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974B1 - 구리 폐수의 재생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구리 폐수의 재생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974B1
KR100667974B1 KR1020050042253A KR20050042253A KR100667974B1 KR 100667974 B1 KR100667974 B1 KR 100667974B1 KR 1020050042253 A KR1020050042253 A KR 1020050042253A KR 20050042253 A KR20050042253 A KR 20050042253A KR 100667974 B1 KR100667974 B1 KR 100667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exchange
wastewater
tank
exchange tank
was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337A (ko
Inventor
허길만
Original Assignee
태랑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랑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태랑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50042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97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를 포함하는 산업 폐수를 연속 재생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입되는 폐수를 pH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pH 조절부(13)와, pH 조절부(13)에서 유입되어 들어오눈 폐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와, 저장탱크의 유출 라인상에 연결 설치되는 필터(2)와, 상기한 필터(2)를 거쳐 나오는 폐수를 다시 걸러주는 마이크로필터(3)와, 상기한 마이크로필터(3)를 거쳐 나오는 폐수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투입되도록 하부에 폐수 유입구를 갖는 이온교환탱크(4)와, 상기한 이온교환탱크(4)와 연결 설치되는 제 2 이온교환탱크(5)와, 제 2 이온교환탱크(5)와 연결 설치되는 제 3 이온교환탱크(6)와, 상기한 이온교환탱크에서 용출된 황산구리를 저장하는 황산구리탱크(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이온교환탱크(4)를 재생처리 할 경우, 폐수는 제 2, 3 이온교환탱크(5, 6)로 폐수가 순차 유입되게 연결 구성하고, 제 2 이온교환탱크(5)가 재생처리 할 경우엔 폐수가 제 3 이온교환탱크(6)와 이온교환탱크(4)로 순차 유입되게 연결 구성하고, 제 3 이온교환탱크(6)가 재생처리될 경우엔 폐수가 이온교환탱크(4)와 제 2 이온교환탱크(5)로 순차 유입되게 연결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처리하는 방법은, 유입되는 폐수를 pH 조절하는 단계; pH 조절부(13)에서 유입되어 들어오눈 폐수를 저장탱크(1)에 저장하는 단계; 저장탱크(1) 에서 유츌되어 나오는 폐수를 필터를 거쳐 필터링 처리하는 단계; 필터된 폐수를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투입되도록 구성된 이온교환탱크에서 산에 의한 이온교환으로 구리를 용출하는 이온교환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이온교환단계는, 3 개의 이온교환탱크로 이루어지는 구조에서 2 개의 이온교환탱크가 연속적으로 가동되게 하며, 그 중 하나의 이온교환탱크가 재생처리 될 경우, 다른 2 개의 이온교환탱크로 폐수가 순차 유입되어 폐수처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이온교환탱크를 재생할 경우, 이온교환탱크에 10-15% 농도의 황산을 상부에서 하부로 투입하는 방법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리, 폐수, 재생

Description

구리 폐수의 재생처리 장치 및 그 방법{retrieve treatment apparatus of Cu waste water and its treatment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 구성도
본 발명은 구리 폐수의 재생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해 동박 제조 및 PCB 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린스 워터에 함유된 구리계 폐수는, 폐수 처리 계통의 일정한 과정을 거쳐 중금속 동은 슬러지화하여 폐기물로 처분하고 물은 정수하여 방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근래 원자재 값이 올라가고 구리의 소비가 많이 짐에 따라 산업 폐기물로 처리되는 구리를 재생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생산 라인으로 부터 발생하는 이러한 유용한 금속폐수는 그 특성을 분석하여 이온제거 또는 분리에 활용되는 수지나 멤브레인을 이용한 공정으로써 재활용하도록 하여 우선,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자원을 재이용하고, 폐수 및 폐기물의 양을 절대 감소 시켜 친환경친화적인 공장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와 그 방 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구리를 포함하는 산업 폐수를 연속 재생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입되는 폐수를 pH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pH 조절부(13)와, pH 조절부(13)에서 유입되어 들어오눈 폐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와, 저장탱크의 유출 라인상에 연결 설치되는 필터(2)와, 상기한 필터(2)를 거쳐 나오는 폐수를 다시 걸러주는 마이크로필터(3)와, 상기한 마이크로필터(3)를 거쳐 나오는 폐수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투입되도록 하부에 폐수 유입구를 가지며 내부에 약산성 킬레이트계의 수지를 포함하는 이온교환탱크(4)와, 상기한 이온교환탱크(4)와 연결 설치되는 제 2 이온교환탱크(5)와, 제 2 이온교환탱크(5)와 연결 설치되는 제 3 이온교환탱크(6)와, 상기한 이온교환탱크에서 용출된 황산구리를 저장하는 황산구리탱크(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이온교환탱크(4)를 재생처리 할 경우, 폐수는 제 2, 3 이온교환탱크(5, 6)로 폐수가 순차 유입되게 연결 구성하고, 제 2 이온교환탱크(5)가 재생처리 할 경우엔 폐수가 제 3 이온교환탱크(6)와 이온교환탱크(4)로 순차 유입되게 연결 구성하고, 제 3 이온교환탱크(6)가 재생처리될 경우엔 폐수가 이온교환탱크(4)와 제 2 이온교환탱크(5)로 순차 유입되게 연결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처리하는 방법은, 유입되는 폐수를 pH 조절하는 단계; pH 조절부(13)에서 유입되어 들어오눈 폐수를 저장탱크(1)에 저장하는 단계; 저장탱크(1) 에서 유츌되어 나오는 폐수를 필터를 거쳐 필터링 처리하는 단계; 필터된 폐수를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 로 투입되도록 구성된 이온교환탱크에서 산에 의한 이온교환으로 구리를 용출하는 이온교환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이온교환단계는, 3 개의 이온교환탱크로 이루어지는 구조에서 2 개의 이온교환탱크가 연속적으로 가동되게 하며, 그 중 하나의 이온교환탱크가 재생처리 될 경우, 다른 2 개의 이온교환탱크로 폐수가 순차 유입되어 폐수처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이온교환탱크를 재생할 경우, 이온교환탱크에 10-15% 농도의 황산을 상부에서 하부로 투입하는 방법으로 재생하며, 납이 포함되어 있는 폐수 경우 질산 12.6 % 농도의 것을 사용하여 간헐적으로 린스하며, 수지에 강하게 흡착된 크롬3가 이온이나 HCr03+ 를 추출하기 위하여는 15-20%의 염산을 사용하여 간헐적으로 린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 외의 다른 특징 및 구성에 대하여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 공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리 등의 용해물, 부유물 입자, 유기물 등을 포함하는 폐수, 예를들어, pH 2 정도의 폐수가 저장탱크(1)로 들어 오면 필터(2)로 보내어 진다. 그리고 마이크로필터(3)를 거쳐 이온교환탱크(4)로 들어 간다
이온교환탱크(4)에서 이온 교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구리원폐수의 pH를 중가시킬 필요가 있다. 보통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는 pH 1.5 이하로 예상되므로 용존음이온 총량을 제어하기 위하여는 이온교환탱크(4)에서 엄청난 양의 음이온 수지가 필요하므로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사전에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pH 조절 을 하여 주는 것이 좋다
예를들어, 도 1 에서 도금탱크(11)에서 도금한 제품을 린스탱크(12)에서 린스한 물은 pH조절부(13)에서 pH 조절된 후, 저장탱크(1)로 투입되어 그 후 필터(2) 등을 거치게 한다. 이온교환탱크는 바람직하게는 3 개 설치된다. 예들들어, 이온교환탱크(4) 외에 추가로 제 2,3 이온교환탱크(5,6)가 나란히 설치된다
투입되는 폐수에 녹아 있는 양이온으로는 Cu2+, Zn2+, Na2+ , Ca2+, Ni2+, Fe2+, Cr2+, As, Pb2+, K+, SiO2 등이 있으며 pH 3 이하의 산성을 띈다
이 폐수가 수소이온 형태 또는 나트륨 이온 형태의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이온교환탱크(4)를 거쳐서 이온교환을 행할때, 구리는 황산구리(CuSO4) 형태로 용출되어 이를 황산구리탱크(16)로 보내어 재생하며, 폐수는 수조(7)로 보내진다
한편, 이온교환탱크는 도면의 예와 같이, 3 개 설치되는데 이온교환탱크(4)를 거치면서 구리를 용출하여 낸 후 그 폐수는 다시 제 2,3 이온교환탱크(5, 6)로 순차 보내어져서 2,3 차 이온 교환에 의해 재차 황산구리 형태로 구리이온을 용출하여 낸다.
그리고 장기 사용에 의해 성능이 떨어진 제일 앞쪽의 이온교환탱크(4) 내에 잔류하는 구리이온 등의 금속 이온들과 잔존 유입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약10-15% 농도(순수를 사용하여 개략 pH 3.0 정도로 조절된)의 황산을 탱크의 상부에서 부터 투입하는 린스 공정을 거치게 하여 PH 조건이 초기 상태가 되게 복원(재생)한다. 린스한 유체는 저장탱크(1)로 되돌리거나 배출시켜 버린다
수지의 재생시, 필요에 따라 염산 7.3% 농도, 질산 12.6 % 농도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처리할 폐수가 칼슘을 포함할 경우엔 수산화칼슘이 석출되므로 황산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납이 포함되어 있으면 질산을 사용하여 린스시켜 질산염으로 납을 추출하여 낸다. 또한 수지에 강하게 흡착된 크롬3가 이온이나 HCr03+ 를 추출하기 위하여는 15-20%의 염산을 사용하여 린스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황산이 아닌 다른 산으로 간헐적으로 린스한다. 즉, 황산으로도 처리하기 어려운 물질들은 상기와 같이 다른 산을 사용하여 간혹 린스 한다
상기 린스 과정에서 이온교환탱크(4) 내에 유입되는 초기 및 거의 끝무렵의 처리수는 사실상 많은 세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깨끗한 상태이므로, 다시 원수로 되돌려 즉,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탱크(1)로 되돌려서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간 과정에서 처리된 다량의 황산구리를 포함하는 처리수만 구리 재생 과정으로 보내진다
이때 전체적인 장치의 시스템은 계속 운전되어야 하므로, 상기와 같이 이온교환탱크(4)가 재생 처리하고 있을 경우엔, 폐수가 제 2 이온교환탱크(5)로 유입되도록 흐름을 설정한다. 그러면 제 2 이온교환탱크(5)를 거치면서 1 차로 구리를 용출하여 내고, 그리고 제 3 이온교환탱크(6)에서 2 차로 구리를 걸러 낸다.
이와 같은 식으로 운전하다가 구리, 나트륨 이온 등을 포함하는 오염된 제 2 이온교환탱크(5)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엔, 폐수가 1차로 제일 먼저 제 3 이온교환 탱크(6)로 들어가게 설정하고 제 2 이온교환탱크(5)는 앞선 설명과 같은 재생 처리를 한다. 이때 이미 재생 처리가 끝나 대기중인 깨끗해진 이온교환탱크(4)는 제 3 이온교환탱크(6)를 거처 나오는 폐수를 2 차로 걸러 주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3 개의 이온교환탱크에 의해 2 개가 연속적으로 운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처리되어 나오는 폐수는 소정의 중화과정을 거쳐 황산 농도가 50ppm 이하의 농도가 되게 배출시키고, 다시 폐수처리장으로 보내어 정화 처리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의 구리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대량 재생하여 자원 활용할 수 있으며, 구리 폐수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부 처리수들이 재활용되므로, 일반적으로 금속 폐수를 처리하는 다른 폐수처리 시스템에 비해 폐수의 발생량이 적어, 본 발명의 장치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폐수처리 비용과 부하를 줄일 수 있다

Claims (7)

  1. 구리를 포함하는 산업 폐수를 연속 재생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유입되는 폐수를 pH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pH 조절부(13)와,
    pH 조절부(13)에서 유입되어 들어오는 폐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와
    저장탱크(1)의 유출 라인상에 연결 설치되는 필터(2)와,
    상기한 필터(2)를 거쳐 나오는 폐수를 다시 걸러주는 마이크로필터(3)와,
    상기한 마이크로필터(3)를 거쳐 나오는 폐수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투입되도록 하부에 폐수 유입구를 가지며, 내부엔 약산성 킬레이트계의 수지를 포함하는 이온교환탱크(4)와,
    상기한 이온교환탱크(4)와 연결 설치되는 제 2 이온교환탱크(5)와,
    제 2 이온교환탱크(5)와 연결 설치되는 제 3 이온교환탱크(6)와,
    상기한 이온교환탱크에서 용출된 황산구리를 저장하는 황산구리탱크(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폐수의 재생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온교환탱크(4)를 재생처리 할 경우, 폐수는 제 2, 3 이온교환탱크(5, 6)로 폐수가 순차 유입되게 연결 구성하고, 제 2 이온교환탱크(5)가 재생처리 할 경우엔 폐수가 제 3 이온교환탱크(6)와 이온교환탱크(4)로 순차 유입되게 연결 구성하고, 제 3 이온교환탱크(6)가 재생처리될 경우엔 폐수가 이온교환탱크(4)와 제 2 이온교환탱크(5)로 순차 유입되게 연결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폐수의 재생 처리장치
  3. 삭제
  4. 구리를 포함하는 산업 폐수를 연속 재생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입되는 폐수를 pH 조절하는 단계;
    pH 조절부(13)에서 유입되어 들어오눈 폐수를 저장탱크(1)에 저장하는 단계;
    저장탱크(1) 에서 유출되어 나오는 폐수를 필터를 거쳐 필터링 처리하는 단계;
    필터된 폐수를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투입되도록 구성된 이온교환탱크에서 산성 수지에 의한 이온교환으로 구리를 용출하는 이온교환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한 이온교환단계는, 3 개의 이온교환탱크로 이루어지는 구조에서 2 개의 이온교환탱크가 연속적으로 가동되게 하며, 그 중 하나의 이온교환탱크가 재생처리 될 경우, 다른 2 개의 이온교환탱크로 폐수가 순차 유입되어 폐수처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폐수의 재생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온교환탱크를 재생할 경우, 이온교환탱크에 10-15% 농도의 황산을 상부에서 하부로 투입하는 방법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폐수의 재생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온탱크를 재생시, 납이 포함되어 있는 폐수 경우 간헐적으로 질산 12.6% 농도의 것을 사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투입하는 방법으로 린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폐수의 재생처리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온 탱크를 재생시, 수지에 강하게 흡착된 크롬 3가 이온이나 HCr03+를 추출하기 위하여 간헐적으로 15~20%의 염산을 사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투입하는 방법으로 린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폐수의 재생처리방법
KR1020050042253A 2005-05-20 2005-05-20 구리 폐수의 재생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667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253A KR100667974B1 (ko) 2005-05-20 2005-05-20 구리 폐수의 재생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253A KR100667974B1 (ko) 2005-05-20 2005-05-20 구리 폐수의 재생처리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234U Division KR200393307Y1 (ko) 2005-05-20 2005-05-20 구리 폐수의 재생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337A KR20060119337A (ko) 2006-11-24
KR100667974B1 true KR100667974B1 (ko) 2007-01-11

Family

ID=3770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253A KR100667974B1 (ko) 2005-05-20 2005-05-20 구리 폐수의 재생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9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507B1 (ko) * 2010-04-28 2010-07-26 김웅 산성 폐수중의 고농도 구리 슬러지케익 제조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1649A (en) 1974-08-19 1976-04-20 University Engineers, Inc. Process for the recovery of copper
US5059403A (en) 1990-12-03 1991-10-22 Compeq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producing copper sulfate from waste copper-containing liquid
JP2535937B2 (ja) 1987-08-20 1996-09-18 栗田工業株式会社 シアン含有廃水の処理方法
US6203705B1 (en) 1999-10-22 2001-03-20 Koch Microelectronic Service Company, Inc. Process for treating waste water containing copp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1649A (en) 1974-08-19 1976-04-20 University Engineers, Inc. Process for the recovery of copper
JP2535937B2 (ja) 1987-08-20 1996-09-18 栗田工業株式会社 シアン含有廃水の処理方法
US5059403A (en) 1990-12-03 1991-10-22 Compeq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producing copper sulfate from waste copper-containing liquid
US6203705B1 (en) 1999-10-22 2001-03-20 Koch Microelectronic Service Company, Inc. Process for treating waste water containing co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337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35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EP08790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wastewater discharge
CN103693773A (zh) 一种含铬废水回用处理方法
KR100667974B1 (ko) 구리 폐수의 재생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512257B1 (ko) 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한 크롬 폐수 재이용 처리 장치
CN201770518U (zh) 用于酸性蚀刻液的离子交换树脂除砷处理系统
KR200393307Y1 (ko) 구리 폐수의 재생처리 장치
CN104418446B (zh) 低浓度含铅废水的处理方法和设备
KR200331349Y1 (ko) 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한 크롬 폐수 재이용 처리 장치
Jeon Review for physical and chemical process for heavy metal treatment
Complexers et al. COPPER DETECTABLE IN THE EFFLUENT AFTER PASSING THREE LITERS OF ELECTROLESS COPPER SOLUTION THROUGH 292 GRAMS OF COMPOUND 8118.
KR20170136764A (ko) 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한 크롬 폐수 재이용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