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180B1 -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180B1
KR100670180B1 KR1020050041082A KR20050041082A KR100670180B1 KR 100670180 B1 KR100670180 B1 KR 100670180B1 KR 1020050041082 A KR1020050041082 A KR 1020050041082A KR 20050041082 A KR20050041082 A KR 20050041082A KR 100670180 B1 KR100670180 B1 KR 100670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s
image data
switch
in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752A (ko
Inventor
조문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18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04N19/122Selection of transform size, e.g. 8x8 or 2x4x8 DCT; Selection of sub-band transforms of varying structure or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47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according to rate distortion criter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4Use of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for display data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 개의 비트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표시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N 비트 내지 N-M 비트중 어느 하나의 비트 크기를 가진 영상 데이터의 출력 비트수를 스위치로 미리 선택받는다. 그리고 나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N 비트 내지 N-M 비트중 어느 하나의 비트 크기를 가진 영상 데이터를 영상처리하여 출력하고, 상기 영상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스위치로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가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N비트의 입력중 상기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범위만을 출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입력 영상 데이터의 비트수에 상관없이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새로운 보드를 제작할 필요가 없다.
PDP, 로직 보드, 영상 보드, 인코더, 디코더

Description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Plasma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영상 보드와 로직 보드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디스플레이중에 플라즈마 표시 패널은 각 화소 안에서 방전을 일으키고 방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이 화소 내벽에 도포되어 있는 형광물질을 여기시켜 원하는 색을 구현하게 된다.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서는 영상 신호를 영상 보드에서 입력받아 영상처리하고, 이를 로직 보드로 보내고, 로직 보드에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 표시를 하게 된다.
외부의 영상 입력 신호가 레드, 그린 블루 각각 8비트(bit), 10 비트또는 12비트 등으로 입력될 때, 영상보드는 입력되는 비트수에 해당하는 영상처리 집적회로를 미리 설치하여 해당 비트수를 처리하여 인코딩하여 출력하고, 로직 보드에서 는 영상 보드의 해당 비트수에 대응되는 비트수를 가진 디코더를 이용하여 디코딩을 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8비트 또는 10비트또는 12비트의 트랜스미터와 수신기를 사용하여 세가지 종류중 하나의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입력신호 유형에 따라 미리 영상 보드 및 로직보드가 제작되므로 호환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영상신호의 비트수가 달라지면 새로 보드를 제작해야만 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비트수에 따라 간단히 스위치를 조작하여 다양한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N 개의 비트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표시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로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신호처리하고, 인코딩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N 개의 전체비트 범위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정 비트만을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각 구동신호를 생 성하여 출력하는 로직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다수의 어드레스 전극과, 다수의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상기 로직 보드의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구동부;
상기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주사전극에 인가하는 주사전극 구동부 및
상기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유지전극에 인가하는 유지전극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은,
N 개의 비트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표시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N비트 내지 N-M비트중 어느 하나의 비트 크기를 가진 영상 데이터의 출력 비트수를 스위치로 선택받는 단계;
외부에서 입력되는 N비트 내지 N-M비트중 어느 하나의 비트 크기를 가진 영상 데이터를 영상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영상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스위치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가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N비트의 입력중 상기 스위 치에 의해 선택된 범위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100), 로직 제어부(200), 어드레스 전극 구동부(300), 주사 전극 구동부(이하 'Y 전극 구동부'라 함)(400), 유지 전극 구동부(이하 'X 전극 구동부'라 함)(500), 영상 처리부(600), 스위치부(700)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600)는 영상처리 IC(610)와 LVDS 인코더(620)를 포함한다. 영상처리 IC(61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8비트, 10비트 또는 12비트의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영상처리하고, LVDS 인코더(620)는 영상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스위치부(700)는 제1 스위치(710), 제2 스위치(720), 제3 스위치(730)을 포함한다. 제1 스위치(710)는 사용자에 의해 온되면, 상위 8비트의 영상 데이터를 로직 제어부(200)로 출력하고, 제2 스위치(720)는 사용자에 의해 온되면, 상위 9 및 10번째 비트의 영상 데이터를 로직 제어부(200)로 출력하고, 제3 스위치(730)는 사용자에 의해 온되면, 상위 11 및 12번째 비트의 영상 데이터를 로직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미리 스위치부(700)를 조작하여 선택을 하면 된다.
로직 제어부(200)는, 로직신호 처리 집적회로(210), LVDS 디코더(220)를 포함한다. LVDS 디코더(220)는 스위치부(700)로부터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로직신호 처리 집적회로(210)는 상기 LVDS 디코더(220)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X전극 구동신호, Y전극 구동신호 및 어드레스 전극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플라즈마 표시 패널(100)은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A1-Am), 그리고 행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유지 전극(이하 'X 전극'이라 함)(X1-Xn) 및 주사 전극(이하 'Y 전극'이라 함)(Y1-Yn)을 포함한다. X 전극(X1-Xn)은 각 Y 전극(Y1-Yn)에 대응해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그 일단이 서로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플라즈마 표시 패널(100)은 X 및 Y 전극(X1-Xn, Y1-Yn)이 배열된 유리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어드레스 전극(A1-Am)이 배열된 유리 기판(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진다. 두 유리 기판은 Y 전극(Y1-Yn)과 어드레스 전극(A1-Am) 및 X 전극(X1-Xn)과 어드레스 전극(A1-Am)이 각각 직교하도록 방전 공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때, 어드레스 전극(A1-Am)과 X 및 Y 전극(X1-Xn, Y1-Yn)의 교차부에 있는 방전 공간이 방전 셀을 형성한다. 어드레스 전극 구동부(300)는 로직 제어부(200)로부터 어드레스 전극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방전 셀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 신호를 각 어드레스 전극(A1-Am)에 인가한다. X 전극 구동부(500)는 로직 제어부(200)로부터 X 전극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X 전극(X1-Xn)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Y 전극 구동부(400)는 로직 제어부(200)로부터 Y 전극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Y 전극(Y1-Yn)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600)는 영상 보드 형태로 구현되며, 로직 제어부(200)는 로직 보드 형태로 구현되고, 어드레스 전극 구동부(300), 주사 전극 구동부(400) 및 유지 전극 구동부(500)는 구동 보드의 형태로 구현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의 보드를 하나의 보드로 합치거나 또는 두 개의 보드로 합치는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또는 제작자는 스위치부(70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사용할 영상 데이터의 비트수에 맞도록 선택을 한다. 8비트의 영상 데이터의 경우에는 제1 스위치(710)만 온시키고, 10비트의 영상 데이터의 경우에는 제1 스위치(710) 및 제2 스위치(720)를 온시키며, 12비트의 영상 데이터의 경우에는 제1 스위치(710), 제2 스위치(720) 및 제3 스위치(730)를 모두 온시킨다.
8비트를 처리하는 경우, 즉, 제1 스위치(710)가 온된 경우에, 영상 데이터가 외부에서 입력되면, 영상신호 처리 집적회로(61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8 비트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출력하고, LVDS 인코더(620)는 8비트의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LVDS 인코더(620)는 각각 12비트까지 처리가 가능하며, 8비트 단위로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므로 8비트 단위로 인코딩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LVDS 인터페이스 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면, 제1 스위치(710)는 LVDS 인코더(620)에서 출력되는 8비트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LVDS 디코더(220)로 출력한다.
다음, LVDS 디코더(220)는 상위 8 비트 범위의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로직신호 처리 집적회로(210)는 상기 LVDS 디코더(22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X전극 구동신호, Y전극 구동신호 및 어드레스 전극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어드레스 전극 구동부(300)는 어드레스 전극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방전 셀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 신호를 각 어드레스 전극(A1-Am)에 인가한다. 그리고, X 전극 구동부(500)는 X 전극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X 전극(X1-Xn)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Y 전극 구동부(400)는 Y 전극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Y 전극(Y1-Yn)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플라즈마 표시 패널(100)에는 데이터가 표시된다.
한편, 10비트 또는 12비트 영상 데이터의 경우에도 스위치부(200)를 조절하는 것만 다르며, 나머지 동작은 같다.
예를 들어 10비트의 영상 데이터의 경우에는 제1 스위치(710)를 통해 상위 8비트의 영상 데이터를 로직 제어부(200)로 출력하고, 제2 스위치(720)를 통해 상위 9 및 10번째 비트의 영상 데이터를 로직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그리고, 12비트의 영상 데이터의 경우, 제1 스위치(710)를 통해 상위 8비트의 영상 데이터를 로직 제어부(200)로 출력하고, 제2 스위치(720)를 통해 상위 9 및 10번째 비트의 영상 데이터를 로직 제어부(200)로 출력하고, 제3 스위치(730)를 통해 상위 11 및 12번째 비트의 영상 데이터를 로직 제어부(200)로 출력하여 총 12비트의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며, 나머지 동작은 상기 과정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상기 과정에서, 영상 데이터를 각 스위치에 각각 할당하여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의 비트수가 16비트가 추가된다면, 4비트의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는 스위치 하나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미리 스위치에 의해 간단히 선택하여 처리함으로써 보드를 새로 제작할 필요가 없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N 개의 비트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표시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로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신호처리하고, 인코딩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N 개의 전체비트 범위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정 비트만을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각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로직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N 개의 전체비트 범위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위 N-4개의 비트를 출력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N 개의 전체비트 범위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위 N-3번째, N-2번째의 비트를 출력하는 제2 스위치;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N 개의 전체비트 범위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위 N-1번째, N번째의 비트를 출력하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N 비트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 집적회로;
    N 비트 범위의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스위치부로 출력하는 LVDS 인코더를 포함하는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LVDS 디코더;
    상기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로직신호 처리 집적회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어드레스 전극과, 다수의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상기 로직 보드의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구동부;
    상기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주사전극에 인가하는 주사전극 구동부 및
    상기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유지전극에 인가하는 유지전극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6. N 개의 비트 단위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표시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N비트 내지 N-M비트중 어느 하나의 비트 크기를 가진 영상 데이터의 출력 비트수를 스위치로 선택받는 단계;
    외부에서 입력되는 N비트 내지 N-M비트중 어느 하나의 비트 크기를 가진 영상 데이터를 영상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영상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스위치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가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N비트의 입력중 상기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범위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N은 12이고 M은 4이며, 상기 스위치는 전체 12비트의 범위중 8비트, 10 비트 또는 12비트의 범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50041082A 2005-05-17 2005-05-17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670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082A KR100670180B1 (ko) 2005-05-17 2005-05-17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082A KR100670180B1 (ko) 2005-05-17 2005-05-17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752A KR20060118752A (ko) 2006-11-24
KR100670180B1 true KR100670180B1 (ko) 2007-01-16

Family

ID=3770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082A KR100670180B1 (ko) 2005-05-17 2005-05-17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1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745A (ko) * 2002-06-26 2004-01-07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구동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데이터수신 장치
KR20050041715A (ko) * 2003-10-31 2005-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745A (ko) * 2002-06-26 2004-01-07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구동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데이터수신 장치
KR20050041715A (ko) * 2003-10-31 2005-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02745
10200500417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752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326856A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デジタルビデオ信号処理装置
TWI417823B (zh) 顯示器驅動電路及其驅動方法
JP2007041591A (ja) 表示装置
US20080158269A1 (en) Dithering method and related dithering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lcd)
JP4195429B2 (ja) シリアルプロトコル式パネル表示システム、ソースドライバ、及びゲートドライバ
CN101604501A (zh) 栅极驱动器及显示面板
US10013944B2 (en) Display device and source driver for bit conversion of image data
TWI479474B (zh) 顯示裝置及其資料驅動電路、顯示面板的驅動方法與顯示系統
KR100670180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612339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인터페이스 방법
US20050134538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50156865A1 (en) Flat panel display driver for location recognition
JP2006284737A (ja) 電極駆動回路
KR102503786B1 (ko) 서브프레임에 기반한 디지털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EP2192569A1 (en) Plasma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509878B1 (ko) 시간분할 구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100570780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잔상 방지 방법
US8054246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data driver having data arranging unit
KR100560525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8125502B2 (en) Method for driving a pixel by generating an over-drive grey level and driver thereof
KR100627392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KR100599730B1 (ko) 표시 장치와 그 구동방법
JP2005106888A (ja) 誤差拡散装置、誤差拡散方法および表示装置
KR100612346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30081220A (ko)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의 휘도를 조절하는 구동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