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134B1 -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번호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번호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134B1
KR100664134B1 KR1020040064105A KR20040064105A KR100664134B1 KR 100664134 B1 KR100664134 B1 KR 100664134B1 KR 1020040064105 A KR1020040064105 A KR 1020040064105A KR 20040064105 A KR20040064105 A KR 20040064105A KR 100664134 B1 KR100664134 B1 KR 100664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group
input
recipients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5380A (ko
Inventor
천병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1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1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번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특정인에게 동일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이에 대한 수신정보를 등록함으로써 다시 동일한 다수의 특정인에게 동일한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 등록정보로부터 수신정보를 검색하여 간편하게 입력시키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동보전송으로 확인되면 메시지를 작성하고 전화번호부에서 다수의 수신자에 대한 그룹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해당 그룹전화번호가 검색되지 않으면 다수의 수신자에 대한 전화번호 입력을 요구하여 그 입력된 그룹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전송키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해당 그룹전화번호가 검색되면 그 그룹전화번호를 입력시키고 전송키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전송키가 입력되면 메시지를 해당 다수의 수신자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번호 입력 방법{RECEIVING NUMB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1은 종래의 단문메시지 전송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수신번호 입력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도3은 도2에서 그룹수신번호부를 보인 구조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지 전송에 있어서 수신번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어 공간 및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통화는 물론 무선 인터넷, 메시지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메시지 서비스는 최근 들어 상업적인 목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온라인 매체와 달리 사용자와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하는 비율이 다른 매체에 비해 높다는 장점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단문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1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 면,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직접 단문메시지를 작성하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또는 전송)키를 누르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문메시지를 해당 수신자 측으로 전송 처리하게 된다.
또한, 현재 메시지 서비스 방법으로 동보전송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는 동일한 메시지를 다수의 수신자에게 동시에 전송하는 방법으로 동보전송 방법이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수의 특정인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때마다 다수의 특정인에 대한 수신정보(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를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종래에는 다수의 특정인에게 다시 동일한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려고 할 때 이전에 동일한 다수의 특정인에게 동일한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에도 다시 수신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수의 특정인에게 동일한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 이에 대한 수신정보를 등록함으로써 다시 동일한 다수의 특정인에게 동일한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할 경우 등록정보로부터 수신정보를 검색하여 간편하게 입력시키도록 창안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번호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동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를 동시에 수신할 다수의 수신자에 대한 그룹수신번호가 등록되어 있는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그룹수신번호가 검색되지 않으면 다수의 수신자에 대한 수신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그에 의해 입력된 그룹수신번호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그룹수신번호가 검색되면 이를 수신번호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폰"이라 약칭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발신 메뉴가 선택되면 다수의 수신자에게 동일한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는 동보전송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동보전송으로 확인되면 메시지를 작성하고 전화번호부에서 다수의 수신자에 대한 그룹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해당 그룹전화번호가 검색되지 않으면 다수의 수신자에 대한 전화번호 입력을 요구하여 그 입력된 그룹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전송키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해당 그룹전화번호가 검색되면 그 그룹전화번호를 입력시키고 전송키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전송키가 입력되면 메시지를 해당 다수의 수신자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메시지 전송이 종료되었을 때 다른 메시지 전송을 위한 키가 입력되면 메시지 작성 단계로 복귀하고 종료 키가 입력되면 메시지 전송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도3의 그룹수신번호부를 보인 구조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다수의 수신자에게 동일한 메시지를 전송하려는 경우 사용자가 키 조작에 의해 메시지 발신 메뉴를 선택하면 휴대폰은 메시지 발신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메시지 발신 메뉴 화면에서 메시지 작성 항목, 메시지 수신자번호 입 력 항목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메시지 작성 항목을 선택하면 휴대폰은 메시지 작성을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어 메시지 수신자 번호 입력 항목을 선택하면 휴대폰은 메시지 수신자번호 검색 항목과 메시지 수신자번호 입력 항목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수신자번호 입력 항목을 선택하면 휴대폰은 수신자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입력된 수신자번호를 그룹화하여 내부 메모리에 등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수신자번호 검색 항목을 선택하면 휴대폰은 도3의 예시도와 같이 내부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그룹수신번호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그룹수신번호를 메시지 수신자번호로 입력한다.
만일, 도3과 같은 그룹수신번호부에서 해당 수신번호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가 수신자번호 입력 항목을 선택하면 휴대폰은 수신자번호 입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입력된 수신자번호를 그룹화하여 내부 메모리에 등록한다.
이후,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메시지 작성 및 그룹수신번호 입력이 완료되었을 때 사용자가 전송키를 누르면 휴대폰은 각 수신자 측으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일, 메시지 작송 및 그룹수신번호 입력이 완료되었을 때 수신번호 재입력을 위한 키가 눌리면 휴대폰은 메시지 수신자번호 검색을 위한 단계로 복귀하여 사 용자가 다시 그룹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었을 때 다른 메시지 전송을 위한 키가 입력되면 휴대폰은 메시지 발신 메뉴 화면으로 복귀하여 메시지 작성 및 수신번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보 메시지를 전송할 때 이전 메시지 전송 시에 등록된 다수의 수신자에 대한 그룹수신번호를 검색하여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은 물론 수신번호 입력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이동통신단말기의 동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동일한 메시지를 수신할 다수의 수신자에 대한 그룹수신번호가 등록되어 있는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그룹수신번호가 검색되지 않으면 다수의 수신자에 대한 수신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그에 의해 입력된 그룹수신번호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그룹수신번호가 검색되면 이를 수신번호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번호 입력 방법.
  2. 삭제
KR1020040064105A 2004-08-14 2004-08-14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번호 입력 방법 KR10066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105A KR100664134B1 (ko) 2004-08-14 2004-08-14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번호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105A KR100664134B1 (ko) 2004-08-14 2004-08-14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번호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380A KR20060015380A (ko) 2006-02-17
KR100664134B1 true KR100664134B1 (ko) 2007-01-04

Family

ID=3712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105A KR100664134B1 (ko) 2004-08-14 2004-08-14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번호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1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249A (ko) * 2002-09-30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시 수신자번호의 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249A (ko) * 2002-09-30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시 수신자번호의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380A (ko) 200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3969B2 (en) Mobile terminal for chatting by using SMS and method thereof
KR10064118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
US20060099931A1 (en) Automatic phone number to website linking system and method
WO2015169187A1 (zh) 一种基于智能移动电话的固定电话扩展通信系统
RU2004129631A (ru) Последовательный мультимодальный ввод
US850399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00581302C (zh) 基于便携终端的文件共享方法
KR20020060489A (ko) 이동 전화기에서 이미지 파일 송신 및 수신방법
KR20110051892A (ko)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과 연동한 sns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37487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및 일반전화 사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6413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번호 입력 방법
JP2002101207A (ja) 通信端末、その情報通信方法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KR2012012198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자 특정정보 선택전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8028972A (ja) 携帯電話機からU−Send(発信)ボタンを使い、電話番号をダイヤルし、ユーザーのホームページへダイレクトでアクセスを可能にした。
KR100997689B1 (ko)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31619B1 (ko)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KR100603049B1 (ko) 레터링 서비스 방법
KR20030079161A (ko) 단문 메세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부 전송 방법
KR100594446B1 (ko) 수신자 부담요청 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99477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번호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776031B1 (ko) 통화중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2003008769A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要求装置並びに携帯端末
KR100993323B1 (ko)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464929B1 (ko) 발착신자 그룹별 히든 페이징 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
KR101495254B1 (ko) 단말기 및 단말기의 신호 송신/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