中心的拦截中利用相关标识的方法
US20060040677A1 (en) Data protection for position-dependent services
KR10067345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CN105991626A (zh) 网络访问的方法及装置
CN109756518B (zh) 基于区块链的防伪方法、终端、区块链
KR101344661B1 (ko) 단말 사용의 부모 제어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CN113329130B (zh) 基于互联网的伪虚拟电话号码使用方法、装置及服务器
EP3840322A1 (en) Method to facilitate user authenticating in a wireless network
CN102685773A (zh) 用户触发的移动定位权限控制方法和系统
KR100346354B1 (ko) 휴대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CN106304072A (zh) 安全验证方法及装置
KR100620565B1 (ko) 이동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에 가입하기 위한 방법 및 그장치
CN106992977B (zh) 告警方法、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