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825B1 -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825B1
KR100670825B1 KR1020050051875A KR20050051875A KR100670825B1 KR 100670825 B1 KR100670825 B1 KR 100670825B1 KR 1020050051875 A KR1020050051875 A KR 1020050051875A KR 20050051875 A KR20050051875 A KR 20050051875A KR 100670825 B1 KR100670825 B1 KR 100670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peline
image
photographing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434A (ko
Inventor
전민수
Original Assignee
(주)동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이엔지 filed Critical (주)동화이엔지
Priority to KR102005005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825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ultimedia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면, 하면, 좌면, 우면 및 전면을 조사하여 촬영하는 각각의 조사카메라(30)가 설치된 영상촬영부(110)와; 상기 영상촬영부(110)의 상하 위치를 컨트롤하는 위치조절부(160)와; 상기 영상촬영부(110)를 탑재하여 관로 상에서 주행하는 구동부(170)와; 상기 위치조절부(160)와 구동부(17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180)와; 상기 영상촬영부(110)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변환부(120)와; 상기 디지털변환부(120)에서 인가된 신호를 각각 분할하거나 합성하는 화면 분할 및 합성부(130)와; 상기 화면 분할 및 합성부(130)에서 전송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40), 및 상기 화면 분할 및 합성부(140)에서 전송된 영상을 모니터에 주사하여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50)로 구성하므로; 매설된 관로의 내부를 상면, 하면, 좌면, 우면 및 전면을 동시에 촬영하고 촬영된 각각의 영상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관찰 할 수 있도록 할 뿐 만 아니라 주행 상태에서 관로를 촬영하되 조사각의 한계로 인한 불안정조사를 제거하여 관로조사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이로 인하여 정확하게 관로를 촬영하여 관로조사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Multi-Directional display system of independent car for detecting pipe rout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조사각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분할 화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5 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조사 카메라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주차 11 : 본체
12 : 구동휠 20 : 상하조절부
21 : 작동레버 30 : 조사카메라
110 : 영상촬영부 120 : 디지털변환부
130 : 화면분할 및 합성부 140 : 메모리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위치조절부
170 : 구동부 180 : 제어부
본 발명은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관체로 이루어지고 사람이 들어가기 곤란한 협소한 관로 또는 유독가스의 존재가 의심스러운 위험한 지역의 하수관 등의 내부를 조사하여 영상화하되 상하좌우 및 전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여 관로의 이상 유무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설 선로 공사나 하수관 공사 등을 위해 관체를 지면에 매설한 후 연결된 관로의 이상 유무를 조사하거나 장기간 매설된 관로의 이상 유무를 조사하기 위하여 촬영장비가 탑재된 자주차를 투입하여 내부를 촬영하여왔다.
이러한 종래의 관로 촬영은 자주차에 탑재된 카메라가 정면을 주시하면서 자주차가 전진하여 이를 촬영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관로 촬영은 자주차가 이상 징후 발견위치에서 이를 세밀하게 관찰하기 위하여 자주차의 전진을 멈추고 카메라의 위치와 조사각을 변경하여 촬영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울 아니라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초기에 약간의 이상 징후는 관찰자가 발견하지 못하거나 사소한 것으로 무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관로 조사 후에 연약부분이 훼손 또는 붕괴되어 관로상의 물 흐름 등을 방해하거나 심지어 차단하게 되므로 하수가 넘치거나 역류의 우려가 높고 이로 인하여 홍수나 집중호우와 같은 대량의 하수가 유입될 때 심각한 피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매설된 관로의 내부를 상면, 하면, 좌면, 우면 및 전면을 동시에 촬영하고 촬영된 각각의 영상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관찰 할 수 있도록 하는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주차의 주행 상태에서 관로를 촬영하되 조사각의 한계로 인한 불안정조사를 제거하여 관로조사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름 목적은 정확하게 관로를 촬영하여 관로조사의 신뢰도를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면, 하면, 좌면, 우면 및 전면을 조사하여 촬영하는 각각의 조사카메라가 설치된 영상촬영부와; 상기 영상촬영부의 상하 위치를 컨트롤하는 위치조절부와; 상기 영상촬영부를 탑재하여 관로 상에서 주행하는 구동부와; 상기 위치조절부와 구동부를 컨트롤하는 제어부와; 상기 영상촬영부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변환부와; 상기 디지털변환부에서 인가된 신호를 각각분할하거나 합성하는 화면 분할 및 합성부와; 상기 화면 분할 및 합성부에서 전송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화면 분할 및 합성부에서 전송된 영상을 모니터에 주사하여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함이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조사각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분할 화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 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조사 카메라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면, 하면, 좌면, 우면 및 전면을 조사하여 촬영하는 각각의 조사카메라(30)가 설치된 영상촬영부(110)와; 상기 영상촬영부(110)의 상하 위치를 컨트롤하는 위치조절부(160)와; 상기 영상촬영부(110)를 탑재하여 관로 상에서 주행하는 구 동부(170)와; 상기 위치조절부(160)와 구동부(17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180)와; 상기 영상촬영부(110)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변환부(120)와; 상기 디지털변환부(120)에서 인가된 신호를 각각 분할하거나 합성하는 화면 분할 및 합성부(130)와; 상기 화면 분할 및 합성부(130)에서 전송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40), 및 상기 화면 분할 및 합성부(140)에서 전송된 영상을 모니터에 주사하여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50)로 구성한다.
상기 영상촬영부(110)는 상면, 저면, 좌면, 우면 및 전면에 조사하여 촬영하는 조사카메라(30)를 각각 설치한다.
여기서 조사카메라(30)에는 램프를 각각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각각의 조사카메라(30)는 최소 직경의 관로(1)에서도 조사각이 중첩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조사카메라(30)의 렌즈에는 열선소자를 도포하여 습기발생으로 인한 영상의 선명도 저하를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지털변환부(120)는 영상촬영부(110)의 조사카메라(30) 각각으로부터 촬영된 복합 영상신호를 복합 영상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화면 분할 및 합성부(130)는 인가된 신호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거나 합성한다.
여기서 선택모드를 구비하여 화면의 분할 수나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부(140)와 디스플레이부(150)는 인가된 각각의 영상을 저장하여 보관함과 동시에 모니터에 분할된 화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위치조절부(160)는 자주차(10)의 본체(11)에 작동레버(21)의 일측단을 결합하고 타측단을 영상촬영부(110)를 결합하여 영상촬영부(110)를 본체(11)에 탑재시킨다.
상기 구동부(170)는 자주차(10)의 본체(11)에 결합된 구동휠(12)과 위치조절부(160)의 작동레버(21)를 동작시킨다.
상기 제어부(180)는 구동휠(12)의 전 후진과 회전속도를 컨트롤함과 동시에 작동레버(21)의 상하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사하고자 하는 관로(1)의 입구에 자주차(10)를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80)에 의해 작동레버(21)가 동작하여 영상촬영부(110)를 관로(1)의 정중앙에 위치시킨다.(S11)
이때 영상촬영부(110)의 조사카메라(30)들도 작동하여 촬영하여 시작함과 동시에 이를 모니터에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12)
여기서 영상촬영부(110)의 위치설정 및 분할 영상에 이상이 있으면 제어부(180)를 통해 영상촬영부(110)의 위치를 재설정하고, 정상이면 자주차(10)를 구동시켜 관로(1)속으로 전진시키다.(S13,S14)
이때 영상촬영부(110)는 관로(1) 내부를 동영상으로 촬영하게 된다.
이렇게 전송되는 영상을 지속적으로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면서 디스플레이부(150)에서 모니터링 한다.(S15)
즉, 영상촬영부(110)에서 관로(1) 내부의 상면, 저면, 좌면, 우면 및 전면에 촬영하여 아날로그 복합 영상신호가 디지털변환부(120)에 인가되어 디지털 복합 영상데이터로 변환하게 된다.
변환된 디지털 복합 영상데이터는 화면 분할 및 합성부(130)에 인가되어 선택모드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거나 합성하게 된다.
이렇게 분할된 디지털 복합 영상데이터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되고 선택된 수로 분할 또는 합성된 디지털 복합 영상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50)에 모니터링 된다.
한편 자주차(10)가 관로(1)를 관통하였거나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촬영이 완료되면 작업을 종료한다.((S16)
특히 본 발명은 동시에 관로(1) 내부의 상면, 저면, 좌면, 우면 및 전면을 촬영하여 이를 디지털 복합 영상데이터로 저장하거나 모니터링 하므로 약간의 이상 유무를 정확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합성하거나 각각의 촬영된 영상을 선택하여 확대하여 관찰하므로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면, 하면, 좌면, 우면 및 전면을 조사하여 촬영하는 각각의 조사카메라(30)가 설치된 영상촬영부(110)와; 상기 영상촬영부(110)의 상하 위치를 컨트롤하는 위치조절부(160)와; 상기 영상촬영부(110)를 탑재하여 관로 상에서 주행하는 구동부 (170)와; 상기 위치조절부(160)와 구동부(17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180)와; 상기 영상촬영부(110)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변환부(120)와; 상기 디지털변환부(120)에서 인가된 신호를 각각 분할하거나 합성하는 화면 분할 및 합성부(130)와; 상기 화면 분할 및 합성부(130)에서 전송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40), 및 상기 화면 분할 및 합성부(140)에서 전송된 영상을 모니터에 주사하여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50)로 구성하므로; 매설된 관로의 내부를 상면, 하면, 좌면, 우면 및 전면을 동시에 촬영하고 촬영된 각각의 영상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관찰 할 수 있도록 할 뿐 만 아니라 주행 상태에서 관로를 촬영하되 조사각의 한계로 인한 불안정조사를 제거하여 관로조사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이로 인하여 정확하게 관로를 촬영하여 관로조사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면, 하면, 좌면, 우면 및 전면을 조사하여 촬영하는 각각의 조사카메라(30)가 설치된 영상촬영부(110);
    상기 영상촬영부(110)의 상하 위치를 컨트롤하는 위치조절부(160);
    상기 영상촬영부(110)를 탑재하여 관로 상에서 주행하는 구동부(170);
    상기 위치조절부(160)와 구동부(17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180);
    상기 영상촬영부(110)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변환부(120);
    상기 화면 분할 및 합성부(130)에서 전송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40), 및
    상기 화면 분할 및 합성부(140)에서 전송된 영상을 모니터에 주사하여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50)가 구비된 관로조사용 자주차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110)의 조사카메라(30) 렌즈에 열선소자를 도포하여 습기발생으로 인한 영상의 선명도 저하를 방지하고,
    상기 디지털변환부(120)에서 인가된 신호를 화면 분할 및 합성부(130)에서 각각 분할하거나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050051875A 2005-06-16 2005-06-16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670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875A KR100670825B1 (ko) 2005-06-16 2005-06-16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875A KR100670825B1 (ko) 2005-06-16 2005-06-16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353U Division KR200394248Y1 (ko) 2005-06-16 2005-06-16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434A KR20060131434A (ko) 2006-12-20
KR100670825B1 true KR100670825B1 (ko) 2007-01-19

Family

ID=3781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875A KR100670825B1 (ko) 2005-06-16 2005-06-16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8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434A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4013B2 (ja) 運転支援装置
US85530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of vehicle surroundings
JP2007108159A (ja) 運転支援装置
JP5302766B2 (ja) 監視画像表示装置
US20070103544A1 (en) Panorama image creation device and panorama image imaging device
JPWO2008044589A1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JP2010166196A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2005110202A (ja) カメラ装置及び車両周辺監視装置
CN103649807B (zh) 成像设备
JP201606632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01778744B1 (ko)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JP2008301034A (ja) 魚眼レンズカメラ装置
KR20110114098A (ko) 파노라마 카메라 및 팬틸트줌 카메라 일체형 감시용 카메라 장치와 이를 채용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EP19607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ucting remote video inspection from above
KR101569488B1 (ko) 내시경 로봇
KR100670825B1 (ko)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05333565A (ja) 監視装置
JP4535974B2 (ja) 天地補正機能を有する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画像処理装置を搭載する管路点検システム及び管路画像の処理方法。
KR200394248Y1 (ko)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다방향 디스플레이 시스템
JPH09322055A (ja) 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5758342B2 (ja) 建設機械の点検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点検方法
JP2007008325A (ja) 設置状態判断装置及び方法
KR20150123094A (ko) 어라운드 뷰 시스템의 동작방법
JP2009227076A (ja) 作業車両
KR101861523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