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301B1 - 건축물의 층간소음 억지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층간소음 억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301B1
KR100664301B1 KR1020060033947A KR20060033947A KR100664301B1 KR 100664301 B1 KR100664301 B1 KR 100664301B1 KR 1020060033947 A KR1020060033947 A KR 1020060033947A KR 20060033947 A KR20060033947 A KR 20060033947A KR 100664301 B1 KR100664301 B1 KR 100664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pport frame
floor
pist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수
Original Assignee
(주)건축사사무소청남씨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축사사무소청남씨앤 filed Critical (주)건축사사무소청남씨앤
Priority to KR1020060033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의 건물을 건축함에 있어, 층간소음을 최소화하는 층간소음 억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중공을 갖는 바아형상의 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양측면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하는 측면홈을 갖고 상면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하는 다수의 홈이 일렬로 배치된 본체와, 상기 측면홈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탄성을 갖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푸싱부재와, 상기 홈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탄성을 갖는 피스톤과, 상기 중공에 주입되어 상기 푸싱부재와 피스톤에 내압을 전달하는 완충젤, 및 상기 피스톤 상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강철재질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감진기구가; 상층의 바닥과 하층의 벽체 사이 위치인 상기 벽체 상에 상기 감진기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되되, 상기 벽체의 좌우 양단에 위치한 기둥에 상기 감진기구의 양측면이 맞물리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기둥사이에 탄성재질의 패드가 끼워지며; 상층의 바닥을 구성하는 지지골조의 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안착 지지되는 한편; 상기 감진기구가 위치한 벽체의 빈공간은 커버를 씌워 평평한 외면을 갖는 벽체가 시각적으로 연장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층간소음 억지구조{Preventing structure of noise in the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억지구조에 구성되는 감진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감진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억지구조가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100' ; 감진기구 110 ; 본체
111 ; 홈 112 ; 측면홈
120 ; 푸싱부재 121 ; 완충부
130 ; 피스톤 140 ; 지지프레임
150 ; 완충젤 160 ; 패드
200 ; 기둥 300 ; 커버
400 ; 벽체 500 ; 지지골조
본 발명은 다층의 건물을 건축함에 있어, 층간소음을 최소화하는 층간소음 억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층간소음은 다층건물이 건축 되면서부터 발생한 문제이다. 즉, 상층에서 발생하는 충격은 상층바닥과 벽면을 통해 하층으로 전달될 수 밖에 없어, 하층에 사는 사람은 상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소음으로 느껴 고통을 받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층간소음은 상층과 하층을 구획하는 바닥을 두껍게 하면서 완충을 위한 탄성층을 추가하여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 바닥을 이루는 건축자재의 소비가 증가함과 더불어, 바닥의 하중 증가로 건물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조체가 추가되어야 한다.
결국, 이러한 방법으로는 건축비용의 증가만을 낳을 뿐 실효성이 없었다.
따라서, 층간소음을 줄이면서도 자제의 투입을 줄여 보다 경제적인 해결방법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해결방법은 바닥에 완충층을 두어, 상층에서 발생한 충격이 바닥을 통과할 때 상기 완충층으로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바닥을 통해 상층의 소음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어느 정도 막을 수는 있으나, 상기 바닥과 이어지는 벽면으로 그 진동이 전달된 후 하층으로 전이되는 것은 막지 못하여 소음 방지효과가 크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닥을 통한 진동이 벽면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막아, 종래 완충층과 더불어 상하층 간의 층간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억지구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을 갖는 바아형상의 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양측면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하는 측면홈을 갖고 상면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하는 다수의 홈이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홈에는 중공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측면홈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탄성을 갖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푸싱부재와, 상기 홈 및 가이드를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재질의 피스톤과, 상기 중공에 주입되어 상기 푸싱부재와 피스톤에 내압을 전달하는 완충젤, 및 상기 피스톤 상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강철재질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감진기구가;
상층의 바닥과 하층의 벽체 사이 위치인 상기 벽체 상에 상기 감진기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되되, 상기 벽체의 좌우 양단에 위치한 기둥에 상기 감진기구의 양측면이 맞물리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기둥사이에 탄성재질의 패드가 끼워지며;
상층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아형태를 한 다수 개의 지지골조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골조의 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안착 지지되는 한편;
상기 감진기구가 위치한 벽체의 빈공간은 커버를 씌워 평평한 외면을 갖는 벽체가 시각적으로 연장되도록 된 건축물의 층간소음 억지구조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억지구조에 구성되는 감진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감진기구의 단면도이고, ㅍ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억지구조가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억지구조는 감진기구(100)를 벽체(400)에 적층한 후, 바닥을 구성하는 지지골조(500)를 얹는 것으로서, 상기 감진기구(100)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이룬다.
상기 감진기구(100)는, 벽체(400)의 상면에 수평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될 수 있는 긴 바아형상을 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상에 안착되는 지지프레임(140)과,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본체(110)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프레임(140)을 지지하는 피스톤(130)을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10)는 중공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통으로,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홈(11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중공을 통해 상기 홈(111)과 연통하는 측면홈(1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측면홈(112)은 푸싱부재(120)에 의해 폐구되는데, 상기 푸싱부재(120)는 중공의 압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계속해서, 상기 홈(111)은 상기 피스톤(130)에 의해 폐구된다. 이때도 역시, 상기 피스톤(130)은 푸싱부재(120)와 같이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런데, 상기 중공에는 완충젤(150)이 공극없이 주입된다. 즉, 상기 피스 톤(130) 중 하나가 상하이동하면 이로 인해 발생한 내압이 완충젤(150)을 통해 다른 피스톤 및 푸싱부재(120)로 전달되면서, 다른 피스톤 및 푸싱부재가 힘을 받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충젤(150)은 물이나 오일이 될 수도 있을 것이나, 공극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밀도가 크고, 유출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점성이 있는 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기 피스톤(130) 상에는 지지프레임(140)이 조적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벽체(400)의 하중을 받아 균일하게 분산시키면서 상기 지지골조(500) 또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체로 된 강철바아로, 상층에서 발생한 진동을 지지프레임(140) 전체로 분산시킴으로서 저면에 밀착 지지하고 있는 다수개의 피스톤(130)으로 분산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피스톤(130)은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10) 내에 주입된 완충젤(150)이 상기 홈(111)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동일한 이유로서, 상기 푸싱부재(120) 또한 상기 피스톤(130)과 유사한 재질로 된 완충부(121)를 두어 상기 측면홈(112)을 통한 완충젤(150)의 유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상면으로부터 받는 힘에 대한 지지효율이 큰 "I" 형 강빔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벽체(400) 상에 안착되는 감진기구(100)가 상기 벽체(400)를 대신하여 상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지탱해야 하므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진기구(100)는 바닥의 하중 또한 지지해야 하므로, 상술한 강빔인 것이 유리할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상기 피스톤(130)에 의해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본체(110)의 상면과는 소정의 간격이 생기도록 안착한다.
즉, 지지프레임(140) 상에 발생한 진동이 지지프레임(140)으로 전달되면 상기 진동에 의해 지지프레임(140)이 떨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본체(110)에 간격을 둠으로써 지지프레임(140)의 떨림이 본체(110)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결국, 하층 벽체(400)는 상층에서 발생한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지지프레임(140) 상에 발생한 진동은 탄성재질의 피스톤(130)을 통해 완충젤(150)로 전달되어 소멸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진기구(100)는 상층의 바닥과 하층의 벽체(400)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바닥과 상층의 벽체에 각각 발생한 진동을 흡수한다. 일반적으로, 건축은 기둥(200)을 기본적인 지지체로 두고, 벽체(400)와 바닥을 구성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소음 억지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층의 바닥을 이루는 지지골조(500)가 상기 감진기구(100) 상에 안착되어서, 바닥에 발생한 충격을 감진기구(100)가 직접 흡수하도록 한다.
상술한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억지구조는 기둥(200)을 세우고 벽체(400)를 이루면서 일정 높이에서는 상기 감진기구(100)를 벽체(400)의 상면에 안착한다. 이때, 상기 감진기구(100)가 위치하는 높이만큼 벽체(400)의 높이 를 제외시켜 상기 감진기구(100)로 부족한 높이를 채운 후, 상기 바닥을 이루는 지지골조(500)의 단부를 안착시켜서 바닥이 받는 압력을 상기 감진기구(100)에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상기 감진기구(100)는 상층의 바닥과 상층의 벽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하층으로 전달되는 양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층간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기둥(200)이 접하는 곳은 탄성을 갖는 패드(160)를 끼워 지지프레임(140)에 형성된 떨림이 기둥(200)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상기 푸싱부재(120)는 탄성을 갖는 완충부(121)가 측면홈(112)으로 삽입되어 완충젤(150)의 진동을 흡수하는 한편, 삽입되지 않은 푸싱부재(120)의 남은 부분은 기둥(200)에 밀착시켜서, 상기 본체(110)와 기둥(200)과의 직접적인 접촉은 피하도록 한다.
상기 감진기구(100)가 벽체(400)를 대신하여 일정 공간을 점유하면, 시각적으로 외부에 드러나게 된다. 이는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상기 감진기구(100)가 위치한 상기 벽체(400)의 소정위치에는 감진기구(100)를 가려 보이지 않도록 하는 커버(300)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300)는 벽체(400)의 외면을 일정하게 하여 벽지 또는 각종 외장재를 부착하는데 있어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한다.
미 설명한 인출번호 "113"은 가이드로, 상기 피스톤(130)이 삽입된 홈(111)에서 피스톤(130)의 왕복운동이 유연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본체(110) 에 주입된 완충젤(150)이 상기 홈(111)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막는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층 바닥과 벽체에서 소음을 일으킬 수 있는 진동이 발생할 경우, 상기 진동이 벽체를 타고 하층에 전달되는 것을 막아 층간소음의 확산을 줄일 수 있어, 다층 건물에서도 조용한 실내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중공을 갖는 바아형상의 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양측면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하는 측면홈을 갖고 상면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하는 다수의 홈이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홈에는 중공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측면홈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탄성을 갖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푸싱부재와, 상기 홈 및 가이드를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재질의 피스톤과, 상기 중공에 주입되어 상기 푸싱부재와 피스톤에 내압을 전달하는 완충젤, 및 상기 피스톤 상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강철재질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감진기구가;
    상층의 바닥과 하층의 벽체 사이 위치인 상기 벽체 상에 상기 감진기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되되, 상기 벽체의 좌우 양단에 위치한 기둥에 상기 감진기구의 양측면이 맞물리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기둥사이에 탄성재질의 패드가 끼워지며;
    상층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아형태를 한 다수 개의 지지골조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골조의 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안착 지지되는 한편;
    상기 감진기구가 위치한 벽체의 빈공간은 커버를 씌워 평평한 외면을 갖는 벽체가 시각적으로 연장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억지구조.
KR1020060033947A 2006-04-14 2006-04-14 건축물의 층간소음 억지구조 KR100664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947A KR100664301B1 (ko) 2006-04-14 2006-04-14 건축물의 층간소음 억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947A KR100664301B1 (ko) 2006-04-14 2006-04-14 건축물의 층간소음 억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301B1 true KR100664301B1 (ko) 2007-01-02

Family

ID=3786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947A KR100664301B1 (ko) 2006-04-14 2006-04-14 건축물의 층간소음 억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3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3375A (ja) 1998-04-21 1999-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音床構造
JP2002106632A (ja) 2000-09-28 2002-04-10 Mitsubishi Heavy Ind Ltd 免震装置及び免震構造体
JP2004069067A (ja) 2003-08-01 2004-03-04 Toshiba Corp 免震装置
KR100564796B1 (ko) 2003-04-23 2006-03-28 함의신 충격흡수 및 쿠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3375A (ja) 1998-04-21 1999-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音床構造
JP2002106632A (ja) 2000-09-28 2002-04-10 Mitsubishi Heavy Ind Ltd 免震装置及び免震構造体
KR100564796B1 (ko) 2003-04-23 2006-03-28 함의신 충격흡수 및 쿠션장치
JP2004069067A (ja) 2003-08-01 2004-03-04 Toshiba Corp 免震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737B1 (ko) 건축 구조물의 내진보강 복합장치 및 내진 보강구조
CN110344511B (zh) 一种抗震效果好的房建框架结构
KR20190112346A (ko) 지진파에 대한 저항성이 개선된 커튼월 장치
CN108005249B (zh) 楼房首层柱顶隔震的隔震层限位保护装置
KR100664301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억지구조
US5444195A (en) Sound insulating device
KR101824318B1 (ko) 광대역 건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동조액체감쇠기 삽입형 중공슬래브 및 이에 포함되는 중공부재
KR102344623B1 (ko) 알루미늄 데크패널
KR101855586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
KR20090035125A (ko) 건물의 바닥의 형성을 위한 모듈화된 바닥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건물의 바닥시공방법
KR101055360B1 (ko) 소음저감용 돌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 구조물
JP6799294B2 (ja) 床防振装置
KR101902211B1 (ko) 개량형 층간소음방진구 및 이를 이용한 방진구조
KR102199146B1 (ko) 복합스틸 커튼월
KR100874427B1 (ko) 건축물 내부 바닥구조
KR102065729B1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물
KR101226132B1 (ko) 소음 및 진동 저감용 받침구
KR102018586B1 (ko) 점 지지 구조의 방진 장치
KR102308218B1 (ko) 지진저항성을 향상시킨 수배전반
KR101055357B1 (ko) 소음저감용 돌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 구조물
KR100515931B1 (ko) 건축물 벽체의 방음방진구조
CN214738944U (zh) 一种用于建筑设计的抗震结构
KR102552449B1 (ko) 완충재를 구비한 층간소음 저감용 충격댐퍼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구조
JP2005331035A (ja) 制震装置
KR101058658B1 (ko)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