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132B1 -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Google Patents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6132B1 KR100666132B1 KR1020060016466A KR20060016466A KR100666132B1 KR 100666132 B1 KR100666132 B1 KR 100666132B1 KR 1020060016466 A KR1020060016466 A KR 1020060016466A KR 20060016466 A KR20060016466 A KR 20060016466A KR 100666132 B1 KR100666132 B1 KR 1006661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ement
- bone
- stage
- reinforcing
- anch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30—Securing inlays, onlays or crow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내의 기둥부나 천정 슬래브를 연결하는 보 등의 구조물에 적용되는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경량화와 건물 구조물에 대한 보강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골형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를 구성하는 한편, 그 보강재의 골 구조내에 강선, 철근, 철선, 유리섬유 등의 배치와 에폭시가 충진된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를 제공한다.
골형 보강재, 에폭시층, 보강봉,
Description
도 1은 종래 판형 구조물 보강재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판형 보강재가 구조물에 시공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골형의 보강재가 구조물에 시공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보강봉과 에폭시층을 가진 골형 구조물 보강재의 구조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보강봉과 에폭시층을 가진 골형 구조물 보강재의 구조를 보인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보강봉과 에폭시층을 가진 골형 보강재가 구조물에 시공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복수의 골형 보강재를 겹쳐지게 구성한 상태의 분리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복수의 골형 보강재를 겹체지게 구성한 상태의 결합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도 9의 B-B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보강재에 복수의 보강봉을 십자형태로 구성한 상태의 분리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도 12의 결합 단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조물 20,20'; 보강재
21,21'; 앵커시공부 22,22'; 골
23; 골제거부 30,30'; 보강봉
40; 에폭시층 50; 마감재
100; 앵커볼트
본 발명은 건물내의 기둥부나 천정 슬래브(slab)를 연결하는 보 등의 구조물(이하, 구조물 이라고 함)에 적용되는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형의 강판으로 구조물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구조물에 대한 보강 구조로는 철판, 탄소섬유쉬트, 유리 섬유 등의 원자재를 이용하는 보강재를 사용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원자재를 에폭 시계 접착제로 부착하여 판형으로 제작하여 이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철판을 이용한 보강재는 그 무게가 무겁고, 가공 및 시공성에 문제가 있으며, 탄소섬유쉬트나 유리섬유를 이용한 보강재는 그 무게가 가벼운 반면 모재(기둥 또는 천정 구조물)와의 접착 불량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의 보강재들의 장점을 활용하고자 도 1에서와 같이 두 가지의 이형재료(A는 철판, B는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를 결합한 판형 보강재(1)가 개발한 후 이를 도 2에서와 같이 구조물(2)에 적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판형 보강재(1)는 이형재료의 결합으로 인해 시공 후 이형 재료 상호간에 분리됨은 물론, 그 단면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판형 보강재(1)는 철판(A)의 경우 2방향의 힘에 저항하는 특성을 갖는 반면, 상기 철판(A)에 결합되는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B)의 경우에는 1방향의 힘에 저항하는 특성을 갖는 관계로, 이형재료가 결합된 판형의 보강재(1)를 통해 2방향의 힘에 대한 저항을 갖도록 하면서 구조물(2)에 대한 보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복수의 판형 보강재를 교차시켜 2겹으로 시공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형재료간의 판형 보강재(1)는 이음매의 처리시 그 끝단에서 철판(A)의 부식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판형 보강재(1)는 커다란 하중이 필요로 하는 구조물에 적용할 경우에는 판형의 보강재(1)를 2겹 이상인 다중으로 겹쳐지는 구조로 설계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판형 보강재(1)의 하중에 대한 제품 생산이 어렵고, 저항내력의 한 도로 인해 커다란 하중을 받는 구조물에는 그 적용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또한, 상기의 판형 보강재(1)는 이형재료를 서로 겹치게 구성하는 관계로, 그 두께가 상당히 커 앵커에 의한 고정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판형 보강재(1)의 두께로 인해 앵커를 관통시키고자 할 때 앵커 건을 이용함이 바람직하지만, 이 경우 앵커가 판형 보강재(1)를 관통할 때 판형 보강재(1)를 이루는 재료의 부분 파손이 발생될 수 있어 그 사용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사전에 판형 보강재(1)에 앵커홀을 관통시켜 두어야만 앵커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그 시공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랐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경량화와 건물 구조물에 대한 보강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골형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를 구성하는 한편, 그 보강재의 골 구조내에 강선, 철근, 철선, 유리섬유 등의 배치와 에폭시가 충진된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는,
건물의 기둥부와 슬래브를 연결하기 위한 보 등의 구조물에 시공되는 보강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끝단부의 앵커시공부 및, 상기 앵커시공부의 사이에 다단의 골이 배열되는 판형강판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판형 강판은 냉간 압연 도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판형 강판은 스테인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다단을 이루는 골에는 보강재의 구조 성능을 향상시키는 보강봉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보강봉은 강선, 철근, 철선, 탄소봉,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다단을 이루는 골에는 구조물과 보강재의 접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폭시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다단을 이루는 골은 각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각형 구조는 사각형,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다단을 이루는 골은 비각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비각형 구조는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다단을 이루는 골의 외면에는 마감재가 접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판형강판은 앵커시공부로 앵커볼트의 천공이 앵커 건에 의해 가능한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보강재는 건물 구조물의 표면에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골형의 보강재가 구조물에 시공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는 건물의 기둥부와 슬래브를 연결하기 위한 보 등의 구조물(10)에 시공되는 것으로, 냉간 압연 도강판 또는 스테인레스의 판형강판으로 이루어진 앵커시공부(21)(21') 및 다단의 골(22)로 구성된다.
상기 앵커시공부(21)(21')와 다단의 골(22)은 앵커 건에 의해 상기 앵커시공부(21)(21')로 앵커볼트(100)의 천공이 가능하도록 얇은 두께로 설계되며, 상기 다단의 골(22)은 보강재(20)에 대한 상기 앵커시공부(21)(21')로부터 연장되는 강판으로 절곡되어 구성되고, 그 절곡형태는 다각형 또는 반원형을 이룬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다단의 골(22)로부터 보강재(20)의 단면 성능이 향상되면서 건물 구조물(10)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이의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간 압력 도강판이나 스테인레스를 건물 구조물(10)에 맞게 그 크기를 재단 가공하여 앵커시공부(21)(21') 및 다단의 골(22)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건물 구조물(10)을 보강재(20)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표면 처리한 후, 상기 보강재(20)를 밀착시킨다.
즉, 상기 보강재(20)가 부착되기 위한 건물 구조물(10)의 표면은 레이턴스, 오물, 녹, 도료, 기름 등을 와이어브러쉬 또는 디스크샌더로 깨끗하게 청소한 후 습기를 제거하면서 건조시킨다.
다음으로, 앵커 건을 이용하여 앵커볼트(100)를 상기 앵커시공부(21)(21')에 천공시켜 건물 구조물(10)로 삽입하면, 상기 보강재(20)는 건물 구조물(10)의 표면으로 완전 밀착 고정이 이루어지고, 이에따라 상기 보강재(20)는 앵커시공부(21)(21')의 방향(도 4의 A화살표방향)과 다단의 골(22)이 형성되는 방향(도 4의 b화살표방향)으로 힘의 저항을 가지면서 상기 건물 구조물(10)에 대한 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단의 골(22) 내부에는 에폭시의 주입으로 이루어지는 에폭시층(4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다단의 골(22)내에 에폭시층(40)이 형성되면, 상기 에폭시층(40)에 의해 보강재(20)와 건물 구조물(10)간의 접착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재(20)의 앵커시공부(21)(21')는 건물 구조물(10)의 표면에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에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강재(20)의 견고한 접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앵커볼트(100)와 접착제를 동시에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앵커볼트(100)는 건물 구조물(10)의 강도가 충분할 경우에 사 용되며, 만약 건물 구조물(10)의 강도가 약할 경우에는 케미칼 앵커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한편, 도 5,6,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이는 판형강판으로 이루어진 보강재(20)의 골(22)내에 강선, 철근, 철선, 탄소봉,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보강봉(30)이 삽입된 후 에폭시층(40)에 의해 그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 구조를 보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보강재(20)의 구조 성능 향상을 위해, 상기의 보강봉(30)을 다단을 이루는 각 골(22)에 삽입한 후, 상기 보강봉(30)이 삽입된 각 골(22)의 내부를 에폭시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보강재(20)에 대한 단면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건물 구조물(10)에 대한 지지력을 보다 증대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그 시공에 있어, 먼저 냉간 압력 도강판이나 스테인레스를 건물 구조물(10)에 맞게 그 크기를 재단 가공하여 앵커시공부(21)(21') 및 다단의 골(22)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건물 구조물(10)을 보강재(20)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표면 처리한 후, 상기 보강재(20)를 부착한다.
이때, 앵커 건을 이용하여 앵커볼트(100)를 상기 앵커시공부(21)(21')를 천공시켜, 상기 건물 구조물(10)에 삽입하면, 상기 보강재(20)는 건물 구조물(10)의 표면에 완전 밀착 고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다단의 골(22)에 보강봉(30)을 각각 삽입한 후, 상기 보강봉(30)이 삽입된 다단의 골(22)에 에폭시를 주입한 에폭시층(40)을 형성한다.
그러면, 상기 보강재(20)는 상기 앵커시공부(21)(21')에 천공된 앵커볼트(100)는 물론, 상기 다단의 골(22)내에 주입되어 형성된 에폭시층(40)으로부터 건물 구조물(10)의 표면에서 견고한 밀착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단면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바,
상기 보강재(20)에 의한 건물 구조물(10)의 보강력은 한층 강화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보강재(20)의 골(22)에 현장에서 별도로 보강봉(30)과 에폭시층(40)을 형성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판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보강재(20)에 보강봉(30)과 에폭시층(40)을 일체화시킨 구조물을 하나의 단품으로 제작한 후 이를 현장에 투입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와 같이 건물 구조물(10)의 표면에 골형의 판형강판으로 이루어진 보강재(20)가 시공되었을 때, 상기 보강재(20)의 외측부분 즉, 건물 구조물(10)과 밀착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별도의 마감재(50)를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여 외적인 디자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상기의 보강재(20)를 교차시켜 그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건물 구조물(10)의 종방향으로 골형의 판형강판으로 이루어진 보강재(20)를 부착할 때, 상기 보강재(20)에 마련된 다단의 골(22)을 절단하여 골(22)과 골제거부(23)로 구분한다.
이후, 상기 골제거부(23)가 마련된 보강재(20)에 횡방향으로 또 다른 골형의 판형강판으로 이루어진 보강재(20')의 반대편을 부착한다.
그러면, 상기 보강재(20')의 골(22')이 골제거부(23)로 삽입되면서, 상기 복수의 보강재(20)(20')가 서로 겹쳐지게 구성되면서, 상기 골(22)(22')이 건물 구조물(10)에 대하여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십자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건물 구조물(10)의 보강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골(22)(22')이 십자형태를 이루면서 소정의 밀폐공간이 마련되는 바, 상기 밀폐공간으로 에폭시를 주입하면,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서보다 더 강화된 보강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에폭시의 주입은 보강봉(30)이 삽입될 수 있는 2차 보강재(20')의 골(22')에 모두 주입될 수 있지만, 상기 1차 보강재(20)의 골(22)에는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골(22)에만 그 주입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상기의 보강재(20)에 보강봉(30)을 십자형태로 교차시켜 그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12,13에서와 같이 건물 구조물(10)의 종방향으로 골형의 판형강판으로 이루어진 보강재(20)를 부착할 때, 상기 보강재(20)에 마련된 다단의 골(22)을 절단하여 골(22)과 골제거부(23)로 구분한다.
이후, 상기 보강재(20)의 골(22)마다 보강봉(30)을 삽입하고, 상기 보강봉(30)의 위로 골제거부(23)로 끼움되는 또 다른 보강봉(30')을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보강봉(30)(30')이 서로 십자형태를 이루게 되고, 이와동시에 상기 보강봉(30)(30')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재(50)를 덮으면, 상기 십자형태를 이루는 보강봉(30)(30')에 의해 보강재(20)는 건물 구조물(10)의 보강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봉(30)(30')이 십자형태를 이루면서 소정의 밀폐공간이 마련되는 바, 상기 밀폐공간으로 에폭시를 주입하면,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서보다 더 강화된 보강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골형 구조물 보강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보강재에 대한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단면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여 건물 구조물에 대한 보강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시공이 간편하고, 다양한 폭과 높이의 골을 가지는 보강재의 설계를 통해 다양한 하중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섯째, 2방향의 힘에 대한 저항이 가능한 보강재의 선제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장 가공 및 조립에 대한 공임을 줄이면서 그 시공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사기간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골 구조내에 강선, 철근, 철선, 탄소봉, 유리섬유 등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보강재의 구조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골 구조내에 에폭시를 충진하여 건물 구조물과 보강재의 접착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섯째, 골형 보강재의 경량화로부터 고정 하중을 감소시켜, 건물 구조물의 내구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곱째, 골형 보강재를 냉간 압연 도강판이나 스테인레스로 그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건물 구조물에 대한 보강재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덟째, 건물 구조물의 표면으로 골형 보강재를 서로 엇갈리는 방향 즉,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부착하여, 건물 구조물에 대한 보강력을 한층 강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26)
- 건물의 기둥부와 슬래브를 연결하기 위한 보 등의 구조물에 시공되는 보강재를 구성함에 있어서,상기 보강재는 냉간 압연 도강판 또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판형강판으로 구성하되, 그 판형강판은 앵커볼트가 시공되는 끝단부의 앵커시공부 및, 상기 앵커시공부의 사이에 다단의 골이 배열되도록 구성하고,상기 다단을 이루는 골에는 보강재의 구조 성능을 향상시키는 보강봉을 삽입 구성하며,상기 보강봉이 삽입된 다단의 골에는 구조물과 보강재의 접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폭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봉은 강선, 철근, 철선, 탄소봉,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을 이루는 골은 각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 구조는 사각형,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을 이루는 골은 비각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각형 구조는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을 이루는 골의 외면에는 마감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골 배열면은 건물 구조물의 표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건물의 기둥부와 슬래브를 연결하기 위한 보 등의 구조물에 시공되는 보강재를 구성함에 있어서,상기 보강재는 상기 보강재는 냉간 압연 도강판 또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판형강판으로 구성하되, 보 등의 구조물에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부착되도록 서로 겹침 결합되는 1,2차 보강재로 분할 구성하고,상기 1,2차 보강재는 앵커볼트가 시공되는 끝단부의 앵커시공부 및, 상기 앵커시공부의 사이에 다단의 골이 배열되도록 구성하며,상기 1차 보강재에는 상기 2차 보강재로 겹침 구성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1,2차 보강재의 골이 십자형태를 이룬 밀폐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2차 보강재의 골이 삽입되는 골제거부를 형성하고,상기 2차 보강재는 다단의 골에 보강봉을 삽입 구성하며,상기 1,2차 보강재의 겹침에 의해 마련된 밀폐공간에는 에폭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봉은 강선, 철근, 철선, 탄소봉,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삭제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보강재의 외면에는 마감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건물의 기둥부와 슬래브를 연결하기 위한 보 등의 구조물에 시공되는 보강재를 구성함에 있어서,상기 보강재는 앵커시공부와 다단의 골, 그리고 상기 골의 절취에 의해 마련되는 다단의 골제거부를 포함한 판형강판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골에는 1차 보강봉을 삽입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골제거부에는 상기 1차 보강봉과 십자형태 를 이루는 2차 보강봉을 삽입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1,2차 보강봉이 삽입된 공간 및, 삽입되지 않은 공간의 다단의 골과 다단의 골제거부에는 에폭시 주입에 의한 에폭시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외면에는 마감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6466A KR100666132B1 (ko) | 2006-02-20 | 2006-02-20 |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6466A KR100666132B1 (ko) | 2006-02-20 | 2006-02-20 |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66132B1 true KR100666132B1 (ko) | 2007-01-09 |
Family
ID=3786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6466A KR100666132B1 (ko) | 2006-02-20 | 2006-02-20 |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613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3571B1 (ko) * | 2010-02-03 | 2010-08-02 | 주식회사 삼주에스엠씨 | 탄소봉, 앵커용 연결부재, 기능성 폴리머 모르타르, 부식차단보호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방법 |
KR100973570B1 (ko) * | 2010-01-14 | 2010-08-03 | 주식회사 삼주에스엠씨 | 타공철판과 탄소봉(바)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방법 |
-
2006
- 2006-02-20 KR KR1020060016466A patent/KR1006661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3570B1 (ko) * | 2010-01-14 | 2010-08-03 | 주식회사 삼주에스엠씨 | 타공철판과 탄소봉(바)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방법 |
KR100973571B1 (ko) * | 2010-02-03 | 2010-08-02 | 주식회사 삼주에스엠씨 | 탄소봉, 앵커용 연결부재, 기능성 폴리머 모르타르, 부식차단보호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485804C (en) | Wood-concrete-composite systems | |
EP2715004B1 (en) | Stronger wall system | |
CN110469001B (zh) | 叠合剪力墙及其建造方法 | |
KR101225662B1 (ko) | 조립식 프리캐스트 격자형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25661B1 (ko) |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 |
KR102306103B1 (ko) | Pc 보강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
WO2006020261A2 (en) | Confinement reinforcement for masonry and concrete structures | |
RU2293162C1 (ru) | Блок для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 |
JP6530959B2 (ja) | 耐震壁構造 | |
KR100666132B1 (ko) | 골형의 구조물 보강재 | |
KR100819837B1 (ko) | 복부파형강판과 콘크리트를 스터드로 결합시킨 합성구조 | |
JP4194871B2 (ja) |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 |
JP3870180B2 (ja) | 柱梁接合構造 | |
KR100859312B1 (ko) | 골판형 합성상판 | |
JP2005330803A (ja) | トンネル構造体 | |
KR20120036616A (ko) | 파형 굴곡판으로 형성된 보강재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및 그 제작방법 | |
KR20100029714A (ko) | 주택 콘크리트 기초의 보강 구조 및 그 보강 공법 | |
RU2261963C2 (ru) | Элемент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и пластинчатые элементы жесткости для такого элемента | |
JP2004285823A (ja) | 床版橋および床版ユニット | |
KR101736594B1 (ko) |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 | |
JP3681367B2 (ja) | 鉄骨柱と基礎コンクリートの接合構造 | |
RU47926U1 (ru) |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ое перекрытие | |
KR100601733B1 (ko) | 펀칭박강판-섬유메시-일방향섬유 복합메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 |
KR102227837B1 (ko) |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 결합을 위한 어댑터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 | |
EP3230533B1 (en) | Coupling element for a timber-concrete ceiling composite constr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