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751B1 - 순환 골재를 이용한 포장재 - Google Patents

순환 골재를 이용한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751B1
KR100672751B1 KR20060090901A KR20060090901A KR100672751B1 KR 100672751 B1 KR100672751 B1 KR 100672751B1 KR 20060090901 A KR20060090901 A KR 20060090901A KR 20060090901 A KR20060090901 A KR 20060090901A KR 100672751 B1 KR100672751 B1 KR 100672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ggregate
sieve
parts
pa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90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기화
Original Assignee
(주)한동재생공사
한국신기술산업(주)
에스씨종합건설(주)
주식회사 지.피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동재생공사, 한국신기술산업(주), 에스씨종합건설(주), 주식회사 지.피 코리아 filed Critical (주)한동재생공사
Priority to KR20060090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6Sulfur-containing compounds
    • C04B24/18Lignin sulf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e.g. sulfite ly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4Air-entr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 골재를 이용한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순환 골재 100중량부와 시멘트 7-12중량부, 물 98.4-99.6중량%, MMA(Methyl methacrylate) 0.1-0.3중량%, EAM(Ethyl acrylate) 0.1-0.3중량%, 리그닌계 혼화제 0.1-0.5중량%, 나프탈렌계 혼화제 0.1-0.5중량%로 이루어진 혼화액 5-1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도로포장용 또는 공장의 바닥포장용으로 적합하며,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잦은 보수가 필요 없고 수명이 긴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순환 골재를 이용하므로, 골재의 채취, 또는 건설폐기물의 매립으로 인한 자연의 훼손을 줄이고, 불법적인 폐기물의 처리로 인한 환경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
순환 골재, 포장재, 콘크리트, 혼화제, MMA(Methyl methacrylate), EAM(Ethyl acrylate).

Description

순환 골재를 이용한 포장재 {Pavement with recycled aggregate}
본 발명은 순환 골재를 이용한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매년 대량의 건설폐기물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 상당부분을 폐 콘크리트 및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매립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공간이 필요하므로 매립지 건설을 위한 자연의 훼손이 불가피하며, 심지어 일부는 무단으로 매립 또는 투기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도로 건설에 사용하는 포장재는 골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골재의 원료가 되는 암석이나 자갈, 모래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자연을 훼손시키게 된다. 따라서, 골재의 채취, 또는 건설폐기물의 매립으로 인한 자연의 훼손을 줄이고 불법적인 폐기물의 처리로 인한 환경의 오염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왔다.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법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7672호 재생 골재를 이용한 고강도, 고내구성 다기능 하이브리드 투수콘크리트 포장의 제조방법에서는 재생 골재와 쇄석 골재,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내알칼리성 유리단섬유, 메쉬형 폴리프로필렌섬유를 혼합하여 투수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 하였고, 등록특허공보 10-0586066호 재생 골재와 폐시멘트를 이용한 시멘트코팅 혼합골재와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방법에서는 재생 골재를 폐시멘트 및 신제시멘트, 플라이애쉬, 석회의 혼합물로 코팅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등록특허 10-0356375호 재생 골재 및 부순 돌과 시멘트 표면처리 입상비료를 이용한 식생용 포러스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서는 재생골재 및 부순돌, 입상비료를 혼합하여 식생용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법들은 일반적인 용도가 아닌 특수한 용도의 도로포장재 또는 아스팔트를 첨가한 도로포장재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도로포장재로서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유동성에 의한 변형이 문제시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공용 개시 후 1-2년 내에는 소성변형이 주로 발생되며 그 이후에는 공기 중 산소와 자외선과의 접촉으로 산화가 진행되면서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공용 초기에는 내유동성을 갖추고 공용 후기에는 균열저항성이 높아 수명이 긴 포장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순환 골재를 이용함으로써 자연의 훼손 및 환경의 오염을 줄일 뿐 아니라, 잦은 보수가 필요 없고 수명이 긴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순환 골재를 이용한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도로포장용 또는 공장의 바닥포장용으로 사용되며, 순환 골재와 시멘트, 혼화액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순환 골재는 폐 콘크리트 또는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같은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제조한 골재를 의미한다. 순환 골재는 건설폐기물을 조크러셔(Jaw Crusher)에서 파쇄하고 골재 선별기를 통과시켜 선별한 후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제조한 순환 골재는 순차적으로 50mm, 40mm, 25mm, 13mm, 8mm, 4.75mm, 2.36mm, 0.6mm, 0.3mm 체로 체거름하여 입도별로 분류한 후, 용도에 맞도록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표 1과 같이 기층 입도 규격 BB-1의 기준에 맞도록 골재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표 1] 골재의 입도 비율(기층 BB-1)
체 눈금 크기 통과 중량 백분율(중량%)
50mm 100
40mm 95 - 100
25mm 70 - 100
13mm 55 - 90
8mm 30 - 70
4.75mm 17 - 55
2.36mm 10 - 42
0.6 mm 5 - 28
0.3 mm 3 - 22
시멘트는 일반적으로 1, 2종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지만 특별히 사용 가능한 종류에 제약은 없으므로, 단시간에 강도를 내야하는 긴급 보수용으로는 초조강 시멘트, 또는 알루미나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색 시멘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순환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틀랜드 시멘트 7-12중량부를 첨가한다.
일반적으로 혼화제는 콘크리트에 물리, 화학적으로 작용하여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하거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음이온, 양이온, 비이온, 양성 계면활성제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재료 입자 간의 접착력과 유동성 및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혼화제를 첨가하며, 특히 유동성의 확보를 위해 첨가하는 물의 양을 줄임으로써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는 감수제의 역할을 하는 혼화제를 첨가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혼화제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대표적으로는 리그닌계(Lignin), 폴리카르복시산계(Polycarboxylates), 나프탈렌계(Naphthalene) 혼화제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리그닌계(Lignin)와 나프탈렌계(Naphthalene)의 혼화제를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혼화제로 MMA(Methyl methacrylate)와 EAM(Ethyl acrylate)를 첨가함으로써, 골재 간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포장재의 강도를 높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혼화제는 물에 희석하여 혼화액의 형태로 사용하며, 혼화액은 물 98.4-99.6중량%, MMA(Methyl methacrylate) 0.1-0.3중량%, EAM(Ethyl acrylate) 0.1-0.3중량%, 리그닌계 혼화제 0.1-0.5중량%, 나프탈렌계 혼화제 0.1-0.5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제조한다. 혼화제의 첨가량이 적으면 강도 증진의 효과가 없고 첨가량이 많으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순환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혼화액 5-10중량부를 첨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 골재를 이용한 포장재는 상기의 순환 골재 100중량부와 시멘트 7-12중량부, 혼화액 5-1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실시단계 1] 순환 골재 제조
폐 콘크리트 또는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같은 건설폐기물을 조크러셔(Jaw Crusher)에서 파쇄하고 골재 선별기를 통과시켜 선별한 후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한 순환 골재를 순차적으로 50mm, 40mm, 25mm, 13mm, 8mm, 4.75mm, 2.36mm, 0.6mm, 0.3mm의 체로 체거름하여 입도별로 분류한 후, 상기 표 1의 규격에 맞도록 혼합하였다.
[실시단계 2] 포장재 제조
물 99중량%, MMA(Methyl methacrylate) 0.2중량%, EAM(Ethyl acrylate) 0.2중량%, 리그닌계 혼화제 0.3중량%, 나프탈렌계 혼화제 0.3중량%로 이루어진 혼화액 700kg을 순환 골재 10000kg, 포틀랜드 시멘트 1000kg와 혼합하여 포장재를 제조한 후, 약 7.0cm두께로 도로를 포장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포장재는 투입량이 1㎥ 당 약 2300kg이었으며, 마샬 안정도가 약 3000kgf로 강도가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하여 도로포장재 또는 공 장의 바닥포장재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공용 초기에는 내유동성을 갖추고 공용 후기에는 균열저항성이 높아 잦은 보수가 필요 없으며 수명이 긴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순환 골재를 이용하므로, 골재의 채취, 또는 건설폐기물의 매립으로 인한 자연의 훼손을 줄이고, 불법적인 폐기물의 처리로 인한 환경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삭제
  2. 순환 골재 100중량부, 시멘트 7-12중량부, 혼화액 5-10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에서 혼화액은 물 98.4-99.6중량%, MMA(Methyl methacrylate) 0.1-0.3중량%, EAM(Ethyl acrylate) 0.1-0.3중량%, 리그닌계 혼화제 0.1-0.5중량%, 나프탈렌계 혼화제 0.1-0.5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에서 순환 골재는 건설폐기물을 조크러셔(Jaw Crusher)에서 파쇄하고 골재 선별기를 통과시켜 선별한 후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며, 50mm 체를 100중량% 통과하고, 40mm 체를 95-100중량% 통과하고, 25mm 체를 70-100중량% 통과하고, 13mm 체를 55-90중량% 통과하고, 8mm 체를 30-70중량% 통과하고, 4.75mm 체를 17-55중량% 통과하고, 2.36mm 체를 10-42중량% 통과하고, 0.6mm 체를 5-28중량% 통과하고, 0.3mm 체를 3-22중량% 통과하는 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KR20060090901A 2006-09-20 2006-09-20 순환 골재를 이용한 포장재 KR100672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0901A KR100672751B1 (ko) 2006-09-20 2006-09-20 순환 골재를 이용한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0901A KR100672751B1 (ko) 2006-09-20 2006-09-20 순환 골재를 이용한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2751B1 true KR100672751B1 (ko) 2007-01-22

Family

ID=38014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90901A KR100672751B1 (ko) 2006-09-20 2006-09-20 순환 골재를 이용한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7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4216A (zh) * 2018-02-05 2018-09-04 上海良延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再生环保富营养透水砖
CN109020375A (zh) * 2018-08-24 2018-12-18 华北水利水电大学 水泥基快速修补路面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00111927A (ko) 2019-03-20 2020-10-05 유진기업 주식회사 폐유를 활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808A (ko) * 2000-02-29 2001-09-06 황익현 폐 콘크리트의 골재재생장치 및 재생골재를 사용하여투수성콘크리트를 포장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808A (ko) * 2000-02-29 2001-09-06 황익현 폐 콘크리트의 골재재생장치 및 재생골재를 사용하여투수성콘크리트를 포장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4216A (zh) * 2018-02-05 2018-09-04 上海良延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再生环保富营养透水砖
CN109020375A (zh) * 2018-08-24 2018-12-18 华北水利水电大学 水泥基快速修补路面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00111927A (ko) 2019-03-20 2020-10-05 유진기업 주식회사 폐유를 활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ukla et al. Development of green concrete using waste marble dust
Djamaluddin et al. Evaluation of sustainable concrete paving blocks incorporating processed waste tea ash
CN101099974B (zh) 建筑废弃物的处理和再生利用方法
CN108117362B (zh) 一种建筑垃圾路面基层材料及其制备方法
US10106461B2 (en) Masonry blocks
CN104119043B (zh) 一种用建筑垃圾为主要原料的道路铺筑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954656A (zh) 一种具有超高延性的再生微粉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4402369B (zh) 将渣土与粉煤灰复合制造的道路填筑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086131B (zh) 将建筑垃圾与石灰石粉复合制得的道路铺筑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90049799A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생콘크리트
CN104402370B (zh) 用渣土和电炉渣制造的道路填筑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560073A (zh) 一种废弃混凝土回收再利用的方法
CN109020430A (zh) 一种二灰稳定建筑垃圾再生混合料及其制备方法
CN106045412A (zh) 一种生态混凝土
KR100836598B1 (ko) 폐 콘크리트를 활용한 콘크리트 모르타르 조성물
CN104355574B (zh) 用建筑垃圾和粉煤灰制造的道路铺筑材料及其制造方法
CN108689659A (zh) 一种水泥稳定建筑垃圾再生混合料及其制备方法
KR100672751B1 (ko) 순환 골재를 이용한 포장재
CN104671720B (zh) 使用建筑垃圾和煤矸石制造的道路填筑材料及其制备方法
Olutoge et al. Effect of waste glass powder (WGP)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CN112062518A (zh) 一种海卵石海砂海水再生微粉混凝土的制备方法
CN104177035A (zh) 一种无机混合料
CN1927758A (zh) 建筑砂浆材料
Kanmani et al. A novel approach on usage of waste sludge from textile dyeing units in paver block manufacturing
CN104773977B (zh) 一种用渣土复合煤矸石粉的道路铺筑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716

Effective date: 200903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