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447B1 - 밀봉판, 그 밀봉판을 사용한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밀봉판, 그 밀봉판을 사용한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447B1
KR100665447B1 KR1020017013773A KR20017013773A KR100665447B1 KR 100665447 B1 KR100665447 B1 KR 100665447B1 KR 1020017013773 A KR1020017013773 A KR 1020017013773A KR 20017013773 A KR20017013773 A KR 20017013773A KR 100665447 B1 KR100665447 B1 KR 100665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p
caulking
sealing plat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7390A (ko
Inventor
고다요시오
스즈키노리오
야마시타기요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7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25Re-sealable arrangements comprising deformable valve members, e.g. elastic or flexible val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01M50/56Cup shape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에 사용되는 밀봉판으로서, 밀봉판은 필터와 캡과 밸브체를 구비한다. 필터는 밸브 구멍과 상부 개구를 갖고, 캡은 볼록 형상부와, 볼록 형상부의 주위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갖고, 필터의 상기 상부 개구의 개구단은 절곡부를 갖고, 캡의 플랜지부의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와는 코킹에 의해 접합된 코킹부를 갖는다. 코킹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외주단부의 표면과, 절곡부가 서로 강하게 접촉하는 강접촉 부분과 약하게 접촉하는 약접촉 부분의 쌍방 접촉 상태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해, 캡과 필터의 전기적인 접촉 저항이 현저히 감소한다. 더욱이, 그 접촉 저항이 낮게 안정된다. 또한, 전지의 내부 저항은 낮아져, 전지 특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밀봉판, 그 밀봉판을 사용한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SEALING PLATE, CELL USING THE SEAL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ELL}
본 발명은 전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지에 사용되는 밀봉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통형 전지에 사용되는 밀봉판의 구성도가 도 8, 도 10, 도 11에 도시된다. 또한, 종래의 밀봉판을 장착한 전지가 도 9, 도 12에 도시된다.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리튬 전지 등의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1)와 발전 요소와 리드판(8)과 밀봉판(52)을 구비한다. 발전 요소는 양극과 음극과 격리판과 전해액을 갖는다. 이들의 발전 요소와 리드판(8) 등은 전지 케이스(1) 내에 수용되어 있다. 밀봉판(52)은 개스킷(7)을 통해 전지 케이스(1)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개스킷(7)은 전기적 절연의 기능도 겸비한다. 또한, 가스가 전지 케이스 내부에 비정상적으로 많이 발생한 경우에, 밀봉판(52)은 그 가스를 전지 케이스(1)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밀봉판(52)은 볼록 형상부(6)와 필터(53)와 캡(51)과 그들의 접촉부를 갖는 다. 볼록 형상부(6)가 밀봉판(52)의 중앙부에 돌기한다. 그 볼록 형상부(6)는 양극용 출력 단자로서의 역할도 갖는다. 필터(53)가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다. 리드판(8)이 양극에 접속되어 있다. 그 리드판(8)은 필터(53)에 용접되어 있다. 이 밀봉판(52) 자체의 전기 저항이 작은 것이 요구된다.
여러 가지 형상의 밀봉판(52)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밀봉판(52)의 일례가 도 8에 도시된다. 또,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밀봉판과 다른 형식의 밀봉판(52)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밀봉판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 및 그들의 조립 직전 형상을 나타낸다.
이하, 도 8에 나타내는 밀봉판(52)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밀봉판(52)의 주요부는 캡(51)과 필터(53)와 고무 밸브체(12)의 3개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는, 캡(51)과 필터(53)는 두께 0.3㎜ 정도의 강판에 여러 공정의 프레스 가공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공정과, 그 후, 니켈 도금을 실시하는 공정에 의해 제작된다. 고무 밸브체(12)는 원주(圓柱) 형상, 또는 각주(角柱) 형상을 갖는 고무제 부품이다. 그 고무 밸브체(12)는 밸브 구멍(9)을 막고 있다. 전지 케이스(1) 내의 가스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질 때, 가스 압력에 의해 그 밸브체 본래의 형상이 변형되고, 그리고, 필터(53)의 중앙부에 마련된 밸브 구멍(9)이 열린다. 그 가스가 가스 배출 구멍(10)을 경유하여 전지 케이스(1)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밸브체(12)는 비정상적인 가스를 전지 케이스(1)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
캡(51)의 중앙부에 형성된 볼록 형상부(6)는 양극 단자로서 이용된다. 그 볼록 형상부(6)의 내측은 상기 고무 밸브체(12)를 수용하는 기능과, 밸브 구멍(9) 에 고무 밸브체(12)를 위치 맞춤하는 기능과, 소정의 힘으로 밸브 구멍에 밸브체를 눌러 맞닿게 하는 위치 결정 기능을 갖는다. 캡(51)의 외주부에 볼록 형상부(6)의 전체 둘레를 거의 균등하게 둘러싸도록 플랜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의 여러 곳에 직경 φ1㎜ 정도의 가스 배출 구멍(1O)이 형성되어 있다.
필터(53)의 중앙부는 약간 깊이 우묵하게 들어간 접시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그 필터(53)의 중앙부에는 직경 φ1.5㎜ 정도의 밸브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그 밸브 구멍(9)은 가스를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캡(51)의 볼록 형상부(6)의 내측에 고무 밸브체(12)를 수용한 상태에서 필터(53)에 캡(51)을 끼워 맞추어, 양자의 중심을 맞추는 공정과, 그 후, 프레스 가공에 의해 필터(53)의 개구 단부(63)를 내측으로 구부려 코킹하는 공정에 의해, 캡(51)과 고무 밸브체(12)는 필터(53)에 의해 고정된다. 이로써, 고무 밸브체(12)는 밸브 구멍(9)을 막는다. 이렇게 하여 밀봉판(52)은 완성된다.
그러나,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장착되고 있는 것과 같은 밀봉판은 다음과 같은 구조나 가공법을 갖는다. 즉, 필터의 절곡부에 대하여, 프레스에 의해 코킹력이 가해지고 있는 동안에, 필터의 개구 단부는 캡의 플랜지부를 확실히, 접촉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감싸안은 상태에 있다. 그러나, 프레스의 가압력이 제거된 후에, 필터의 절곡부의 스프링 백(spring back)으로 인하여, 캡의 플랜지부와 필터의 절곡부의 코킹 강도는 강고하지 않아, 안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접촉 압력 및 접촉 면적은 아주 작기 때문에, 캡의 플랜지부와 필터의 절곡부의 전기적인 접촉 저항이 작아, 안정되어 있지 않다. 특히, 원통형 전지의 외경이 φ8㎜보다도 작은 AAAA형 이하의 전지에 이용되는 밀봉판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갖는다.
또한, 밀봉판의 코킹부는 전지의 사용 중에, 온도 사이클이나 열충격을 받는다. 이러한 열충격이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등에 의해서, 필터부와 캡의 접촉 압력은 저하한다. 또한, 접촉부에 발생하는 산화피막 등에 의해, 전기적인 도통 상태는 불안정해진다. 이러한 요인에 의해, 전지로서의 내부 저항이 증대하여, 전지의 출력 전압이 저하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159074호 공보에 교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159074호 공보는 필터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접시 형상의 밀봉판에, 캡(51)을 끼워 맞추는 공정과, 그 후, 접시 형상 밀봉판의 개구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코킹하고, 캡과 밸브체(4)를 고정시키는 공정과, 또한, 접시 형상 밀봉판의 절곡부와 캡을 용접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이것에 의해, 밀봉판(11)의 전기적인 도통 상태를 보다 완전하게 하는 방법을 교시하고 있다.
상기한 접시 형상 밀봉판의 절곡부와 캡을 용접하는 공정을 갖는 방법에 의해, 필터부와 캡의 접합부의 전기 저항은 낮아지고, 신뢰성도 높아져,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전기적 도통 상태가 얻어질 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용접을 행하는 가공 방법은 프레스 가공 방법보다도 현저히 뒤떨어지는 생산성을 갖고, 또한, 높은 제조 비용을 갖는다. 또한, 용접에 의한 가공 방법은 녹 방지 대책 및 외관상, 상품 가치를 저하시킨다. 이와 같이, 용접을 행하는 가공 방법은 종합적인 판단에 의해,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지에 사용되는 밀봉판은 필터와 캡과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는 밸브 구멍과 상부 개구를 갖고,
상기 캡은 볼록 형상부와, 상기 볼록 형상부의 주위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필터의 상기 상부 개구의 개구단은 절곡부를 갖고,
상기 캡의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는 코킹에 의해 접합된 코킹부를 갖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단부의 표면과 이면이 상기 절곡부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코킹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캡과 상기 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 구멍을 덮어 설치되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외주단부의 표면과 상기 절곡부가 서로 (i) 강하게 접촉하는 강접촉 부분과 (ii) 약하게 접촉하는 약접촉 부분의 쌍방 접촉 상태를 갖고,
상기 코킹부에서의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캡과 상기 필터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본 발명의 전지는 전지 케이스, 양극, 음극, 전해 물질, 개스킷, 밀봉판을 구비하고,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과 상기 전해 물질은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전지 케이스는 개구를 갖고,
상기 밀봉판은 상기 전지 케이스를 밀폐하도록 상기 개스킷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기 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합되고,
상기 밀봉판은 필터와 캡과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는 밸브 구멍과 상부 개구를 갖고,
상기 캡은 볼록 형상부와, 상기 볼록 형상부의 주위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필터의 상기 상부 개구의 개구단은 절곡부를 갖고,
상기 캡의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는 코킹에 의해 접합된 코킹부를 갖고,
상기 캡과 상기 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 구멍을 덮어 설치되며,
상기 코킹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외주단부의 표면과 상기 절곡부가 서로 (i) 강하게 접촉하는 강접촉 부분과 (ii) 약하게 접촉하는 약접촉 부분의 쌍방 접촉 상태를 갖고,
상기 코킹부에서의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캡과 상기 필터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본 발명의 전지의 제조 방법은
(a) 전지 케이스 내에 양극과 음극과 전해 물질을 설치하는 공정,
(b) 밀봉판을 제조하는 공정,
(c) 상기 필터와 상기 양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정,
(d) 전기 절연성 개스킷을 통해, 상기 전지 케이스의 개구에 상기 밀봉판을 설치하여, 상기 개구를 밀폐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판을 제조하는 공정은
(1) 밸브 구멍과 상부 개구를 갖는 필터를 형성하는 공정,
(2) 상기 필터의 상기 상부 개구의 개구단을 절곡하여, 절곡부를 형성하는 공정,
(3) 볼록 형상부와, 상기 볼록 형상부의 주위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갖는 캡을 형성하는 공정,
(4) 상기 캡의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단부의 표면과 이면을 상기 절곡부의 내부에 위치시키면서, 상기 외주단과 상기 절곡부를 코킹 가공에 의해 접합하여, 코킹부를 형성하는 공정,
(5) 상기 캡과 상기 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밸브 구멍을 덮어 밸브체를 설치하는 공정
을 구비하여,
상기 코킹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외주단부의 표면과 상기 절곡부가 서로 (ⅰ) 강하게 접촉하는 강접촉 부분과 (ⅱ) 약하게 접촉하는 약접촉 부분의 쌍방 접촉 상태를 갖도록, 상기 코킹부에서의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를 접촉하여, 상기 캡과 상기 필터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공정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해, 전지용 밀봉판의 코킹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밀봉판을 구성하는 캡과 필터의 접합부에서의 전기 저항이 감소되어, 전기적 도통이 향상되어, 안정화된다. 그 결과, 전지 성능이 한층 향상되고 안정화가 도모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지용 밀봉판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b)는 그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지용 밀봉판을 사용한 전지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b)는 그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지용 밀봉판의 캡의 사시도이며, 각각의 캡은 플랜지부에 소돌기 또는 팽창을 가지며, 도 3(a)는 플랜지부에 가는 폭으로 래디얼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는 거의 균등한 높이의 팽창부를 마련한 캡을 나타내며, 도 3(b)는 플랜지부에 래디얼 방향으로 연장되는 산 형상의 팽창부를 마련한 캡을 나타내고, 도 3(c)는 플랜지와 동심의 원주 상에 복수의 원추형 소돌기를 마련한 캡을 나타내며, 도 3(d)는 플랜지의 최외주를 따라 낮은 테두리를 직각으로 구부려 올린 캡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지용 밀봉판의 사시도이며, 밀봉판의 외주코킹부의 위에서, 또한 국부적으로 강한 가압력이 가해져, 캡과 필터의 접촉 상태가 안정화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지용 밀봉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고, 프레스 금형에 의해, 밀봉판의 외주 코킹부의 위에서, 국부적으로 강한 가압력이 가해진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지용 밀봉판의 캡을 나타내며, 플랜지부는 팽창부를 갖고, 도 6(a)는 그 평면도이며, 도 6(b)는 그 정면 단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밀봉판의 코킹 높이와 내부 저항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측정 결과와, 종래 제품의 밀봉판의 측정 결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8은 종래의 밀봉판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면의 좌측 반은 외형을 나타내고, 우측 반은 단면을 나타낸다.
도 9는 종래의 밀봉판을 조립한 원통형 이차 전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종래의 다른 밀봉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종래의 또 다른 밀봉판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밀봉판을 구성하는 부재와 조립하기 직전의 각종 부재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12는 종래의 다른 밀봉판을 부착한 다른 원통형 이차 전지의 단면도를 나 타낸다.
본 발명의 전지에 사용되는 밀봉판은 필터와 캡과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는 밸브 구멍과 상부 개구를 갖고,
상기 캡은 볼록 형상부와, 상기 볼록 형상부의 주위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필터의 상기 상부 개구의 개구단은 절곡부를 갖고,
상기 캡의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는 코킹에 의해 접합된 코킹부를 갖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단부의 표면과 이면이 상기 절곡부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코킹함에 따라 형성되며,
상기 캡과 상기 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 구멍을 덮어 설치되며,
상기 코킹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외주단부의 표면과 상기 절곡부가 서로 (ⅰ) 강하게 접촉하는 강접촉 부분과 (ⅱ) 약하게 접촉하는 약접촉 부분의 쌍방 접촉 상태를 가지며,
상기 코킹부에서의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캡과 상기 필터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본 발명의 전지는 전지 케이스, 양극, 음극, 전해 물질, 개스킷, 밀봉판을 구비하여,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과 상기 전해 물질은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지 케이스는 개구를 갖고,
상기 밀봉판은 상기 전지 케이스를 밀폐하도록 상기 개스킷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기 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합되며,
상기 밀봉판은 전술한 밀봉판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전지의 제조 방법은
(a) 전지 케이스 내에 양극과 음극과 전해 물질을 설치하는 공정,
(b) 밀봉판을 제조하는 공정,
(c) 상기 필터와 상기 양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정,
(d) 전기 절연성 개스킷을 통해 상기 전지 케이스의 개구에 상기 밀봉판을 설치하여, 상기 개구를 밀폐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판을 제조하는 공정은
(1) 밸브 구멍과 상부 개구를 갖는 필터를 형성하는 공정,
(2) 상기 필터의 상기 상부 개구의 개구단을 구부려, 절곡부를 형성하는 공정,
(3) 볼록 형상부와, 상기 볼록 형상부의 주위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갖는 캡 을 형성하는 공정,
(4) 상기 캡의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단부의 표면과 이면을 상기 절곡부의 내부에 위치시키면서, 상기 외주단과 상기 절곡부를 코킹 가공에 의해 접합하여, 코킹부를 형성하는 공정,
(5) 상기 캡과 상기 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밸브 구멍을 덮어 밸브체를 설치하는 공정
을 구비하며,
상기 코킹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외주단부의 표면과 상기 절곡부가 서로 (ⅰ) 강하게 접촉하는 강접촉 부분과 (ⅱ) 약하게 접촉하는 약접촉 부분의 쌍방 접촉 상태를 갖도록, 상기 코킹부에서의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를 접촉하여, 상기 캡과 상기 필터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공정을 갖는다.
상기 캡과 필터 각각은 도전성 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또한, 전지 케이스는 도전성 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상기 밀봉판의 상기 볼록 형상부는 양극 단자부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한 각각의 구성에 의해, 전지용 밀봉판의 코킹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밀봉판을 구성하는 캡과 필터의 접합부에 있어서의 전기 저항이 감소되어, 안정화된다. 그 결과, 전지의 성능이 향상되어 안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외주단부는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 중 적어도 한 면으 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소돌기, 복수의 팽창부 또는 돌기된 외주 둘레를 갖고,
상기 강접촉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절곡부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약접촉부는 상기 절곡부와 상기 돌출부를 제외한 영역과의 접촉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접촉 부분과 상기 약접촉 부분 각각은 복수의 강접촉 부분과 복수의 약접촉 부분을 갖고,
상기 복수의 강접촉 부분과 복수의 약접촉 부분은 상기 캡의 원주 방향 또는 래디얼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볼록 형상부와 같은 쪽에 위치하는 상기 플랜지의 상기 외주단부의 상기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절곡부의 접촉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탄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와 상기 캡이 접촉된 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정상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상기 각각의 정상부는 상기 정상부를 제외한 영역보다도, 상기 필터의 상기 절곡부에 강한 접촉 압력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킹부는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를 일체로 돌출시키는 일체 돌출부를 갖고,
상기 외주단부가 상기 절곡부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의 상측으로부터 돌기 공구를 압착함으로써, 상기 일체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일체 돌출부는 상기 일체 돌출부를 제외한 영역보다도 강한 접촉 압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지용 밀봉판에서, 캡의 플랜지부의 볼록 형상부측의 표면에 미리 소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스 가공에 의해 필터의 개구 단부의 전면에 거의 균등하게 접촉하도록, 평평한 선단부를 갖는 프레스 금형에 의해 코킹 가공력을 가하는 경우에, 그 소돌기가 국부적으로 필터의 코킹부와 강하게 접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지용 밀봉판에서, 고의로 플랜지부의 볼록 형상부 측의 표면에 팽창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팽창은 플랜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이 탄성을 갖는 팽창으로 인해, 코킹부의 스프링 백에 의한 느슨함이 상쇄되기 때문에, 스프링 백에 의해 느슨함의 악영향이 완화된다. 즉, 밀봉판을 구성하는 부품 형상이 코킹 가공 전으로 변경되어 있다. 그리고, 코킹 가공 시, 캡과 필터의 접촉 압력이 국부적으로 높아진다. 그 결과, 밀봉판의 전기 적인 내부 저항이 특별히 감소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지용 밀봉판에 있어서, 코킹 가공을 하기 전의 밀봉판 형상은 종래와 동일하지만, 코킹 가공에 의해 형성된 코킹부의 구조가 종래와 다르다. 즉, 밀봉판의 코킹 공정 시에, 또는, 뒤이은 가공에서, 코킹부의 전체 둘레에 대하여 균등한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고, 국부적으로 강한 힘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필터의 개구 단부를 변형시킴에 따라, 고의로 국부적으로 강한 접촉 압력을 갖는 강접촉부와, 약한 접촉 압력을 가지는 약접촉부를 만든다. 그리고, 강접촉부에서 필터의 절곡부가 캡의 플랜지면에 국부적으로 파고든다.
또, 바람직하게는, 캡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소돌기 또는 팽창 등의 돌출부는 볼록 형상부측의 표면에 형성된다. 또한, 그 돌출부의 면적은 플랜지부의 총면적의 1/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밀봉판의 조립 완성 후의 치수가 안정되어, 특성이 안정된다. 이 구성에 의해, 필터의 코킹부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스프링백의 악영향이 완화된다. 그 때문에, 밀봉판의 필터와 캡 사이에, 양호하고 안정된 전기적인 도통 상태가 얻어진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양극 단자부인 캡과 필터의 접합부에서의 전기 저항이 감소하여 전기적 도통이 향상하고, 접촉 상태가 안정화되고, 그 결과, 안정된 전지 성능을 갖는 전지가 얻어진다.
(실시예 1)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의 전지용 밀봉판에 대 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지용 밀봉판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b)는 그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그 밀봉판을 사용한 전지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b)는 그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밀봉판(22)은 캡(11)과 필터(3)와 고무 밸브체(12)를 갖는다. 고무 밸브체(12)는 밸브체의 일례로서 사용된다. 필터(3)는 상면에 형성된 상부 개구와, 하면에 형성된 밸브 구멍(9)을 갖는다. 고무 밸브체(12)는 밸브 구멍(9)을 덮도록 밀봉판(22) 내에 설치되어 있다. 캡(11)은 필터(3)의 상부 개구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캡(11)은 중앙부에 형성된 볼록 형상부(6)와, 그 볼록 형상부(6)의 모든 주위에 설치된 플랜지부(14)를 갖는다. 가스 배출 구멍(10)이 플랜지부(14)에 형성되어 있다. 필터(3)는 접시 형상을 갖고, 그 필터(3)의 중앙부에 밸브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가스가 전지 내에 발생했을 때, 그 가스는 밸브 구멍(9)과 가스 배출 구멍(l0)을 통해 전지 밖으로 배출된다. 캡(11)과 필터(3)는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캡(11)의 플랜지(14)의 외주단부의 표면 또는 이면에 돌출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1)는 후술하는 복수의 소돌기(16), 복수의 팽창부(15) 및 외주단으로부터 돌출한 외주 둘레(17)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도 2(a)와 도 2(b)에서, 전지는 전지 케이스(1)와 전극군(26), 집전판(27), 밀봉판(11), 양극용 리드판(8), 개스킷(7)을 구비한다. 밀봉판(11)은 도 1에서 도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양극용 리드판(8)은 집전판(27)과 밀봉판(11)을 접속시킨다. 밀봉판(11)은 개스킷(7)을 통해, 전지 케이스의 개구에 설치되어 있다. 캡(11)에 형성된 볼록 형상부(6)는 전지의 양극용 출력 단자의 기능을 갖는다. 그 외의 밀봉판 및 전지의 구성은 상술한 종래의 밀봉판 및 종래의 전지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밀봉판에 구성되는 여러 예의 캡의 플랜지부 형상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d)에 있어서, 캡(11)은 플랜지부(14)와 볼록 형상부(6)를 갖는다. 플랜지부(14)는 볼록 형상부(6)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캡(l1)의 플랜지부(14)의 외주단부 표면 또는 이면에, 원추 형상 소돌기(16)와 국부적인 팽창부(15) 또는 외주 둘레(17) 등의 돌출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31)는 볼록 형상부(6)와 같은 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31)는 플랜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이 구성에서, 필터(3)의 절곡부 내에 플랜지부(14)의 외주단부를 위치시키면서 코킹 가공을 한다. 이에 의해, 돌출부(31)가 절곡부에 강하게 접촉한다. 플랜지부와 개구 단부(13)의 쌍방이, (ⅰ) 국부적으로 강하게 접촉하는 강접촉 부분과 (ⅱ) 약하게 접촉하는 약접촉 부분을 갖는다. 그 결과, 필터의 코킹부에 발생하는 스프링백의 악영향이 완화된다.
다음에, 이들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에서, 팽창부(15)가 플랜지부(14)에 형성되어 있다. 그 팽창부(15)는 볼록 형상부(6) 측으로 팽창되어 있다. 그 팽창부(15)는 캡의 축심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아, 래디얼 방향으로 연장되는 약 1㎜폭 및 , 약 O. 1㎜ 높이의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팽창부(15)는 플랜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다. 필터(3)의 상부 개구 단부와 캡(11)의 플랜지부(14)의 외주단부는 코킹부(13)를 형성한다. 필터(3)의 상부 개구 단부는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절곡부를 갖고, 플랜지부의 외주단부가 절곡부 내에 위치되면서, 코킹부가 코킹된다. 이렇게 하여, 필터의 외주단부와 캡(11)의 플랜지부(14)가 코킹 가공에 의해 접합된다. 코킹 가공의 공정에서, 플랜지부(14)의 팽창부(15) 부분이 필터(3)의 코킹부(13)에 팽창부(15)를 제외한 영역보다도 강하게 접촉된다.
또한, 팽창부는 플랜지면에 수직 방향의 탄성을 갖기 때문에, 코킹부(13)에 스프링백이 발생한 경우, 스프링백에 의한 코킹 가공의 느슨함이 상쇄된다. 그 때문에, 필터와 캡의 접촉 상태는 안정되며, 그 결과, 전기적인 접촉 저항이 낮아져 안정된다. 또한, 볼록 형상부(6)와 필터(3)의 내부에 수납된 고무 밸브체(12)의 길이도 안정되고, 그 결과, 밀봉판(22)으로서의 본래의 기능인 가스 방출 압력도 안정된다.
도 3(b)에 기재된 캡은 플랜지부에 형성된 팽창부(15)를 갖고, 그 팽창부(15)는 산 형상을 갖는다. 그 외의 형상은 상술한 도 3(a)의 형상과 동일하다. 팽창부(15)가 산 형상을 가짐에 따라, 팽창부(15)는 더욱 우수한 탄성을 발휘한다. 예컨대, 팽창부(l5)의 산 형상의 높이는 약 0.1㎜ 이며, 팽창부(15)의 경사진 폭이 약 1.5㎜이다. 이 형상을 갖는 팽창부(15)에 의해, 코킹부에 발생하는 스프링백에 의한 느슨함이 흡수되고, 그 결과, 전기적인 접촉 저항이 작아져 안정화된다.
도 3(c)에 기재된 캡은 플랜지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원추 형상 소돌기(16)를 갖는다. 그 소돌기(16)는 플랜지부(14)와 동심원 상에서, 플랜지부의 볼록 형상부(6)와 같은 쪽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원추형상 소돌기는 약 O.15㎜의 높이, 약 0.8㎜의 저변(底邊) 직경을 갖는다. 필터의 절곡부가 플랜지부(14)의 외주단부를 싸안도록 코킹했을 때에, 이 소돌기(16)의 정상부가 필터의 개구 단부에 강하게 접촉한다. 또는, 소돌기(16)의 정상부가 필터의 개구부로 파고든다. 이에 의해, 필터와 캡부가 전기적으로도 기계적으로도 안정한 접촉 상태를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돌기나 팽창부는 플랜지의 원주 방향 또는 래디얼 방향을 따라, 등간격인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돌기나 팽창부는 등간격인 4개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돌기나 팽창부는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캡과 필터가 안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팽창부나 소돌기의 형상, 위치, 개수 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도 3(d)에 기재된 캡은 플랜지(14)의 최외주부에 형성된 외주 둘레(17)를 갖는다. 외주 둘레(17)는 플랜지(14)의 전체 둘레에 걸쳐 균등한 낮은 높이를 갖고, 그 높이는, 예컨대, 약 0.15㎜이다. 외주 둘레(17)가 절곡부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코킹 가공된다. 이 코킹 가공에 의해, 외주 둘레(17)가 플랜지부에 강하게 접촉한다. 이 구성에 의해, 필터(3)의 절곡부가 플랜지부(14)의 외주단부를 싸안으면서 코킹했을 때, 코킹부(13)가 약간의 스프링백을 갖는 경우에도, 외주 둘레(17)에 의해 캡과 필터의 접촉 상태가 확보되어, 스프링 백의 악영향이 완화된다. 그 때문에, 강고하고 안정한 코킹이 가능해져, 필터와 캡부의 전기적인 접촉 저항이 낮게 안정된다.
도 1(b)와 도 2(b)는 돌출부(31)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의 팽창부(15), 소돌기(16), 외주 둘레(17) 중 팽창부(15)를 형성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의 밀봉판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4에서, 밀봉판(22)은 캡과 필터가 강하게 접촉하는 부분(24)과, 접촉 상태가 약한 부분을 갖는다. 이 밀봉판(22)은 (a) 종래의 캡과 마찬가지로, 볼록 형상부(6)의 주위 전체 둘레에 걸쳐 균등하게 평탄한 플랜지(14)를 갖는 캡을 제작하는 공정과, (b) 필터(3)의 절곡부 내에 플랜지부의 외주단부를 위치시키면서 캡과 필터를 코킹하는 공정과, (c) 그 후,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펀치 선단부의 수개소가 쐐기 형상으로 뾰족한 프레스 금형을 사용하여, 코킹부(13) 상에서 국부적으로 수개소를 가압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이 제조 방법에서, 고의로 캡과 필터가 강하게 접촉하는 부분(24)과, 접촉 상태가 약한 부분이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캡과 필터가 강하게 접촉하는 부분(24)에서, 절곡부가 플랜지부에 들어간 상태로 캡과 필터가 접합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밀봉판(22)의 가공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서, 일단, 코킹에 의해 조립된 밀봉판(22)이 프레스의 하부 틀(18)에 의해 지지된다. 밀봉판(22) 외주의 코킹 부분(13)에 대하여, 프레스 상부 틀(20)의 선단부 수개소가 쐐기 형상으로 뾰족한 부분(21)을 눌러, 국부적으로 강하게 가압한다. 이에 따라, 쐐기 형상의 선단부(21)를 밀봉판(22)에 파고들어 가게 함에 따라, 밀봉판(22)을 변형시킨다. 프레스 틀의 쐐기 형상부(21)는 돌기 공구의 일례로서 사용된다. 이것에 의해, 코킹부의 스프링 백에 의한 느슨함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캡(11)과 필터(3)의 접촉 상태가 완전해진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밀봉판에 사용되는 캡을, 실제로 양산하는 원통형 전지의 캡에 적용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며, 도 6(a)는 캡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6(b)는 정면의 단면을 나타내며, 도 6(c)는 플랜지부에 형성된 팽창부 형상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캡(11)은 볼록 형상부(6)와 플랜지(14)를 갖는다. 가스 배출 구멍(10)이 플랜지(14)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4)는 캡과 필터의 접촉면(23)을 갖는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50개의 캡을 판두께 0.3㎜의 SPC 강판을 이용하여 제작했다. 그리고, 각각의 캡을 사용하여 50개의 밀봉판을 제작했다. 이 경우, 필터의 판두께도 0.3㎜이다. 그 50개의 밀봉판 중 20개의 밀봉판에 대하여, 코킹부의 높이 H와, 그 밀봉판의 내부 저항 「R」을 측정했다.
한편, 비교예로서, 도 8에 도시되는 종래의 밀봉판도 제작하여, 코킹부의 높이「H」와, 그 밀봉판의 내부 저항「R」을 측정했다. 종래의 밀봉판은 팽창부를 가지지 않은 캡을 사용했다. 코킹부의 높이「H」는 팽창부의 중앙부 측정값을 나타낸다.
이들 측정 데이터를 그래프로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서, 본 실시예의 밀봉판의 내부 저항「R」은 종래 제품의 내부 저항보다도 작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밀봉판의 내부 저항「R」의 편차는 종래 제품의 내부 저항의 편차보다도 적다. 즉, 본 실시예의 밀봉판의 내부 저항「R」은 종래 제품보다도 안정하여, 낮은 저항치를 갖는다. 특히, 코킹 높이 H가 1㎜을 넘을 경우에도, 본 실시예의 밀봉판의 내부 저항「R」은 종래 제품보다도 비교적 안정되어 있다.
또한, 캡 및 필터의 판두께가 0.3㎜인 경우에는, 코킹부의 높이「H」는 0.98㎜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한 효과가 더욱 향상한다.
캡의 플랜지부와 필터의 접촉 상태는 강하게 접촉하는 강접촉 부분과 약하게 접촉하는 약접촉 부분을 갖는다. 강접촉 부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돌출부가 플랜지부에 형성되고, 그 돌출부와 필터가 강하게 접촉한다. 이에 따라, 플랜지부에 형성된 돌출부의 탄성에 의해 느슨함이 흡수된다. 또한, 플랜지부에 형성된 원추형 소돌기가 상대 부품으로서의 필터에 파고든다. 이에 의해, 코킹의 느슨함이나 접촉 상태의 불안정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캡과 필터의 전기적인 접촉 저항이 현저히 감소한다. 또한, 그 접촉 저항이 낮게 안정된다. 더욱이, 이와 같은 밀봉판을 조립한 이차 전지의 내부 저항은 낮아지고, 그 결과, 전지 특성이 향상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지 케이스 2 : 음극용 리드선
3 : 필터(접시 형상 밀봉판) 4 : 밸브체
5 : 보강판 6 : 볼록 형상부
7 : 개스킷 8 : 양극용 리드선
9 : 밸브 구멍 10 : 가스 배출 구멍
11 : 캡 12 : 고무 밸브체
13 : 코킹부(필터의 상부 개구 단부의 절곡부, 캡의 플랜지부의 외주단부)
14 : 플랜지 15 : 팽창부
16 : 소돌기 17 : 외주 둘레
18 : 프레스 하형 19 : 프레스 상하형 접촉면
20 : 프레스 상형 21 : 프레스 형의 쐐기 형상부
22 : 밀봉판 23 : 캡과 필터의 접촉면
24 : 국부적인 가압부 25 : 용접부
26 : 전극군 27 : 집전판
31 : 돌출부 H : 코킹부의 높이
R : 밀봉판의 내부저항

Claims (29)

  1. 전지에 사용되는 밀봉판으로서,
    상기 밀봉판은 필터와 캡과 밸브체를 구비하되,
    상기 필터는 밸브 구멍과 상부 개구를 갖고,
    상기 캡은 볼록 형상부와, 상기 볼록 형상부의 주위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필터의 상기 상부 개구의 개구단은 절곡부를 갖고,
    상기 캡의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는 코킹에 의해 접합된 코킹부를 갖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절곡부 내에 상기 외주단부를 위치시키면서, 상기 코킹부를 코킹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캡과 상기 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 구멍을 덮어 설치되며,
    상기 코킹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외주단부의 표면과 상기 절곡부가 서로 (ⅰ) 강하게 접촉하는 강접촉 부분과 (ⅱ) 약하게 접촉하는 약접촉 부분의 쌍방 접촉 상태를 갖고,
    상기 코킹부에서의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캡과 상기 필터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밀봉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접촉 부분과 상기 약접촉 부분은 복수의 강접촉 부분과 복수의 약접촉 부분을 갖고,
    복수의 강접촉 부분과 복수의 약접촉 부분 각각은 상기 캡의 원주 방향 또는 래디얼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밀봉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 설치된 양극과 음극, 전해 물질, 개스킷, 상기 밀봉판을 구비하며,
    상기 밀봉판은 상기 전지 케이스를 밀폐하도록 상기 개스킷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기 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밀봉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원통형이며,
    상기 전지 케이스는 원형의 개구를 갖고,
    상기 밀봉판은 상기 전지 케이스를 밀폐하도록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기 개 구에 설치되고,
    상기 캡은 가스 배출 구멍을 가지며,
    상기 필터는 상기 밸브체와 상기 캡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밀봉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외주단부는 표면과 이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소돌기, 복수의 팽창부 및 상기 플랜지의 표면으로부터 돌기하는 외주 둘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 밀봉판.
  6. 전지에 사용되는 밀봉판으로서,
    상기 밀봉판은 필터와 캡과 밸브체를 구비하되,
    상기 필터는 밸브 구멍과 상부 개구를 갖고,
    상기 캡은 볼록 형상부와, 상기 볼록 형상부의 주위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필터의 상기 상부 개구의 개구단은 절곡부를 갖고,
    상기 캡의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는 코킹에 의해 접합된 코킹부를 갖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절곡부 내에 상기 외주단부를 위치시키면서, 상기 코킹부를 코킹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캡과 상기 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 구멍을 덮어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의 상기 외주단부의 표면은 돌출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가 코킹되며,
    상기 강접촉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절곡부에 접촉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코킹부에서의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캡과 상기 필터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밀봉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소돌기, 복수의 팽창부 및 상기 외주단부의 표면으로부터 돌기하는 외주 둘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 밀봉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캡의 원주 방향 또는 래디얼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밀봉판.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볼록 형상부와 같은 쪽에 위치하는 상기 플랜지의 상기 외주단부의 상기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밀봉판.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절곡부의 접촉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탄성을 갖는 밀봉판.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 설치된 양극과 음극, 전해 물질, 개스킷, 상기 밀봉판을 구비하며,
    상기 전지 케이스는 원형의 개구를 갖고,
    상기 밀봉판은 상기 전지 케이스를 밀폐하도록 상기 개스킷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기 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밀봉판.
  12. 전지에 사용되는 밀봉판으로서,
    상기 밀봉판은 필터와 캡과 밸브체를 구비하되,
    상기 필터는 밸브 구멍과 상부 개구를 갖고,
    상기 캡은 볼록 형상부와, 상기 볼록 형상부의 주위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필터의 상기 상부 개구의 개구단은 절곡부를 갖고,
    상기 캡의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는 코킹에 의해 접합된 코킹부를 갖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절곡부 내에 상기 외주단부를 위치시키면서, 상기 코킹부를 코킹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캡과 상기 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 구멍을 덮어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의 상기 외주단부의 표면은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가 코킹되고,
    상기 코킹부에서의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캡과 상기 필터가 전기적으로 도통하며,
    상기 필터와 상기 캡의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정상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상기 각각의 정상부는 상기 정상부를 제외한 영역보다도, 상기 필터의 상기 절곡부에 강한 접촉 압력을 갖는 밀봉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소돌기, 복수의 팽창부 및 돌기하는 외주 둘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 밀봉판.
  14. 전지에 사용되는 밀봉판으로서,
    상기 밀봉판은 필터와 캡과 밸브체를 구비하되,
    상기 필터는 밸브 구멍과 상부 개구를 갖고,
    상기 캡은 볼록 형상부와, 상기 볼록 형상부의 주위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필터의 상기 상부 개구의 개구단은 절곡부를 갖고,
    상기 캡의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는 코킹에 의해 접합된 코킹부를 갖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절곡부 내에 상기 외주단부를 위치시키면서, 상기 코킹부를 코킹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캡과 상기 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 구멍을 덮어 설치되고,
    상기 코킹부에서의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캡과 상기 필터가 전기적으로 도통하며,
    상기 코킹부는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를 일체적으로 돌출시키는 일체 돌출부를 갖고,
    상기 외주단부가 상기 절곡부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의 상측으로부터 돌기 공구를 압착함으로써, 상기 일체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체 돌출부는 상기 일체 돌출부 이외의 영역보다도 강한 접촉 압력을 갖는 밀봉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 설치된 양극과 음극, 전해 물질, 개스킷, 상기 밀봉판을 구비하고,
    상기 전지 케이스는 원형의 개구를 갖고,
    상기 밀봉판은 상기 전지 케이스를 밀폐하도록 상기 개스킷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기 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밀봉판.
  16. 전지 케이스, 양극, 음극, 전해 물질, 개스킷, 밀봉판을 구비하되,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과 상기 전해 물질은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지 케이스는 개구를 갖고,
    상기 밀봉판은 상기 전지 케이스를 밀폐하도록 상기 개스킷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기 개구에 설치되고,
    필터는 상기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합되고,
    상기 밀봉판은 필터와 캡과 밸브체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는 밸브 구멍과 상부 개구를 갖고,
    상기 캡은 볼록 형상부와, 상기 볼록 형상부의 주위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필터의 상기 상부 개구의 개구단은 절곡부를 갖고,
    상기 캡의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는 코킹에 의해 접합된 코킹부를 갖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절곡부 내에 상기 외주단부를 위치시키면서, 상기 코킹부를 코킹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캡과 상기 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 구멍을 덮어 설치되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외주단부의 표면과 상기 절곡부가 서로 (ⅰ) 강하게 접촉하는 강접촉 부분과 (ⅱ) 약하게 접촉하는 약접촉 부분의 쌍방 접촉 상태를 갖고,
    상기 코킹부에서의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캡과 상기 필터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전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외주단부는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소돌기, 복수의 팽창부 및 돌기하는 외주 둘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고,
    상기 강접촉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절곡부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약접촉부는 상기 돌출부를 제외하는 영역과 상기 절곡부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전지.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접촉 부분과 상기 약접촉 부분 각각은 복수의 강접촉 부분과 복수의 약접촉 부분을 갖고,
    상기 복수의 강접촉 부분과 복수의 약접촉 부분은 상기 캡의 원주 방향 또는 래디얼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전지.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볼록 형상부와 같은 쪽에 위치하는 상기 플랜지의 상기 외주단부의 상기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지.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절곡부의 접촉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탄성을 갖는 전지.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상기 캡의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정상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상기 각각의 정상부는 상기 정상부를 제외하는 영역보다도 상기 필터의 상기 절곡부에 강한 접촉 압력을 갖는 전지.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는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를 일체적으로 돌출시키는 일체 돌출부를 갖고,
    상기 외주단부가 상기 절곡부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의 상측으로부터 돌기 공구를 압착함으로써, 상기 일체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체 돌출부는 상기 일체 돌출부 이외의 영역보다도 강한 접촉 압력을 갖는 전지.
  23. 전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전지 케이스 내에 양극과 음극과 전해 물질을 설치하는 공정,
    (b) 밀봉판을 제조하는 공정,
    (c) 상기 필터와 상기 양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정,
    (d) 전기 절연성 개스킷을 거쳐, 상기 전지 케이스의 개구에 상기 밀봉판을 설치하여, 상기 개구를 밀폐하는 공정
    을 포함하되,
    상기 밀봉판을 제조하는 공정은,
    (1) 밸브 구멍과 상부 개구를 갖는 필터를 형성하는 공정,
    (2) 상기 필터의 상기 상부 개구의 개구단을 구부려, 절곡부를 형성하는 공정,
    (3) 볼록 형상부와, 상기 볼록 형상부의 주위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갖는 캡을 형성하는 공정,
    (4) 상기 캡의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단부의 표면과 이면이 상기 절곡부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외주단과 상기 절곡부를 코킹 가공에 의해 접합하여, 코킹부를 형성하는 공정,
    (5) 상기 캡과 상기 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밸브 구멍을 덮어 밸브체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코킹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외주단부의 표면과 상기 절곡부가 서로 (ⅰ) 강하게 접촉하는 강접촉 부분과 (ⅱ) 약하게 접촉하는 약접촉 부분의 쌍방 접촉 상태를 갖도록, 상기 코킹부에서의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를 접촉하여, 상기 캡과 상기 필터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공정을 갖는 전지의 제조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외주단부에,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소돌기, 복수의 팽창부 및 돌기하는 외주 둘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고,
    상기 강접촉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절곡부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약접촉부는 상기 돌출부를 제외한 영역과 상기 절곡부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전지의 제조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접촉 부분과 상기 약접촉 부분 각각은 복수의 강접촉 부분과 복수의 약접촉 부분을 갖고,
    상기 복수의 강접촉 부분과 복수의 약접촉 부분은 상기 캡의 원주 방향 또는 래디얼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전지의 제조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볼록 형상부 측에 위치하는 상기 플랜지의 상기 외주단부의 상기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지의 제조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절곡부의 접촉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탄성을 갖는 전지의 제조 방법.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상기 캡의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정상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상기 각각의 정상부는 상기 정상부 이외의 영역보다도, 상기 필터의 상기 절곡부에 강한 접촉 압력을 유지하는 상태를 갖는 전지의 제조 방법.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캡의 상기 플랜지부의 표면과 이면이 상기 절곡부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절곡부의 상측으로부터 돌기 공구를 압착함으로써, 상기 외주단부와 상기 절곡부에 일체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이에 의해, 상기 일체 돌출부는 상기 일체 돌출부를 제외한 영역보다도 강한 접촉 압력을 갖는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017013773A 2000-02-28 2001-02-27 밀봉판, 그 밀봉판을 사용한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 KR100665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50611 2000-02-28
JP2000050611A JP3580213B2 (ja) 2000-02-28 2000-02-28 円筒形電池用封口板
PCT/JP2001/001457 WO2001063680A1 (en) 2000-02-28 2001-02-27 Sealing plate, cell using the seal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390A KR20020007390A (ko) 2002-01-26
KR100665447B1 true KR100665447B1 (ko) 2007-01-04

Family

ID=1857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773A KR100665447B1 (ko) 2000-02-28 2001-02-27 밀봉판, 그 밀봉판을 사용한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58217B1 (ko)
EP (1) EP1184915A4 (ko)
JP (1) JP3580213B2 (ko)
KR (1) KR100665447B1 (ko)
CN (1) CN1178310C (ko)
HK (1) HK1047503B (ko)
TW (1) TW497289B (ko)
WO (1) WO2001063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1113B2 (ja) * 2005-04-22 2012-06-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
KR100683042B1 (ko) 2005-09-27 2007-02-15 주식회사 비츠로셀 전지의 케이스
KR100947962B1 (ko) * 2008-03-17 2010-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전지
CN102197515A (zh) * 2009-05-19 2011-09-2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池和搭载该电池的车辆以及设备
TWI411150B (zh) * 2010-08-06 2013-10-01 Au Optronics Corp 電池檢知系統及其電池模組
KR101763980B1 (ko) 2013-08-30 2017-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실링 툴
BR112017006915A2 (pt) 2014-10-06 2017-12-12 Eos Energy Storage Llc célula eletroquímica de haleto de zinco
DE102015208544A1 (de) * 2015-05-07 2016-11-10 Trelleborg Sealing Solutions Germany Gmbh Gehäuse mit Überdrucksicherung
JPWO2017073027A1 (ja) * 2015-10-30 2018-08-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円筒形電池用封口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円筒形電池
US10892524B2 (en) 2016-03-29 2021-01-12 Eos Energy Storage, Llc Electrolyte for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US11799158B2 (en) * 2020-12-29 2023-10-24 Zhuhai Zhi Li Battery Co., Ltd. Top plate for laser welded lithium-ion button cell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9557A (ja) * 1984-01-09 1984-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形電池
JPS60118867U (ja) * 1984-01-19 1985-08-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の安全弁装置
JPS61114466A (ja) * 1984-07-24 1986-06-02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円筒状電池の封口部品組立装置
WO1996013873A1 (fr) * 1994-10-27 1996-05-09 Fuji Photo Film Co., Ltd. Cellule secondaire non aqueus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3158946B2 (ja) * 1995-04-04 2001-04-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3171057B2 (ja) * 1995-06-09 2001-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電池
JPH09237619A (ja) * 1996-02-28 1997-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電池用安全弁装置
JPH10159074A (ja) 1996-11-27 1998-06-16 Fujita Corp 開削工法における地下構造物の施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7503A1 (en) 2003-02-21
JP3580213B2 (ja) 2004-10-20
US7858217B1 (en) 2010-12-28
CN1178310C (zh) 2004-12-01
JP2001243929A (ja) 2001-09-07
KR20020007390A (ko) 2002-01-26
EP1184915A1 (en) 2002-03-06
TW497289B (en) 2002-08-01
WO2001063680A1 (en) 2001-08-30
CN1363119A (zh) 2002-08-07
EP1184915A4 (en) 2007-03-21
HK1047503B (zh)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5290A (en) Secondary cell safety device including pressure release mechanism and current cutoff mechanism
US6599660B2 (en)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0718386B1 (ko) 밀봉된 장방형 축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665447B1 (ko) 밀봉판, 그 밀봉판을 사용한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
JP4020590B2 (ja) 集電リード、これを用いた蓄電池の製造方法
KR100917742B1 (ko) 원통형 이차전지
US20050048365A1 (en)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339951B2 (ja) 二次電池のキャップアセンブリ
EP1211740B1 (en) Prismatic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248470B1 (en) Pressure sensitive ciruit breaker
KR20170039894A (ko) 이차 전지
JP4368113B2 (ja) 電池
JP3574772B2 (ja) 円筒形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38115B1 (ko) 원통형 축전지
US6979514B2 (en) Collector used for an alkali storage battery
JP4373049B2 (ja) 蓄電池
EP3293797B1 (en) Cylindrical alkaline secondary battery
JP4090167B2 (ja) 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51829B2 (ja)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51814B2 (ja) 扁平型二次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KR102601042B1 (ko) 원통형 이차전지
CN111699569B (zh) 二次电池的顶盖、二次电池和制造二次电池的方法
JP2000306789A (ja) 保安機構を備えたケース入りコンデンサとその製造方法
CN218482372U (zh) 二次电池极柱组件及二次电池顶盖
JP2970442B2 (ja) 薄型電池用防爆封口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