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357B1 - 과일 이송용 드럼 내장형 과일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과일 이송용 드럼 내장형 과일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357B1
KR100665357B1 KR1020050004529A KR20050004529A KR100665357B1 KR 100665357 B1 KR100665357 B1 KR 100665357B1 KR 1020050004529 A KR1020050004529 A KR 1020050004529A KR 20050004529 A KR20050004529 A KR 20050004529A KR 100665357 B1 KR100665357 B1 KR 100665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drum
vending machine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648A (ko
Inventor
김승열
Original Assignee
김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열 filed Critical 김승열
Priority to KR1020050004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357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07F11/5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vertical axes
    • G07F11/5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vertical axe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oth rotating and moving axi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과 또는 배와 같은 과일을 일정한 크기로 선별하여 함에 보관하고, 캔을 선택하여 출력하듯이 과일을 선택하여 출력토록 하는 과일 이송용 드럼 내장형 과일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과일을 저장하고 하단부의 호퍼형 개구부를 통해 과일을 하부로 배출하는 과일 저장통과; 상기 과일 저장통의 개구부에 밀착 설치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홈을 통해 과일을 임시저장하는 원통형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동하기 위한 동력장치와, 상기 동력장치와 드럼을 연결하여 일정한 속도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과일 이송부와; 상기 원통형 드럼의 하단에 위치하여 드럼의 홈으로부터 떨어지는 과일을 담아 외부에서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과일 배출 용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며;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서 과일 자동 판매기를 제작토록 하여 사과 또는 배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과일, 사과, 배, 자동, 판매기, 드럼, 체인, 모터

Description

과일 이송용 드럼 내장형 과일 자동 판매기{Automatic Selling Mechine of Fruit}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동 판매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드럼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로 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과일 10: 과일 저장통
20: 원통형 드럼 21: 과일 저장홈
22: 완곡부 30: 모터
40: 체인 50: 과일 배출 용기
60: 완충 스프링 70: 터치센서
80: 제어부 100: 케이스
110: 지폐 투입구 120: 동전 반환구
130: 상품 선택기 140: 과일 배출구
본 발명은 과일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과 또는 배와 같은 과일을 일정한 크기로 선별하여 함에 보관하고, 캔을 선택하여 출력하듯이 과일을 선택하여 출력토록 하는 과일 이송용 드럼 내장형 과일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전 투입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 판매기로 소프트 드링크와 같은 음료수를 판매하는 방법은 당 분야에서는 이미 공지된 것이다.
또한, 동전 투입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 판매기는 캔디, 포테이토칩이나 팝콘과 같은 스낵 식품류, 또는 샌드위치 등과 같이 포장된 식품을 판매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스낵 식품 분야에 있어서, 콘칩, 치즈 스낵 등과 같이 소금기가 있는 스낵류 제품의 포장에는 통상 유연한 포장용 필름으로 만들어진 봉지나 보드지로 만들어진 캔 형태의 용기가 사용된다.
종래에는 여러개의 자동 판매기가 역 대합실 또는 스낵 바아 같은 공공 장소에 함께 놓여있는 경우가 흔했다. 자동 판매기에는 여러 종류의 음료수, 스낵, 캔디 등이 들어있으며 이들이 판매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과일이 자동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경우는 없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시장이 문을 닫게 되면 과일을 구입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사과나 배와 같은 과일을 특별한 판매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동판매기가 놓이는 공간이면 어디서든지 구입할 수 있는 과일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열고 닫는 도어와, 화폐를 투입하는 화폐 투입부와, 상품을 선택하는 선택버튼을 구비하는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과일을 저장하고 하단부의 호퍼형 개구부를 통해 과일을 하부로 배출하는 과일 저장통과; 상기 과일 저장통의 개구부에 밀착 설치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홈을 통해 과일을 임시저장하는 원통형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동하기 위한 동력장치와, 상기 동력장치와 드럼을 연결하여 일정한 속도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과일 이송부와; 상기 원통형 드럼의 하단에 위치하여 드럼의 홈으로부터 떨어지는 과일을 담아 외부에서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과일 배출 용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드럼에 형성되는 과일 저장홈은 사선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과일 저장홈의 일측에는 호퍼에 남아 있는 과일이 홈에 걸리지 않고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완곡부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과일 배출 용기의 하단에는 과일의 떨어지는 충격을 보완하기 위한 완충 스프링을 더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과일 배출 용기의 유동을 센싱하기 위한 터치센서를 과일 배출 용기의 하단에 설치하고; 상기 터치센서의 출력에 따라 과일의 갯수를 카운트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갯수만큼 과일이 공급되도록 모터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동 판매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드럼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로 구성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자동 판매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의 외벽면에 각각 형성되어지는 지폐 투입구(110)와 동전 반환구(120)와 상품 선택기(130)와 과일 배출구(140)등이 설치되어 진다.
상기 과일 자동 판매기의 외관은 다른 자동 판매기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과일 자동 판매기 사용시에 별다른 지식이 필요없이 일반적인 캔이나 커피를 뽑아 먹듯이 사용하면 된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선택 상품이 기존의 자판기와는 달리 사과나 배 등 과일이라는 점이며, 따라서 상품 선택코너에는 이러한 상품과 가격이 지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내부는 크게 과일 저장통(10)과, 과일 이송부와, 과일 배출용기(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과일 저장통(10)은 케이스(100)와 밀접한 사각 형태로서 되도록 과일을 많이 담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과일 저장통(10)은 일반 자동 판매기의 캔 저장통과는 구조적으로 매우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즉, 일반 자판기의 캔 저장통은 캔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렬되어 있는 구조이나, 본 발명의 과일 저장통은 과일이 무작위로 저장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로 하게 되면 과일을 각각 구분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으므로 되도록 많은 과일이 담겨질 수 있다.
그리고, 과일 저장통(10)의 상부는 사각 형상이고, 개구부에서는 그 입구가 좁혀들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경사면(11, 12)을 형성하여 과일 저장통(10)에 담겨지는 과일이 중력작용에 의하여 경사면(10a)을 타고 자연스럽게 개구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개구부는 호퍼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2)를 통해 과일(1)이 출력되면 이를 배출구쪽으로 이송해야 하는바,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과일 이송부를 설치한다.
상기 과일 이송부는 크게 과일을 임시저장하는 원통형 드럼(20)과, 상기 드럼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30) 및, 상기 드럼(20)과 동력전달장치(3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형 드럼(20)은 과일을 임시저장후 회전하여 중력에 따른 하강에 의해 과일배출 용기(50)로 배출토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홈(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과일저장홈(21)에 과일을 담아 이송토록 한다.
상기 과일저장홈(21)은 드럼(20) 외주연에 사선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일직선상으로 홈을 배열하게 되면 과일이 한꺼번에 출력될 수 있고, 또한 원하는 출력갯수를 조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즉, 본원발명에서와 같이 과일저장홈(21)을 사선방향으로 배열하게 되면 일정한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기 때문에 과일이 차례로 담겨지는 효과가 있어 원하는 갯수의 과일을 과일배출 용기(50)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과일저장홈(21)은 과일이 내부로 쏙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깊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드럼(20)이 회전중에 완전히 아래방향으로 내려왔을 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에 과일저장홈(21)이 깊이가 얇게 형성되면 과일이 밑으로 내려오기 전에 배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때에는 드럼(20)과 과일배출 용기(50)의 많은 높이 차이로 과일(1)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원하는 갯수의 과일 제공이 어렵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과일(1)이 드럼(20)의 홈(21)에 완전히 잠기도록 설계하여 원하는 지점에서 배출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일홈(21)의 일측에 완만하게 절곡된 완곡부(22)를 형성하고 있는바, 상기 완곡부(22)는 다른 과일을 자연스럽게 배재하여 상처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완곡부(22)를 두지 않고 홈(21)의 형태만을 유지하게 되면 홈(21)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는 다른 과일의 표피가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과일홈(21)의 일측에 완곡부(22)를 두어 이미 과일(1)이 채워진 상태에서 다른 과일이 홈(21)에 살짝 걸쳐질 경우 상기 완곡부(22)를 통해 부드럽게 밀려나가기 때문에 과일(1)의 표피가 손상되지 않고 배제된다.
상기 원통형 드럼(20)의 재질로는 합성수지재나 철판등 다양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며, 위생상태를 예상하여 적절한 재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통형 드럼(20)의 내부는 중량의 부담을 덜기 위해 빈 공간부로 형성하고, 양측 외주연에는 스프라켓(23)을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원통형 드럼(2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로서는 스테핑 모터(30) 등이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상기 모터(30)와 드럼(20)을 연결하는 수단 으로는 브이벨트나 체인등 여러가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드럼의 정밀한 유동 제어를 위해서는 체인(40)이 바람직하다.
즉, 실질적으로는 모터(30) 및 스프라켓(23)이 체인(40)과 맞물려 있어, 모터(30)를 움직여 체인(40)을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스크라켓(23)이 회전하면서 원통형 드럼(20)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일 배출 용기의 하단에는 완충 스프링(60)이 설치되어 있어 원통형 드럼(20)으로부터 공급되는 과일(1)의 손상을 최소화토록 하며, 또한 과일 배출 용기(50)의 하단에 터치센서(70)가 부착되어 과일이 떨어질 때 발생하는 중력에 따라 터치되면서 과일의 갯수를 카운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부(80)는 상기 터치센서(70)의 정보량에 따라 과일을 카운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갯수만큼 드럼이 과일(1)을 이송토록 모터(3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본원 발명의 도면에서는 일개의 케이스에 다수개의 과일(1)을 자동 판매하더라도 모두 동일한 원리이기 때문에 1개의 이송 시스템과 일개 종류의 과일이 담겨 있는 것만을 예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냉각장치를 설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통상의 자동판매기에 응용되는 캔 상품과는 달리 별도로 냉기를 불어넣어 주지 않아도 상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본 발명은 가장 단순한 구조로서 과일을 이송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과일 자동 판매를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되고, 아울러 다량의 과일을 과일 저장통에 담아 놓고 판매할 수 있어 마진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서 과일 자동 판매기를 제작토록 하여 사과 또는 배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발명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은 포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Claims (5)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열고 닫는 도어와, 화폐를 투입하는 화폐 투입부와, 상품을 선택하는 선택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과일을 저장하고 하단부의 호퍼형 개구부를 통해 과일을 하부로 배출하는 과일 저장통과;
    상기 과일 저장통의 개구부에 밀착 설치되며 외주연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홈을 형성하여 과일을 임시저장후 배출하는 원통형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동하기 위한 동력장치와, 상기 동력장치와 드럼을 연결하여 일정한 속도로 드럼을 회전시켜 과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과일 이송부와;
    상기 원통형 드럼의 하단에 위치하여 드럼의 홈으로부터 떨어지는 과일을 담아 외부에서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과일 배출 용기를 포함하는 과일 이송용 드럼 내장형 과일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형성되는 과일 저장홈은 사선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이송용 드럼 내장형 과일 자동 판매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저장홈의 일측에는 호퍼에 남아 있는 과일이 홈에 걸리지 않고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완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이송용 드럼 내장형 과일 자동 판매기.
  4. 삭제
  5. 삭제
KR1020050004529A 2005-01-18 2005-01-18 과일 이송용 드럼 내장형 과일 자동 판매기 KR10066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529A KR100665357B1 (ko) 2005-01-18 2005-01-18 과일 이송용 드럼 내장형 과일 자동 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529A KR100665357B1 (ko) 2005-01-18 2005-01-18 과일 이송용 드럼 내장형 과일 자동 판매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525U Division KR200380843Y1 (ko) 2005-01-18 2005-01-18 과일 이송용 드럼 내장형 과일 자동 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648A KR20060083648A (ko) 2006-07-21
KR100665357B1 true KR100665357B1 (ko) 2007-01-09

Family

ID=3717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529A KR100665357B1 (ko) 2005-01-18 2005-01-18 과일 이송용 드럼 내장형 과일 자동 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1989A (zh) * 2014-10-23 2015-02-04 新华新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水果自动贩卖机
CN109279253A (zh) * 2018-11-02 2019-01-29 上海芯哲微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键合劈刀自取选取存储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648A (ko) 200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3620A (en) Co-dispensing snack food products and beverages from a vending machine
US5564594A (en) Automatic hot food dispenser using one or more microwave ovens
CN110264630B (zh) 一种可视化自助水果专卖机
KR20100094559A (ko) 낱개 상품을 계량하고 공급하기 위한 자동화 기기
CN107195096A (zh) 自动售卖系统
US6722267B2 (en) Device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food products, such as food products to be cut into slices
CN105101849A (zh) 定制包装中心和用于该定制包装中心中的包装
KR100665357B1 (ko) 과일 이송용 드럼 내장형 과일 자동 판매기
EP2488425B1 (en) A device for dispensing granular food products and an insert to be inserted in a device for dispensing granular food products
KR100321879B1 (ko) 용기에 스낵을 충전하는 방법 및 충전장치
KR20060069407A (ko) 신선과일 자동판매기
KR200380843Y1 (ko) 과일 이송용 드럼 내장형 과일 자동 판매기
KR101341528B1 (ko) 식품 자판기
US6702151B1 (en) Modular bulk display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US1993451A (en) Display and stock rack
US6701974B2 (en) Automated nugget dispenser
KR200290650Y1 (ko) 과일 자동 판매기
KR200295140Y1 (ko) 과일 자동 판매기
KR101016433B1 (ko) 일회용 포장식품 자동판매기
KR20080003569U (ko) 과일자동판매기
JP2004164550A (ja) 自動販売機
KR102114945B1 (ko) 아이스 파우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28896Y1 (ko) 과일 자동판매기
KR200175722Y1 (ko) 팝콘 자동판매기
US3250431A (en)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