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930B1 - 레벨 센서 - Google Patents

레벨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930B1
KR100665930B1 KR1020050068564A KR20050068564A KR100665930B1 KR 100665930 B1 KR100665930 B1 KR 100665930B1 KR 1020050068564 A KR1020050068564 A KR 1020050068564A KR 20050068564 A KR20050068564 A KR 20050068564A KR 100665930 B1 KR100665930 B1 KR 100665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level sensor
outlet
ball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8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8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wipers or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보다 낮게 형성된 배출구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에서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나선형의 유로와; 상기 유로 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마그네트가 마련되며 상기 액체보다 비중이 작은 볼과; 한 쌍 중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서로 일정구간 겹치도록 위치되어지되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의 하부에 위치되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리저버 내에 저장된 와셔액에 출렁거림이 발생하여도 리드스위치 단자의 불필요하게 접촉 및 이격되지 아니하고 이에 따라 와셔액 경고등이 반복적으로 점등되거나 점멸되지 아니하므로 경고등에 의한 운전자를 혼란스러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리드스위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레벨 센서를 제공한다.
레벨, 센서, 와셔액, 경고등, 점멸

Description

레벨 센서{Level sensor}
도 1은 종래의 레벨 센서가 구비된 와셔액 리저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레벨 센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레벨 센서가 구비된 와셔액 리저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벨 센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벨 센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 : 리저버 S : 레벨 센서
110 : 몸체 112 : 유입구
114 : 유출구 120 : 유로
122 : 필터 130 : 볼
132 : 마그네트 140 : 리드스위치
142, 144 : 제 1 및 제 2 단자
본 발명은 레벨 센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액면이 출렁거리는 경우에도 접점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레벨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셔액 러저버에는 와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와셔액의 보충시점을 알려주기 위해 레벨 센서가 설치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레벨 센서(S)는, 액면에 부유하여 수위변동에 따라 승강하고 내측면에 마그네트(12)가 부착되어 있는 플로트(10)와, 와셔액 리저버(R, 이하 리저버라 함)의 바닥 부분에 제공되어 상기 플로트(10) 승강을 안내하는 몸체(20)와, 몸체(20)에 내장되어 상기 플로트(10) 상의 마그네트(12)의 자력에 의해 작동하는 리드스위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리드스위치(30)는 리저버(R) 내의 와셔액이 소정 레벨 이하임을 알리는 와셔액 경고 장치의 한 부분으로, 와셔액이 소모되어 플로트(10)가 소정 레벨 이하로 하강하면 그 내부에 단자가 플로트(10) 상의 마그네트(12)와의 자력에 의해 작동하여 접촉하게 되어 전기를 흐르게 한다. 이에 따라 운전석의 와셔액 경고등이 점등되고 운전자에게 와셔액의 보충시기를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레벨센서(S)는 차량의 진동에 의해 러저버(R) 내의 와셔액이 심하게 출렁거리는 경우, 플로트(10)는 액면의 출렁거림에 따라 불규칙적인 승강을 반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로트(10) 상의 마그네트(12)에 반응하는 리드 스위치(30)의 단자(32)도 접촉 및 이격을 반복하게 되어 운전석의 와셔액 경고등도 점등과 점멸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경고등의 반복적인 점등 및 점멸은 운전자를 혼란스럽게 할 뿐만 아니라, 리드스위치(30)의 단자(32)가 불필요한 접촉 및 이격을 반복함으로써 리드스위치(30)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저버 내에 저장된 와셔액의 출렁거림에 의하여 와셔액 경고등이 반복적인 점등 및 점멸되는 것을 방지하며, 리드스위치 단자의 불필요한 접촉 및 이격을 감소시킴으로써 리드스위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레벨 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레벨 센서는,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보다 낮게 형성된 배출구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에서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나선형의 유로와; 상기 유로 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마그네트가 마련되며 상기 액체보다 비중이 작은 볼과; 한 쌍 중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서로 일정구간 겹치도록 위치되어지되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의 하부에 위치되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레벨 센서가 구비된 와셔액 리저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벨 센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벨 센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레벨 센서(S)는 와셔액이 저장되는 리저 버(R) 내에 장착되는 것으로,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12)와, 상기 유입구(112)보다 낮게 형성된 배출구(114)를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내에서 상기 유입구(112)와 배출구(114)를 연결하는 나선형의 유로(120)와; 상기 유로(120) 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마그네트(132)가 마련되며 상기 와셔액보다 비중이 작은 볼(130)과; 한 쌍 중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서로 일정구간 겹치도록 위치되어지되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단자(142, 144)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120)의 하부에 위치되는 리드스위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요소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몸체(110)는 리저버(R)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을 형성되며, 그 하부는 리저버(R)의 바닥면과 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10)의 상면과 외주면 일측에는 각각 유입구(112)와 배출구(114)가 형성되는 바, 상기 유입구(112)와 배출구(114)는 소정의 높이 차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유입구(112)는 상기 배출구(114)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 내부에는 유로(120)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20)의 양단에는 상기 유입구(112)와 배출구(114)가 각각 위치되며, 상기 유입구(112)와 배출구(114)에는 상기 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유로(120) 내에 구비된 볼(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스토퍼가 사용될 수 있는 바, 그 일예로 유입구(112)와 배출구(114) 내측으로 하나 이상이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면, 볼(130)의 이탈을 방 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유입구(112)와 배출구(114)에 망으로 형성되는 필터(122)를 장착하여 상기 볼(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로(120) 내부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로(120)를 나선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112)의 직경을 상기 배출구(114)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유로(120) 내의 와셔액 이동속도를 경감시켰다. 이때, 상기 유로(120)의 하단부는 상기 볼(130)의 부력에 의해 상승할 수 있을 정도의 경사만을 갖고 상기 리드스위치(140)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유로(120)의 형상을 나선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112)와 배출구(114)의 직경을 달리한 이유는 와셔액의 출렁거림에 의해 상기 리드스위치(140)가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유로(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볼(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마그네트(132)가 마련되어지되 와셔액보다 작은 비중으로 형성되어 항상 와셔액의 액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리드스위치(140)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제 1 단자(142)와, 와셔액 경고등과 연결되는 제 2 단자(144)와, 상기 단자(142, 144)를 보호하기 위한 유리관(14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단자(142)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단자(144)는 상기 제 1 단자(142)와 일정구간 겹치도록 위치되어지되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볼(130)이 하강하여 상기 리드스위치(140)에 근접할 경우 볼(130)에 마련된 마그네트(132) 의 자력에 의해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단자(144)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자성체로 이루진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자(142)의 길이를 짧게 하고 상기 제 2 단자(144)의 길이를 길게 하면, 상기 마그네트(132)가 제 2 단자(144)의 단부로 인접하게 될 때 마그네트(132)의 자력에 의해 제 2 단자(144)가 제 1 단자(142)와 더 쉽게 접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레벨 센서에 의한 와셔액 경고등의 점등 및 점멸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리저버(도 3의 R) 내의 와셔액이 충분하면 도 5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볼(130)은 몸체(110)의 유입구(112) 측으로 상승되며, 리드스위치(140)의 양단자(142, 144)는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외부전원과 와셔액 경고등은 전기적으로 단락된 상태이므로 와셔액 경고등은 점멸된 상태이다.
반면, 리저버(R) 내의 와셔액이 부족하면 도 5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130)은 유로(120)를 따라 배출구(114) 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리드스위치(140)의 양단자(142, 144)는 상기 볼(130)이 근접함에 따라 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전원과 와셔액 경고등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와셔액 경고등은 점등된다.
상기와 같이 와셔액 경고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와셔액에 출렁거림이 발생되면 상기 볼(130)은 와셔액 액면을 따라 승강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나선형 유로(120)를 가지며, 유입구(112)의 직경을 상기 배출구(114)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유로(120) 내의 와셔액 이동속도가 경감되므로 상기 유로 (120)를 따라 이동하는 볼(130)의 흔들림은 거의 없다. 즉, 상기 볼(130) 내부의 마그네트(132)가 리드스위치(140)의 양단자(142, 144)에 자력을 행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와셔액에 출렁거림이 발생하더라도 양단자(142, 144)가 서로 이격되지 않아 점등된 와셔액 경고등이 점멸되거나 반복적으로 깜빡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리저버(R)는 와셔액의 출렁거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격벽(도 1의 40)이 구비되는 바,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구조의 레벨 센서(S)를 사용하여 와셔액의 출렁거림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였으므로 리저버의 격벽(40)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리저버(R)의 금형구조가 간단하며, 그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레벨 센서는, 레벨 센서 내에 나선형 유로가 형성되고 그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볼에 의해 리드스위치가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바, 리저버 내에 저장된 와셔액에 출렁거림이 발생하여도 리드스위치 단자의 불필요하게 접촉 및 이격되지 아니하고, 이에 따라 와셔액 경고등이 반복적으로 점등되거나 점멸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경고등에 의한 운전자를 혼란스러움을 해소할 수 있으 며, 리드스위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액체가 저장되는 리저버 내에 장착되는 레벨 센서에 있어서,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보다 낮게 형성된 배출구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에서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나선형의 유로와;
    상기 유로 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마그네트가 마련되며 상기 액체보다 비중이 작은 볼과;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서로 일정구간 겹치도록 위치되어지되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의 하부에 위치되는 리드스위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직경은 상기 배출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센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는 상기 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센서.
KR1020050068564A 2005-07-27 2005-07-27 레벨 센서 KR100665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564A KR100665930B1 (ko) 2005-07-27 2005-07-27 레벨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564A KR100665930B1 (ko) 2005-07-27 2005-07-27 레벨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930B1 true KR100665930B1 (ko) 2007-01-09

Family

ID=3786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564A KR100665930B1 (ko) 2005-07-27 2005-07-27 레벨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9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254A (ko)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오일 리저버용 브레이크 레벨센서
KR20170011592A (ko) * 2015-07-23 2017-02-02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오일 리저버용 브레이크 레벨센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254A (ko)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오일 리저버용 브레이크 레벨센서
KR101661885B1 (ko) * 2015-03-18 2016-10-04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오일 리저버용 브레이크 레벨센서
KR20170011592A (ko) * 2015-07-23 2017-02-02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오일 리저버용 브레이크 레벨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1825C (fi) Anordning foer avluftning och/eller avgasning av ledningssystem.
US4988978A (en) Liquid level indicator for storage tanks
TW201411100A (zh) 水位檢測裝置
KR100665930B1 (ko) 레벨 센서
KR100938411B1 (ko) 부유물 흡입기
TW552220B (en) Oil level detector for fuel tank
US4631375A (en) Delayed action liquid level sensing apparatus
KR20060106023A (ko) 변기세정장치
KR20050031262A (ko) 리드 스위치의 접점 안정성이 향상된 레벨 센서
KR102418435B1 (ko) 수평형 레벨센서
CN211143241U (zh) 用于变电站集水井的自动接通装置以及自动排水装置
KR940006441Y1 (ko) 레벨스위치
KR100668890B1 (ko)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스위치
CN216524269U (zh) 一种液位监控装置
CN205381540U (zh) 一种汽车用新型机械液位传感器带储液罐盖总成
KR102169254B1 (ko) 자동배수형 후드밸브
CN217567587U (zh) 一种浓缩池溢流检测装置
CN219736518U (zh) 一种选煤磁选机液位检测装置
CN209863707U (zh) 洗碗机
CN220131906U (zh) 一种水箱底座和净水器
CN220710195U (zh) 一种电控液位浮球开关
KR200199372Y1 (ko) 유체수위감지장치
KR20060054889A (ko) 가습기의 플로우트 센서 구조
CN107796479B (zh) 水位探针、水箱和净水机
KR910005401Y1 (ko) 물감지 및 기름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