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951B1 - Straw - Google Patents

Stra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951B1
KR100671951B1 KR1020040076627A KR20040076627A KR100671951B1 KR 100671951 B1 KR100671951 B1 KR 100671951B1 KR 1020040076627 A KR1020040076627 A KR 1020040076627A KR 20040076627 A KR20040076627 A KR 20040076627A KR 100671951 B1 KR100671951 B1 KR 10067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tongue
taste
beverage
micropo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6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27712A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이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호 filed Critical 이상호
Priority to KR1020040076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951B1/en
Publication of KR20060027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7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9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2Drinking straw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빨대본체와 상기 빨대본체의 상기 폐쇄된 단부측에 인접된 영역에 복수의 미세공으로 구성된 다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를 제시함으로써, 미세공을 통하여 음료가 입속에 퍼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하고 차별화된 음료의 개발에 따른 미각을 섬세하게 느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유체상태의 음료을 섭취하는데 있어서 뿐만 아니라 상기 음료의 맛을 섬세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료의 차별화된 맛을 부각시켜주는 상승작용을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w, and more particularly, a straw body having one end opened and the other end closed, and a porous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micropores in a region adjacent to the closed end side of the straw body. By presenting a straw to make the beverage spreads through the micropores, and at the same time, it makes it possible to delicately feel the taste of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differentiated beverage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ynergistic effect of highlighting the differentiated taste of the beverage by making it possible to delicately feel the taste of the beverage as well as ingesting the beverage in the fluid state.

혀, 미각, 미세공, 빨대.Tongue, taste, micropores, straws.

Description

빨대{STRAW}Straws {STRA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빨대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도 1의 빨대의 다공부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orous portion of the straw of Figure 1,

도 2b는 도 2a의 다공부의 Ⅱ-Ⅱ 방향의 측면도,FIG. 2B is a side view of the porous portion II-II in FIG. 2A;

도 3은 본 발명의 빨대의 다공부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orous portion of the stra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빨대의 다공부의 제 3실시예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porous part of a stra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빨대의 다공부의 제 4실시예의 사시도,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porous part of a stra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도 5a의 다공부의 단면도,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ous portion of FIG. 5A;

도 6은 본 발명의 빨대의 다공부의 제 5실시예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 porous part of a stra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빨대의 다공부의 제 6실시예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a porous part of a stra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빨대의 다공부의 제 7실시예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venth embodiment of a porous part of a stra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빨대의 다공부의 제 8실시예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ighth embodiment of a porous part of a stra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빨대의 사용상태도.10 is a state of use of the straw according to the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 빨대본체 10; 개방된 일단One; Straw body 10; Once opened

20; 폐쇄된 타단 30; 다공부20; Closed other end 30; Perforation

33; 미세공 33-1; 미세공33; Micropores 33-1; Micropores

50; 혀 51; 혀끝50; Tongue 51; tip of the tongue

52; 혀의 측부 53; 혀의 내측52; Side 53 of the tongue; The inner side of the tongue

본 발명은 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w.

맛은 입안의 미각세포에서 일어나는 감각에 국한된다. 인간이 인지하는 맛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짠맛, 신맛, 단맛, 그리고 쓴맛 등 4가지로 설명된다.Taste is limited to the sensations that occur in taste cells in the mouth. The types of tastes that humans perceive are generally described as four types: salty, sour, sweet, and bitter.

혀는 구강저(口腔底)에서 구강으로 돌출한 근육성의 기관으로서 미각·저작 외에 언어의 발음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혀의 표면은 점막으로 덮여 있고, 전체를 설근(舌根)·설체(舌體)·설첨(舌尖)의 세 부분으로 나눈다. 설배(舌背)에는 중앙부에 얕은 홈이 있고, 하면정중(下面正中)에는 구강저와 설근의 사이에 설소대(舌小帶)라는 주름이 있다. 설체와 설근의 경계에는 앞쪽으로 열리는 쐐기 모양의 분계구(分界溝)가 있으며, 혀의 배면과 옆가장자리에는 다수의 가느다란 설유두(舌乳頭)라고 하는 점막돌기가 있다.The tongue is a muscular organ that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mouth to the oral cavity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nunciation of the language in addition to taste and writing. The surface of the tongue is covered with mucous membranes, and the whol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lingual muscle, the tongue, and the tongue. There is a shallow groove in the center of the tongue, and there is a crease called a tongue sulcus between the bottom of the mouth and the tongue of the lower extremit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body and the lingual muscles, there is a wedge-shaped demarcation opening that opens in front, and on the back and side edges of the tongue there are a number of slender papillas called slender papillae.

설유두 중 설배에 널리 분포해 있는 것이 사상유두(약 0.5mm)인데 가장 많이 존재한다. 또 혀 끝에는 용상유두(茸狀乳頭), 혀 가장자리의 뒤쪽에는 엽상유두가 있고, 분계구의 앞쪽에는 이 홈을 따라 혹 모양의 유곽유두(有郭乳頭:약 1mm)가 10개 정도 배열해 있다. 유두에는 미각의 수용기로서 신경의 말단이 있는 미뢰가 있다. 설근부에는 림프구가 밀집한 림프절이 혹 모양으로 융기해 있는데, 이것을 혀 편도[舌扁桃]라고 한다.The most widely distributed tongues are filamentous papillae (about 0.5 mm). The tip of the tongue has a papillary papillae, and the posterior edge of the tongue has a leaf papillae, and in front of the basin, 10 hump-shaped papillary papillae (about 1 mm) are arranged along this groove. . Nipples have taste buds with nerve endings as taste receptors. The lymph nodes, which are densely packed with lymphocytes, are raised in the form of humps, which is called tonsils.

혀를 구성하고 있는 근육은 설고유근(舌固有筋)이라고 하며, 모두 가로무늬근이다. 설고유근은 종주 ·횡주 ·수직으로 달리는 근섬유속이 조합하여 이루어져 있고, 혀의 섬세한 운동을 관장하고 있다. 설고유근은 혀밑신경의 지배를 받는다.The muscles that make up the tongue are called seolgeuneuneun (舌 固有 筋), all are horizontal pattern muscles. Seolgeun root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muscle fibers running verticall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manages delicate movements of the tongue. The tongue root is controlled by the sublingual nerve.

이밖에 설골에 부착하여 혀와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설골근(舌骨筋)이 있어 혀의 운동에 관계한다.In addition to the hyoid bone attached to the tongue is connected to the tongue (설) is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tongue.

혀의 지각은 혀의 앞쪽 3분의 2를 삼차신경(三叉神叉經)이, 혀의 뒤쪽 3분의 1 부분을 혀인두신경과 미주신경이 담당한다. 혀의 점막에는 설선(舌腺)이라고 하는 작은 침샘[唾液腺]이 있어 혀의 표면을 끊임없이 적시고 있으므로 건강한 사람의 혀는 반드럽고 윤이 나며 촉촉하다.The third periphery of the tongue is the trigeminal nerve (三叉 神,), and the third part of the posterior tongue is the pharyngeal nerve and the vagus nerve. The mucous membrane of the tongue has a small salivary gland called seolseon, which constantly wets the surface of the tongue, so the tongue of a healthy person is smooth, shiny and moist.

미세포는 미뢰 내부에 있고 간상이며, 굵은 중간 부분에 핵이 들어 있다. 미뢰는 장축을 가지고 연직(鉛直)으로 점막 상피 안에 들어 있으며 그 유리(遊離) 표면에 미공(味孔)이라는 작은 구멍이 있다. 미뢰신경은 혀의 뒤쪽 1/3과 엽상유두에는 설인신경으로부터, 혀의 앞 2/3에는 고삭신경(鼓索神經:안면신경의 일종)에서 온 신경으로 미뢰 안에서 끝나는 미뢰 내 섬유와 미뢰 밖의 상피 내에서 끝나는 미뢰 간 섬유로 나뉜다. 미뢰가 미각에 관계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모든 미각이 미뢰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타닌 등의 떫은맛은 혀와 구강점막 전체가 자극되어 일어나는 감각이며 미뢰와는 관계가 없다. Microcells are inside the taste buds and are rod-like, with the nucleus in the middle of a thick one. The taste buds have a long axis and are perpendicular to the mucosal epithelium and have small holes called micropores on the glass surface. The taste bud nerve is a nerve from the Yeti nerve in the rear 1/3 of the tongue and the leaf papilla, and the nerve from the sarcophagus nerve in the front 2/3 of the tongue. It is divided into taste bud liver fiber ending within. Although taste buds relate to taste, not all tastes depend on taste. The astringent taste of tannins is a sensation caused by the irritation of the entire tongue and oral mucosa and has nothing to do with taste buds.

사람은 혀로 여러 가지 맛을 느낄 수 있으나, 기본이 되는 맛은 쓴맛, 단맛, 신맛, 짠맛의 4가지이다. 미각의 분포를 보면 쓴맛은 혀의 안쪽에서, 단맛은 혀 끝 에서, 신맛은 혀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짠맛은 혀의 전체에서 느낀다.People can taste many things with their tongue, but the basic taste is bitter, sweet, sour and salty. In the distribution of taste, bitterness is felt inside the tongue, sweetness at the tip of the tongue, sourness at both edges of the tongue, and saltiness at the entire tongue.

그리고 일반적으로 매운맛과 떫은맛은 미각이 아닌 통각에 속하며 맛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통증을 느끼는 것이다.In general, spicy and astringent tastes are pain, not taste, belonging to the sense of pain rather than taste.

일반적으로 물이나 음료수 따위를 빨아 먹는 데 쓰는 가는 대롱을 빨대라 하며 유체상의 음료를 섭취할때에 보조 도구로써 주로 사용한다.Generally, a straw is used to suck water or drink, and it is mainly used as an auxiliary tool when drinking a fluid drink.

빨대는 용기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분리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빨대는 통상적으로 양끝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본체의 일부에 주름층이 있어서 길이를 조절하고 방향을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Straws may be attached to containers or may be separated. Straws are typically open at both ends and a portion of the body has a pleat layer, which may be used to adjust the length and change the direction.

그러나 통상의 빨대를 사용하여 유체상의 음료를 음용할 경우에는 음료가 입안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단축되어 맛을 느끼는 시간이 줄어들고 음료가 혀의 구석구석으로 퍼지지 않게 됨으로써 음료의 맛을 충분히 느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drinking a liquid drink using a normal straw, the distance that the drink travels in the mouth is shortened and the time to taste is reduced, and the drink does not spread to every corner of the tongue, so that the taste of the drink cannot be sufficiently felt. There was thi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세공을 통하여 음료가 입속에 퍼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하고 차별화된 음료의 개발에 따른 미각을 섬세하게 느낄 수 있는 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aw that can feel the delicate taste of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different beverages and at the same time to allow the beverage to spread in the mouth through the micro-pore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체상태의 음료를 섭취하는데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 음료의 맛을 섬세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료의 차별화된 맛을 부각시켜주는 상승작용을 하는 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aw that acts synergistically to emphasize the differentiated taste of the beverage by allowing the user to delicately feel the taste of the beverage as well as ingesting the beverage in a fluid st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세공을 포함함으로써 찻잎 등의 거친 건더기가 함유된 음료를 마시는 경우에 이들을 걸러주는 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aw for filtering them when the beverage containing coarse dry matter, such as tea leaves, by containing micropores.

또한 본 발명은 폐쇄된 단부를 음료를 흡입하는 쪽으로 사용함으로써 내용물을 저어줄 수 있는 스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aw that can be used as a stick to stir the contents by using the closed end to inhale the bever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빨대본체와; 상기 빨대본체의 상기 폐쇄된 단부측에 인접된 영역에 복수의 미세공으로 구성된 다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raw body is open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losed; A straw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rous por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micropores in a region adjacent to the closed end side of the straw body.

상기 복수의 미세공은 상기 다공부의 전체에 대해 형성될 수 있고 혀의 맛을 느끼는 부위에 인접되도록 상기 다공부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micropores may be formed with respect to the entirety of the porous portion, and may be formed only in a portion of the porous portion so as to be adjacent to a portion where the taste of the tongue is felt.

또한 상기 미세공들은 그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크기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cropores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in size, or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size groups.

상기 다공부는 구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기타 다각형 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The porous part may be manufactured in a spherical shape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other polygonal shapes.

아울러 상기 다공부는 상기 빨대본체의 길이의 수직방향의 두께와 폭이 서로 다르게 제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rous portion may be manufactured in a different thickness and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ngth of the straw body.

본 발명에 따른 빨대본체의 형상은 원통형인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기둥 또는 기타 다각형 기둥의 형상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straw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cylindric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be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prism or other polygonal pillar.

또한 상기 빨대본체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단면이 테이퍼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음식물을 떠먹을 수 있도록 스푼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straw main body may be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has a tapered structure, it may have a spoon shape to eat food.

상기 빨대본체의 재질은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이나 종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유체가 이동하는 모습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조됨이 바람직하지만 반투명재질이나 불투명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빨대본체에 각종 모양이나 무늬를 넣어 제조할 수도 있고 다양한 색상의 빨대를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aterial of the straw body may be made of plastic or paper,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fluid to move from the outside may be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or an opaque material. In addition, the straw body may be prepared by putting a variety of shapes or patterns, of course, can be produced straws of various colors.

또한 상기 빨대본체를 통하여 따뜻한 음료를 마시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because it may be a hot drink to drink through the straw bod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빨대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tr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빨대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빨대의 다공부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다공부의 Ⅱ-Ⅱ 방향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빨대의 다공부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빨대의 다공부의 제 3실시예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빨대의 다공부의 제 4실시예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다공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빨대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orous portion of the straw of Figure 1, Figure 2b is a side view in the II-II direction of the porous portion of Figure 2a, Figure 3 is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orous part of the straw,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orous part of the stra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orous part of the stra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5a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ous portion, Figure 6 is a state diagram using the str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빨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10)이 개방되고 타단(20)이 폐쇄된 빨대본체(1)와; 상기 빨대본체(1)의 폐쇄된 단부측에 인접된 영역에 복수의 미세공(33)들이 형성된 다공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str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w main body 1 having one end 10 open and the other end 20 closed; It comprises a porous portion 30 formed with a plurality of micropores 33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closed end side of the straw body (1).

상기 빨대본체(1)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제조되나 그 밖에도 다각형으로 도 제조될 수 있고 빨대본체(1)의 길이와 내경은 달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빨대본체(1)의 일부에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주름(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고, 사용시에 슬라이드되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빨대본체(1)보다 내경이 작은 보조빨대(미도시)가 빨대본체(1)의 내부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The straw body 1 is generally manufactur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may also be manufactured in a polygonal shape, and the length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traw body 1 may be manufactured in a different manner. And a part of the straw body (1) may be formed wrinkles (not shown) to adjust the length, the auxiliary straw (not shown) having a smaller inner diameter than the straw body (1) so as to slide in use to extend the length )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side the straw body (1).

상기 빨대본체(1)는 양측 단 중 적어도 한쪽이 복수개의 미세공(33)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특징이 있으며, 빨대의 분사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기존의 빨대와는 달리 빨대본체(1)의 양측단 중 어느 일단이 폐쇄될 수 있다.The straw body (1)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micro-pores (33) is formed, and in order to enhance the spraying effect of the straw, unlike the existing straw of both sides of the straw body (1) Either end may be closed.

그리고 상기 폐쇄된 단부측은 음료 등의 음료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공(33)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빨대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개방된 일단이나 폐쇄된 일단 중 어느 한 부분이 음료와 직접 접촉되는 흡입부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폐쇄된 일단을 흡입부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음료의 내용물을 저어주는 기능도 한다.Since the closed end side has micropores 33 through which beverages such as beverages can pass, either part of the open end or the closed e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drink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of using a straw. Can be used as the suction part. Therefore, when the closed end is used as the suction unit also serves to stir the contents of the beverage.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기 빨대본체(1)에서 개방된 일단(10)이 흡입부로 사용되고 폐쇄된 타단(20)이 배출부로 사용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ne end 10 opened from the straw body 1 will be described as being limited to a case in which the closed end 20 is used as an outlet.

상기 빨대본체(1)의 일단(10)은 다양한 구조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본체(1)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절단된 형상, 그 단면이 테이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빨대본체(1)의 일단(10)은 음식물을 떠먹을 수 있도록 스푼형상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미도시).One end 10 of the straw body 1 may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and shapes, as shown in Figure 1, the shape cut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w body 1,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red structure Can have In addition, one end 10 of the straw body 1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spoon shape so as to eat food (not shown).

상기 빨대본체(1)의 타단(20)은 음료가 흡입 또는 배출되지 못하도록 폐쇄되어 있다.The other end 20 of the straw body 1 is closed so that the beverage is not inhaled or discharged.

양단부가 개방된 기존의 빨대를 통해 유체상의 음료을 섭취하는 경우에는 개방된 단부로 한꺼번에 음료가 배출되고, 빨대의 구성상 배출된 음료는 입안에 퍼져서 혀의 각부위에 전달되기 이전에 종전의 이동경로대로 식도에 전달되어 버린다.따라서 음용자는 음료의 맛을 충분히 음미할 수 없게 된다.In the case of ingesting a fluid drink through an existing straw with both ends open, the beverage is discharged all at once to the open end, and the beverage discharged due to the composition of the straw spreads in the mouth and is transferred to each part of the tongue before being transferred to each part of the tongue. It is delivered to the esophagus, so that the drinker cannot savor the taste of the drink.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빨대는 흡입된 유체상의 음료가 폐쇄된 타단(20)으로는 배출되지 못하게 하여, 흡입된 음료가 곧바로 식도로 이동되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복수개의 미세공(33)에 의하여 음료가 입안으로 분사되게 함으로써, 음료가 입속 전체에 퍼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혀로 맛을 섬세하게 음미할 수 있게 된다.However, the str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inhaled flui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closed other end 20, thereby preventing the inhaled beverage from being immediately moved to the esophagus, and at the same time, the beverage is prevented by the plurality of micropores 33. By spraying it into the mouth, the beverage can spread throughout the mouth. Therefore, the user can delicately taste the taste with the tongue.

한편, 상기 폐쇄된 단부측에 인접된 영역에는 다공부(30)가 포함되어 있다.Meanwhile, the porous portion 30 is included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closed end side.

상기 다공부(30)는 유체상의 음료가 흡입되거나 배출되는 영역으로써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미세공(33)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orous portion 30 is a region in which the fluid drink is sucked or discharged,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icropores 33 as shown in FIG. 2A.

상기 미세공(33)은 상기 다공부(30)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1mm 정도가 적절하나 유체상의 음료에 따라서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더 작거나 커도 무방하다. 그리고 미세공(33)의 형상도 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다른 도형의 모양으로 변형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미세공이 형성됨으로써 찻잎처럼 섭취하지 않는 거친 건더기는 걸러진다는 잇점이 있다.The micro-pores 33 are uniformly configured throughout the porous portion 30 and the size is preferably about 1mm, but may be smaller or larger so that it can b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beverage in the fluid.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micropores 33 may also be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may be configured by deforming in the shape of another figure. In addition, the micropores are formed to filter out coarse grains that are not ingested like tea leaves.

도 2b는 도 2a의 다공부(30)의 Ⅱ-Ⅱ 방향의 측면도로서 상기 빨대본체(1)의 타단(20)을 폐쇄시킨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빨대본체(1)의 타단(20)을 폐쇄 시키는 방법은 가공중에 열을 가하여 일단을 폐쇄시킬 수 있고, 금형 내에 양단이 개방된 일반형태의 빨대를 넣고 열을 가하여 일단을 폐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빨대본체(1)의 사출성형과정에서 별도의 공정 또는 한번의 공정에 의하여 패쇄시킬 수 있다.FIG. 2B is a side view of the porous part 30 in FIG. 2A in the II-II direction,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the other end 20 of the straw body 1 is closed. The method of closing the other end 20 of the straw main body 1 may close one end by applying heat during processing, and may close the one end by inserting a straw of a general type in which both ends are opened in a mold and applying heat. In addition, in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of the straw body (1) can be closed by a separate process or a single process.

상기 다공부(30)는 상기 폐쇄된 단부로부터 경사를 이루어 빨대본체(1)와 형성되므로 사용시에 빨대본체(1)의 폐쇄된 단부로 이동하는 음료가 다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다공부(30)를 통하여 사용자의 혀끝 쪽을 향하여 점차 퍼지게 한다.The porous part 30 is formed with the straw body 1 by making an inclination from the closed end, so that the beverage moving to the closed end of the straw body 1 during use moves again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the porous part 30 It gradually spreads toward the user's tongue through.

또한 상기 다공부(30)는 구형(미도시)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구형의 크기는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고, 별 형상 등 다양한 입체적 형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다공부는 통상 혀에 닿는 길이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폐쇄된 타단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1㎝ 내지 2㎝ 되는 위치내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ous portion 30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not shown), the size of the spherical shape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i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three-dimensional shapes, such as star shape. The porous portion may be formed in a position that is 1 cm to 2 c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losed other end so as to be located within a length that normally touches the tongue.

상기 개방된 일단(10)에서 흡입된 유체상의 음료는 상기 폐쇄된 타단(20)으로 이동되고 상기 구형의 다공부(30) 전체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공(33)을 통해 입안 전체로 퍼지게 된다.The fluid drink sucked from the open end 10 is moved to the closed other end 20 and spread throughout the mouth through a plurality of micropores 33 formed in the entire spherical porous part 30.

아울러 도 5a 및 5b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공부(33)는 새의 부리모양과 같이, 빨대본체(1)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의 두께와 폭이 서로 다르게 하여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porous part 33 may be manufactured by different thicknesses and widths of the straw body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s in the shape of a bird's beak.

도 5b는 상기 다공부의 단면도로서, 납작한 형상을 가지므로 혀에 닿는 면적이 넓고 사용자의 혀에 밀착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유체상의 음료의 맛을 섬세하게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빨대의 다공부(30)의 제 5실시예로 서 폐쇄된 타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미세공(33)들을 복수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다공부는 음료를 저어주는 스틱의 기능도 아울러 제공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가진다.Figure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ous portion, because it has a flat shape, the area that touches the tongue is wide and close to the user's tongue to allow the user to feel the taste of the fluid drink delicately. FIG. 6 is a fifth embodiment of the porous part 30 of the straw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smaller toward the other end closed, and a plurality of fine holes 33 are disposed. Pores of the shape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can also provide the function of the stick to stir the beverage.

상기 미세공(33)의 배치 위치 및 형상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형상의 빨대는 특정한 형상을 가지는 금형에 기존 형상의 빨대를 넣고 높은 열을 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Arrangement position and shape of the micro-pores 33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straw of the shape can be manufactured by putting a straw of the existing shape in a mold having a specific shape and applying high heat.

한편, 상기 미세공(33)들은 도 2a에서와 같이 다공부(30)에 전체적으로 크기 및 배치가 균일하게 제조될 수 있지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기 및 배치를 달리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ne holes 33 may be manufactured uniformly in size and arrangement as a whole in the porous portion 30, as shown in Figure 2a, but is manufactured by varying the size and arrangement as shown in FIGS. It is possible.

도 3은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미세공들로 구성된 다공부를 나타낸다. 상기 미세공(33)들은 크기가 더 큰 미세공(33-1)과 함께 제조됨으로써 유체상의 음료에 알갱이나 그밖의 음료와 함께 섭취하는 건더기가 혼합되어 있을 경우 이들이 크기가 작은 미세공에 막히지 않고 크기가 더 큰 미세공(33-1)에 쉽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3 shows a porous part composed of a plurality of micropores of different sizes. The micropores 33 are manufactured together with the larger micropores 33-1, so that when the liquid intake is mixed with granules or other beverages, they are not blocked by the small micropores. There is an effect that is easily discharged to the micropores 33-1 having a larger size.

도 4에 도시된 빨대는 복수의 미세공(33)들을 다공부(30)에 배치를 달리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다공부(30)에서 사용자의 혀끝에 닿는 부분과 혀의 가장자리에 닿는 부분에 상기 미세공(33)들을 집중적으로 배치시킴으로써, 혀에서 단맛, 신맛을 느끼는 부위에 유체상의 음료가 직접 퍼지게 한다. 그 밖에도 하나의 다공부(30)에 크기가 서로 다른 미세공(33)들을 복수로 배치할 수도 있다.The straw shown in Figure 4 is configured by varying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micropores 33 in the porous portion 30, the fine portion in the portion touching the tip of the user's tongue and the edge of the tongue in the porous portion 30 By intensively arranging the balls 33, the fluidic beverage is spread directly on the site where the tongue feels sweet and sour. In addition, a plurality of micropores 33 having different sizes may be disposed in one porous part 30.

그 밖에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의 타단은 빨대본체의 외부 로 볼록하게 형성하거나 빨대본체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타단의 형상은 일자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other end of the straw may be closed by forming convex to the outside of the straw body or concave into the inside of the straw body, and closed as shown in FIG. 9. The shape of the other end may be formed to be straight.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빨대의 사용함으로써, 유체상의 음료가 빨대를 통하여 흡입되고 다공부(30)의 미세공(33)을 통하여 배출되어 섬세한 미각을 느끼게 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FIG. 10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fluid drink is sucked through the straw and discharged through the micropores 33 of the porous part 30 to feel a delicate taste by using the str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빨대본체(1)의 개방된 일단(10)을 통해 흡입된 유체상의 음료는 빨대본체(1)를 따라 폐쇄된 타단(20)까지 이동된다.The fluid drink sucked through the open end 10 of the straw body 1 is moved along the straw body 1 to the other end 20 which is closed.

상기 이동된 음료는 상기 타단이 폐쇄되어 있으므로 인접한 영역의 다공부(30)에 집중된다. 상기 다공부(30)는 압력이 높아지고 복수의 미세공(33)을 통하여 빨대본체(1)의 외부로 순간적으로 배출된다.The moved beverage is concentrated in the porous part 30 in the adjacent area since the other end is closed. The porous portion 30 is increased in pressure and is instantaneous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raw body 1 through the plurality of micropores 33.

사용자의 입속으로 배출된 유체상의 음료는 기존의 이동경로대로 곧장 식도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식도로 넘어가기 이전에 혀끝, 혀의 양측 가장자리 및 혀의 중앙에 골고루 퍼져서 입안 전체에 음료가 작용하게 된다.The liquid beverage discharged into the user's mouth does not move directly to the esophagus as the existing movement path, but spreads evenly over the tip of the tongue, both edges of the tongue, and the center of the tongue before passing to the esophagus so that the beverage acts throughout the mouth.

그리고 사람은 혀로 여러 가지 맛을 느낄 수 있으나, 기본이 되는 맛은 쓴맛, 단맛, 신맛, 짠맛의 4가지이고 미각의 분포를 보면 쓴맛은 혀의 안쪽(53)에서, 단맛은 혀 끝(51)에서, 신맛은 혀의 양쪽 가장자리(52)에서, 짠맛은 혀의 전체에서 느끼게 된다.And a person can feel various tastes with the tongue, but the basic taste is bitter, sweet, sour, and salty, and the distribution of tastes shows that bitter taste is inside the tongue (53) and sweetness is the tip of the tongue (51). In the sour taste at both edges 52 of the tongue, the saltiness is felt throughout the tongue.

즉, 상기의 경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빨대에 의해 이동되어 배출된 음료의 다양하고 차별화된 맛이 사용자에게 섬세하게 느껴지게 된다.That is, by the above path, the various and differentiated tastes of the beverage moved and discharged by the str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licately felt by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빨대는 미세공을 통하여 음료가 입속에 퍼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하고 차별화된 음료의 개발에 따른 미각을 섬세하게 느낄 수 있게 한다.The str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beverage to spread in the mouth through the micropores and at the same time allows the delicate taste to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and differentiated beverag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빨대는 유체상태의 음료를 섭취하는데 있어서 뿐만 아니라 음료의 맛을 섬세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료의 차별화된 맛을 부각시켜주는 상승작용을 한다.In addition, the str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ynergistic effect to highlight the differentiated taste of the beverage by making it possible to feel the taste of the beverage as well as ingesting the beverage in the fluid state.

또한 미세공을 포함함으로써 찻잎 등의 거친 건더기가 함유된 음료를 마시는 경우에 이들을 걸러주기 때문에 별도의 거름망이 없어도 빨대를 사용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다.In addition, by including micropores when drinking beverages containing coarse dry matter, such as tea leaves can be filtered so that you can drink using a straw without a separate strainer.

또한 본 발명은 폐쇄된 단부를 음료를 흡입하는 쪽으로 사용함으로써 내용물을 저어줄 수 있는 스틱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as a stick to stir the contents by using the closed end to inhale the beverag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원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서 본원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perform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described in the claims.

Claims (5)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빨대본체와;A straw main body whose one end is opened and the other end is closed; 상기 빨대본체의 상기 폐쇄된 단부측에 인접된 영역에 경사를 이루면서 하나 이상의 크기 군으로 구성된 복수의 미세공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된 다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Stra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rous part formed uniformly throughout the plurality of micropores composed of one or more size groups while inclining the area adjacent to the closed end side of the straw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40076627A 2004-09-23 2004-09-23 Straw KR1006719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627A KR100671951B1 (en) 2004-09-23 2004-09-23 Stra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627A KR100671951B1 (en) 2004-09-23 2004-09-23 Stra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712A KR20060027712A (en) 2006-03-28
KR100671951B1 true KR100671951B1 (en) 2007-01-19

Family

ID=3713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627A KR100671951B1 (en) 2004-09-23 2004-09-23 Stra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9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9827B (en) * 2011-02-15 2012-10-31 楼仲平 Filter pip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lter pipet
KR200489969Y1 (en) * 2017-08-22 2019-09-03 임채현 Drink straw that can satisfy user's preference
KR20200029159A (en) 2018-09-10 2020-03-18 정한준 Paper Straw and Paper Straw Manufacturing Equipment
DE102021003901B4 (en) 2021-07-28 2024-05-02 Martina Metzger Drinking straw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0967U (en) 1978-07-29 1980-02-09
JPS6441383U (en) 1987-03-30 1989-03-13
JP2004024408A (en) * 2002-06-24 2004-01-29 Michiro Kozutsumi Straw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0967U (en) 1978-07-29 1980-02-09
JPS6441383U (en) 1987-03-30 1989-03-13
JP2004024408A (en) * 2002-06-24 2004-01-29 Michiro Kozutsumi Stra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712A (en) 200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6246B2 (en) Novelty drinking straw with flow regulator
JP3038017U (en) pillow
KR100502636B1 (en) Straw
WO2012031702A2 (en) Teat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other habits
Thornwell The Lady's Guide to Perfect Gentility: In Manners, Dress, and Conversation, in the Family, in Company, at the Piano Forte, the Table, in the Street, and in Gentlemen's Society: Also a Useful Instructor in Letter Writing... Etc
KR100671951B1 (en) Straw
Colonna Hypnerotomachia: The strife of loue in a dreame
US7637439B1 (en) Safety drinking straw
US3397687A (en) Tongue depressor
CN108542223A (en) Temperature control perfume (or spice) atmosphere sentiment teacup
US20020023917A1 (en) Decorative heating pad
KR200198759Y1 (en) Insomnia preventive pillow containing chiness medicines therein
JP2004524874A (en) Finger sucking prevention device
CN209574193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pillow
KR800002178Y1 (en) Drink-pipe
CN207678854U (en) Electronic cigarette drip nozzle component
CN107594782B (en) Aromatic ornament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378552Y1 (en)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CN2554934Y (en) Jade cigarette holder for giving up smoking
CN2435089Y (en) Medicine-feeding device for infants
US20190366021A1 (en) Device for inhibiting at least partially the sense of smell
Aschenbrener et al. Prometheus, v. 11, 1988
Ayres The mentor: A little book for the guidance of such men and boys as would appear to advantage in the society of persons of the better sort
KR200341586Y1 (en) A Chinese medicine pillow having direction indicator
Glaser Our big home: An Earth po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