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023B1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023B1
KR100667023B1 KR1020050114172A KR20050114172A KR100667023B1 KR 100667023 B1 KR100667023 B1 KR 100667023B1 KR 1020050114172 A KR1020050114172 A KR 1020050114172A KR 20050114172 A KR20050114172 A KR 20050114172A KR 100667023 B1 KR100667023 B1 KR 100667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ines
lines
data
lin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14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3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상, 하부로 배치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투명 기판; 제1 영역의 투명 기판 상에 일 방향으로 배열된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 제2 영역의 투명 기판 상에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과 동일 선상에 배열된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과 교차되게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스캔라인; 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의 인접부에서, 제1 데이터 라인 말단이 사선구조를 띄고 있고, 제2 데이터 라인 말단이 이와 인접하는 제1 데이터 라인의 말단과 맞물리는 사선구조를 띄고 있다.
듀얼 스캔, 데이터 라인, 스캔라인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소자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스캔을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소자의 데이터 라인의 분할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보인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투명 기판 310 : 제1 데이터 라인
315 : 제2 데이터 라인 320 : 스캔라인
D,E,F : 분할 영역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 스 캔 방식을 수행시 데이터 라인의 말단부에 발생하는 띠 모양의 결함을 개선할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는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의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기판상의 양전극층(anode layer)과 음전극층(cathode layer) 사이에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박막층을 삽입하여 구성하며, 매우 얇은 두께의 매트릭스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는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박형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 소자와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화질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단순화하다는 점에서,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양전극 역할을 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110)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데이터 라인(110)이 형성된 기판(100) 상에는 발광 영역마다 개구부(120)를 갖는 절연막(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절연막 상에는 이후 형성되는 유기발광층 및 스캔라인의 분리를 위한 격벽(미도시)이 배치된다. 여기서 격벽은 데이터 라인(11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다음에 격벽이 형성된 절연막 상에는 음전극 역할을 하는 복수의 스캔라인(130)이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110)과 교차되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호간에 교차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110)과 복수의 스캔라인(130)의 사이에는 유기발광층(미도시)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라인(110) 및 스캔라인(130) 상에 전압을 가하면, 상기 유기발광층 내의 정공 및 전자가 결합하면서 빛을 발광 하게 되고, 기판(100)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상술한 종래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면적이 커짐에 따라 스캔라인(130)이 증가하게 되고, 한번의 스캔시 요구하는 순간휘도가 커지게 되면서 고전압 구동을 하게 된다. 이것은 패널의 높은 소비전력을 요구할 뿐 아니라 수명에도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패널을 상하 또는 좌우로 분할하여 구동하는 듀얼 스캔(dual scan)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듀얼 스캔은 전기적 신호를 영상신호로 바꾸고 이를 화면에 영사하는 역할을 하는 구동회로를 패널의 상,하 또는 좌,우로 분할하여 구동하는 방법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스캔을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200) 상에 양전극 역할을 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210)이 기판(200)의 상부(A)와 하부(B) 양측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기판(200)의 일방향의 줄무늬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210)이 노출되는 개구부(220)를 구비한 절연막(미도시)이 기판(200)과 데이터 라인(210) 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막 상에는 이후 형성되는 유기발광층 및 스캔라인의 분리를 위한 격벽(미도시)이 배치된다. 다음에 상기 개구부(220)에 의해 노출된 데이터 라인(210) 상에 유기 발광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음에 격벽이 형성된 절연막 상에는 음전극 역할을 하는 복수의 스캔라인(230)을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21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듀얼 스캔 방식을 이용할 경우, 기판(200)의 상부(A)와 하부(B)에 있는 데이터 라인(210)이 각각 전체 화면의 절반씩을 맡아 화상데이터를 보냄으로써 데이터가 전달되는 데 걸리는 시간차를 줄일 수 있고, 화면의 질을 안정적으로 구현해왔다.
한편, 듀얼 스캔은 분할된 표시영역에 별도의 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데이터 라인(210)을 분할하게 되는데, 상기 데이터 라인(210)을 분할하는 분할 영역(C)은 연속적인 선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분할 영역(C)은 이후 음전극으로 사용되는 스캔라인(230)을 통해 발광시 반사된 빛으로 인하여 분할 영역(C)이 육안으로 구분할 수 있을 만큼의 휘도를 가지게 되어 띠 모양의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 라인의 구조를 개선하여 듀얼 스캔시 분할된 데이터 라인의 분할 영역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상, 하부로 배치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투명 기판; 상기 제1 영역의 투명 기판 상에 일 방향으로 배열된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 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 상기 제2 영역의 투명 기판 상에 상기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과 동일 선상에 배열된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과 교차되게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스캔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의 인접부에서, 상기 제1 데이터 라인 말단이 사선구조를 띄고 있고, 상기 제2 데이터 라인 말단이 이와 인접하는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의 말단과 맞물리는 사선구조를 띄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라인 말단의 사선구조는, 홀수 라인과 짝수 라인이 같은 방향의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라인 말단의 사선구조는, 홀수 라인은 같은 방향의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짝수 라인은 상기 홀수 라인과 반대 방향의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상, 하부로 배치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투명 기판; 상기 제1 영역의 투명 기판 상에 일 방향으로 배열된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 상기 제2 영역의 투명 기판 상에 상기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과 동일 선상에 배열된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과 교차되게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스캔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의 인접부에서, 상기 제1 데이터 라인 말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을 띄고 있고, 상기 제2 데이터 라인 말단은 이와 인접하는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의 말단과 맞물리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들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데이터 라인의 분할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보인 도면들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상부와 하부로 배치되어 제1 영역(A) 및 제2 영역(B)으로 구분되어 있는 투명 기판(300) 상에 양전극 역할을 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310) 및 제2 데이터 라인(315)이 투명 기판(300)의 제1 영역(A) 및 제2 영역(B) 양측으로 소정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데이터 라인(310)은 제1 영역(A)의 투명 기판(300) 상에 일방향으로 배열된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데이터 라인(315)은 제2 영역(B)의 투명 기판(300) 상에 상기 제1 데이터 라인(310)과 동일 선상에 줄무늬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투명 기판(300)은 글래스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 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은 투명전극물질,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의 말단의 분할 영역(D)은, 종래 기술에서는 연속된 분할 영역(C, 도 2참조)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후 스캔라인으로 사용되는 금속층에서 발광시 반사된 빛으로 인하여 분할된 선이 육안으로 구분할 수 있을 만큼의 휘도를 가지게 되어 띠 모양의 결함을 유발시켰던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의 말단의 분할 영역(D)은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이 인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데이터 라인(310)의 말단이 사선구조를 띄고 있고, 제2 데이터 라인(315)의 말단은 제1 데이터 라인(310)과 맞물리는 사선구조를 띄고 있다.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의 분할 영역(D)을 서로 맞물리는 사선구조로 형성할 경우, 분할 영역(D)이 연속하여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이후 화면의 구동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의 분할 영역(D)을 육안으로 구분할 수 없어 분할 영역(D)의 휘도차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의 분할 영역(D)이 사선구조로 불연속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할 영역(D)의 말단부에서 빛의 산란이 일어나 육안으로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의 분할 영역(D)이 구분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의 말단의 사선구조는, 홀수 라인은 같은 방향의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짝수 라인은 상기 홀수 라인과 반대 방향의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사선구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수 라인과 짝수 라인이 같은 방향의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의 분할 영역이 사선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의 분할 영역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의 분할 영역(F)은 제1 데이터 라인(310)의 말단부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을 띄고 있고, 제2 데이터 라인(315)은 상기 제1 데이터 라인(310)의 말단과 소정 거리를 가지고 맞물리는 형상을 띄는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이 노출되는 개구부(미도시)를 구비한 절연막(미도시)이 투명 기판(300)과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 상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발광 영역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막 상에는 이후 형성되는 유기발광층 및 스캔라인의 분리를 위한 격벽(미도시)이 배치된다. 여기서 격벽은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 상에 유기 발광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기 발광층은 정공과 음전극층으로부터의 전자가 전달되어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 투명 전극층으로부터 유기 발광층으로의 정공 전달을 보조하는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 그리고, 음전극층으로부터 상기 유기 발광층으로의 전자 전달을 보조하는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 등을 포함한다.
다음에 격벽이 형성된 절연막 상에는 음전극 역할을 하는 복수의 스캔라인(320)이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과 교차되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 어 있다. 여기서 스캔라인(320)은 금속물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Al)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패널을 이용하여 듀얼 스캔 방식을 수행할 경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의 분할선(D,E,F)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화면 구동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의 분할 영역(D,E,F)을 육안으로 구분할 수 없어 휘도차를 최대한 방지하여 띠 모양의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의 분할 영역(D,E,F)이 불연속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할 영역(D,E,F)의 말단에서 빛의 산란이 일어나면서 육안으로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310, 315)의 분할 영역(D,E,F)이 구분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의하면,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데이터 라인의 분할선을 불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화면 구동시 육안으로 구분할 수 없어 분할선의 휘도차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상, 하부로 배치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투명 기판;
    상기 제1 영역의 투명 기판 상에 일 방향으로 배열된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
    상기 제2 영역의 투명 기판 상에 상기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과 동일 선상에 배열된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과 교차되게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스캔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의 인접부에서, 상기 제1 데이터 라인 말단이 사선구조를 띄고 있고, 상기 제2 데이터 라인 말단이 이와 인접하는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의 말단과 맞물리는 사선구조를 띄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라인 말단의 사선구조는, 홀수 라인과 짝수 라인이 같은 방향의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라인 말단의 사선구조는, 홀수 라인은 같은 방향의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짝수 라인은 상기 홀수 라인과 반대 방향의 사선으로 형 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4. 상, 하부로 배치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투명 기판;
    상기 제1 영역의 투명 기판 상에 일 방향으로 배열된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
    상기 제2 영역의 투명 기판 상에 상기 복수의 제1 데이터 라인과 동일 선상에 배열된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데이터 라인;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과 교차되게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스캔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의 인접부에서, 상기 제1 데이터 라인 말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을 띄고 있고, 상기 제2 데이터 라인 말단은 이와 인접하는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의 말단과 맞물리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050114172A 2005-11-28 2005-11-28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67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172A KR100667023B1 (ko) 2005-11-28 2005-11-28 유기 전계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172A KR100667023B1 (ko) 2005-11-28 2005-11-28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023B1 true KR100667023B1 (ko) 2007-01-10

Family

ID=3786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172A KR100667023B1 (ko) 2005-11-28 2005-11-28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6515A (zh) * 2019-07-31 2021-07-30 株式会社Lg化学 有机发光器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686A (ko) * 1997-12-10 1999-07-05 구자홍 유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2000103114A (ja) 1998-09-29 2000-04-11 Futaba Corp 有機elプリントヘッド
KR20030077419A (ko) * 2002-03-26 2003-10-01 도야마 다이가쿠 매트릭스형 유기 el 소자의 구동 방법 및 매트릭스형유기 el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686A (ko) * 1997-12-10 1999-07-05 구자홍 유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2000103114A (ja) 1998-09-29 2000-04-11 Futaba Corp 有機elプリントヘッド
KR20030077419A (ko) * 2002-03-26 2003-10-01 도야마 다이가쿠 매트릭스형 유기 el 소자의 구동 방법 및 매트릭스형유기 el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6515A (zh) * 2019-07-31 2021-07-30 株式会社Lg化学 有机发光器件
CN113196515B (zh) * 2019-07-31 2023-08-22 株式会社Lg化学 有机发光器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906B1 (ko)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11001B1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CN109728061B (zh) 一种像素结构、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819862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8076843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0773939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06140146A (ja) 有機電界発光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67023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4789063B2 (ja) 有機elパネル
JP4807677B2 (ja) 表示装置
KR10084478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605152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07080673A (ja) 有機elパネル
KR100488146B1 (ko) 유기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70579B1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
US753848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23450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37065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용 모기판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1294846B1 (ko) 역 테이퍼 패턴 박막을 갖는 평판표시소자
KR100770578B1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0641733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96440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47428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26943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25034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