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985B1 -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for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for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985B1
KR100667985B1 KR1020050073975A KR20050073975A KR100667985B1 KR 100667985 B1 KR100667985 B1 KR 100667985B1 KR 1020050073975 A KR1020050073975 A KR 1020050073975A KR 20050073975 A KR20050073975 A KR 20050073975A KR 100667985 B1 KR100667985 B1 KR 100667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ler
front panel
hole
senso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9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덕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9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9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27Remotely controll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A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of an electronic instrument is provided to allow size of a receiving hole to relatively get smaller while size of the signal receiver exposed to a front side of a front panel is minimized, therefore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front panel is more beautifully designed. A receiving hole(22) is formed by piercing through a front panel(20) which constitutes an external appearance of a front side. A sensor(24) is disposed on a rear side of the front panel(20), which corresponds to the receiving hole(22), and receives a signal of a remote controller. A reflective sheet(28) is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hole(22), and reflects light e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to the sensor(24) to deliver the reflected light.

Description

전자제품의 리모트 콘트롤러 신호수신부{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for electronic device}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for electronics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제품의 구성을 보인 정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electronic produc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러 신호수신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리모트콘트롤러 신호수신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ing unit of the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프론트패널 22: 수신통공20: Front panel 22: Reception through

24: 센서 26: 가이드리브24: sensor 26: guide rib

28: 반사시트 120: 프론트패널28: reflective sheet 120: front panel

122: 수신통공 124: 센서122: reception via 124: sensor

126: 결합돌기 128: 반사체126: engaging projection 128: reflector

129: 결합플랜지129: coupling flange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받아 전자제품이 동작되도록 하는 전자제품의 리모트 콘트롤러 신호수신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produ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ing unit of an electronic product to receive a signal provided from a remote controller to operate the electronic product.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제품으로 디스크를 구동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와 비디오테이프를 구동하는 자기기록재생기가 함께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electronic product is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a disc drive for driving a disc and a magnetic recorder for driving a video tape.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자제품의 전면 구성이 정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전자제품의 외관을 캐비넷(2)과 메인샤시(도시되지 않음)가 구성한다. 상기 캐비넷(2)의 선단에는 전자제품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판넬(4)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판넬(4)에는 전자제품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6)와 전자제품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8)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8)에는 다양한 버튼이 구비된다.1 illustrates a front configuration of a general electronic product in a front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is, the cabinet 2 and the main chassis (not shown) constitute the appearance of electronic products. At the front end of the cabinet 2 is provided a front panel 4 that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product. The front panel 4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6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product and an operation unit 8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product. The operation unit 8 is provided with various buttons.

상기 프론트판넬(4)의 일측에는 전자제품의 내부에 구비된 디스크 드라이브(도시되지 않음)로 디스크가 출입되는 디스크입출구를 개폐하는 디스크도어(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판넬(4)의 타측에는 전자제품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기기록재생기(도시되지 않음)로 카세트가 입출되는 카세트입출구(도시되지 않음)를 개폐하는 카세트도어(12)가 구비된다.One side of the front panel 4 is provided with a disk door 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k entrance and exit through the disk drive (not shown)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electronic product. The other side of the front panel 4 is provided with a cassette door 12 for opening and closing a cassette inlet and outlet (not shown) through which a cassette is input and output by a magnetic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electronic product.

한편, 전자제품을 리모트콘트롤러로 조작하기 위해 상기 프론트판넬(4)의 일 측에는 신호수신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신호수신부(14)의 구성을 도 2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프론트판넬(4)에는 수신통공(16)이 형성된다. 상기 수신통공(16)은 상기 프론트판넬(4)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수신통공(16)의 입구에는 별도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차폐창(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신통공(16)에 해당되는 상기 프론트판넬(4)의 후방에는 센서(17)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17)는 일반적으로 기판상에 설치되는데, 리모트콘트롤러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gnal receiving unit 1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panel 4 to operate the electronic product with a remote controller. The configuration of the signal receiver 1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he reception panel 16 is formed in the front panel 4. The receiving through hole 16 is formed through the front panel 4. It is preferable that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shielding window (not shown) is separately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receiving hole 16. The sensor 17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4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hole 16. The sensor 17 is generally installed on a substrate,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ler.

상기 수신통공(16)에는 상기 프론트판넬(4)의 배면으로 돌출되게 가이드리브(18)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8)는 상기 센서(17)와 프론트판넬(4)의 사이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Guide ribs 18 are formed in the receiving hole 16 to protrude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4. The guide rib 18 serves to prevent the inside from being visible between the sensor 17 and the front panel 4.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상기 수신통공(16)을 통해 리모트콘트롤러에서 나온 광이 상기 센서(17)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리모트콘트롤러가 특정한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즉, 도 2에 표시된, A영역을 포함하는 수신영역 밖에서는 리모트콘트롤러의 신호 수신이 불가능하다. 상기 수신영역을 상대적으로 넓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신통공(16)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야 한다.That is, in order for light from the remote controller to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17 through the receiving hole 16, the remote controller must be within a specific range. That is, the signal recep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is impossible outside the reception area including the area A shown in FIG. 2. In order to relatively widen the reception area, the size of the reception through hole 16 should be relatively large.

하지만, 상기 수신통공(16)을 크게 하면, 상기 프론트판넬(4)의 외관이 나빠지고, 특히 프론트판넬(4)의 디자인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when the receiving through hole 16 is enlarged, the appearance of the front panel 4 is deteriorated, and in particular, the design of the front panel 4 is deteriora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제품에서 리모트콘트롤러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minimize the size of a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of a remote controller in an electronic produ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모트콘트롤러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의 수신영역을 상대적으로 넓게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latively widen the receiving area of the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외관을 구성하는 프론트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수신통공과, 상기 수신통공에 대응되는 프론트패널의 배면에 위치되어 리모트콘트롤러의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와, 상기 수신통공의 내부에 구비되어 리모트콘트롤러에서 나온 광을 상기 센서로 반사하여 전달하는 것으로, 그 전면과 배면을 광이 투과하고 측면 내부에서는 반사되도록 구성된 반사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mote control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ception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front panel constituting the front appearance, the front panel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through hole It includes a sensor for receiving a signal, and a reflection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hole to reflect the light from the remote controller to the sensor, the reflector configured to transmit the light through the front and back and reflected inside the side It is compo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반사체는 상기 수신통공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횡단면을 가지는 것이다.The reflector has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a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through hole.

상기 반사체는 투명한 아크릴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체의 측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결합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패널의 배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기가 관통하여 결합된다.The reflector is formed of a transparent acrylic resin, a coupling flange is formed around the side edge of the reflector,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is coupled through.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리모트콘트롤러 신호수 신부에서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를 구성하는 수신통공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어 프론트패널의 외관디자인성이 좋아지고, 리모트콘트롤러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of the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size of the reception through hole constituting the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can be made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appearance design of the front panel is improved, and the remote controller is improv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rea that can receive the signal of the relatively wide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리모트콘트롤러 신호수신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of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리모트콘트롤러 신호수신부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of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르면, 전자제품의 전면 외관을 구성하는 프론트패널(20)의 일측에는 수신통공(22)이 천공된다. 상기 수신통공(22)은 리모트콘트롤러에서 보내진 신호를 전자제품의 내부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상기 수신통공(22)의 입구에는 수신통공(22)으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차폐창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is, the receiving through-hole 22 is dri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panel 20 constituting the front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product. The reception through 22 is a part for transmitting a signal sent from the remote controller to the inside of the electronic product. At the inlet of the receiving hole 22, it is preferable that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shielding window is provide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receiving hole 22.

상기 수신통공(22)에 대응되는 프론트패널(20)의 후방에는 센서(24)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24)는 리모트콘트롤러에서 제공되는 신호인 광(적외선)을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24)는 일반적으로 기판상에 실장된다.The sensor 24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20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through hole 22. The sensor 24 detects light (infrared rays), which is a signal provided from a remote controller. The sensor 24 is generally mounted on a substrate.

상기 수신통공(22)과 상기 센서(24)의 사이에는 가이드리브(26)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6)는 원통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리브(26)는 그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리브(26)는 리모트콘트롤러에서 나온 광을 상기 센서(24)로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수신통공(22)을 통해 전자제품의 내부인 프론트패널(20)의 후방이 보이지 않도 록 하는 것이다.A guide rib 26 is provided between the receiving hole 22 and the sensor 24. The guide rib 26 is preferably cylindrical. The guide rib 26 preferably has the same inner diameter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The guide rib 26 guides the light from the remote controller to the sensor 24 and at the same time, the rear of the front panel 20, which is the inside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not visible through the receiving hole 22.

한편, 상기 가이드리브(26)의 내면에는 반사부재의 하나인 반사시트(28)가 구비된다. 상기 반사시트(28)는 광을 반사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리브(26)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rib 26 is provided with a reflective sheet 28 which is one of the reflective members. The reflective sheet 28 has a function of reflecting light and is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guide rib 26.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전자제품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120)의 일측에는 수신통공(12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수신통공(122)을 통해서는 리모트콘트롤러에서 나온 광이 프론트패널(120)을 통과해 전자제품의 내부로 들어간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On one side of the front panel 120 forming the front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product, the receiving through hole 122 is perforated. The light from the remote controller passes through the front panel 120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electronic product through the reception through hole 122.

상기 수신통공(122)에 해당되는 상기 프론트패널(120)의 후방에는 센서(124)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124)는 리모트콘트롤러에서 나온 광을 감지하는 것이다.A sensor 124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120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through hole 122. The sensor 124 detects light e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수신통공(12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프론트패널(120)의 배면에는 결합돌기(1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126)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수신통공(122)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다.Coupling protrusions 126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20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receiving through hole 122. At least two coupling protrusions 126 are formed surrounding the edge of the receiving through hole 122.

상기 수신통공(122)의 내부에는 반사부재인 반사체(128)가 설치된다. 상기 반사체(128)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그 내부로 들어온 광을 상기 센서(124)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상기 반사체(128)는 투명한 아크릴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반사체(128)는 그 전면과 배면을 통해서는 광이 투과되고, 그 측면을 통해서는 광이 외부로 투과되지 않도록 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반사체(128)로 들어온 광은 상기 센서(124)로 모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반사체(128)는 상기 수신통공(122)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원기둥형상으로 된다.The reflector 128, which is a reflecting member, is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through hole 122. The reflector 128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a portion that transmits light entering the inside to the sensor 124. The reflector 128 is formed of a transparent acrylic resin.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reflector 128, and the light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side surface thereof. By doing so, all the light entering the reflector 128 may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124. The reflector 128 is formed to have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through hole 122, and preferably has a cylindrical shape.

상기 반사체(128)의 측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결합플랜지(129)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플랜지(129)에는 상기 결합돌기(126)가 관통하는 통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플랜지(129)에 상기 결합돌기(126)가 관통한 상태에서 결합돌기(126)의 선단을 융착하면, 결합플랜지(129)와 결합돌기(126)의 결합이 이루어져 상기 반사체(128)가 상기 프론트패널(120)에 고정된다.A coupling flange 129 is formed surrounding the side edge of the reflector 128. The coupling flange 129 has a through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26 penetrates. When the tip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6 is fused in the state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126 penetrates the coupling flange 129, the coupling flange 129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6 are combined to form the reflector 128. It is fixed to the front panel 12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리모트콘트롤러 신호수신부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ing unit of the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해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전자제품의 조작을 위해 리모트콘트롤러를 사용하는 경우, 리모트콘트롤러에서 광이 조사된다. 상기 광은 상기 프론트패널(20)의 수신통공(22)을 통해 상기 센서(24)로 전달된다.Firs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When a remote controller is used to operate electronics, light is e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e light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24 through the reception hole 22 of the front panel 20.

이때, 상기 리모트콘트롤러가 상기 수신통공(22)에 대해 정면으로 마주보는 전방에 있으면, 점선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광이 상기 수신통공(22)을 통해 상기 센서(24)로 전달된다.At this time, if the remote controller is in front of the front facing the receiving through 22, light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24 through the receiving through 22,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A.

그리고, 상기 리모트콘트롤러가 상시 수신통공(22)에 대해 정면으로 마주보는 전방이 아닌 측방향에 있는 경우에는 그 위치된 각도에 따라 점선 B나 점선 C로 표시된 바와 같이 광이 전달된다. 즉, 상기 수신통공(22)의 반사시트(28)에 광이 입사되고, 반사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결국에는 상기 센서(24)로 전달된다. 물론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광이 이동하는 경로가 길어지면 상대적으로 감도가 떨어질 수도 있으나, 리모트콘트롤러가 전자제품에서 지나치게 멀리 떨어진 상태가 아니라 면 상관없다.In addition,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in the lateral direction instead of the front facing front with respect to the reception hole 22 at all times, light is transmitted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B or the dotted line C according to the positioned angle. That is, light is incident on the reflective sheet 28 of the receiving hole 22 and is repeatedly transmitted to the sensor 24 while repeating the reflected process. Of course, in this way, the longer the path of the light may be relatively less sensitive, but it does not matter if the remote controller is not too far away from the electronics.

이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신통공(22)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도, 상기 반사시트(28)가 다양한 각도로 들어오는 광을 반사시켜 센서(24)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리모트콘트롤러를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ize of the receiving hole 22 is relatively small, the reflective sheet 28 may reflect the light coming from various angles and send it to the sensor 24. Therefore, the area where the remote controller can be used becomes relatively wider.

한편,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모트콘트롤러에서 나온 광이 상기 반사체(128)에 입사되면 그 내부에서 반사를 반복하면서 상기 센서(124)로 전달된다.Meanwhile, FIG. 6 shows tha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operate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is incident on the reflector 128, the light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124 while repeating the reflection therein.

여기서도, 리모트콘트롤러의 위치에 따라 광이 전달되는 경로를 점선 A, B, C로 표시하였다. 즉, 점선 A는 리모트콘트롤러가 수신통공(122)의 바로 전방에 있는 경우이고, 점선 B와 점선 C는 수신통공(122)의 전방에서 측방으로 떨어진 영역에 리모트콘트롤러가 있는 경우이다.Here, the paths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A, B, and C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That is, the dotted line A is a case where the remote controller is just in front of the receiving through hole 122, and the dotted line B and the dotted line C is a case where the remote controller is located in a side away from the front of the receiving through hole 122.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리모트콘트롤러 신호수신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of the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리모트콘트롤러에서 나온 광이 프론트패널을 통과하는 수신통공의 내부에 반사부재를 두었으므로, 수신통공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아도 광의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반사부재가 다양한 각도에서 오는 광을 센서로 반사하여 전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신통공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면서, 프론트패널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신호수신부의 크기가 최소화되어 프론트패널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디자인할 수 있고, 프론트패널 전면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from the remote controller has a reflecting member inside the receiving hole passing through the front panel,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light even if 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hole is relatively small. This is because the reflective member reflects and transmits light from various angles to the senso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ize of the reception through is relatively small, the size of the signal receiver exposed to the front of the front panel is minimized,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front panel can be more beautifully designed, and the front panel front space can be more effectively utilized. There is an effect that becomes possibl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수신통공으로 들어온 광을 반사부재를 사용하여 센서로 전달한다. 따라서, 수신통공의 전방 정면 외에 측방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광이 전달되어 오더라도 센서로 정확하게 보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보다 넓은 영역에서 리모트콘트롤러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ntering the reception through the transmission using the reflective member to the sensor. Therefore, even if light is transmitted from a position away from the side in addition to the front front of the receiving through, it can be sent accurately to the sensor.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remote controller can be used in a wider area,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면외관을 구성하는 프론트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수신통공과,A reception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front panel constituting the front exterior; 상기 수신통공에 대응되는 프론트패널의 배면에 위치되어 리모트콘트롤러의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와,A sensor positioned at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through hole and receiving a signal of a remote controller; 상기 수신통공의 내부에 구비되어 리모트콘트롤러에서 나온 광을 상기 센서로 반사하여 전달하는 것으로, 그 전면과 배면을 광이 투과하고 측면 내부에서는 반사되도록 구성된 반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리모트콘트롤러 신호수신부.It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to reflect the light transmitted to the sensor, the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and back and a reflector configured to be reflected inside the side of the electronic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상기 수신통공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횡단면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리모트콘트롤러 신호수신부.[5]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of claim 4, wherein the reflector has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a cross section of the reception through hole.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투명한 아크릴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체의 측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결합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패널의 배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기가 관통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리모트콘트롤러 신호수신부.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reflector is formed of a transparent acrylic resin, the coupling flange is formed around the side edge of the reflector,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from the back of the front panel is coupled through A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of an electronic product.
KR1020050073975A 2005-08-11 2005-08-11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for electronic device KR1006679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975A KR100667985B1 (en) 2005-08-11 2005-08-11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for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975A KR100667985B1 (en) 2005-08-11 2005-08-11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for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985B1 true KR100667985B1 (en) 2007-01-16

Family

ID=3801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975A KR100667985B1 (en) 2005-08-11 2005-08-11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for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985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6584B2 (en) Relay device and speaker device
KR100667985B1 (en)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for electronic device
JPH1145155A (en) Touch switch device
WO2019092824A1 (en) Light guide body, light guide body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2040969A (en) Luminous display device
JP2001148666A (en) Electronic equipment
JP2006253737A (en) Electronic device with infrared receiving sensor
KR100693343B1 (en) A cyber eletronic-board
US6661478B1 (en) Control apparatus
JP2017161691A (en) Display device and assembly method for the same
US5317354A (en) Remote control for a camera having an optical fiber
JPH11340644A (en) Electronic equipment for vehicle mount
JPH10303722A (en) Photosensing touch panel device
JP2005073132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US5743613A (en) Video projector with interior illuminating mechanism
KR200326801Y1 (en) Structure for receiving signal from remote controller of electronic machine
JP3106189U (en) Structure of remote control receiver
EP1164366A2 (en) Lightpipe for infrared reception by electronic devices
KR0113959Y1 (en) Optical signal sensing structure of a tape recorder
JP4931998B2 (en) Infrared signal transmitter
KR100639664B1 (en) Structure of light receiving part for remote controller
JP668612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KR960016615A (en) Electronic device
JP2007020034A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JP2007220802A (en) Switch attachment device in electromagnetic wave shield 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